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145B1 -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1145B1 KR100971145B1 KR1020080078220A KR20080078220A KR100971145B1 KR 100971145 B1 KR100971145 B1 KR 100971145B1 KR 1020080078220 A KR1020080078220 A KR 1020080078220A KR 20080078220 A KR20080078220 A KR 20080078220A KR 100971145 B1 KR100971145 B1 KR 1009711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 carrier
- push bar
- soft rubber
- injection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상악골(43)에 홀(Hole)을 형성한 후, 임플란트(46) 식립을 위해 과립 형태의 인공골(31, Bone)을 홀에 채워넣기 위한 본캐리어(Bone Carri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직선부에서 만곡부로 변형되는 주입관(10)의 상하부에는 손가락파지부(11)가 형성되고, 주입관(10)의 내부로는 엄지파지부(21)가 후방에 형성된 푸시바(20)가 삽입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20)의 선단에는 연질고무(26)가 착탈방식으로 계지(繫止)되되, 푸시바(20)의 전진 완료시에는 주입관(10)의 선단보다 연질고무(26)가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바(20)의 선단에 수나사부(20a)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20a)에는 내부에 암나사부(25a)가 형성된 연결관(25)이 나사결합되되, 이 연결관(25)의 일측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25b)가 형성되고, 이 분할부(25b)에 연질고무(26)가 계지됨으로써, 연질고무(26)와 푸시바(20)가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임플란트, 인공골, 본캐리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상악골(上顎骨)에 홀(Hole)을 형성한 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과립 형태의 인공골(Bone)을 홀에 채워넣기 위한 본캐리어(Bone Carrier)에 관한 것이다.
먼저, 임플란트란 광범위한 의미로는 "인체에 이식된 조직"을 의미하지만 치의학에서는 턱뼈(상악골, 하악골)에 식립되는 다양한 형태의 인공물을 의미하며, 특히 상실된 치아 혹은 치근을 대신하기 위해서 잇몸뼈에 식립되어지는 인공치아를 일컷는다.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 과거에는 브릿지라고 하여 상실된 치아의 앞, 뒤의 두개의 치아를 깍아내고 보철을 3개의 치아에 걸쳐 치료하거나 여러개의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에는 틀니를 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치료법의 개발로 인해 인접 치아를 깍아내거나 틀니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치아를 잇몸뼈(상악골, 하악골)에 이식하여 자기 치아와 같은 기능을 갖게 되었다.
상악골(上顎骨)에 식립하는 임플란트 시술에서는 상악에 존재하는 상악동(上顎洞)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요하는데, 이 상악동이란 광대뼈에서 상악골까지 이어진 점막으로 둘러싸인 뼈속의 빈공간으로서, 두개골 무게의 감소와 이물질 분비를 통한 공기순환, 기관지로 유입되는 공기를 따뜻하게 하며, 공명현상을 통한 성대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 상악동은 나이가 들수록 커지고 뼈의 두께는 점점 얇아지게 되고, 치아를 발치한지 너무 오래되었거나 오랫동안 틀니를 장착하여 뼈가 많이 흡수된 경우를 포함하여, 해부학적 차이에 따라 인공치아(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는 충분한 뼈의 양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즉, 인공치아를 심으려면 어느 정도 두께의 상악골이 있어야 한다. 윗어금니 부위에 심는 경우 상악동과의 근접된 위치가 장애가 되는바, 상악동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부족한 뼈를 보충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본캐리어를 사용하여 자가골이나 인공골을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본캐리어의 문제점은 주입관 내부에 삽입되는 푸시바(20), 만곡바(22) 및 도원추부(23)가 직선형의 금속재임에 따라, 금속으로 만들어진 주입관(10)의 만곡부위를 통과하면서 마찰소음으로 인해 시술중 긴장한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심리적 불편함을 줄뿐 아니라, 마찰의 결과 금속이 마모되면서 소량이지만 금속가루가 인공골에 함유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찰저항에 의해 작동이 유연하지 않는데다, 도 2의 (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입관(10)이 직선형에서 만곡형태로 변형되는 점을 감안할 때, 만곡부위 에서 만곡바(22)가 유연하게 휘어지기 위해서 어쩔수 없이 주입관(10)과 도원추부(23) 사이에 공극(24)이 발생하는바, 이 공극(24)에 인공골 조각이 개재(介在)되면서 종래 본캐리어의 전후진 작동이 불능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주입관(10)에 삽입되는 푸시바(20)가 구비되되, 푸시바(20)의 선단에 가요성 소재인 연질고무(26)가 계지되도록 연결관(25)을 매개로 연질고무(26)와 푸시바(20)가 착탈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주입관(10)의 만곡부위에서 힘들이지 않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연질고무(26)를 장착함으로써, 연질고무(26)의 특성상 주입관(10)과의 마찰소음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연질고무(26)의 유연성 때문에 주입관(10)과 연질고무(26) 사이의 공극(24)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인공골(31)이 공극(24)에 개재될 여지가 없게 되어 푸시바(20)의 전후진 작동에 장애가 제거된다.
한편, 푸시바(20)의 전진 완료시에 주입관(10)의 선단보다 연질고무(26)가 더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공골(31) 주입과 동시에 콘덴싱(Condensing) 작업을 수행할 뿐 아니라, 상악골(43)의 두께가 얇은 환자의 경우에는 돌출된 부드러운 연질고무(26)를 이용하여 상악골(43) 안쪽의 점막(41)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거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직선부에서 만곡부로 변형되는 주입관(10)의 상하부에는 손가락파지부(11)가 형성되고, 주입관(10)의 내부로는 엄 지파지부(21)가 후방에 형성된 푸시바(20)가 삽입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20)의 선단에는 연질고무(26)가 착탈방식으로 계지(繫止)되되, 푸시바(20)의 전진 완료시에는 주입관(10)의 선단보다 연질고무(26)가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바(20)의 선단에 수나사부(20a)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20a)에는 내부에 암나사부(25a)가 형성된 연결관(25)이 나사결합되되, 이 연결관(25)의 일측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25b)가 형성되고, 이 분할부(25b)에 연질고무(26)가 계지됨으로써, 연질고무(26)와 푸시바(20)가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통해, 인공골 주입시 소음이 없게되고, 유연한 연질고무로 인해 마찰저항이 최소화 되어 작업이 편해진다. 또한, 인공골 주입과 동시에 돌출된 연질고무를 사용하여 콘덴싱(Condens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다, 상악골의 두께가 얇은 환자의 경우에는 돌출된 부드러운 연질고무를 이용하여 상악골 안쪽의 점막을 거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본캐리어와 비교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본캐리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본캐리어의 분리 사 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본캐리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본캐리어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본캐리어는 중공(中空)상태의 원주형으로써, 직선부에서 만곡부로 휘어지는 주입관(10)이 형성되고, 주입관(10)의 상하부에는 통상 엄지와 중지 손가락을 끼우는 고리형상의 손가락파지부(11)가 형성되며, 손가락파지부(11)의 후방에는 인공골(31)을 넣기 위한 나팔관(12)이 형성된다.
이 나팔관(12) 내부로 도 3에서와 같이 인공골용기(30)안에 담긴 인공골(31)을 채운 다음, 푸시바(20)를 나팔관(12)으로 삽입하여 인공골(31)을 주입관(10)의 선단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인공골(31)을 상악골(43)에 기 형성된 홀(Hole)안으로 주입하는 것이다.
상기 푸시바(20)의 후방에는 사용시에 엄지 손가락을 끼울수 있도록 엄지파지부(21)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두께가 얇고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의 만곡바(22)가 형성되며 만곡바(22)의 선단에는 상기 주입관(10)으로 충전된 인공골(31)을 밀어 넣기 위한 도원추부(23)가 형성된다.
종래의 본캐리어의 문제점을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주입관(10) 내부로 삽입되는 푸시바(20), 만곡바(22) 및 도원추부(23)가 모두 직선형의 금속재임에 따라, 금속으로 만들어진 주입관(10)의 선단 즉, 만곡부위를 통과하면서 도 2의 (b)와 같이, 만곡 시작점에서 휘어지게 되는바, 이때 주입관(10)과 도원추부(23)의 접촉하는 부분에서 푸시바(20)를 전진시킬 때마다, 마찰이 계속 발생되므로 마찰에 의한 마찰소음이 통상 치료중 긴장 상태에 있는 환자를 불편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또 한, 마찰의 결과 금속이 마모되면서 소량이기는 하지만 이식되는 인공골(31)에 금속가루가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찰저항에 의해 푸시바(20)의 전후진 작동이 유연하지 않은데다, 도 2의 (b),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관(10)이 직선형에서 만곡형태로 변형되므로, 만곡부의 시작점에서 만곡바(22)의 곡률도를 높여 작동을 용이하게 하고자 만곡바(22)는 가늘게 형성된다.
또한, 만곡바(22)가 유연하게 휘어지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주입관(10)과 도원추부(23) 사이에 일정크기의 공극(24)이 발생하게 되는데, 문제는 이 공극(24)에 자주 인공뼈 조각이 개재(介在)되면서 종래 본캐리어의 전후진 작동이 일시적으로 불능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즉, 공극(24)으로 인해 인공뼈 조각이 사이에 끼면 일시적으로 전후진 작동이 불가능하기에 이 불능을 최소화 하고자 종래의 본캐리어는 인공골(31)을 밀어내는 역원뿔형의 도원추부(23, 倒圓錐部)를 형성하여 주입관(10)과 도원추부(23) 사이에 뼈조각이 끼는것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이는 만곡부위를 통과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역원뿔형의 도원추부(23)를 갖는 종래의 본캐리어의 구성하에, 후술하는 본 발명과 같은 콘덴싱 역할을 하도록 도원추부(23)를 돌출되게 구성하면, 주입관(10)의 만곡부위에서의 통과가 더욱 어렵게 될 뿐 아니라, 주입관(10)의 선단 앞으로 돌출된 도원추부(23)가 탄성에 의해 주입관(10)의 중심과 어긋나게 됨으로써,
인공골(31)의 주입 및 콘덴싱 과정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도원 추부(23)가 돌출된 상태에서 푸시바(20)를 후진 시키게 되면, 역원뿔형의 도원추부(23)가 주입관의 선단 입구에 걸리면서 푸시바(20)의 후진이 방해 받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도 1, 2, 3과 중복되는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직선부에서 만곡부로 휘어지는 중공(中空)상태의 원주형 주입관(10)이 구비되고, 그 상하부에는 손가락파지부(11)가 형성되며, 손가락파지부(11)의 후방에는 푸시바(20)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3)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에 엄지파지부(21)가 형성된 푸시바(20)의 선단에는 수나사부(20a)가 형성되고, 도 4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이 수나사부(20a)에는 내부에 암나사부(25a)가 형성된 연결관(25)이 나사결합되되, 이 연결관(25)의 일측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25b)가 형성된다. 이 분할부(25b)에 가요성 소재인 연질고무(26)를 끼운 다음, 분할부(25b)에 압력을 가하여 연질고무(26)를 계지(繫止)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질고무(26)의 사용수명이 다해 교체하고자 할때에는 간단하게 연결관(25)의 나사체결을 해제하여 새로운 연질고무(26)가 계지된 연결관(25)을 새롭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사용상태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서와 같이 엄지파지부(21)를 후진시킨 후, 주입관(10)의 만곡부위를 인공골용기(30) 위에서 직하방으로 내리면 주입관(10)의 만곡부위 내부로 인공골(31)이 채워지고, 채워진 인공골(31)을 기 상악골(43)에 천공된 홀 내부로 주입하기 위해, 후진 상태의 엄지파지부(21)를 원위치 시킴으로써, 홀내부에 인공골(31)이 주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연질고무(26)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주입관(10)의 만곡부위에서 연질고무(26)가 휘어지되, 가요성 고무의 특성상 힘들이지 않고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주입관(10) 내부에 있는 인공골(31)을 상악골(43) 홀 내부로 주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질고무(26)의 특성상 마찰소음이 최소화 될 뿐 아니라, 도 6의 (d)에서 인출하여 확대한 도면과 같이 연질고무(26)의 유연성 때문에 주입관(10)과 연질고무(26) 사이의 공극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종래의 본캐리어처럼 인공골(31)이 공극(24)에 개재되어 푸시바(20)의 전후진이 불능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7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중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사용실태 및 콘덴싱(Condensing)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사진상 상악동(40)까지의 측정 거리를 측정한 다음, 일반적인 시술용 드릴(44)로 상악동(40)의 점막(41)에 손상을 주지 않는 안전한 부위까지 상악골(43)을 천공하여 홀을 형성한다.(a, b단계)
참고로, 상악동(40)의 점막(41)이 손상이 되면 보조적 이식골의 형성을 위해 충전한 인공골(31)이 신속하고 견고하게 골화(骨化)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식립한 임플란트(46)가 결과적으로 골내에 위치하지 않고 상악동(40) 내부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상악동(40) 내부의 감염의 가능성이 항존하게 되어 2차피해가 우려된다.
도 7의 (a), (b)단계가 끝나면 천공된 홀보다 직경이 조금 큰 리머(45)들을 단계적으로 사용하여 임플란트(46) 식립에 적합한 직경으로 홀을 만들어 간다.(c, d단계) 한편, 도 7의 (e)와 같이 치밀골(42)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상악동(40)의 점막(41)이 손상되지 않도록 점막(41)을 상부로 거상(擧上)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본캐리어는 인공골(31)의 주입기능과 함께 점막(41)이 손상되지 않도록 치밀골(42)을 추가 거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도 6의 (d)와 같이 연질고무(26)가 주입관(10)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악골(43)의 두께가 얇은 환자의 경우, 딱딱한 리머(45)를 사용한 치밀골(42)의 추가 거상이 난해하여 자칫 점막(41)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드러운 연질고무(26)를 이용하여 치밀골(42)을 상부로 올려주면 점막(41)이 손상없이 안전하게 거상된다.
도 7의 (f), (g)와 같이 치밀골(42)과 점막(41)이 거상된 홀안으로 본 발명의 본캐리어를 이용하여 인공골(31)을 주입함과 동시에 도 7의 (h)와 같이 돌출된 연질고무(26)를 이용하여 콘덴싱(Condensing) 작업을 수행한다.
참고로, 콘덴싱이란 기 형성된 홀에 인공골(31)을 주입한후, 균질하게 채워지도록 하는 과정을 일컬으며, 종래에는 별도의 본콘덴서(Bone Condenser)를 사용하여 시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공골(31) 주입과 동시에 콘덴싱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별도의 본콘덴서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시술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7의 (i), (j), (k)는 인공골(31) 이식이후 리머(45)를 사용하여 인공골(31)을 상부로 더 올려주는 단계와 임플란트(46) 식립을 위한 공간 확보 이후, 확보된 공간 내부로 임플란트(46)를 식립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는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인공골(31)의 주입은 물론 인공골(31)의 콘덴싱 작업 및 치밀골(42)의 거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시술과정을 간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본캐리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본캐리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본캐리어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연질고무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중 본 발명에 따른 본캐리어의 사용실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입관
11 : 손가락파지부
12 : 나팔관
13 : 출입구
20 : 푸시바
20a: 수나사부
21 : 엄지파지부
22 : 만곡바
23 : 도원추부
24 : 공극
25 : 연결관
25a: 암나사부
25b: 분할부
26 : 연질고무
30 : 인공골용기
31 : 인공골
40 : 상악동
41 : 점막
42 : 치밀골
43 : 상악골
44 : 드릴
45 : 리머
46 : 임플란트
Claims (2)
- 직선부에서 만곡부로 변형되는 주입관(10)의 상하부에는 손가락파지부(11)가 형성되고, 주입관(10)의 내부로는 엄지파지부(21)가 후방에 형성된 푸시바(20)가 삽입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에 있어서,상기 푸시바(20)의 선단에는 수나사부(20a)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20a)에는 내부에 암나사부(25a)가 형성된 연결관(25)이 나사결합되되, 이 연결관(25)의 일측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부(25b)가 형성되고, 이 분할부(25b)에 연질고무(26)가 계지됨으로써, 연질고무(26)와 푸시바(20)가 착탈방식으로 조립되되, 상기 푸시바(20)의 전진 완료시에는 주입관(10)의 선단보다 상기 연질고무(26)가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20A KR100971145B1 (ko) | 2008-08-09 | 2008-08-09 |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20A KR100971145B1 (ko) | 2008-08-09 | 2008-08-09 |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276A KR20100019276A (ko) | 2010-02-18 |
KR100971145B1 true KR100971145B1 (ko) | 2010-07-20 |
Family
ID=4208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220A KR100971145B1 (ko) | 2008-08-09 | 2008-08-09 |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11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1674A (ko) | 2018-03-23 | 2019-10-02 | (주)이비아이 | 본 캐리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901B1 (ko) | 2010-04-16 | 2012-07-19 | 송영완 | 임플란트용 주입기 |
CN105359800A (zh) * | 2015-11-23 | 2016-03-02 | 铜仁市金农绿色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抗软腐病的铁皮石斛种植方法 |
CN106667596A (zh) * | 2016-07-29 | 2017-05-17 | 山东大学 | 一种一次性多功能骨粉输送器及其工作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5219A (ko) * | 2002-01-31 | 2003-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램프 구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KR20030079989A (ko) * | 2001-02-23 | 2003-10-10 | 아뜰리에 부쉬 에스.에이. | 압축성매체를 위한 회전피스톤장치 |
KR200365219Y1 (ko) | 2004-07-20 | 2004-10-15 | 김성윤 | 시술봉(tip)에 스토퍼가 구성된 치과용오스테톰(osteotomes) |
KR200379989Y1 (ko) | 2004-12-27 | 2005-03-24 | 서현배 | 골시멘트 주입관 |
US20050152763A1 (en) * | 2002-04-23 | 2005-07-14 | Jones Steven V. | Blind rivet and method to make same |
KR20070096293A (ko) * | 2006-03-23 | 2007-10-02 | 송영완 | 골이식재 주입을 위한 주사기 |
-
2008
- 2008-08-09 KR KR1020080078220A patent/KR1009711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9989A (ko) * | 2001-02-23 | 2003-10-10 | 아뜰리에 부쉬 에스.에이. | 압축성매체를 위한 회전피스톤장치 |
KR20030065219A (ko) * | 2002-01-31 | 2003-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램프 구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
US20050152763A1 (en) * | 2002-04-23 | 2005-07-14 | Jones Steven V. | Blind rivet and method to make same |
KR200365219Y1 (ko) | 2004-07-20 | 2004-10-15 | 김성윤 | 시술봉(tip)에 스토퍼가 구성된 치과용오스테톰(osteotomes) |
KR200379989Y1 (ko) | 2004-12-27 | 2005-03-24 | 서현배 | 골시멘트 주입관 |
KR20070096293A (ko) * | 2006-03-23 | 2007-10-02 | 송영완 | 골이식재 주입을 위한 주사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1674A (ko) | 2018-03-23 | 2019-10-02 | (주)이비아이 | 본 캐리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276A (ko) | 2010-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66443B2 (en) | Dental implants, device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ation procedures | |
KR100981719B1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
ES2235453T3 (es) | Implante endoseo dental. | |
KR101959774B1 (ko) | 외부 주수 장치를 구비하는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시스템 | |
EP2087852B8 (en)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prosthesis | |
US20210330426A1 (en) | Endodontic file | |
Barnes | Surgical endodontics: a colour manual | |
KR100971145B1 (ko) |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 |
US20090291414A1 (en) |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 |
KR102068525B1 (ko) |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 |
Fromovich et al. | BLX: a new generation of self-drilling implants | |
US20120219925A1 (en) | Dental Impression Apparatus | |
KR101099596B1 (ko) | 치조골용 버 | |
KR101516949B1 (ko) | 본 플레이트닝 드릴장치 | |
KR102258699B1 (ko) |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 |
KR20190041668A (ko) |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 |
KR102205986B1 (ko) |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 |
JP2007313285A (ja) | インプラント前窩形成用の補助具 | |
KR100881224B1 (ko) | 치과용 템플릿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이식 방법 | |
RU2733914C1 (ru) |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зубоальвеолярного комплекса альвеолярного отростка с одномоментной дентальной имплантацией | |
KR101831612B1 (ko) |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033171B1 (ko) |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 |
KR100760610B1 (ko) |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 |
Takahashi et al. | Long-term observation of porous sapphire dental implants | |
JP7511311B2 (ja) | 水平に位置させるエンドスティール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