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444Y1 - 치과용 리트렉터 - Google Patents

치과용 리트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444Y1
KR200445444Y1 KR2020080002401U KR20080002401U KR200445444Y1 KR 200445444 Y1 KR200445444 Y1 KR 200445444Y1 KR 2020080002401 U KR2020080002401 U KR 2020080002401U KR 20080002401 U KR20080002401 U KR 20080002401U KR 200445444 Y1 KR200445444 Y1 KR 200445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dental
mouth
doctor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옥
강동완
오준호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80002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과용 리트렉터는 서로 대칭하는 제1가지 및 제2가지 및 상기 제1가지 및 제2가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S'자 형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지(110) 또는 제2가지(120)는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치료시 치료부분의 시야확보를 위해 입볼 또는 절개된 잇몸 사이에 삽입하여 당김으로써 시야확보를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치과용, 리트렉터, 구강, 시야, 치료

Description

치과용 리트렉터{Dental retractor}
본 고안은 치과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 치과 치료시, 의사가 불편함 없이 환자의 구강 내부 또는 잇몸 사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시야확보를 도와주는 치과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를 방문하는 환자들은 치아의 대한 건강상태를 확인하거나 치료를 하기 위해 의사 앞에서 입을 크게 벌린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어금니와 같은 구강 안쪽에 위치하는 치아들을 치료하는 경우, 의사는 치아를 정확히 볼 수 없어 불편함을 겪곤 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이나 치열 교정 시술 등의 잇몸을 절개하여 치료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절개된 잇몸 사이로 각종 치료기구를 넣어서 치료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절개된 잇몸 사이를 최대한 벌려야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어금니와 같은 구강 안쪽에 위치하는 치아 치료시 또는 잇몸 절개 시술시 핀셋을 이용하여 환자의 입볼 또는 잇몸 사이를 당겨 시야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핀셋은 굴곡부가 없이 일자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의사가 환자의 입 볼 또는 잇몸을 당길 때 불편함을 증대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치과 치료시 의사가 불편함 없이 환자의 구강 내부 또는 잇몸 사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시야확보를 도와주는 치과용 리트렉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렉터는 서로 대칭하는 제1가지 및 제2가지 및 상기 제1가지 및 제2가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S'자 형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지(110) 또는 제2가지(120)는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치료시 치료부분의 시야확보를 위해 입볼 또는 절개된 잇몸 사이에 삽입하여 당기는데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지 및 제2가지의 일정부분에는 구강 내부를 확인하는 거울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리트렉터의 재질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치과용 리트렉터에 의하면, 서로 대칭하는 제1가지, 제2가지와 상기 제1가지 및 제2가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S'자 형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비되어 제1가지 또는 제2가지를 구강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양쪽방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을 도모하며, 치과 치료시 입볼 또는 절개된 잇몸 사이를 당겨 고정하여 시야를 확보해줌으로써 효율적인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치과용 리트렉터에 의하면, 제1가지 및 제2가지의 일정부분에 거울이 구비되어 의사는 치료나 시술 도중 환자의 구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렉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렉터(100)는 서로 대칭하는 제1가지(110), 제2가지(120) 및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S'자 형태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지(110) 또는 제2가지(120)의 끝단은 구강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입볼이나 잇몸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의 끝단은 구강 내부의 입볼이나 절개된 잇몸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는 'S'자 형태의 굴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치과용 리트렉터(100)를 쉽게 구강 내부에 접근할 수 있어 의사는 오랜 시술 시간 동안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는 높이만 다를 뿐 서로 유사한 모양으로 구비되어 시술시 양쪽방향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의사로 하여금 편리함을 도 모해준다.
그리고,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의 일정부분에는 구강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거울(140)이 구비되어 있어 의사는 치료나 시술 도중 치아나 잇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리트렉터(100)의 재질은 내식성이 강하고, 인체에 대한 거부반응이 없는 생체친화성을 갖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치과용 리트렉트의 적용한 예를 간략히 살펴보도록한다.
의사가 치아에 대한 건강상태를 확인하거나 어금니와 같은 구강 안쪽을 치료 할 경우 환자는 치료를 수행하는 일정시간 동안 입을 크게 벌려야 한다.
이때, 의사는 환자의 구강 안쪽에 위치한 치아를 정확히 관찰하기 위해 입볼과 잇몸 사이에 상기 제1가지(110)의 일정부분을 삽입하고 상기 제2가지(120)를 손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는 동일한 모양으로 구비됨으로써 제2가지(120)를 구강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과용 리트렉터(100)의 삽입위치를 입볼과 잇몸 사이로 설명하였으나 잇몸과 혀 사이 등 다른 공간에 삽입하여도 바람직하다.
의사가 임플란트 시술이나 치열 교정 시술과 같이 환자의 잇몸을 절개하여 시술을 수행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시술을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절개된 잇몸 사이를 최대한 벌려야 한다.
이때, 의사는 상기 제1가지(110) 또는 제2가지(120)를 절개된 잇몸 사이에 삽입하여 제2가지(120) 또는 제1가지(110)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시야를 확보하여 효율적인 시술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리트렉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치과용 리트렉터 110 : 제1가지
120 : 제2가지 130 : 연결부
140 : 거울

Claims (3)

  1. 서로 대칭하는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 및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S'자 형태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지(110) 또는 제2가지(120)는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치료시 치료부분의 시야확보를 위해 입볼 또는 절개된 잇몸 사이에 삽입하여 당기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렉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지(110) 및 제2가지(120)의 일정부분에는 구강 내부를 확인하는 거울(14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렉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리트렉터의 재질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렉터.
KR2020080002401U 2008-02-22 2008-02-22 치과용 리트렉터 KR200445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01U KR200445444Y1 (ko) 2008-02-22 2008-02-22 치과용 리트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01U KR200445444Y1 (ko) 2008-02-22 2008-02-22 치과용 리트렉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444Y1 true KR200445444Y1 (ko) 2009-07-30

Family

ID=4135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401U KR200445444Y1 (ko) 2008-02-22 2008-02-22 치과용 리트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4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53A2 (ko) * 2010-11-01 2012-05-10 Kim Gi-Soo 통증완화 덴탈 미러와 그 제조방법
KR101407242B1 (ko) 2012-05-23 2014-06-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리트렉터
WO2021029884A1 (en) * 2019-08-14 2021-02-18 B&L Biotech USA, Inc.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CN112386360A (zh) * 2019-08-14 2021-02-23 白李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566A (ko) * 2003-05-23 2004-04-13 김중한 치실홀더
KR20080107603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이상테크 치과용 리트랙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566A (ko) * 2003-05-23 2004-04-13 김중한 치실홀더
KR20080107603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이상테크 치과용 리트랙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53A2 (ko) * 2010-11-01 2012-05-10 Kim Gi-Soo 통증완화 덴탈 미러와 그 제조방법
WO2012060553A3 (ko) * 2010-11-01 2012-08-16 Kim Gi-Soo 통증완화 덴탈 미러와 그 제조방법
KR101407242B1 (ko) 2012-05-23 2014-06-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리트렉터
WO2021029884A1 (en) * 2019-08-14 2021-02-18 B&L Biotech USA, Inc.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CN112386360A (zh) * 2019-08-14 2021-02-23 白李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CN112386360B (zh) * 2019-08-14 2022-04-08 白李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267B2 (ja) 筋肉拡張用の口腔保護器具
KR1008292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천공 보조구
KR101501954B1 (ko) 치주 수술용 견인기
KR20150123277A (ko) 클래스 ii 및 클래스 iii 교정을 위한 치과 교정술 힘 모듈
KR200445444Y1 (ko) 치과용 리트렉터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EP2842516A1 (en) Cannulae for evacuating saliva and/or blood flow
Maino et al. A retrievable palatal implant for absolute anchorage in orthodontics.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JP6999977B2 (ja) 歯科用吸引補助器具
JP6732276B2 (ja) 歯科矯正用の医療用デバイス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10097114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KR100935254B1 (ko) 치과용 확장장치
US9662195B2 (en) Implant device for use in salivary gland duct
CA2945424C (en) Gauze pad holder for post-surgical intraoral use
JP2007313285A (ja) インプラント前窩形成用の補助具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CN112386360B (zh)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KR101373062B1 (ko) 임플란트용 어태치먼트
KR101924578B1 (ko) 치과용 견인장치
JP7156768B2 (ja) アバットメント取り外し冶具
KR20090084876A (ko) 조직 리트랙터
TWI607740B (zh) 齒槽膜
KR101699498B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