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76B1 -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76B1
KR101244876B1 KR1020110097669A KR20110097669A KR101244876B1 KR 101244876 B1 KR101244876 B1 KR 101244876B1 KR 1020110097669 A KR1020110097669 A KR 1020110097669A KR 20110097669 A KR20110097669 A KR 20110097669A KR 101244876 B1 KR101244876 B1 KR 10124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pair
dental
straigh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11009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1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술 또는 발치(拔齒) 등의 구강내 수술시 사람이 직접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잡고 있지 않아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을 쉽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는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절곡 모서리를 형성하며, 타측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나란한 직선 바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서 수술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한 쌍의 직선 바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걸림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들은 치조골과 치은 사이에 위치되며,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이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치조골에 걸려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치조골의 수술부위로부터 치은을 벌려 제거하고, 상기 직선 바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수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에 의하면, 수술 중에 치조골로부터 치은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GINGIVA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본 발명은 치과 수술시 수술부위로부터 치은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임플란트 수술 또는 발치(拔齒) 등의 구강내 수술시 사람이 직접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잡고 있지 않아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을 쉽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환자는 치아의 배열이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치아가 손상되거나 빠진 등의 경우에 치과 치료를 받는다.
이와 같이 치료 대상이 되는 환자의 치아가 손상되거나 빠진 경우에는 임플란트 시술을 하고, 임플란트 시술전에 발치(拔齒)가 필요한 경우에는 발치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심하게 손상된 치아를 대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철물, 또는 치아가 빠진 부분에 특수 금속(주로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픽스쳐(Fixture)를 치조골에 이식하여 뼈와 엉겨붙게 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픽스쳐에 인공 치아를 고정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을 통하여 환자는 자신의 치아와 유사한 기능을 갖고서 음식물을 씹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은 틀니, 브릿지 등을 이용한 시술과 비교하여 시술이 필요한 치아 외에 주변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수명이 길며, 자연 치아와 유사한 등의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는 시술 방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임플란트를 시술할 환자의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치조골 상 임플란트를 삽입할 위치를 결정한다. 그 위치에 드릴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심을 구멍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구멍에 픽스쳐를 심고 치은을 덮은 다음,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고정시키고, 어버트먼트에 인공 치아를 고정시켜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은(10)을 치조골(20)로부터 절개 후, 벌려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gingiva retractor) 또는 골막 수술기구(periosteal evlevator)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로 치과의사 혹은 별도의 보조원이 이를 벌린 상태로 지지하고, 후속 수술과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술 방식은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첫째로는, 치과 의사와는 별도로 보조원이 시술에 참여하여 하므로, 좁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는,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가 시술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가리게 되어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한다.
세째로는,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미 도시)에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 등의 보조기구(30)가 간섭되어 적절하게 시술도구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술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치과의사 혹은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 중에 치조골로부터 치은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과 수술시 수술부위로부터 치은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절곡 모서리를 형성하며, 타측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나란한 직선 바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서 수술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한 쌍의 직선 바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걸림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들은 치조골과 치은 사이에 위치되며,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이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치조골에 걸려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치조골의 수술부위로부터 치은을 벌려 제거하고, 상기 직선 바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수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가 상부측으로 휘어진 호형의 둥근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는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여 전체적으로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가 하나의 직선 모서리와, 상기 직선 모서리의 양단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면서 점차 그 사이 간격이 확대되도록 반대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는 상기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가 하나의 직선 모서리와, 상기 직선 모서리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점차 그 사이 간격이 확대되도록 반대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는 상기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걸림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각각의 직선 바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 단면의 걸림바로 이루어진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걸림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각각의 직선 바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 단면의 절곡바로 이루어진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절곡 모서리에는 외부의 흡입장치로부터 연장된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걸림 돌기에는 흡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흡입관으로 이어지는 내부 관로가 상기 몸체부의 절곡 모서리와 직선 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걸림 돌기내부에 형성되어 수술 부위에 고인 환자의 피와 침을 외부로 흡인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직선 바에 눈금자가 각각 형성되어 정확한 수술 위치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측이 치아 상부에 위치되고, 한 쌍의 직선 바들이 수술 부위의 양측에 배치되어 걸림돌기가 치조골에 고정됨으로써 수술 부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한 쌍의 직선 바들이 치아의 배열 및 모양에 따라서 휘어져서 수술 부위에 장착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치은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치조골의 양측에 몸체부의 직선부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의 걸림 돌기들을 치조골과 치은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을 치조골에 걸어 고정시키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에 의하면, 수술 중에 치조골로부터 치은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치과 수술을 실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치조골에 장착하고 치은을 제거시킨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치조골에 장착하고 치은을 제거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를 구강 배열에 따라서 휘어서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치과 수술시 수술부위로부터 치은(10)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몸체부(11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그 일측이 절곡 모서리(120)를 형성하며, 타측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나란한 직선 바(130a,130b)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서 수술공간(13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재료, 투명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성형 제작시, 탄성력을 구비한 임의의 의료용 재료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기본적으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모서리(120)가 상부측으로 휘어진 호형의 둥근 모서리(122)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는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여 전체적으로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장착부(150)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장착부(15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걸림 돌기(160)들을 구비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160)들은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되며,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치조골(20)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환자의 치은(10)을 절개하여 치조골(20)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치조골(20)의 양측에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들을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을 치조골(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정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미 도시)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들은 상기 직선 바(130a,130b) 사이의 수술공간(132)을 통하여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것이다.
<제2 실시 예>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의 제2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의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제1 실시 예의 구조와 기능이 상당히 유사하고, 대부분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강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제1 실시 예에 비해 동일 구조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단지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도면상에서 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절곡 모서리(120)가 하나의 직선 모서리(124)와, 상기 직선 모서리(124)의 양단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면서 점차 그 사이 간격이 확대되도록 반대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호형 모서리(126a,126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는 상기 한 쌍의 호형 모서리(126a,126b)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며, 상기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의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걸림 돌기(160)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도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환자의 치은(10)이 절개된 치조골(20)의 양측에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들을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을 치조골(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의 경우에도,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들은 상기 직선 바(130a,130b) 사이의 수술공간(132)을 통하여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것이다.
<제3 실시 예>
도 5a, 도 5b 및 도 5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의 제3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 예의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도 제1 및 제2 실시 예의 구조와 기능이 상당히 유사하고, 대부분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비해 동일 구조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단지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도면상에서 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의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몸체부(110)의 절곡 모서리(120)가 하나의 직선 모서리(124)와, 상기 직선 모서리(124)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점차 그 사이 간격이 확대되도록 반대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호형 모서리(128a,128b)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는 상기 한 쌍의 호형 모서리(126a,126b)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걸림 돌기(160)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도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환자의 치은(10)이 절개된 치조골(20)의 양측에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들을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을 치조골(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 예의 경우에도,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들은 상기 직선 바(130a,130b) 사이의 수술공간(132)을 통하여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것이다.
<제4 실시 예>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의 제4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4 실시 예의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도 제1 내지 제3 실시 예의 구조와 기능이 상당히 유사하고, 대부분 동일하게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가 상기 몸체부(110)의 각각의 직선 바(130a,130b)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 단면의 걸림바(164)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형 단면의 걸림바(164)로 이루어진 걸림 돌기(160)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와 동일하게, 환자의 치은(10)이 절개된 치조골(20)의 양측에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들을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을 치조골(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실시 예의 경우에도,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들은 상기 직선 바(130a,130b) 사이의 수술공간(132)을 통하여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것이다.
<제5 실시 예>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의 제5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5 실시 예의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도 제4 실시 예의 구조와 기능이 상당히 유사하고, 대부분 동일하게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가 상기 몸체부(110)의 각각의 직선 바(130a,130b)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 단면의 절곡바(166)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형 단면의 절곡바(166)로 이루어진 걸림 돌기(160)도, 제4 실시 예와 동일하게 환자의 치은(10)이 절개된 치조골(20)의 양측에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들을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을 치조골(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 실시 예의 경우에도,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들은 상기 직선 바(130a,130b) 사이의 수술공간(132)을 통하여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한 것이다.
<제6 실시 예>
도 8, 도 9a 및 도 9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의 제6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절곡 모서리(120)에는 외부의 흡입장치(미 도시)로부터 연장된 흡입관(170)이 연결되는 흡입구(17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에는 흡입공(17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공(174)으로부터 흡입관(170)으로 이어지는 내부 관로(176)가 도 8, 도 9a 및 도 9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절곡 모서리(120)와 직선 바(130a,130b)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내부에 형성되어 수술 부위에 고인 환자의 피와 침을 외부로 흡인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환자의 치은(10)이 절개된 치조골(20)의 양측에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를 양측에 배치한 다음, 장착부(150)의 걸림 돌기(160)들을 치조골(20)과 치은(10) 사이에 위치시켜서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160a)을 치조골(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장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6 실시 예의 경우에도,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들은 상기 직선 바(130a,130b) 사이의 수술공간을 통하여 수술부위에 접근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며, 특히 수술 중에 수술 부위에 고인 환자의 피와 침을 외부로 흡인 배출시킬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한 것이다.
즉, 외부 흡입장치(미 도시)에 연결된 흡입관(170)으로부터 흡입구(172)를 통하여 흡입 압력이 작용되면, 이와 같은 흡입 압력은 내부 관로(176)를 통하여 흡입공(174)으로 유도되어 수술 부위에 고인 환자의 피와 침을 외부로 흡인하여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수술 부위는 환자의 피와 침이 쉽게 제거되어 수술하기 더욱 편리하게 된다.
<제7 실시 예>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의 제7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직선 바(130a,130b)에 눈금자(190)가 각각 형성되어 정확한 수술 위치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눈금자(190)는 치과 의사가 수술 부위를 정확하게 수치적으로 판단하고 식별할 수 있어서, 더욱 정밀하고 오차없는 수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절곡 모서리(120) 측이 치아(T) 상부에 위치되고,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들이 수술 부위의 양측에 배치되어 걸림 돌기(160의 끝단(160a)이 치조골(20)에 고정됨으로써 수술 부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수술 부위에 안착되면, 별도의 보조원이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수술을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중에 치조골(20)로부터 치은(10)을 제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치은 벌림기구 또는 골막 수술기구등과 같은 긴 보조 기구(3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술 부위로부터 치은(10)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치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드릴과 같은 시술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을 더욱 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한 쌍의 직선 바(130a,130b)들이 치아(T)의 배열 및 모양에 따라서 휘어져서 수술 부위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휘어짐 구조를 통하여 구강의 형태가 다른 여러 환자들에게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구강 크기가 큰 성인 환자나, 또는 구강 크기가 작은 소아 환자들에게도 쉽게 적용되어 사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 치은 20: 치조골
30: 보조 기구 100: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110: 몸체부 120: 절곡 모서리
122: 둥근 모서리 124: 직선 모서리
126a,126b,128a,128b: 호형 모서리
130a,130b: 직선 바 132: 수술공간
150: 장착부 160: 걸림 돌기
160a: 끝단 164: 걸림바
166: 절곡바 170: 흡입관
172: 흡입구 174: 흡입공
176: 내부 관로 190: 눈금자
T: 치아

Claims (10)

  1. 치과 수술시 수술부위로부터 치은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절곡 모서리를 형성하며, 타측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나란한 직선 바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서 수술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한 쌍의 직선 바 하부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걸림 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돌기들은 치조골과 치은 사이에 위치되며, 각각의 걸림 돌기 끝단이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치조골에 걸려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치조골의 수술부위로부터 치은을 벌려 제거하고, 상기 직선 바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수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가 상부측으로 휘어진 호형의 둥근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는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여 전체적으로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가 하나의 직선 모서리와, 상기 직선 모서리의 양단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면서 점차 그 사이 간격이 확대되도록 반대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는 상기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가 하나의 직선 모서리와, 상기 직선 모서리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점차 그 사이 간격이 확대되도록 반대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직선 바는 상기 한 쌍의 호형 모서리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연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 바에 형성된 장착부는 걸림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각각의 직선 바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 단면의 걸림바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 바에 형성된 장착부는 걸림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각각의 직선 바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 단면의 절곡바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절곡 모서리에는 외부의 흡입장치로부터 연장된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걸림 돌기에는 흡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흡입관으로 이어지는 내부 관로가 상기 몸체부의 절곡 모서리와 직선 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걸림 돌기내부에 형성되어 수술 부위에 고인 환자의 피와 침을 외부로 흡인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직선 바에 눈금자가 각각 형성되어 정확한 수술 위치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절곡 모서리측이 치아 상부에 위치되고, 한 쌍의 직선 바들이 수술 부위의 양측에 배치되어 걸림돌기가 치조골에 고정됨으로써 수술 부위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한 쌍의 직선 바들이 치아의 배열 및 모양에 따라서 휘어져서 수술 부위에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KR1020110097669A 2011-09-27 2011-09-27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KR10124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69A KR101244876B1 (ko) 2011-09-27 2011-09-27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69A KR101244876B1 (ko) 2011-09-27 2011-09-27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876B1 true KR101244876B1 (ko) 2013-03-18

Family

ID=4818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669A KR101244876B1 (ko) 2011-09-27 2011-09-27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44B1 (ko) * 2014-09-18 2016-03-08 권진일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JP2020081524A (ja) * 2018-11-28 2020-06-04 国立大学法人 宮崎大学 開創器及びその使用方法
CN115317162A (zh) * 2022-07-11 2022-11-11 四川大学 一种骨增量术中手术范围标定导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509U (ja) * 1992-03-17 1993-10-12 株式会社タケダ 小手術用オートマチック歯肉開口部拡大保持装置
KR20090040749A (ko) * 2007-10-22 2009-04-27 이주영 치과용 확장장치
KR20090119364A (ko) * 2008-05-16 2009-11-19 김재원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509U (ja) * 1992-03-17 1993-10-12 株式会社タケダ 小手術用オートマチック歯肉開口部拡大保持装置
KR20090040749A (ko) * 2007-10-22 2009-04-27 이주영 치과용 확장장치
KR20090119364A (ko) * 2008-05-16 2009-11-19 김재원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44B1 (ko) * 2014-09-18 2016-03-08 권진일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JP2020081524A (ja) * 2018-11-28 2020-06-04 国立大学法人 宮崎大学 開創器及びその使用方法
CN115317162A (zh) * 2022-07-11 2022-11-11 四川大学 一种骨增量术中手术范围标定导板
CN115317162B (zh) * 2022-07-11 2023-11-10 四川大学 一种骨增量术中手术范围标定导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5120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направля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AU2012367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patial gingival soft tissue relationship to implant placement within alveolar bone for immediate-implant placement
US10389333B2 (en) Removable system and method for dentures and surgical guides
KR101359377B1 (ko) 임플란트 스캔 어버트먼트
KR101621373B1 (ko)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WO2008057955A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KR101731541B1 (ko) 치유 어버트먼트
US20120251974A1 (en) Method and kit for dental implant drilling guides
KR20070007640A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KR101244876B1 (ko)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Dewan et al. Implant failures: A broader perspective
KR101472570B1 (ko) 픽스츄어의 방향성 및 위치 식별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473835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KR20190040590A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US20160022385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445444Y1 (ko) 치과용 리트렉터
JP7450845B2 (ja) 位置合わせ部材を有する外科用ガイド及びインプラント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CN112386360B (zh)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CN210521136U (zh) 隐形矫正手术导板
KR200488107Y1 (ko)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즈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반달모양의 티슈펀치
TWI772773B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備方法
US20200197126A1 (en) Dental bone foundation guide with bur instrument guide features
KR10247777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게이지
CN220801076U (zh) 用于骨科动力手机的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