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612B1 -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612B1
KR101831612B1 KR1020170147244A KR20170147244A KR101831612B1 KR 101831612 B1 KR101831612 B1 KR 101831612B1 KR 1020170147244 A KR1020170147244 A KR 1020170147244A KR 20170147244 A KR20170147244 A KR 20170147244A KR 101831612 B1 KR101831612 B1 KR 10183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ncision
fixture
tooth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관
Original Assignee
백승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관 filed Critical 백승관
Priority to KR102017014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612B1/ko
Priority to PCT/KR2018/011810 priority patent/WO2019093659A1/ko
Priority to CN201880071991.9A priority patent/CN11143274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3Details of the shape having more than one 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뼈에 식립되는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 고정체 내부에 피질골을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잇몸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며, 치아가 고정되는 지대주, 잇몸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고정체의 내부에는 고정체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One-piece type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신체의 뼈에 식립되는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 고정체 내부에 피질골을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소년기에는 주로 썩는 이유로, 성인에 이르러서는 잇몸이 점차 나빠지는 이유로 치아를 하나 둘씩 잃게 되는 경우가 흔히 일어난다. 임플란트(implant)라는 말은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소재로 만든 인공 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식립한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와 같이 신체에 식립되는 것은 신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소재로 만들어져야 하며,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기술에서 치아를 잡아주는 뼈 세포와 임플란트의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의 접착력을 높여 고정시키는 기술이 중요하다. 특히 치아를 잡아주는 턱뼈는 피질골과 망상골로 분류하는데 피질골은 빈 공간이 없는 아주 치밀하고 단단한 뼈인 반면, 망상골은 피질골 하부에 존재하며 엉성한 구멍으로 조밀도가 빈약하여 피질골에 임플란트의 뿌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고정시키면 인공치아가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115336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조립형으로 이루어진 치조골 접촉 절개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치조골과의 접촉 면접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위 선행기술은 조립형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기술로 치조골에 이식하는 나사산부분이 있고 나사산의 안쪽에 지대주를 스크류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나사산에 일부 절개되어 있는 부분이 조밀도가 빈약한 피질골 부분에만 구성되어 나사산을 튼튼하게 고정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치조골에 고정이 되는 부분의 면적을 높여 조밀도가 단단한 피질골을 고정이 되는 부분 내부에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임플란트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115336호
본 발명은 임플란트 고정체 내부에 피질골을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개부를 잇몸 높이에서부터 치아골부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잇몸을 임플란트 몸통 내부에 보존함으로써 잇몸 질환 및 칫솔질로 인한 잇몸퇴축을 방지하고 잇몸을 치아와 동일한 레벨에서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개부 상단의 위치를 하방으로 2mm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함으로써 자연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대주에 절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 삭제시 쉽게 삭제하여 삭제 시간을 절약하고 삭제 시간 과다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원 치아의 형태와 유사하게 절개부를 절개함으로써 자연치아와 유사한 치근을 제공하여 임플란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뼈에 식립되는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잇몸 높이(Tissue Level)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며 치아가 고정되는 지대주, 잇몸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체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단이 상기 잇몸 높이(Tissue Level)에서부터 치아골부(Bone Level)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대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원 치아가 복근치인 경우 2단으로, 다근치인 경우 3단으로 절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고정체 내부에 피질골을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개부를 잇몸 높이에서부터 치아골부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잇몸을 임플란트 몸통 내부에 보존함으로써 잇몸 질환 및 칫솔질로 인한 잇몸퇴축을 방지하고 잇몸을 치아와 동일한 레벨에서 보존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개부 상단의 위치를 하방으로 2mm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함으로써 자연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제공 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대주에 절단 홈을 형성함으로써 지대주 삭제시 쉽게 삭제하여 삭제 시간을 절약하고 삭제 시간 과다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절감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원 치아의 형태와 유사하게 절개부를 절개함으로써 자연치아와 유사한 치근을 제공하여 임플란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에 일체형 임플란트를 이식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공학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체 하단부 윗부분에서 절개한 일례들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대주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고정체 하단부를 2단 절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고정체 하단부를 3단 절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근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임플란트는 크게 일체형(원피스, One Piece) 임플란트와 조립형(투피스, Two Piece)임플란트로 나뉜다. 일체형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지대주가 결합된 형태로서 조립형 임플란트는 고정체와 지대주를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일체형 임플란트는 즉시식립, 즉시부하, 즉시 보철에 유리한 디자인으로 세균이 번식하는 공간을 없애 세균침투를 막아 전신질환 발명을 예방하며 악취가 없는 임플란트 일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임플란트는 조립형 임플란트와 달리 나사 풀림에 대한 걱정이 줄어들고, 악취 감소, 세균부착 감소, 골삭제량 감소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연세대학교 최희곤 외 4명의 '일체형 임플란트'라는 연구 논문에 따르면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가 발전하고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생물학적(biological), 기계적 (mechanical), 심미적(esthetic)인 여러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으며, 생물학적 합병증은 임플란트 주위의 염증과 뼈의 소실, 점막염증, 조립형 임플란트 연결면에서 생기는 누공(고름 구멍), 임플란트 탈락 등이 있다. 기계적인 합병증은 조립형 임플란트의 구조와 기계적인 결함을 포함하는데 금속 구조물의 파절, 마모, 유지력 상실, 나사 풀림과 파절, 임플란트 고정체의 파절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심미적인 합병증은 보철물과 주위 조직이 관련되어 보철물의 외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합병증을 극복하고자 많은 시도와 발전이 있었고 그 중 하나가 일체형 임플란트의 개발 이었다. 기존의 임플란트는 대부분 조립형(투피스) 임플란트였다. 하지만 연구 결과 조립형(투피스) 임플란트에 비해 일체형(원피스) 임플란트가 기계적, 생물학적 이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여러 연구들을 분석, 고찰해 본 결과 일체형 임플란트는 나사 풀림과 파절, 지대주와 고정체의 파절과 같은 기계적 합병증이 적다. 또 일체형 임플란트는 미세간극(micro-gap), 미세동요(micro-movement), 치아 연결부 탈착과 재부착 등이 없으므로 생물학적 합병증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장점을 가진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타입의 치과형 임플란트는 지대주(102), 고정체(101), 절개부(103)를 포함한다.
일체형 타입의 치과형 임플란트는 고정체(101)와 지대주(102)를 결합한 일체형(one-piece type)으로서 고정체(101)와 지대주(102)를 내부에서 결합하는 내부 나사가 없다. 조립형(two-piece type)의 임플란트는 고정체(101)와 지대주(102)를 결합하는 내부나사의 크기는 최저 직경 3.0mm, 길이 6.0mm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일체형 타입의 임플란트는 고정체(101) 내부에 내부 결합 나사가 없는 경우 고정체(101)의 절단 부를 최대한 확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결나사와 파절 및 나사 풀림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신체의 뼈에 식립되는 일체형 임플란트에 있어서 지대주(102)는 잇몸 높이(Tissue Level)(107)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며 치아가 고정된다.
지대주(102)는 인공 치아를 식립하기 위해 치아 모양의 크라운(109)(보철)을 고정하기 위한 기둥의 형태로 되어있으며, 크라운(109)은 치아 크라운(109)이라고 하는데 자연치아와 모양이 흡사하고 자연치아의 기능을 대신 할 수 있다. 크라운(109)의 재질은 대표적으로 치아색과 금색으로 나뉘는데 금색의 소재는 금이며, 치아색의 소재는 지르코니아 또는 세라믹 등이 있다.
지대주(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홈(108)이 형성된다.
지대주(102)는 임플란트 식립 후 환자의 구강내에서 크라운(109)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감안하여 삭제를 할 수 있으며, 쉽게 삭제 할 수 있도록 1~3mm 간격으로 절단 홈(108)을 형성할 수 있다. 절단 홈(108)을 기준으로 삭제하고자 하는 만큼의 길이를 자르면 삭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삭제 시간이 절약되면 삭제 시간 과다로 인한 환자의 고통 절감, 지대주(102)의 온도 상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체(101)는 잇몸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외벽에 나사산(105)이 형성된다.
고정체(101)는 나사산(105), 몸통외벽(110), 절개부(103), 고정체(101) 하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체(101)는 임플란트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식립 될 수 있도록 고정해 주는 부분으로 임플란트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정체(101)에 나사산(105)이 있어서 초기 고정력이 커지고 뼈와의 접촉 면적이 커서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유리하며 교합 하중의 분산에도 유리한 형태이다. 고정체 안쪽부분인 절개부(103)에도 나사산(105)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체를 기준으로 절개된 내부와 외부 모두 나사산(105)으로 형성되어 초기 고정력이 더욱 커지고 뼈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유리할 수 있다.
고정체(101)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로 외부 표면은 나사산(105)을 형성하여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체(101) 하단부의 끝부분에 치아골부(Bone Level)(106) 또는 잇몸 높이(Tissue Level)(107)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또는 3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내부에는 고정체(101)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된다.
절개부(103)는 임플란트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식립 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치은부라고 하는 잇몸뼈, 망상골(210), 피질골(220)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의 중심 가운데가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하단부(104) 끝부분에서 치아골부(Bone Level)(106)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또는 3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외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에 따라 내측의 절개부(103)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 또는 직선으로 2단 절개 또는 3단 절개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부(103)를 구비한 형태의 경우 고정체(101)의 몸통을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절개부(10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고정체(101)의 내부로 혈액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로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체(101) 내부를 2등분(2단 절개), 3등분(3단 절개)함으로써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증가하여 골재생 효과를 상승할 수 있으며, 고정체(101)를 산(Acid-etching)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절개부(103) 내부까지 표면처리가 되어 골재생효과를 상승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는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에서 1~2mm 윗부분에서 절개하는 형태일 경우 외부 압력으로부터 고정체(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 아래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고정체하단부(104)에는 나사산(105)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식립시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절개부(103)는 잇몸 높이를 상단으로 형성된다.
절개부(103)는 상단이 잇몸 높이(Tissue Level)(107)에서부터 치아골부(Bone Level)(106)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잇몸(치은)은 치아와 턱뼈가 만나는 부분을 감싸고 있는 구강의 점막의 일종이다. 잇몸이 상실되면 보통 7~10일의 회복기간이 소요되나 잇몸질환 및 잘못된 칫솔질 습관 등으로 인한 질병의 경우 회복시기가 늦어져서 영원이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절개부(103)가 구비되지 않은 임플란트이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임플란트의 고정체(101) 부분의 잇몸이 상실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절개부(103)가 잇몸까지 있어 절개된 부분에 잇몸이 보존됨으로써 잇몸 질환 및 칫솔질로 인한 잇몸퇴축을 방지하고 잇몸을 치아와 동일한 레벨에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절개부(103)가 없는 임플란트의 경우 고정체(101) 부분이 모두 고정체(101)로 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잇몸, 피질골(220) 및 망상골(210) 모두를 밀어내어 잇몸, 피질골(220), 망상골(210)이 밀리거나 상실(삭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절개부(103)가 포함된 고정체(101)의 경우 고정체(101)의 형태가 절개부(103)가 없는 고정체(101)보다 최소한으로 이루어져 있어 잇몸, 피질골(220) 및 망상골(210)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아를 잡아주는 턱뻐의 구조는 크게 피질골(220)과 망상골(210)로 분류할 수 있는데, 피질골(220)은 치아골부(Bone Level)(106)를 기준으로 하부로 약 2~4mm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빈 공간이 없는 아주 치밀하고 단단한 반면에 망상골(210)은 피질골(220) 하부에 존재하여 엉성한 구멍으로 조밀도가 빈약하다. 본 발명은 치아골부(Bone Level)(106)인 피질골(220)까지 절단부를 형성하여 시술시 피질골(220)이 삭제되었으나 빠르게 피질골(220)을 생성할 수 있는 골재생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피질골(220)이 상실하여 생성하는 기간은 상악 또는 하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0~16주의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3~4개월 후 보철을 하는 것은 피질골(220)이 생성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체(101) 내부에 피질골(220)을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하고 피질골(220)을 내부에 보존함으로서 임플란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피질골(220) 보존의 필요성은 피질골(220)이 파괴되면 먼저 치아가 흔들리기 시작하여 치아가 상실될 수 있다. 특히 골다공증을 보강하기 위한 치과 관련 의약품의 대부분이 피질골(220) 및 잇몸(치은)질환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잇몸 높이와 치아 골부 사이에 절개부(103)가 위치하게 되면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103)가 피질골(220)을 모두 감싸고 있기 때문에 좀더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임플란트가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절개부(103)는 잇몸 높이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된다.
절개부(103)는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된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형태와 유사하게 상악, 하악 및 전치, 소구치, 견치, 대구치 등 자연치아의 특성에 맞게 직경과 길이를 고려할 수 있다. 고정체(101)의 직경(D1)의 경우 최소 3.0mm에서 최대 8.0mm로 한다. 고정체(101) 절개부(103)의 직경(D2)은 최소 0.5mm에서 최대 7.0mm로 한다. 고정체(101)의 길이(L1)는 최소 4.0mm에서 최대 17.00mm로 한다. 지대주(102)의 길이(L2)는 최소 2.0mm에서 최대 15.0mm로 한다. 고정체(101) 절개부(103)의 길이(L3)는 최소 2.0mm에서 최대 17.0mm로 한다.
고정체(101)절개부(103)의 길이는 절개부(103)가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를 의미하며 절개부(103)의 상단은 절개부(103)를 기준으로 상단에 절개가 시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절개부(103)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원 치아가 복근치(802)인 경우 2단으로, 다근치(803)인 경우 3단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치아의 경우 크게 치아머리라고 하는 치관과 치아뿌리라고 하는 치근으로 나뉘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임플란트의 경우 우리 구성과 비교해보면 지대주(102)에 해당하는 부분이 치아머리(치관)부분이고 고정체(101)에 해당하는 부분이 치아뿌리(치근)일 수 있다. 치근의 구조는 법량질과 백악질의 경계 부위인 치근경, 치근의 가장 끝부분인 치근첨(일반적으로 치근첨은 원심으로 경사져있다), 치근첨에서 치경부까지의 길이인 치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근은 치근의 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한 개의 치근으로 이루어진 단근치(801)(Simple root)는 상하악전치부, 상악제2소구치, 하악 제1, 2 소구치에 형성되어 있다. 치근이 두 개로 이루어진 복근치(802)(complex root)의경우 상악 제1소구치, 하악대구치, 하악유구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악 제1소구치는 치근이 협측과 설측으로 분지하고 있으며, 하악대구치와 하악유구치는 근심과 원심으로 분지하고 있다. 세 개 이상의 치근으로 이루어진 다근치(803)(multiple root)는 상악대구치(설측근, 근심협측근, 원심협측근 순)와 상악유구치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체(101)에 속해있는 절개부(103)는 2단 절개 또는 3단 절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치료받는 환자의 원 치아의 치근과 유사한 형태로 식립하기 위해 치료받는 환자의 원 치아가 복근치(802)인 경우 절개부(103)를 2단으로 절개할 수 있으며, 원 치아가 다근치(803)인 경우 절개부(103)를 3단 또는 4단으로 절개하여 절개부(103)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에 일체형 임플란트를 이식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내부에는 고정체(101)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된다.
절개부(103)는 임플란트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식립 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치은부라고 하는 잇몸뼈, 망상골(210), 피질골(220)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의 중심 가운데가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하단부(104) 끝부분에서 치아골부(Bone Level)(106)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외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에 따라 내측의 절개부(103)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 또는 직선으로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 절개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부(103)를 구비한 형태의 경우 고정체(101)의 몸통을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절개부(10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고정체(101)의 내부로 혈액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로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체(101) 내부를 2등분(2단 절개), 3등분(3단 절개) 또는 4등분(4단 절개)함으로써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증가하여 골재생 효과를 상승할 수 있으며, 고정체(101)를 산(Acid-etching)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절개부(103) 내부까지 표면처리가 되어 골재생효과를 상승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는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에서 1~2mm 윗부분에서 절개하는 형태일 경우 외부 압력으로부터 고정체(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 아래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고정체하단부(104)에는 나사산(105)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식립시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절개부(103)는 잇몸 높이(107)를 상단으로 형성된다.
절개부(103)는 상단이 잇몸 높이(Tissue Level)(107)에서부터 치아골부(Bone Level)(106)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잇몸(치은)(230)은 치아와 턱뼈가 만나는 부분을 감싸고 있는 구강의 점막의 일종이다. 잇몸(230)이 상실되면 보통 7~10일의 회복기간이 소요되나 잇몸질환 및 잘못된 칫솔질 습관 등으로 인한 질병의 경우 회복시기가 늦어져서 영원이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절개부(103)가 구비되지 않은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임플란트의 고정체(101) 부분의 잇몸(230)이 상실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절개부(103)가 잇몸(230)까지 있어 절개된 부분에 잇몸(230)이 보존됨으로써 잇몸 질환 및 칫솔질로 인한 잇몸퇴축을 방지하고 잇몸(230)을 치아와 동일한 레벨에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절개부(103)가 없는 임플란트의 경우 고정체(101) 내부에도 모두 고정체(101)로 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잇몸(230), 피질골(220) 및 망상골(210) 모두를 밀어내어 잇몸(230), 피질골(220), 망상골(210)이 밀리거나 상실(삭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절개부(103)가 포함된 고정체(101)의 경우 고정체(101)의 형태가 절개부(103)가 없는 고정체(101)보다 최소한으로 이루어져 있어 잇몸(230), 피질골(220) 및 망상골(210)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절개부의 상단이 잇몸 높이와 치아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절개부 안에 잇몸(230)을 보존(231)하고 있으며, 절개부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피질골(220)을 절개부안에서 보존(221), 망상골(210)을 절개부 내부에서 보존(211)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치아를 잡아주는 턱뻐의 구조는 크게 피질골(220)과 망상골(210)로 분류할 수 있는데, 피질골(220)은 치아골부(Bone Level)(106)를 기준으로 하부로 약 2~4mm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빈 공간이 없는 아주 치밀하고 단단한 반면에 망상골(210)은 피질골(220) 하부에 존재하여 엉성한 구멍으로 조밀도가 빈약하다. 본 발명은 치아골부(Bone Level)(106)인 피질골(220)까지 절단부를 형성하여 시술시 피질골(220)이 삭제되었으나 빠르게 피질골(220)을 생성할 수 있는 골재생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피질골(220)이 상실하여 생성하는 기간은 상악 또는 하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0~16주의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3~4개월 후 보철을 하는 것은 피질골(220)이 생성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체(101) 내부에 피질골(220)을 생성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을 증가하고 피질골(220)을 내부에 보존함으로서 임플란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피질골(220) 보존의 필요성은 피질골(220)이 파괴되면 먼저 치아가 흔들리기 시작하여 치아가 상실될 수 있다. 특히 골다공증을 보강하기 위한 치과 관련 의약품의 대부분이 피질골(220) 및 잇몸(치은)(230)질환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잇몸 높이와 치아 골부 사이에 절개부(103)가 위치하게 되면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103)가 피질골(220)을 모두 감싸고 있기 때문에 좀더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임플란트가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공학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부(103)는 잇몸 높이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된다.
절개부(103)는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된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형태와 유사하게 상악, 하악 및 전치, 소구치, 견치, 대구치 등 자연치아의 특성에 맞게 직경과 길이를 고려할 수 있다. 고정체(101)의 직경(D1)의 경우 최소 3.0mm에서 최대 8.0mm로 한다. 고정체(101) 절개부(103)의 직경(D2)은 최소 0.5mm에서 최대 7.0mm로 한다. 고정체(101)의 길이(L1)는 최소 4.0mm에서 최대 17.00mm로 한다. 지대주(102)의 길이(L2)는 최소 2.0mm에서 최대 15.0mm로 한다. 고정체(101) 절개부(103)의 길이(L3)는 최소 2.0mm에서 최대 17.0mm로 한다.
고정체(101)절개부(103)의 길이는 절개부(103)가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를 의미하며 절개부(103)의 상단은 절개부(103)를 기준으로 상단에 절개가 시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체(101) 하단부 윗부분에서 절개한 일례들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내부에는 고정체(101)를 2단, 3단 또는 4단으로 절개된다. 절개부(103)는 잇몸 높이를 상단으로 형성된다. 절개부(103)는 잇몸 높이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된다.
고정체하단부(104)는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은 결합된 형태(401)일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에서 1~2mm 윗부분에서 절개하는 형태일 경우 외부 압력으로부터 고정체(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 아래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고정체하단부(104)에는 나사산(105)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식립시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로 고정체(101)의 내부를 2단으로 절개할 경우 고정체(101)의 양쪽 나사산(105) 부분이 절개부(103)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모아져 고정체하단부(104)가 절개되지 않는 결합된 형태(401)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된 고정체하단부(104)는 나사산(105)을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로 고정체(101)의 내부를 3단으로 절개할 경우 고정체(101) 3단 절개부(103)의 나사산(105)은 절개부(103) 하단으로 갈수록 3단 나사산(105)이 모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는 2단 절개와 마찬가지로 고정체(101) 하단부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된 고정체하단부(104)는 나사산(105)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에 사사산을 형성하는 경우 임플란트 식립시 하단에서 받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대주(102)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대주(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홈(108)이 형성된다.
지대주(102)는 임플란트 식립 후 환자의 구강내에서 크라운(109)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감안하여 삭제를 할 수 있으며, 보통 시술을 하는 사람이 길이를 재고 판단하여 삭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대주(102)를 쉽게 삭제 할 수 있도록 1~3mm 간격으로 절단 홈(108)을 형성할 수 있다. 따로 길이를 재거나 절단할 높이를 판단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절단 홈(108)을 기준으로 삭제하고자 하는 만큼의 길이를 자르면 삭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삭제 시간이 절약되면 삭제 시간 과다로 인한 환자의 고통 절감, 지대주(102)의 온도 상승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고정체(101) 하단부를 2단 절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내부에는 고정체(101)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된다.
고정체하단부(104) 끝부분에서 치아골부 또는 잇몸 높이까지인 고정체(101) 상단부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로 절개 할 수 있으며, 2단 절개부(103) 단면(601)의 경우 일자(-)를 형성하고 있다. 고정체(101)의 외부가 2단 절개부(103) 상단(602)에서 2단 절개부(103) 하단(603)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2단 절개부(103) 하단은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고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고정체(101) 하단부의 끝부분에 치아골부(Bone Level)(106) 또는 잇몸 높이(Tissue Level)(107)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임플란트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식립 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치은부라고 하는 잇몸뼈, 망상골(210), 피질골(220)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의 중심 가운데가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하단부(104) 끝부분에서 치아골부(Bone Level)(106) 또는 잇몸 높이(Tissue Level)(107)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또는 3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외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에 따라 내측의 절개부(103)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 또는 직선으로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 절개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부(103)를 구비한 형태의 경우 고정체(101)의 몸통을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절개부(10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고정체(101)의 내부로 혈액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로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체(101) 내부를 2등분(2단 절개), 3등분(3단 절개) 또는 4등분(4단 절개)함으로써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증가하여 골재생 효과를 상승할 수 있으며, 고정체(101)를 산(Acid-etching)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절개부(103) 내부까지 표면처리가 되어 골재생효과를 상승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는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에서 1~2mm 윗부분에서 절개하는 형태일 경우 외부 압력으로부터 고정체(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 아래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고정체하단부(104)에는 나사산(105)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식립시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고정체(101) 하단부를 3단 절개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내부에는 고정체(101)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된다.
고정체하단부(104) 끝부분에서 치아골부 또는 잇몸 높이까지인 고정체(101) 상단부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3단 절개로 절개 할 수 있으며, 3단 절개부(103) 단면(701)의 경우 3갈래도 갈라진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고정체(101)의 외부가 3단 절개부(103) 상단(702)에서 3단 절개부(103) 하단(703)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로 절개될 수 있다. 3단 절개부(103) 하단은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고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고정체(101) 상단부의 끝부분에 치아골부(Bone Level)(106) 또는 잇몸 높이(Tissue Level)(107)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또는 3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임플란트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식립 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치은부라고 하는 잇몸뼈, 망상골(210), 피질골(220)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체(101)의 중심 가운데가 절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하단부(104) 끝부분에서 치아골부(Bone Level)(106)까지 몸통부(몸통외벽(110))를 중심으로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으로 절개할 수 있다.
절개부(103)는 고정체(101)의 외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에 따라 내측의 절개부(103)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폭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형태 또는 직선으로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 절개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부(103)를 구비한 형태의 경우 고정체(101)의 몸통을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절개부(10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고정체(101)의 내부로 혈액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로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체(101) 내부를 2등분(2단 절개), 3등분(3단 절개) 또는 4등분(4단 절개)함으로써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증가하여 골재생 효과를 상승할 수 있으며, 고정체(101)를 산(Acid-etching)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절개부(103) 내부까지 표면처리가 되어 골재생효과를 상승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는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에서 1~2mm 윗부분에서 절개하는 형태일 경우 외부 압력으로부터 고정체(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하단부(104) 아래가 절개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고정체하단부(104)에는 나사산(105)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식립시 셀프 태핑 스크루(self-tapping screw, 나사가 없는 구멍에 돌리면서 박을 때 스스로 나사를 깎으면서 들어가는 나사)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근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부(103)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원 치아가 복근치(802)인 경우 2단으로, 다근치(803)인 경우 3단 또는 4단으로 절개하여 형성된다.
치아의 경우 크게 치아머리라고 하는 치관과 치아뿌리라고 하는 치근으로 나뉘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임플란트의 경우 우리 구성과 비교해보면 지대주(102)에 해당하는 부분이 치아머리(치관)부분이고 고정체(101)에 해당하는 부분이 치아뿌리(치근)일 수 있다. 치근의 구조는 법량질과 백악질의 경계 부위인 치근경, 치근의 가장 끝부분인 치근첨(일반적으로 치근첨은 원심으로 경사져있다), 치근첨에서 치경부까지의 길이인 치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근은 치근의 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한 개의 치근으로 이루어진 단근치(801)(Simple root)는 상하악전치부, 상악제2소구치, 하악 제1, 2 소구치에 형성되어 있다. 치근이 두 개로 이루어진 복근치(802)(complex root)의경우 상악 제1소구치, 하악대구치, 하악유구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악 제1소구치는 치근이 협측과 설측으로 분지하고 있으며, 하악대구치와 하악유구치는 근심과 원심으로 분지하고 있다. 세 개 이상의 치근으로 이루어진 다근치(803)(multiple root)는 상악대구치(설측근, 근심협측근, 원심협측근 순)와 상악유구치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체(101)에 속해있는 절개부(103)는 2단 절개, 3단 절개 또는 4단 절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치료받는 환자의 원 치아의 치근과 유사한 형태로 식립하기 위해 치료받는 환자의 원 치아가 복근치(802)인 경우 절개부(103)를 2단으로 절개할 수 있으며, 원 치아가 다근치(803)인 경우 절개부(103)를 3단 또는 4단으로 절개하여 절개부(103)를 구성할 수 있다.
101: 고정체 102: 지대주
103: 절개부 104: 고정체하단부
105: 나사산 106: 치아골부(Bone Level)
107: 잇몸 높이(Tissue Level) 108: 절단 홈
109: 크라운 110: 몸통외벽

Claims (5)

  1. 신체의 뼈에 식립되는 일체형 임플란트에 있어서,
    잇몸 높이(Tissue Level)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며 치아가 고정되는 지대주;
    잇몸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체를 2단 또는 3단으로 절개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단이 상기 잇몸 높이(Tissue Level)에서부터 치아골부(Bone Level)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단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2mm 이상 떨어진 위치를 하단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임플란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원 치아가 복근치인 경우 2단으로, 다근치인 경우 3단으로 절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임플란트.
KR1020170147244A 2017-11-07 2017-11-07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KR10183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44A KR101831612B1 (ko) 2017-11-07 2017-11-07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PCT/KR2018/011810 WO2019093659A1 (ko) 2017-11-07 2018-10-08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CN201880071991.9A CN111432747A (zh) 2017-11-07 2018-10-08 一体式的牙科用植入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244A KR101831612B1 (ko) 2017-11-07 2017-11-07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612B1 true KR101831612B1 (ko) 2018-02-26

Family

ID=6153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244A KR101831612B1 (ko) 2017-11-07 2017-11-07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31612B1 (ko)
CN (1) CN111432747A (ko)
WO (1) WO2019093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59A1 (ko) * 2017-11-07 2019-05-16 백승관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695A (en) 1993-11-12 1997-12-30 Mcgill University Osseointegration promoting implant compositio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0312542B1 (ko) 1999-02-12 2001-11-03 정필훈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KR100414885B1 (ko) 2000-12-09 2004-01-24 주식회사 워랜텍 치과용 임플란트 및 컴팩션 드릴 헤드
JP2009509696A (ja) * 2005-10-05 2009-03-12 ピルカー,ヴォルフガング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115336B1 (ko) 2009-04-28 2012-03-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50351875A1 (en) * 2013-01-18 2015-12-10 Bredent Gmbh & Co. Kg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608176B1 (ko) *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92117U (zh) * 2012-05-31 2013-04-24 浙江工业大学 拟自然牙根的多牙根种植体
IL230833A0 (en) *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CN203749615U (zh) * 2014-03-24 2014-08-06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种植牙构件
KR20160003973A (ko) * 2014-07-01 2016-01-12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절단 안내선을 구비하는 범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제조방법
CN204709034U (zh) * 2015-05-27 2015-10-21 重庆润泽医药有限公司 一种牙种植件
KR101779980B1 (ko) * 2015-12-15 2017-09-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일체형 치과용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CN206333974U (zh) * 2016-07-25 2017-07-18 珠海拜瑞口腔医疗股份有限公司 基台结构
CN206167078U (zh) * 2016-08-08 2017-05-17 四川北极光口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口腔牙种植体
CN206167079U (zh) * 2016-08-08 2017-05-17 四川北极光口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具有高度生物相容性的种植牙
KR101831612B1 (ko) * 2017-11-07 2018-02-26 백승관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695A (en) 1993-11-12 1997-12-30 Mcgill University Osseointegration promoting implant compositio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0312542B1 (ko) 1999-02-12 2001-11-03 정필훈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KR100414885B1 (ko) 2000-12-09 2004-01-24 주식회사 워랜텍 치과용 임플란트 및 컴팩션 드릴 헤드
JP2009509696A (ja) * 2005-10-05 2009-03-12 ピルカー,ヴォルフガング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115336B1 (ko) 2009-04-28 2012-03-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50351875A1 (en) * 2013-01-18 2015-12-10 Bredent Gmbh & Co. Kg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608176B1 (ko) *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659A1 (ko) * 2017-11-07 2019-05-16 백승관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659A1 (ko) 2019-05-16
CN111432747A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oum et al. The use of transitional implants for immediate fixed temporary prostheses in cases of implant restorations
Azzi et al. Surgical thickening of the existing gingiva and reconstruction of interdental papillae around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US8608473B2 (en)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
EP2713939B1 (en) Dental implant
US8932059B2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20050175964A1 (en) Implant for use in aesthetic regions of the mouth
EP3017785A1 (en) System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JP200950969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ES2623455T3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US20240024081A1 (en) Abutment and healing cuff device for dental implant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US6368108B1 (en) Method for immediately placing a non-occlusive dental implant prosthesis
EP3185812B1 (en) Restoration dental implant fixture
Saadoun et al. Soft tissue recession around implants: Is it still unavoidable
KR101831612B1 (ko)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Nair et al. Custom milled zirconia implant supporting an ceramic zirconia restoration: a clinical report
EP1202678B1 (en) A device for dental implantation
KR20210080199A (ko) 골결합 인공 치아 구조
JP545004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H0638807B2 (ja) インプラントセット
RU2187283C2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RU2799138C1 (ru) Двухэтапный имплантат из диоксида циркония
Chopra et al. Mini dental implants-The same day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