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62076A2 -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62076A2
WO2010062076A2 PCT/KR2009/006734 KR2009006734W WO2010062076A2 WO 2010062076 A2 WO2010062076 A2 WO 2010062076A2 KR 2009006734 W KR2009006734 W KR 2009006734W WO 2010062076 A2 WO2010062076 A2 WO 201006207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knife
blade
dental
incision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67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62076A3 (ko
Inventor
강태현
Original Assignee
Kang Tae Hy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ang Tae Hyun filed Critical Kang Tae Hyun
Publication of WO201006207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2076A2/ko
Publication of WO201006207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207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blade, more specifically, the cutter portion is bent at an angle of 20 to 60 degre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end portion, and consists entirely of plate-shaped, the cutter portion is the front portion And a second knife that is knife-proces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knife and a first knife machin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knife has a dental blade having an indented knife structure which is indented and knife-processed inwardly. It is about.
  • a dental blade is used to incise the gum at the surgical site.
  • Such gum cutting blades are used in many implant procedures, especially for functional restoration and aesthetic effect of damaged teeth.
  • implantation is performed by cutting the gums of the area to be implanted, drilling a hole in the gum bone, and inserting various shaped titanium or alloy alloy implants that can function as artificial tooth roots. Afte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o combine with the gum bone, and the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artificial tooth to the upper part of the implant.
  • a step of cutting the gum using a blade is required, and the gum of the surgical site is cross-cut using a dental blade, which is generally called a scalpel.
  • FIG. 1 is a view of a typical representative dental blade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rgical scene using a conventional blade.
  • the conventional dental blade 100 is formed of an integral structure in which the cutter portion 1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120.
  • the conventional blade scalpel has a shape in which the cutter portion 110 of the blade protrudes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120 of the blade, the blade 100 of this type is a blade holder ( 2: 300).
  • the implant surgery of the posterior part requires the gum incision of the incision 6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is to be placed, which is the tooth of the tooth 5 located in front of the incision 6.
  • a conventional blade 100 such as a scalpel
  • the posterior face of the anterior tooth 5 for implant placement. Since the incision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tooth (7) to be placed and the implant is not easy in the oral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cise procedure for the incision (6) is difficult. In addition, even if the use of some blades, rather than a complete straight, the effect is not sufficient, and the precise procedure for the incision is impossible.
  • the conventional blade is only proces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knife, the blade is used during the procedure is limited to the front portion where the knife is processed, when cutting the suture chamber was troublesome to use additional tools such as scissors.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during the dental procedure, due to the conventional blade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of the blade, the cutter is based on the front end It is bent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front en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end portion, and consists entirely of a plate-shaped, the cutter portion is a second knife which is knife-processed in the rear portion in succession to the first knife and the first knife machined in the front portion It includes, and the second knife is to provide a dental blade that is indented inwardly to form a knife-type indented knife structure.
  • the dent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ade used to cut the gum during the dental procedure, the cutter portion is bent at an angle of 20 to 60 degre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end portion, as a plate-like overall
  • the cutter portion includes a first knife that is knife-processed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knife that is knife-processed on the rear side in succession to the first knife, and the second knife is indented inwardly and knife-processed.
  • the knife structure is formed.
  • the cutter part has a structure having a first knife knife-processed in the front part and a second knife knife-processed in the rear part subsequent to the first knife.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blade in which the knife is formed only in the front part, the cutter part of th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he second knife in the back part in succession. Therefore, a double blade may be used during the procedure, for example, when the blade is pull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surgical site, and the incis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first knife on the front side and the blade is push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urgical site. , The second knife of the rear part can be used.
  • the angle of the cutter portion may vary as necessary to allow the operator to work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for example, based on the front end of the blade to facilitate access to the posterior portion and to more accurately incision the incision. It is preferable to incline 20 to 60 degrees forward.
  • th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ear portion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hear por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lad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 precisely the desired gum area during the dental procedure Incision can be made, and even a patient with a narrow gum structure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the procedure more delicate and stable.
  • the cutter por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during the implantation procedure can be very easily applied to the incision of the posterior part as well as the incision of the anterior and premolar parts.
  • the second knife further includes an indented knife structure in which the knife is indented while being cut inwardly, so that after cutting the incision in the oral cavity, the cutting of the suture chamber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using scissors. .
  • the indented knife structure means a knife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oove for cutting the suture chamber.
  • the cutter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at an angle of 40 degrees to the front of the blade front end portion.
  • the front end portion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consisting of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direction to facilitate engagement with the dental blade holder, the blade and the blade holder in one operation Can be easily removed.
  • the number of steps in the stepped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may vary as necessary,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2 to 5 steps, preferably may be composed of 2 to 3 steps.
  • the dental blade holder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 a whole, or may be a curved structure for convenience, th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be mounted to the blade holder of various forms as necessary.
  • th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conventional straight dental blade holder due to the bla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performed precisely and stably the treatment of the desired gum area. .
  • the first knif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for cutting the gums and cutting tissue during the procedure, for exampl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is gently curved upward.
  • the gently curved end portion means that the end portion has an arc shape and the bending angle is upwardly curved with the angle of 100 degrees to 170 degrees.
  • FIG.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blade
  •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surgical scene using a conventional straight blade
  • FIG. 3 is a plan view of a bla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dure scene using the blade of FIG. 3;
  •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treatment scene using a blade when the cutter portion has an angle of 15 degrees;
  •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surgical scene using a blade when the cutter portion has an angle of 65 degrees.
  •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lan view of a bla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lade 200 forms the front end portion 210 coupled to the blade holder (FIG. 4: 300) and the front end portion 210 while forming a 40 degree angle with the front end portion 210 at a predetermined angle ⁇ . It is composed of a cutter unit 220 is formed integrally in the, it is made of a plate-like overall.
  • the front end portion 210 has a stepped coupling portion 212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width (w)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t the center part, and is easily coupled with the blade holder (FIG. 4: 300). do.
  • the cutter portion 220 is bent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angle ⁇ of 40 degrees forward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2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utter portion 220 is knife-shaped first knife ( 222, and a second knife 22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utter unit 220.
  • the first knife 222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D), the end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bent upward while having an internal angle (C) of 120 degrees in an arc shape.
  • the second knife 224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in succession to the first knife 222 with a shorter length (d) than the first knife 222 to push the blade 200 forward to incise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tooth Used.
  • the predetermined length D of the first knife 22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ze of about 20 to 50% based on the overall height of the blade 200.
  • an indented knife 226 is further formed on the second knife 224, and the indented knife 226 is mainly used to cut a suture chamber and the like instead of scissors after closing the incision in the oral cavity during the procedure. Used.
  •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lade holder.
  • the coupling part 212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art 320 of the blade holder 300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210 of the blade 200.
  • the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in a three-stage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width W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end of the blade front end portion 210 to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blade 200 and the blade holder ( Desorption of 300) is easily achieved.
  • the blade holder 300 is formed as a whole, including the handle portion 310, but because it is coupled to the blad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ined at an angle ⁇ of 40 degrees to the incision site of the gum during the procedure Easily accessible and more precise incisions
  • FIG. 5 schematically shows a procedure scene using the blade of FIG. 3.
  • the cutter portion 220 of the blade 200 is inclined forward by 40 degrees at a predetermined angle ⁇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210, and thus an incision that is an implantation position of the implant.
  • incision of the site (6) obstruction of the narrow oral structu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ooth (5) located in front of the part where the implant is to be placed and the front face yarn of the tooth (7) located behind the part to be implanted Since the incision 6 can be easily accessed without receiving the incision, the incision of the incision 6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and easily.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rgical scene using a blade when the angle of the cutter is 15 degrees
  •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surgical scene using a blade when the angle of the cutter is 65 degrees.
  • the angle of the cutter part 220 in FIG. 3 is preferably formed at an angle of 20 degrees to 60 degrees, and more preferably at an angle of 40 degrees. Can be.
  • th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end portion by bending the cutter portion 20 to 60 degre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irst knife and the first knife machined on the front portion Since the structure includes a second knife that is knife-processed at the rear side, when the blade having such a structure is mounted to the blade holder and used, the posterior portion can be more precisely cut to minimize the wound at the surgical site. At the same time, convenience can also be provided, enabling the operator to perform stable proced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시술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블레이드로서, 커터부가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20 내지 60도의 각도로 꺾어져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터부는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상기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나이프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나이프 가공된 만입형 나이프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본 발명은 치과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부가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20 내지 60도의 각도로 꺾어져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커터부는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고, 제 2 나이프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나이프 가공된 만입형 나이프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 충치치료, 보철치료 등과 같은 치과 시술 시에는 수술 부위의 잇몸을 절개하기 위해 치과용 블레이드(Blade)를 사용한다. 이러한 잇몸 절개용 블레이드는 특히 손상된 치아의 기능적인 복원 및 심미적 효과를 목적으로 한 임플란트 시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 시술을 해야 할 부분의 잇몸을 절개한 다음 잇몸 뼈에 드릴로 구멍을 천공한 뒤, 인공치근 기능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상의 티타늄 또는 그 합금 소재의 임플란트를 삽입한 후, 잇몸 뼈와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 경과한 다음 삽입된 임플란트 상부에 인공치아를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 중에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잇몸을 절개하는 단계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스칼펠(Scalpel)이라 불리는 치과용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수술부위의 잇몸을 십자 절개하였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치과용 블레이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 장면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치과용 블레이드(100)는 커터부(110)가 전단부(12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레이드인 스칼펠은 블레이드의 커터부(110)가 블레이드의 전단부(12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블레이드(100)가 블레이드 홀더(도 2: 30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칼펠 같은 일자형인 종래의 블레이드를 사용하면, 절개 시술이 실시되는 구강 내부의 좁은 구조로 인하여 정교한 잇몸 절개가 어려우며, 특히 임플란트 시술의 한 단계인 분할층판막(Partial thickness flap) 형성을 위한 시술시 절개를 해야 하는 부위에 블레이드의 커터부를 접근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치부의 임플란트 수술은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에 해당하는 절개부(6)의 잇몸 절개가 필요하며, 이는 절개부(6)의 앞에 위치하는 치아(5)의 뒤쪽 면과 절개부(6)의 뒤에 위치하는 치아(7)의 앞쪽 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데, 스칼펠 같은 일자형인 종래의 블레이드(100)를 사용하면 임플란트를 식립할 앞 치아(5)의 뒤쪽 면과 임플란트를 식립할 뒷 치아(7)의 앞쪽 면에 대한 절개가 구강구조상 용이하지 않으므로 절개부(6)에 대한 정교한 시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완전한 일자형이 아닌 약간 휜 종래의 블레이드를 사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절개부에 대한 정교한 시술은 불가능하다.
게다가, 종래의 블레이드는 전면부에만 나이프가 가공되어 있어서, 시술시 블레이드는 나이프가 가공된 전면부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봉합실의 절단 시에는 가위 등 추가 도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시술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치과용 수술시 사용하기 적합하고, 특히 임플란트 시술시 좁은 구강 구조를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블레이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의 커터부가 블레이드의 전단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배치된 종래의 블레이드로 인해, 치과 시술시 초래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터부가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꺾어져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커터부는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고, 제 2 나이프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나이프 가공된 만입형 나이프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블레이드는 치과 시술 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블레이드로서, 커터부가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20 내지 60도의 각도로 꺾어져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터부는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상기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나이프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나이프 가공된 만입형 나이프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부는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상기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갖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전면부에만 나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블레이드와는 달리,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서 커터부는 후면부에도 제 2 나이프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술 시 양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술부위에 대해 블레이드를 안쪽으로 끌어당기며 절개하는 경우, 전면부의 제 1 나이프를 사용하고, 시술부위에 대해 블레이드를 바깥쪽으로 밀면서 절개하는 경우, 후면부의 제 2 나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의 각도는 시술자가 편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치부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절개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절개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20 내지 60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는 커터부가 전단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일자형 블레이드에 비해, 치과 시술 시, 소망하는 잇몸 부위를 더욱 정교하게 절개할 수 있으며, 좁은 잇몸 구조를 가진 환자에 대해서도 시술자가 좀더 섬세하고 안정적으로 시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임플란트 시술시 커터부가 전단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꺾인 본 발명의 블레이드 구조는 전치부와 소구치 부위의 절개뿐만 아니라 구치부의 절개시에도 매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2 나이프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있으면서 나이프 가공된 만입형 나이프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어서, 구강 내의 절개 부분을 봉합한 뒤, 가위를 사용하지 않고도 봉합실의 절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만입형 나이프 구조는 봉합실을 절단하기 위한 홈 형태의 나이프 구조를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터부는 블레이드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40도의 각도로 기울여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단부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중공형상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한 번의 동작으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홀더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계단식 구조에서 계단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2 내지 5 계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계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는 전체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편의상 휘어진 구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일자형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에 본 발명의 블레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소정의 각도를 가진 본 발명의 블레이드 구조로 인하여 소망하는 잇몸 부위의 시술을 정교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나이프는 시술 시 잇몸 절개 및 조직 절단을 위한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단부가 완만하게 상향 굴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참고로, 단부가 완만하게 상향 굴곡되어 있는 것은 단부가 원호형상을 가지고 굴곡 각도는 내각이 100도 내지 170도인 상태로 상향 굴곡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자형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블레이드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커터부의 각도가 15도인 경우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커터부의 각도가 65도인 경우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장면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200)는 블레이드 홀더(도 4: 300)와 결합되는 전단부(210), 전단부(210)와 소정의 각도(α)인 40도를 이루면서 전단부(2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터부(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단부(210)에는 중앙부위에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중공형상의 폭(w)이 점차 작아지는 계단식 구조의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있어서, 블레이드 홀더(도 4: 300)와 용이하게 결합된다.
커터부(220)는 전단부(210)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α)인 40도로 하향으로 꺽어져 있고, 커터부(220)의 전면부에는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222)가 있으며, 커터부(220)의 후면부에는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224)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나이프(222)는 소정 길이(D)로 연장되어 있고, 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120도의 내각(C)을 가지면서 상향 굴곡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2 나이프(224)는 제 1 나이프(222)보다 짧은 길이(d)로 제 1 나이프(222)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블레이드(200)를 앞으로 밀면서 치아의 구치부를 절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제 1 나이프(222)의 소정 길이(D)는 블레이드(200)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대략 20 내지 50%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나이프(224) 상에는 만입형 나이프(226)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만입형 나이프(226)는 시술 과정에서 구강 내의 절개 부분을 봉합한 후 가위 대신 봉합실 등을 절단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도 4에는 블레이드 홀더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블레이드(200)의 전단부(210)에는 블레이드 홀더(300)의 장착부(320)에 대응하는 결합부(212)가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212)는 블레이드 전단부(210)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중공형상의 폭(W)이 점차 작아지는 3단의 계단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블레이드(200)와 블레이드 홀더(300)의 착탈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또한, 블레이드 홀더(300)는 손잡이부(310)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40도의 각도(α)로 기울어진 본 발명의 블레이드(200)와 결합되기 때문에 시술 시 잇몸의 절개 부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절개부위를 더욱 정교하게 절개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3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 장면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블레이드(200)의 커터부(220)는 전단부(21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α)인 40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인 절개부위(6)를 절개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할 부분의 앞에 위치하는 치아(5)의 뒤쪽 면과 임플란트를 식립할 부분의 뒤에 위치하는 치아(7)의 앞쪽 면 사에 형성된 좁은 구강 구조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절개부위(6)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절개부(6)의 절개를 더욱 정교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에는 커터부의 각도가 15도인 경우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장면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커터부의 각도가 65도인 경우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시술장면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커터부(222)의 각도(α')가 15도인 경우, 잇몸의 절개부위 A를 절개시 하악 6번 치아의 앞에 위치한 5번 치아에 블레이드 홀더(302)가 닿기 때문에 환자는 입을 더 크게 벌려야 하고, 환자가 입을 크게 벌려도 블레이드(202)가 닿기 힘든 부위가 존재하므로 절개부위 A의 정밀한 절개가 불가능하며, 시술자와 환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커터부(224)의 각도(α'')가 65도인 경우, 절개부위 B를 절개시 블레이드(204)의 끝부분만 절개부위 B에 닿게 되므로, 시술자는 절개부위 B를 정교하게 절개할 수 없어 임플란트를 정확하게 식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 6 및 도 7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서 커터부(220)의 각도는 20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는 커터부가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20 내지 60도로 꺽어져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상기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의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구치부를 더욱 정교하게 절개할 수 있어 수술 부위의 상처를 최소화하고, 이와 동시에 편리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안정적인 시술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치과 시술시 잇몸을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블레이드로서, 커터부가 전단부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20내지 60도의 각도로 꺾어져 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터부는 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1 나이프와 상기 제 1 나이프에 연속하여 후면부에 나이프 가공된 제 2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나이프에는 내측으로 만입되어 나이프 가공된 만입형 나이프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치과용 블레이드 홀더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중공형상의 폭이 점차 작아지는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이프는 단부가 완만하게 상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블레이드.
PCT/KR2009/006734 2008-11-28 2009-11-27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WO201006207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338 2008-11-28
KR20080119338 200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2076A2 true WO2010062076A2 (ko) 2010-06-03
WO2010062076A3 WO2010062076A3 (ko) 2010-11-04

Family

ID=4222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6734 WO2010062076A2 (ko) 2008-11-28 2009-11-27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61384A (ko)
WO (1) WO20100620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67B1 (ko) * 2012-06-19 2014-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잇몸 채취기
US11648205B1 (en) 2022-10-14 2023-05-16 King Abdulaziz University Buccal formulation of avanafil with enhanced bioavailability and prolonged du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333Y1 (ko) * 2002-01-28 2002-06-21 백 웨인 치석제거기
JP2005177302A (ja) * 2003-12-22 2005-07-07 Kai R & D Center Co Ltd 医療用刃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333Y1 (ko) * 2002-01-28 2002-06-21 백 웨인 치석제거기
JP2005177302A (ja) * 2003-12-22 2005-07-07 Kai R & D Center Co Ltd 医療用刃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384A (ko) 2010-06-07
WO2010062076A3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9219B1 (en) Periotome
US8308727B2 (en) Flexible tooling for use in maxillary sinus elevation procedu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Harrel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approach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surgical technique and observations
US6482152B2 (en) Surgical tunnel retractor
US8377064B2 (en) Tooling and methodology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WO2010128771A2 (ko)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KR101501954B1 (ko) 치주 수술용 견인기
WO2002009598A8 (en) Endosseous implant drill
CN209996506U (zh) 具有组织梳拉结构的骨膜剥离器
US11576749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US20100196849A1 (en) Flapless dental implant punch
WO2010062076A2 (ko) 제 1 나이프와 제 2 나이프를 가지며 전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커터부를 가지는 치과용 블레이드
WO2011115339A1 (ko) 치조골용 버
US5830225A (en) Dental and medical tissue knife
US9867677B2 (en) Dental membrane or tissue placement forceps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US9248004B2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US20210100637A1 (en) Three-dimensional oral surgery tool and methods
US5730750A (en) Intraoral tissue trimming device
WO2015080505A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제 플라이어
Ngeow Management of the fractured maxillary tuberosity: an alternative method.
CN112386360A (zh) 具有微反射镜的牙科用牵开器
CN219557634U (zh) 一种手术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92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8.08.201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292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