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266B1 -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266B1
KR102474266B1 KR1020200073279A KR20200073279A KR102474266B1 KR 102474266 B1 KR102474266 B1 KR 102474266B1 KR 1020200073279 A KR1020200073279 A KR 1020200073279A KR 20200073279 A KR20200073279 A KR 20200073279A KR 102474266 B1 KR102474266 B1 KR 10247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ole
regular intervals
dental
mo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709A (ko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주) 덴토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덴토존 filed Critical (주) 덴토존
Priority to KR102020007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66B1/ko
Priority to PCT/KR2020/014007 priority patent/WO2021256620A1/ko
Priority to BR112022022316A priority patent/BR112022022316A2/pt
Priority to CN202080009615.4A priority patent/CN114269286B/zh
Priority to EP20911311.7A priority patent/EP3957274A4/en
Priority to US17/085,073 priority patent/US11432917B2/en
Priority to JP2020184909A priority patent/JP6999977B2/ja
Publication of KR2021015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0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mouth props, tongue guards, tongue depressors or cheek 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며, 상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안착부와,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며, 하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하부안착부와, 상부안착부 및 하부안착부의 사이에 삽입홀 및 관통홀이 형성되고, 삽입홀의 일 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입관이 체결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반대선상에 형성되고,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1 흡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흡입관을 통해 입안속에 분비된 타액을 포함한 분비물을 석션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흡입구와, 하부안착부의 양 측에 형성되고, 하측 어금니의 양 측면이 밀착하도록 구성되며, 일정한 간격마다 격벽이 구비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의 타 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측 어금니 및 입안속의 피부사이에 안착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석션보조기구{dental suction aid}
본 발명은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의사가 1인 치과 진료를 수행하기 위한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에서는 진료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내에 발생되는 타액, 이물질, 혈액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과용 석션 장비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석션 장비에는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석션 팁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석션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치과 진료에서는 석션 모듈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석션 팁이 사용자의 구강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보조하는 간호 보조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치과 병원의 소형화로 인해 진료 보조 인력의 도움없이 의사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1인 치과가 치의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의사 단독으로의 1인 치과 진료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석션 모듈의 사용을 도와주는 간호 보조인력의 업무가 기술적으로 대체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을 통해 개시되고 있는바,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을 파지하는 파지구와, 파지구에 결합되며, 석션 모듈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 및 조절구에 결합되어 조절구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며, 조절구는, 지지구에 결합되며 소성 변형 가능한 제1 조절구, 제1 조절구에 결합되며 힌지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조절구, 및 제2 조절구에 결합되며 볼 베어링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3 조절구를 포함하고, 제1 조절구는, 일단이 지지구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강성 코일 구조체인 강성부, 및 일단이 강성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조절구에 결합되는 연성 코일 구조체인 연성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치과의사가 1인 치과 진료를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석션모듈)을 구입해야하는 재정적인 문제점이 있고, 치과의사가 진료를 수행하면서 석션모듈을 동시에 파지하고 진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7176호 (공고일 : 2018.10.11)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의사가 1인 치과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며, 상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안착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며, 하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하부안착부;
상기 상부안착부 및 하부안착부의 사이에 삽입홀 및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일 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입관이 체결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반대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1 흡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해 입안속에 분비된 타액을 포함한 분비물을 석션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흡입구;
상기 하부안착부의 양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측 어금니의 양 측면이 밀착하도록 구성되며, 일정한 간격마다 격벽이 구비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타 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측 어금니 및 입안속의 피부사이에 안착하는 날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의 양 측에 격벽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어금니의 양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상측 어금니에 고정되는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및 제1 흡입홀의 사이에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안착부를 향하도록 관통되는 제2 흡입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입홀 및 제2 흡입홀의 내경의 합은 상기 흡입관의 내경의 0.9 내지 1.1배의 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제1 격벽, 제2 격벽, 제3 격벽 및 제4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다리부의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획부;
상기 제2 격벽 및 제3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획부; 및
상기 제3 격벽 및 기준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획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3 구획부는 일정한 간격마다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흡입홀에서 석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석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격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상기 날개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3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상기 틈 사이로 석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패턴이 형성되어 피부와 밀착되는 지점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로부터 석션이 이루어질 때 석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패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선보조기구는 상측 어금니 및 하측 어금니의 사이에 석션보조기구를 고정시키고, 체결부에 흡입관을 연결시켜 석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석션을 보조해주는 사람이 없이도 치과진료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석션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진료환자에 석션보조기구를 파지시켜 이를 고정시킨 이후 석션장비를 삽입한 상태로 석션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치과의사가 별도의 석션장비를 파지하지 않아도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를 나타내 보인 배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지며, 몸체부(100) 및 다리부(200)를 포함하며, 몸체부(100) 및 다리부(20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부에 위치하고 상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안착부(130)와, 하부에 위치하고 하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하부안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안착부(130)는 상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어금니가 상부안착부(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안착부(130)는 양 측에 격벽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 어금니의 측면이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31)를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31)가 어금니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몸체부(100)가 어금니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안착부(170)는 하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어금니가 하부안착부(17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안착부(170)는 양 측면에 다리부(200)가 형성되어 상부안착부(130)의 지지부(13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부안착부(130) 및 하부안착부(170)의 사이에 삽입홀(151) 및 관통홀(155)이 형성되고, 일 측 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에 체결부(150)가 구비되고, 타 측 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 흡입구(153)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0)의 내부에 삽입홀(151)이 형성되고, 흡입구(153)의 내부에 제1 흡입홀(157)이 형성되며, 삽입홀(151) 및 제1 흡입홀(157)의 사이에 관통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51), 관통홀(155) 및 제1 흡입홀(157)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부(150) 및 흡입구(153)가 관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15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151)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고정돌기(151a)가 형성되어 외부에 구비된 흡입관(21)이 체결부(150)를 통해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흡입관(21)이 체결부(150)에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151)은 흡입관(21)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삽입홀(151) 및 관통홀(155)의 직경을 상이하게 구비(예컨대 삽입홀(151) 및 관통홀(155)의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구조)되어 흡입관(21)이 관통홀(155)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술한 제2 흡입홀(159)이 흡입관(21)으로부터 폐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석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돌기(151a)는 관통홀(155)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동일한 크기 및 굵기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크기 및 굵기가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사항이다.
흡입관(21)은 고정돌기(151a)를 통해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입관(21)이 체결부(1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관(21)의 단부에 별도의 연결구(22)가 설치되고, 연결구(22)가 관통홀(1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55)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흡입홀(157)의 사이에 제2 흡입홀(159)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홀(159)은 관통홀(155) 및 제1 흡입홀(157)의 사이에 형성하되, 관통홀(155) 및 제1 흡입홀(157)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부안착부(170)를 향하도록 관통되며, 하부안착부(170)에서 흡입되는 분비물이 관통홀(155), 체결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 흡입홀(157) 및 제2 흡입홀(159)에서 흡입되는 분비물이 체결부(150)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흡입홀(157) 및 제2 흡입홀(159)의 내경의 합은 흡입관(21)의 내경과 유사하게 형성됨으로써 석션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1 흡입홀(157) 및 제2 흡입홀(159)의 내경의 합은 흡입관(21)의 내경이 0.9 내지 1.1배의 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배율로부터 미만이거나 또는 초과가 되는 경우 석션의 효과가 미비하여 석션보조기구(10)의 사용효과가 둔감될 우려가 있다.
한편, 몸체부(100)의 하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안착부(170)의 양 측에 다리부(200)가 형성되어 하부안착부(170)에 안착되는 하측 어금니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리부(200)는 일정한 간격마다 격벽(210)이 형성되어 구획을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격벽(210)은 제1 격벽(211), 제2 격벽(213), 제3 격벽(215) 및 제4 격벽(217)을 포함하여 다리부(200)의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고, 제1 격벽(211) 및 제2 격벽(2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획부(212), 제2 격벽(213) 및 제3 격벽(2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획부(214), 제3 격벽(215) 및 후술할 날개부(2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획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흡입홀(159)은 제3 구획부(216)에 위치하는 하부안착부(170)에 관통되어 분비물을 흡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3 구획부(216)에 일정한 간격마다 제1 돌출부(218)를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돌출부(218)의 사이에는 일정한 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틈의 사이로 분비물이 제2 흡입홀(159)에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획부(212) 및 제2 구획부(214)는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하측 어금니의 양 측면에 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석션보조기구(10)가 어금니에 고정하는 기능 및 제3 격벽(215)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리부(200)는 하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패턴이 형성되어 입안 속의 피부와 밀착되는 지점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부(150)로부터 석션이 이루어질 때 틈 사이로 분비물이 흡입되어 석션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패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250)는 다리부(200)의 하부에 형성하되 제1 구획부(212), 제2 구획부(214) 및 제3 구획부(216)의 하부에만 패턴부(25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3 구획부(216)의 인근에 구비된 날개부(230)의 하부에 연장되게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획부(216)는 제3 격벽(215) 및 기준돌출부(218a)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구획부(216)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마다 제1 돌출부(218)이 배열형성될 수 있다. 기준돌출부(218a)는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다리부(200) 및 날개부(230)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218)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1 돌출부(218) 및 기준돌출부(218a)는 동일한 돌출형태로 이루어진 것이고, 기준돌출부(218a)는 단순히 본 발명의 제3 구획부(216)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고안된 명칭일 뿐, 제1 돌출부(218) 및 기준돌출부(218a)가 동일한 기능 및 효과가 있다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리부(200)의 타 측, 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3 구획부(216)의 우 측에 위치하는 지점에 연장되게 날개부(2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날개부(230)는 하부안착부(170)의 양 측에 형성된 다리부(200)의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1쌍의 날개부(230)가 구비되고, 하측 어금니의 단부 및 입안 속의 피부 사이에 안착되며, 입안속의 목에 고이는 분비믈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230)는 내부를 향하도록 일정한 간격마다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돌출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날개부(230)는 격벽(2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231)와, 날개부(23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3 돌출부(23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231) 및 제4 돌출부(235)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상기한 틈 사이로 석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제2 돌출부(231)와, 2개의 제4 돌출부(235)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석션보조기구(10)의 크기에 따라 돌출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석선보조기구는 상측 어금니 및 하측 어금니의 사이에 석션보조기구(10)를 고정시키고, 체결부(150)에 흡입관(21)을 연결시켜 석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석션을 보조해주는 사람이 없이도 치과진료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석션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진료환자에 석션보조기구(10)를 파지시켜 이를 고정시킨 이후 석션장비를 삽입한 상태로 석션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치과의사가 별도의 석션장비를 파지하지 않아도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석션보조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석션보조기구 21 - 흡입관
22 - 연결구 100 - 몸체부
130 - 상부안착부 131 - 지지부
150 - 체결부 151 - 삽입홀
151a - 고정돌기 153 - 흡입구
155 - 관통홀 157 - 제1 흡입홀
159 - 제2 흡입홀 170 - 하부안착부
200 - 다리부 210 - 격벽
211 - 제1 격벽 212 - 제1 구획부
213 - 제2 격벽 214 - 제2 구획부
215 - 제3 격벽 216 - 제3 구획부
217 - 제4 격벽 218 - 제1 돌출부
218a - 기준돌출부 230 - 날개부
231 - 제2 돌출부 235 - 제3 돌출부
250 - 패턴부

Claims (8)

  1.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며, 상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안착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간격마다 이탈방지턱이 배치되며, 하측 어금니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하부안착부;
    상기 상부안착부 및 하부안착부의 사이에 삽입홀 및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일 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입관이 체결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반대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는 제1 흡입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해 입안속에 분비된 타액을 포함한 분비물을 석션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흡입구;
    상기 하부안착부의 양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측 어금니의 양 측면이 밀착하도록 구성되며, 일정한 간격마다 격벽이 구비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타 측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측 어금니 및 입안속의 피부사이에 안착하는 날개부; 및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체결되는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의 양 측에 격벽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어금니의 양 측면이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상측 어금니에 고정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및 제1 흡입홀의 사이에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안착부를 향하도록 관통되는 제2 흡입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입홀 및 제2 흡입홀의 내경의 합은 상기 흡입관의 내경의 0.9 내지 1.1배의 범위내로 형성되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제1 격벽, 제2 격벽, 제3 격벽 및 제4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다리부의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획부;
    상기 제2 격벽 및 제3 격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획부; 및
    상기 제3 격벽 및 기준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획부;
    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구획부에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가 배열되며,
    상기 관통홀 및 제1 흡입홀의 사이에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흡입홀에서 석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석션이 이루어지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격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상기 날개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3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상기 틈 사이로 석션이 이루어지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패턴이 형성되어 피부와 밀착되는 지점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로부터 석션이 이루어질 때 석션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패턴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KR1020200073279A 2020-06-16 2020-06-16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KR10247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79A KR102474266B1 (ko) 2020-06-16 2020-06-16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PCT/KR2020/014007 WO2021256620A1 (ko) 2020-06-16 2020-10-14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BR112022022316A BR112022022316A2 (pt) 2020-06-16 2020-10-14 Dispositivo de assistência de sucção para tratamento odontológico
CN202080009615.4A CN114269286B (zh) 2020-06-16 2020-10-14 牙齿抽吸辅助装置
EP20911311.7A EP3957274A4 (en) 2020-06-16 2020-10-14 SUCTION ASSISTANT DEVICE FOR DENTAL TREATMENT
US17/085,073 US11432917B2 (en) 2020-06-16 2020-10-30 Dental suction assisting device
JP2020184909A JP6999977B2 (ja) 2020-06-16 2020-11-05 歯科用吸引補助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79A KR102474266B1 (ko) 2020-06-16 2020-06-16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09A KR20210155709A (ko) 2021-12-23
KR102474266B1 true KR102474266B1 (ko) 2022-12-05

Family

ID=7882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79A KR102474266B1 (ko) 2020-06-16 2020-06-16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32917B2 (ko)
EP (1) EP3957274A4 (ko)
JP (1) JP6999977B2 (ko)
KR (1) KR102474266B1 (ko)
CN (1) CN114269286B (ko)
BR (1) BR112022022316A2 (ko)
WO (1) WO2021256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8140S1 (en) * 2020-08-13 2023-09-05 Dentozone Co., Ltd. Dental suction unit
US11723760B2 (en) * 2021-08-06 2023-08-15 Gregory Prior Aerosol deflecting dental shield and containmen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84B1 (ko) * 2011-06-20 2013-02-20 신미정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333A (en) * 1974-09-09 1975-12-09 Norman Erickson Dental appliance
US4167814A (en) * 1977-04-11 1979-09-18 Schubert Robert E Mouth prop and oral evacuation device
US4802851A (en) * 1988-02-03 1989-02-07 Rhoades Clark J Dental appliance
SE464909B (sv) * 1988-02-19 1991-07-01 Tandlaekare Dyfvermark Ab Dental bitkloss foer anslutning till sugkaella
US5466153A (en) * 1992-01-22 1995-11-14 Poindexter; Forrest R. Prop for use in dentistry and oral surgery
US5588836A (en) * 1995-10-23 1996-12-31 Op-D-Op, Inc. Mouth prop and tongue deflector apparatus
US5655519A (en) * 1995-11-14 1997-08-12 Alfery; David D. Patient airway bite block
US6241521B1 (en) * 1998-07-13 2001-06-05 John E. Garrison Bite block
US6974321B2 (en) * 1998-11-17 2005-12-13 Innerlite, Inc. Intraoral device
US6244866B1 (en) * 1999-12-29 2001-06-12 Regina Campbell Tongue suppressing bite block
JP4585246B2 (ja) * 2004-07-12 2010-11-24 武志 英保 歯科用吸引器具
JP4293950B2 (ja) * 2004-07-22 2009-07-08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US8870568B1 (en) * 2006-03-14 2014-10-28 Becki T. Ream Oral suction device
KR100777454B1 (ko) * 2006-10-18 2007-11-28 강신범 기관튜브 고정장치
KR100936221B1 (ko) * 2009-03-06 2010-01-11 (주) 덴토존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US20110229847A1 (en) * 2010-03-17 2011-09-22 Worthington Mark L Dental appliance with prop member and saliva ejector
EP2563423A1 (en) * 2010-04-30 2013-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ction handle, suction handle assembly, and oral care systems comprising same
FI123608B (fi) * 2011-07-08 2013-08-15 Ergomedi Oy Apuväline suun ja hampaiden hoidon yhteydessä
KR101329168B1 (ko) * 2011-10-12 2013-11-14 (주) 덴토존 구개면 지지부가 구비된 혀 보호용 팁스 및 구강 조명기
US9358086B2 (en) * 2014-05-22 2016-06-07 Innerlite, Inc.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use
US9968341B2 (en) * 2015-04-21 2018-05-15 Ascentcare Dental Labs, Llc Dental bite block assembly
US20200085551A9 (en) * 2015-06-26 2020-03-19 Thomas Asum Dental suction arrangement
SE539652C2 (sv) * 2015-06-26 2017-10-24 Åsum Thomas Dental suganordning
EP3388018B1 (en) * 2015-10-22 2020-09-09 Choi, Hyun-Ji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SE539057C2 (en) * 2015-11-11 2017-04-04 Lottago Ab Oral cavity fluid extraction system and bite block
KR101800377B1 (ko) * 2017-04-10 2017-11-22 (주)웅진팜 링거용 커넥터 고정 장치
KR101907176B1 (ko) 2018-04-18 2018-10-11 김하익 석션 보조 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84B1 (ko) * 2011-06-20 2013-02-20 신미정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7274A4 (en) 2022-10-12
KR20210155709A (ko) 2021-12-23
JP6999977B2 (ja) 2022-01-19
BR112022022316A2 (pt) 2022-12-27
CN114269286A (zh) 2022-04-01
JP2021194514A (ja) 2021-12-27
CN114269286B (zh) 2024-05-07
WO2021256620A1 (ko) 2021-12-23
US11432917B2 (en) 2022-09-06
EP3957274A1 (en) 2022-02-23
US20210386534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266B1 (ko)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JP6349350B2 (ja) 口腔内歯科吸引及び分離システム
JP2017518859A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EP3373850B1 (en) Improved oral cavity suction device
TW202108088A (zh) 牙科用口腔件
CN107148253A (zh) 牙科器具
JP2010537706A (ja) 口腔治療用補助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ユニットチェアー
US20030017433A1 (en) Suction tools
JPH105340A (ja) カフ上部吸引ルーメン付気管切開チューブ
US9737385B1 (en) Backflow preventer for saliva ejector
JP2897121B2 (ja) 嚥下障害補助具
KR102433374B1 (ko) 치과용 시술보조기구
KR101088301B1 (ko)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KR20210037197A (ko) 석션팁 고정부가 구비된 의료용 석션 시스템
KR101244876B1 (ko)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AU2021394133A1 (en) Intra-oral appliance
US8376742B2 (en) Dental tray
KR101088297B1 (ko)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KR101088300B1 (ko) 호흡구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KR102336539B1 (ko) 의료용 석션팁
JP6485908B2 (ja) 診療用吸引具
KR20230172698A (ko) 치과용 석션 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JP2007260080A (ja) 口腔内吸引具
KR101088298B1 (ko)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JP2023169077A (ja) 口腔内吸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