KR102474497B1 -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97B1
KR102474497B1 KR1020210047590A KR20210047590A KR102474497B1 KR 102474497 B1 KR102474497 B1 KR 102474497B1 KR 1020210047590 A KR1020210047590 A KR 1020210047590A KR 20210047590 A KR20210047590 A KR 20210047590A KR 102474497 B1 KR102474497 B1 KR 10247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tacking
installation frame
sprocke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446A (ko
Inventor
권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석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4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07Shutter boxes; Details or component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8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having 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al W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이 설치된 설치프레임(10); 이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 견인되도록 걸려지는 와이어 또는 체인(30)과, 좌우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충전재(42)가 충전되고 측면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3)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을 포함하는 스태킹셔터(20);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을 회전시켜 상기 스태킹셔터(20)를 상승견인하고, 화재발생시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해주는 셔터작동수단(50); 상기 설치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접선 또는 반경방향을 따라 수평연장되거나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태킹셔터(20)의 각 단위패널(40,40a)의 회전축(43)이 이동가능하게 걸려지는 가이드레일(60); 및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셔터작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이다.

Description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Fireproof shutter typed stacking}
본 발명은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연, 차열소재가 내부에 충전된 단위패널을 이용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 발생시 발화지점을 신속히 봉쇄함으로써 화재가 주위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축법 및 소방법 소정의 규정에 정한 바에 따라, 방화셔터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종래의 방화셔터는 천장에 설치된 셔터박스와, 상하로 연결된 복수개의 슬랫과, 이 복수개의 슬랫을 셔터박스로 승강시키는 체인과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셔터박스에는 슬랫이 감기는 샤프트가 구비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슬랫이 샤프트에 감겨지며 화재발생시 샤프트에서 풀려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방화셔터는 복수개의 슬랫이 샤프트에 감겨지는 방식이므로, 슬랫이 샤프트에 감겨짐에 따라 슬랫의 무게에 의해 샤프트의 일측이 하측으로 처지게 되어, 슬랫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면 슬랫이 체인과 충돌하여 체인이 끊어지거나 스포로켓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슬랫이 추락하여 보행자가 상해를 입거나 물건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방화셔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872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63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셔터가 단순한 슬랫이 아니라 난연, 단열, 차열 소재가 내부에 충전된 단위패널을 사용하여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단위패널이 샤프트에 감겨지지 않고 병렬로 수용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하여 추락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방지되고 화재발생시 단위패널이 자중 및 가압력에 의해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하강되어 통로를 차폐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단위패널들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방화셔터의 투명창을 통해 화재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화재진압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인명피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구역(1)에 설치되며, 일측에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이 설치된 설치프레임(10);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 견인되도록 걸려지는 와이어 또는 체인(30)과, 좌우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충전재(42)가 충전되고 측면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3)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을 포함하는 스태킹셔터(20);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을 회전시켜 상기 스태킹셔터(20)를 상승견인하고, 화재발생시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해주는 셔터작동수단(50); 상기 설치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접선 또는 반경방향을 따라 수평연장되거나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태킹셔터(20)의 각 단위패널(40,40a)의 회전축(43)이 이동가능하게 걸려지는 가이드레일(60); 및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셔터작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스태킹셔터(20)의 각 단위패널(40)은 와이어 또는 체인(30)이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방향전환됨에 따라 회전축(43)을 중심으로 체인(30)에서 회전되어 측방으로 적층되며, 최하단에 위치된 단부단위패널(40a)은 가이드레일(60)에 걸려지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태킹셔터(20)의 단부단위패널(40a)에는 가압돌기(40b)가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설치프레임(10)에는 상기 스태킹셔터(20)의 단부단위패널(40a)의 가압돌기(40a)에 의해 가압되는 압축스프링(8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태킹셔터(20)의 단위패널(40,40a)의 회전축(43)에는 가이드레일(6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44)가 더 구비되고, 단위패널(40,40a)의 측면에는 가이드롤러(44)와 이격되며 가이드레일(60)의 저면에 걸려지는 스토퍼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난연이나 차열 등의 소재인 충전재(42)가 충전된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의 측면 회전축(43)이 와이어 또는 체인(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태킹셔터(20)를 이용하여 화염을 좀 더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면서, 스태킹셔터(20)가 샤프트에 감겨지지 않고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 각각이 측면의 회전축(43)이 가이드레일(60)에 걸려서 측방으로 적층 수용됨으로써, 종래 샤프트가 처져서 체인이 끊어지거나 이탈되어 셔터가 추락하는 문제 및 이로 인해 셔터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스태킹셔터(20)가 원활하게 작동되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방화구역(1)을 차폐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스태킹셔터(20)가 수용되는 설치프레임(10)에 스태킹셔터(20)의 최하단에 위치된 단부단위패널(40a)에 구비된 가압돌기(40b)에 의해 가압되는 압축스프링(80)이 구비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단부단위패널(40a)은 자중에 의해 하강될 뿐만 아니라 압축스프링(80)의 탄성가압력을 받아서 하강하므로 스태킹셔터(20)가 보다 신속하게 하강되어 통로를 차폐함으로써, 화재가 번지는 것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60)이 와이어 또는 체인(30)을 견인하는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이격될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이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자중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이동되므로, 스태킹셔터(20)가 설치프레임(10)에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용된다. 이때, 단위패널(40)의 회전축(43)에 가이드레일(6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44)가 구비되고, 단위패널(40)의 측면에 가이드롤러(44)와 이격되며 가이드레일(60)의 저면에 걸리는 스토퍼돌기가 돌출되어, 단위패널(40)이 가이드롤러(44)에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가이드레일(6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한편, 스태킹셔터(20)의 단위스태킹패널(40)에 투명창(21)이 구비되어 화재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화재진압이 용이하고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스태킹셔터가 상승견인되는 작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스태킹셔터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에의 스태킹셔터가 하강되는 작동을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는 설치프레임(10), 스태킹셔터(20), 셔터작동수단(50), 가이드레일(60) 및 제어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프레임(10)은 방화구역(1)에 설치되는데, 방화구역(1)의 천장(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천장(2)의 일측에는 상기 스태킹셔터(20)가 출입되는 개구부(3)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셔터작동수단(50)을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부재(55)가 노출되는 점검구(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프레임(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셔터가 수용되는 셔터박스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설치프레임(10)에는 천장(2)의 개구부(3)와 근접된 위치에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이 설치된다. 또한 설치프레임(10)에는 상기 셔터작동수단(50) 및 가이드레일(60)이 설치된다. 한편, 도 1과같이 방화구역(1)의 측벽에는 상기 스태킹셔터(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직레일(13)이 구비된다.
상기 스태킹셔터(20)는 설치프레임(10)에 수용되어 방화구역(1)을 개방하고 설치프레임(10)에서 좌우측이 수직레일(13)을 따라 하강되어 방화구역(1)을 폐쇄하는 것으로,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 견인되도록 걸려지는 와이어 또는 체인(30)과, 이 와이어 또는 체인(30)에 측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을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설치프레임(10)의 스프로켓(11)에 걸려지는 체인(30)을 예시하였으나, 설치프레임(10)에 회전드럼이 구비될 경우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설치프레임(10)에는 체인(30)이 들뜨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가이더(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패널(40,40a)은 좌우로 연장된 외장케이스(41)의 내부에 충전재(42)가 충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충전재(42)는 세라믹울 등과 같은 내화, 난연, 단열, 차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장케이스(41)는 소정두께의 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내화, 난연, 차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위패널(40,40a)의 측면에는 체인(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3)이 돌출된다. 이때,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이 스태킹셔터(20)가 설치프레임(10)에서 하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 서로 상단 및 하단에 의해 틈새가 형성되지 않고, 설치프레임(10)에 수납되면 체인(30)이 늘어지면서 측방으로 적층되도록, 각 단위패널(40)의 회전축(43)이 체인(3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단위패널(40)이 자중에 의해 회전축(43)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회전축(43)은 단위패널(40)의 측면에 중간이 아닌 상측 또는 하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단위패널(40,40a)의 회전축(43)에 수직레일(12) 및 상기 가이드레일(60)의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가이드롤러(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패널(40)의 측면에 가이드롤러(44)와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60)의 저면에 걸려지는 스토퍼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토퍼돌기는 수직레일(1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의 보조가이드롤러(45)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단위패널(40,40a)의 좌우 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가이드롤러(44) 및 보조가이드롤러(4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단위패널(40)의 상단에는 상측의 단위패널(40)이 수직하게 정렬되도록 위치정렬가이더(4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각 단위패널(40,40a)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하로 인접된 단위패널(40,40a)과 서로 결합되는 삽입홈(47) 및 삽입돌기(48)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47)은 입구로 갈수록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삽입돌기(48)는 삽입홈(47)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도 3과 같이 단위패널(40)이 자중에 의해 체인(30)에서 회전축(43)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47) 또는 삽입돌기(48)에는 패킹(49)이 구비되어, 화염과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셔터작동수단(5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을 회전시켜 상기 스태킹셔터(20)를 설치프레임(10)으로 상승견인하고, 화재발생시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해준다.
주지된 바와 같이, 셔터작동수단(50)은 모터(51), 브레이크(52) 및 상기 모터(51)에 축결된 보조스프로켓(53)을 포함하며, 보조스프로켓(53)과 스프로켓(11)이 구동체인(54)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51)의 작동에 의해 스프로켓(11)이 회전됨으로써, 스태킹셔터(20)의 체인(30)이 상승견인된다. 또한 브레이크(5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 또는 기계식으로 작동 및 작동해제되어 스프로켓(11)의 역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스태킹셔터(20)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주지된 바와 같이 도시안된 열감지센서나 연기감지센서와 같은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수단(70)에 의해 브레이크(52)가 작동해제되어,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60)은 설치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의 접선 또는 반경방향을 따라 수평연장되어 스태킹셔터(20)의 각 단위스태킹패널(40)의 회전축(43)에 구비된 가이드롤러(44)가 걸려진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가이드레일(60)은 천장(2)의 개구부(3)에서 점검구(4)쪽으로 수평연장되며, 가이드레일(60)의 단부에는 단위패널(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는 가이드레일(60)이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이격될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태킹셔터(20)가 상승하여 각 단위패널(40)의 회전축(43)이 가이드레일(60)에 걸려져서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60)이 수평연장되면 단위패널(40)이 자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60)에 이물질이 묻거나 녹이 슬게 되면 단위패널(40)의 회전축(43)이 이물질 등에 걸려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는데, 복수개의 단위패널(40)의 회전축(43)이 가이드레일(60)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자중(자력)에 의해 좀 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동되어 가이드레일(60)에 측방으로 적층될 수 있어, 스태킹셔터(20)가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설치프레임(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셔터작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수단(70)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는 도시안된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신호, 작동스위치(71) 등을 통해 하강된 스태킹셔터(20)의 복귀신호 등 스태킹셔터(20)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신호를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제어수단(70)은 스태킹셔터(20)의 최하단에 위치된 단부단위패널(40a)이 가이드레일(60)에 걸려지지 않도록 셔터작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어수단(70)은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셔터작동수단(50)의 브레이크(52)의 작동을 해제시켜,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는 평상시에 도 4와 같이 설치프레임(10)에 스태킹셔터(20)의 복수개의 단위패널(40)이 가이드롤러(44)가 가이드레일(60)에 걸린 상태로 측방으로 적층(스태킹)되도록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화재발생시 도시안된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수단(70)에 의해 셔터작동수단(50)의 브레이크(52)의 작동이 해제되어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방화구역(1)을 폐쇄한다.
그리고 화재가 진압되면 스태킹셔터(20)가 상승하여 설치프레임(10)에 다시 수용되는데, 도 3과 같이 스태킹셔터(20)가 설치프레임(10)의 스프로켓(11)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면서 체인(30)이 스프로켓(11)에서 방향이 전환될 때, 각 단위패널(40)은 자중에 의해 회전축(43)을 중심으로 체인(30)에서 하향 회전되고 회전축(43)에 구비된 가이드롤러(44)가 가이드레일(60)에 걸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패널(40)이 회전축(43)에 구비된 가이드롤러(44)가 가이드레일(60)에 걸려진 상태로 측방으로 적층되어 설치프레임(10)에 수용된다. 이때, 스태킹셔터(20)의 최하단의 단부단위패널(40a)은 가이드레일(60)에 걸려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는 스태킹셔터(20)의 최하단에 위치된 단부단위패널(40a)에 가압돌기(40b)가 측방으로 돌출되고, 설치프레임(10)에는 상기 단부단위패널(40a)의 가압돌기(40b)에 의해 가압되는 압축스프링(8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설치프레임(10)이 셔터작동수단(50)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단부단위패널(40a)에 구비된 가압돌기(40b)가 압축스프링(80)을 압축시킨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화재발생시 셔터작동수단(50)의 브레이크(52)가 작동해제되어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스태킹셔터(20)의 최하단에 위치된 단부단위패널(40a)의 가압돌기(40b)가 압축스프링(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향 가압되므로, 스태킹셔터(20)가 자중과 압축스프링(80)의 가압력을 함께 받기 때문에 좀 더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는 스태킹셔터(20)에 투명창(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태킹셔터(20)가 하강하여 방화구역(1)을 폐쇄할 때, 소정위의 단위패널(40)에 투명창(21)이 구비되어, 폐쇄된 방화구역(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재현장의 상황을 좀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진압이 좀 더 용이하고 인명을 효과적으로 대피시킬 수 있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방화구역 2 : 천장
10 : 설치프레임 11 :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
20 : 스태킹셔터 21 : 투명창
30 : 와이어 또는 체인 40 : 단위패널
50 : 셔터작동수단 60 : 가이드레일
70 : 제어수단 80 : 압축스프링

Claims (3)

  1. 방화구역(1)에 설치되며, 일측에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이 설치된 설치프레임(10);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 견인되도록 걸려지는 와이어 또는 체인(30)과, 좌우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충전재(42)가 충전되고 측면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3)이 구비된 복수개의 단위패널(40,40a)을 포함하는 스태킹셔터(20);
    상기 설치프레임(10)의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을 회전시켜 상기 스태킹셔터(20)를 상승견인하고, 화재발생시 스태킹셔터(2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해주는 셔터작동수단(50);
    상기 설치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접선 또는 반경방향을 따라 수평연장되거나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태킹셔터(20)의 각 단위패널(40,40a)의 회전축(43)이 이동가능하게 걸려지는 가이드레일(60); 및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셔터작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스태킹셔터(20)의 단부단위패널(40a)에는 가압돌기(40b)가 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설치프레임(10)에는 상기 스태킹셔터(20)의 단부단위패널(40a)의 가압돌기(40a)에 의해 가압되는 압축스프링(8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스태킹셔터(20)의 각 단위패널(40)은 와이어 또는 체인(30)이 회전드럼 또는 스프로켓(11)에서 방향전환됨에 따라 회전축(43)을 중심으로 체인(30)에서 회전되어 측방으로 적층되고, 최하단에 위치된 단부단위패널(40a)은 가이드레일(60)에 걸려지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킹셔터(20)의 단위패널(40,40a)의 회전축(43)에는 가이드레일(6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롤러(44)가 더 구비되고, 단위패널(40,40a)의 측면에는 가이드롤러(44)와 이격되며 가이드레일(60)의 저면에 걸려지는 스토퍼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KR1020210047590A 2021-04-13 2021-04-13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KR10247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90A KR102474497B1 (ko) 2021-04-13 2021-04-13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90A KR102474497B1 (ko) 2021-04-13 2021-04-13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46A KR20220141446A (ko) 2022-10-20
KR102474497B1 true KR102474497B1 (ko) 2022-12-06

Family

ID=8380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90A KR102474497B1 (ko) 2021-04-13 2021-04-13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07Y1 (ko) * 2005-06-14 2005-09-07 공간산업(주) 폴드업 셔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191B2 (ja) 2002-10-21 2005-03-02 新生精機株式会社 シャッター用自動閉鎖装置の下限停止機構
KR100566383B1 (ko) 2004-08-23 2006-03-31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방화셔터용 전동개폐기의 자동폐쇄장치
KR101155440B1 (ko) * 2006-04-21 2012-07-03 (주)서진테크릭스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KR101411604B1 (ko) * 2010-11-09 2014-06-24 장종복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07Y1 (ko) * 2005-06-14 2005-09-07 공간산업(주) 폴드업 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46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474497B1 (ko)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KR101225755B1 (ko) 비상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JP4875265B2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JP3579402B2 (ja) 開閉体装置および開閉体の閉鎖方法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7066501B2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JP7066500B2 (ja) 防水扉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JP6190719B2 (ja) 防水扉の動作制御装置及び防水扉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JP3929370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2000054758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CN212803007U (zh) 复合型防火卷帘门
KR100527035B1 (ko)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2656680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636525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JP3999246B2 (ja) 開閉体の閉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030504B1 (ko) 방화문 연동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