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54B1 - 치주 수술용 견인기 - Google Patents

치주 수술용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54B1
KR101501954B1 KR1020130111190A KR20130111190A KR101501954B1 KR 101501954 B1 KR101501954 B1 KR 101501954B1 KR 1020130111190 A KR1020130111190 A KR 1020130111190A KR 20130111190 A KR20130111190 A KR 20130111190A KR 101501954 B1 KR101501954 B1 KR 101501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lade
connection portion
connec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춘
Original Assignee
(주)이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비아이 filed Critical (주)이비아이
Priority to KR102013011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54B1/ko
Priority to PCT/KR2014/007855 priority patent/WO2015037838A1/ko
Priority to US15/022,502 priority patent/US1030722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33Gingival retrac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잇몸의 절개부에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주 수술용 기구로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핸들;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과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1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2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핸들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가진 경우에도 상기 블레이드를 잇몸의 절개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주 수술용 견인기{Retractors for Periodontal Surgery}
본 발명은 치주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가진 경우에도 블레이드를 잇몸의 절개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견인할 수 있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치주 수술용 견인기(Retractors for Periodontal Surgery)는, 잇몸의 절개부에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주 수술용 기구로서, 직선적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재로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치주 수술용 견인기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핸들의 연결 구조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단순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므로, 잇몸 절개부가 형성된 위치에 따라 수술시 구강 내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양한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가진 환자의 개별적 특성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4854867호(1989.08.08.)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02441호(2009.01.29.)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가진 경우에도 블레이드를 잇몸의 절개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견인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주 수술용 견인기는, 잇몸의 절개부에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주 수술용 기구로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핸들;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과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1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2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핸들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는 20 내지 4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60 내지 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는 10 내지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는 7 내지 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는 5 내지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의 폭은 2.5 내지 3.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한 제3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 각도는 0 내지 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뿌리부; 상기 뿌리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말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뿌리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중간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4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중간부의 제2 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5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4 각도가 10 내지 30도를 이루고, 상기 제5 각도가 20 내지 40도를 이룸으로써, 지그재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테두리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심축이 미리 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주걱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과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6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6 각도는 30 내지 5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과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1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2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핸들은 동일 평면상에 있음으로써, 다양한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가진 경우에도 상기 블레이드를 잇몸의 절개부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E방향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D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를 사용하여 상악 순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견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절개부에 치주 수술용 견인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를 사용하여 상악 설측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견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절개부에 치주 수술용 견인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치주 수술용 견인기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잇몸(G)의 절개부(S)에 삽입하여 그 절개부(S)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주 수술용 기구로서, 핸들(10)과,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30)와, 블레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10)은, 제1 중심축(C1)을 따라 직선적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재로서, 외과 수술용 등급의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질화 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부(11)가 다수의 엠보싱 돌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0)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직선적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분으로서, 제1 단부는 상기 핸들(1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길이(L1)는 10 내지 12mm이다.
상기 핸들(10)의 제1 중심축(C1)과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1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제1 각도(α1)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 각도(α1)는 20 내지 40도의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10)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직선적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50)를 통하여, 상기 제1 연결부(20)가 상기 핸들(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50)는, 상기 제1 연결부(2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의 부분이다.
상기 제2 연결부(30)는, 제3 중심축(C3)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분으로서,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30)의 길이(L2)는 7 내지 9mm이다.
상기 제2 연결부(30)는, 뿌리부(31)와, 중간부(32)와, 말단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뿌리부(31)는, 상기 제3 중심축(C3)을 따라 직선적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분으로서, 제1 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뿌리부(31)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제2 각도(α2)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각도(α2)는 60 내지 80도의 값을 가진다.
상기 중간부(32)는, 제5 중심축(C5)을 따라 직선적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분으로서, 제1 단부가 상기 뿌리부(31)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뿌리부(31)의 제2 단부와 상기 중간부(32)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4 각도(α4)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4 각도(α4)는 10 내지 30도의 값을 가진다.
상기 말단부(33)는, 제6 중심축(C6)을 따라 직선적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의 원기둥 부분으로서, 제1 단부가 상기 중간부(32)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32)의 제2 단부와 상기 말단부(33)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5 각도(α5)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5 각도(α5)는 20 내지 40도의 값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연결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꺾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블레이드(40)는, 테두리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심축(미도시)이 미리 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주걱 형상의 부재로서, 하단부가 상기 말단부(33)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40)의 하단부는 상기 말단부(33)의 제2 단부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블레이드(40)의 상단부 끝단과 상기 말단부(33)의 제2 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제6 각도(α6)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6 각도(α6)는 30 내지 50도의 값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0)의 상하 방향 길이(L3)는 5 내지 7mm의 값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40)의 좌우 방향 폭(W)은 2.5 내지 3.5mm의 값을 가진다.
상기 블레이드(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부(30)의 제3 중심축(C3)을 중심으로 미리 정한 제3 각도(α3)만큼 비스듬하게 회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각도(α3)는 0 내지 10도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핸들(10)의 양단부에 배치된 블레이드(40) 각각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3 각도(α3)만큼 비스듬하게 회전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상기 우측의 블레이드(40)는, 지면 뒤쪽에 있는 관찰자가 관찰하게 되면, 상기 좌측의 블레이드(40)와는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3 각도(α3)만큼 회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20)와 상기 제2 연결부(30)와 상기 블레이드(40)와 상기 연장부(50) 및 상기 핸들(10)은 하나의 동일 평면상에 있다.
여기서 "동일 평면"이라는 의미는 수학적으로 완벽한 개념의 동일 평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개념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10)의 제1 중심축(C1)과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중심축(C2) 및 상기 뿌리부(31)의 제3 중심축(C3)은 수학적으로 완벽한 개념의 동일 평면상에 있으나, 상기 중간부(32)의 제5 중심축(C5)과 상기 말단부(33)의 제6 중심축(C6)은 상기 중심축들(C1, C2, C3)과 수학적으로 완벽한 개념의 동일 평면상에 있지는 않으나 실질적인 개념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다.
상술한 길이들(L1, L2, L3)과 폭(W) 및 각도들(α1, α2, α3, α4, α5, α6)의 수치 값은, 발명자가 다수 회의 임상 시험을 거쳐서 결정된 수치들로서, 평균적인 환자의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된 값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순측부 잇몸(G)에 절개부(S)를 형성하고,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의 블레이드(4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S)에 삽입하면,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를 사용하여 상기 절개부(S)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40)의 뒷면(42)이 향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40)의 뒷면(42)이 순측을 향하고 있다.
한편,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를 사용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설측부 잇몸(G)에 형성된 절개부(S)를 견인할 수도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설측부 잇몸(G)에 절개부(S)를 형성하고,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의 블레이드(40)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S)에 삽입하면,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를 사용하여 상기 절개부(S)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블레이드(40)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는 절개부(S)가 위치한 지점의 구강 형상이나 치아(T) 배열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이렇게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시술 방법은, 치아(T) 사이에 존재하는 잇몸 돌기인 치간 유두(interproximal papilla)를 재건하는 수술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핸들(1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20)와,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30)와, 상기 제2 연결부(30)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40)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10)과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1 각도(α1)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30)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2 각도(α2)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20)와 상기 제2 연결부(30) 및 상기 핸들(10)은 동일 평면상에 있으므로, 다양한 구강 형상이나 치아 배열 상태를 가진 경우에도 상기 블레이드(40)를 잇몸(G)의 절개부(S)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절개부(S)를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제1 각도(α1)는 20 내지 40도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각도(α2)는 60 내지 80도의 값을 가지므로, 상악이나 하악의 잇몸(G)에 형성된 다양한 위치의 절개부(S)에 상기 블레이드(4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제1 연결부(20)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20)의 길이(L1)는 10 내지 12mm이며, 상기 제2 연결부(30)의 길이(L2)는 7 내지 9mm이므로, 평균적인 환자의 구강 구조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블레이드(40)의 길이(L3)는 5 내지 7mm이며, 상기 블레이드(40)의 폭(W)은 2.5 내지 3.5mm이므로, 비교적 미세한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S)에도 상기 블레이드(4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블레이드(40)가 상기 제2 연결부(30)의 제3 중심축(C3)을 중심으로 미리 정한 제3 각도(α3)만큼 비스듬하게 회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치게 꺽지 않고 편안하게 상기 핸들(1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절개부(S)에 상기 블레이드(40)를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제2 연결부(30)가,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뿌리부(31)와, 상기 뿌리부(31)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중간부(32)와, 상기 중간부(32)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말단부(33)를 구비하며, 상기 뿌리부(31)의 제2 단부와 상기 중간부(32)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4 각도(α4)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중간부(32)의 제2 단부와 상기 말단부(33)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5 각도(α5)를 이루고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꺾인 구조의 제2 연결부(30)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연결부(3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절개부(S)에 인조골(미도시)을 삽입할 때 시술이 용이하며, 시술시에 사용되지 않는 잇몸(G) 조직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는, 상기 블레이드(40)의 테두리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4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이 미리 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주걱 형상이므로, 상기 절개부(S)에 인조골(미도시)을 삽입할 때 상기 블레이드(40)가 상기 인조골을 안정적으로 잡아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치주 수술용 견인기(100)를 사용하여 상악 잇몸(G)에 대한 시술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하악 잇몸(G)에 대한 시술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치주 수술용 견인기 10 : 핸들
11 : 파지부 20 : 제1 연결부
30 : 제2 연결부 31 : 뿌리부
32 : 중간부 33 : 말단부
40 : 블레이드 41 : 앞면
42 : 뒷면 50 : 연장부
G : 잇몸 S : 절개부
T : 치아

Claims (16)

  1. 잇몸의 절개부에 삽입하여 그 절개부를 들어올리거나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주 수술용 기구로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핸들;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과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1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2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핸들은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뿌리부;
    상기 뿌리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말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뿌리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중간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4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중간부의 제2 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제1 단부는 미리 정한 제5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4 각도가 10 내지 30도를 이루고, 상기 제5 각도가 20 내지 40도를 이룸으로써, 지그재그 형상이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한 제3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각도는 20 내지 40도이며, 상기 제2 각도는 60 내지 80도이며, 상기 제3 각도는 0 내지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는 10 내지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는 7 내지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는 5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폭은 2.5 내지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테두리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심축이 미리 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주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과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단부는 미리 정한 제6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각도는 30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수술용 견인기
KR1020130111190A 2013-09-16 2013-09-16 치주 수술용 견인기 KR10150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90A KR101501954B1 (ko) 2013-09-16 2013-09-16 치주 수술용 견인기
PCT/KR2014/007855 WO2015037838A1 (ko) 2013-09-16 2014-08-25 치주 수술용 견인기
US15/022,502 US10307228B2 (en) 2013-09-16 2014-08-25 Retractor for periodontal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90A KR101501954B1 (ko) 2013-09-16 2013-09-16 치주 수술용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54B1 true KR101501954B1 (ko) 2015-03-12

Family

ID=5266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190A KR101501954B1 (ko) 2013-09-16 2013-09-16 치주 수술용 견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07228B2 (ko)
KR (1) KR101501954B1 (ko)
WO (1) WO20150378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0520A1 (en) * 2017-11-02 2021-02-04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29935S1 (en) 2013-03-15 2015-05-19 Hu-Friedy Mfg. Co., Llc Handle for a dental instrument
USD798452S1 (en) * 2015-12-22 2017-09-26 Muhammad Hasan Chauhan Removable soft tip for hand-held dental tool
WO2017173333A2 (en) 2016-03-31 2017-10-05 Lee Ernesto A Method, devices and articles for conducting subperiosteal minimally invasive aesthetic jaw bone grafting augmentation
USD939144S1 (en) * 2017-03-13 2021-12-21 Nail Alliance, Llc Manicure implement
USD950059S1 (en) 2017-03-31 2022-04-26 Ernesto A. Lee Subperiosteal surgical instrument
US11039871B2 (en) 2017-06-23 2021-06-22 Ernesto A. Lee Subperiosteal syringe device for admitting bone graft material into a subperiosteal locus
US10327865B2 (en) * 2017-11-28 2019-06-25 King Abdulaziz University Composite restoration roller
USD839426S1 (en) * 2018-01-23 2019-01-29 Younas Bajwa Dental handle instrument
USD922577S1 (en) * 2018-08-13 2021-06-15 Evelyn Anne-Bauschka Ayers Cavity liner placement tool
US11583364B2 (en) * 2019-11-12 2023-02-21 Sylvia McPartland Implant sca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867A (en) * 1988-01-28 1989-08-08 Newtech Products, Inc. Dental tool for facilitating gingival retraction
JP2009502441A (ja) * 2005-08-04 2009-01-29 ジョン チャオ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US20100062392A1 (en) * 2008-09-09 2010-03-11 Lon Latiolais Rotary gingival cord packer
US20120021379A1 (en) * 2010-07-21 2012-01-26 Beach Tamara L Periodontal sca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989A (en) * 1992-12-09 1995-02-14 Kountis; Demetrios A. Occlusal sculpting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867A (en) * 1988-01-28 1989-08-08 Newtech Products, Inc. Dental tool for facilitating gingival retraction
JP2009502441A (ja) * 2005-08-04 2009-01-29 ジョン チャオ 歯周外科手術の方法と器具
US20100062392A1 (en) * 2008-09-09 2010-03-11 Lon Latiolais Rotary gingival cord packer
US20120021379A1 (en) * 2010-07-21 2012-01-26 Beach Tamara L Periodontal sca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30520A1 (en) * 2017-11-02 2021-02-04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US11672634B2 (en) * 2017-11-02 2023-06-13 Sichuan University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space for dental implant rest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28221A1 (en) 2016-08-11
US10307228B2 (en) 2019-06-04
WO2015037838A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54B1 (ko) 치주 수술용 견인기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JP4563630B2 (ja) 歯科器具、及び歯科ウェッジ器具
US20160074135A1 (en) Adjustable dental hand instrument
US20070087310A1 (en) Dental matrices and clamps therefor
US6705865B1 (en) Dental hand instrument
US20190247156A1 (en) Periosteal elevator with a tissue combing and pulling structure
KR101099596B1 (ko) 치조골용 버
KR100853476B1 (ko)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101558543B1 (ko) 수술용 견인기
EP3151777B1 (en) Dental wedge
US9867677B2 (en) Dental membrane or tissue placement forceps
AU2020217424B2 (en)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US20210100637A1 (en) Three-dimensional oral surgery tool and methods
US20190038379A1 (en) Dental retractor
JP4460599B2 (ja) 抜歯工具
CN215079961U (zh) 牙齿冠根分离挺
WO2010062076A2 (ko)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CN218960967U (zh) 一种用于牙颈部牙体修复治疗的牙龈推拉器
CN210277241U (zh) 一种新型口腔深部手术拉钩
CN214128846U (zh) 一种软组织松解器
RU2353328C2 (ru) Экскаватор для удаления зубных отложений
RU65754U1 (ru) Экскаватор эхте специальный для удаления зубных отложений
EP3824842A1 (en) Labiolingual retractor
WO2021029884A1 (en)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