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176B1 -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176B1 KR101608176B1 KR1020150080914A KR20150080914A KR101608176B1 KR 101608176 B1 KR101608176 B1 KR 101608176B1 KR 1020150080914 A KR1020150080914 A KR 1020150080914A KR 20150080914 A KR20150080914 A KR 20150080914A KR 101608176 B1 KR101608176 B1 KR 101608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utment
- artificial
- artificial root
- root
- alveolar b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치조골과 마주하는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인공 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치아이다. 상기 인공 치아는 충치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연 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자연 치아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치과적 질병의 증상과 예후에 따라 상기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를 대체하고자 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브릿지, 틀니 또는 치조골 내의 매식이란 세 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상기 브릿지의 경우, 건강한 인접 치아를 깎아내야만 하므로 자연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치아 뿌리가 없어 저작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십년 정도로 그리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틀니의 경우에는 자연 치아의 손상과 치조골이 사용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흡수되는 현상과 사용시 구강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사용자에게 구강 내 이물감을 주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 및 틀니는 치조골이 튼튼한 이상 그 적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임플란트 방법은 치조골이 치료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인접한 자연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독립적 시술이 가능하고,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 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이 우수하여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유닛은 관리 상태에 따라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바람직하다.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치아 역할을 하는 보철물(crown),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하는 인공 치근(fixture)와 상기 보철물과 상기 인공 치근 사이를 연결하는 지대주(abutment)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경우,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어서 섭취하는 행위 등을 통해 구강 내에서 지속적인 하중이 반복될 때, 치조골이 파괴되거나 지속적인 응력 집중에 의해 치조골의 흡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병증을 유발하거나 수명 감소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미 치조골의 흡수가 많이 진행된 경우,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부가적인 뼈 이식 없이는 시술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상악 구치부의 경우 부비동(상악동)과의 거리가 가깝거나, 하악 구치부의 경우 신경과의 거리가 짧아, 부가적인 뼈 이식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반영구적 사용과 사용에 따른 추가 병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조골의 흡수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뼈 이식 시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치조골의 두께에 대한 제약 없이 안정적인 매식이 가능한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치조골과 마주하는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홈 형태의 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기둥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부의 측부에 해당되는 상기 인공 치근의 일 영역에는 상기 공간부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상기 인공 치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슬릿은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지대주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인공 치근에 상기 지대주 결합 시 상기 결합 홀과 정렬되어 하나의 홈부를 이루는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에는 스크류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홈부와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홈부와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보다 확장되어 상기 스크류가 상기 홈부에 결합 시 상기 지대주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에는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를 외측 몸체와 내측 몸체로 구분시키는 링 형태의 트렌치가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트렌치의 벽면은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트렌치는,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의 안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몸체는 상기 지대주의 상대 회전 및 슬립 방지를 위해 다각형 또는 타원 단면을 갖거나 슬립 방지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몸체의 측벽에는 스텝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 측벽에는 상기 스텝부에 대응되는 카운터 스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부와 마주하는 상기 인공 치근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대주의 상단부는 상기 지대주에 결합되는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조골과 마주하는 인공 치근의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를 포함함으로써, 치조골에 임플란트 유닛을 매식한 경우, 잇몸으로부터 치조골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공간부를 통해, 치조골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뼈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고, 임플란트 유닛 사용 중 치조골이 녹아 치주낭이 형성될 경우 치주낭이 잇몸 속으로 깊게 진행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조골의 두께에 대한 제약 없이 안정적인 매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치근과 지대주 간의 응력 분산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통해,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에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 내지 도 1e는 스크류 결합 전, 후 및 결합된 스크류의 종류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및 인공 치근의 상단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c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잇몸(102)으로 덮힌 하지의 치조골(101)에 직접 매식되어 기둥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의 최대 직경 또는 폭은 1㎜ 내지 6㎜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범위 내이다.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은 치조골(101)에 매식되어 치조골(101)과 유합(또는 융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의 외관은 하부 방향(도면 기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공 치근(110)은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 전체가 일정한 폭을 갖는 필라(pillar) 형태이거나 부분적으로 테이퍼 형상과 필라 형상이 조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9A)과 같은 쓰레드(threa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 치근(110)은 이식 시 치조골(101)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티타늄(Ti), 텅스텐(W), 알루미늄(Al), 하프늄(Hf), 니오븀(Nb), 탄탈륨(Ta), 지르코늄(Zr), 백금(Pt),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식이 없고 적합한 강도와 생체 적합성을 갖는 다른 금속, 금속이 아닌 세라믹 인공뼈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가 인공 치근(110)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은 그 표면 상에 생체 활성이 작고 치조골(101)과의 반응성을 촉진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생체 활성이 우수한 수산화아파타이트[Ca10(PO4)6(OH)2, HA]와 같은 인산칼슘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 상에 TiO2, Ta2O5, Nb2O5, ZrO2, SiO2, RuO2, MoO2, MoO3, VO, VO2, V2O3, V2O5, CrO2, 또는 CrO3 와 같은 금속 세라믹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당업자라면 상기 코팅 재료로서 골유착을 촉진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 치근(110)은 공간부(111)를 갖는다. 공간부(111)는 치조골(101)과 마주하는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111)는 치조골(101)에 인공 치근(110)이 매식된 경우, 잇몸(102)과 치조골(101) 사이에서 영양 공급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공간부(111)가 형성되면, 잇몸(102)으로부터 치조골(101)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101)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101)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이 공간부(111)를 구비하면, 치조골(101)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1)를 통해, 임플란트 유닛(100A) 사용 중 치조골(101)이 녹아 치주낭이 형성된 경우 치주낭이 잇몸(102) 속으로 깊게 진행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인플란트 유닛(100A)이 매식되는 치조골(101)의 두께가 얇더라도 큰 직경의 임플란트 유닛(100A)을 안정적으로 이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부(111)의 깊이는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5 % 내지 80%의 범위 내의 깊이를 갖는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5% 미만의 깊이에서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되지 않아 전술한 채널 역할을 할 수 없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기계적 지지력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간부(111)와 마주하는 인공 치근(1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119B)은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19A)과 함께, 인공 치근(110)을 치조골(101)에 매식하는 경우,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인공 치근(110)은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나사산(119B) 외에도 치조골(101)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결합 구조나 결합 재료 등이 공간부(111)와 마주하는 인공 치근(1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은 이의 상단부를 외측 몸체(117)와 내측 몸체(118)로 구분시키는 트렌치(trench)(116)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116)는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로부터 깊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렌치(116)는,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공 치근(110)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측 몸체(118)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렌치(116)는 지대주(120)의 하단부를 위한 안착 공간을 제공한다. 즉, 인공 치근(110)에 지대주(120) 결합 시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트렌치(116)는 요(凹)부로 작용하여, 이에 상응하는 철(凸)부로 형성된 지대주(120)의 하단부와 암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렌치(116)의 벽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대주(120)의 하단부도 이에 상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렌치(116)의 벽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면, 지대주(12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이들 간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임플란트 유닛(100A)의 수명이 증가되고, 시술 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트렌치(116)의 벽면이 가이드 역할을 하여 지대주(120)와 인공 치근(1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트렌치(116)에 의해 외측 몸체(117)와 이격 혹은 분리된 내측 몸체(118)는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몸체(118)는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대주(120)의 회전 방지를 위해 상단부의 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 방지를 위한 구조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사각, 오각 또는 타원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 몸체(118)의 상단부에는 슬립 방지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와 지대주(120)의 하단부가 암수 결합되면, 상기와 같은 내측 몸체(110)의 상단부 구조에 의해, 지대주(120)의 상대 회전 및 슬립이 방지된다.
인공 치근(110)은 이에 지대주(120)가 결합되는 경우, 지대주(1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홀(121)과 정렬되어 하나의 홈부를 이루는 결합 홈(115)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홈부에는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130A, 130B)가 결합되어, 인공 치근(110)과 지대주(120)의 강성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1d에서는 헤드가 없는 스크류(130A)가 개시되고, 도 1e에는 헤드가 잇는 스크류(130B)가 개시된다. 이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는 인공 치아 또는 보철물(140)을 탑재하기 위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지대주(120)의 하단부는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 구조, 즉, 트렌치(11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외측 몸체(117) 및 내측 몸체(118)와의 암수 결합이 가능한 요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트렌치(116)의 벽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대주(120)의 하단부 중 트렌치(116)에 수용 및 밀착되는 철(凸)부의 측벽 또한 이에 상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측 몸체(118)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육각 기둥의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대주(120)의 하단부 중 내측 몸체(118)에 밀착되는 요(凹)부의 측벽 또한 이에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와 지대주(120)의 하단부의 접촉 면적은 증가되고,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지대주(120)의 상대 회전 및 슬립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지대주(120)의 상단부는 이에 결합되는 보철물(140)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체결 구조(122)를 포함한다. 체결 구조(122)는 지대주(12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둥이나 속이 빈 원기둥이나 원뿔 등과 같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122)는 이에 결합되는 보철물(14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대주(120)는 티타늄(Ti), 의과용 스테인리스 스틸(surgical stainless steel), 금(Au), 백색 세라믹 지르코늄(Zr)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지대주(1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대주(12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지대주(120)는 이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121)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 홀(121)은 전술한 것과 같이 인공 치근(1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홈(115)과 정렬되어 하나의 홈부를 이룬다. 이러한 홈부에는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되어 있는 스크류(130A, 130B)가 결합되어, 인공 치근(110)과 지대주(1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유닛(100A)은 지대주(1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홀(121)과 인공 치근(1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홈(115)이 상호 정렬되어 이루는 하나의 홈부에 결합되는 스크류(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130A)는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의 결합 홀(121)을 관통하여 인공 치근(110)의 결합 홈(115) 내에 삽입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지대주(120)가 인공 치근(110)에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130A)는 결합 홀(121)과 결합 홈(115)이 이루는 홈부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류(130A)는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130A)의 상단과 지대주(120)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스크류(130A)의 상단이 지대주(12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부에 완전 삽입되는 형태의 스크류(130A)는 지대주(120)의 미세한 움직임을 허용하여, 지대주(120)로부터 인공 치근(110)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스크류(130A)를 사용하는 경우는 임플란트 이식 수술 후 즉시 기능을 원할 때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은 지대주(1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홀(121)과 인공 치근(1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홈(115)이 상호 정렬되어 이루는 하나의 홈부에 결합되는 다른 스크류(130B)를 포함한다. 스크류(130B)는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의 결합 홀(121)을 관통하여 인공 치근(110)의 결합 홈(115) 내에 삽입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지대주(120)가 인공 치근(110)에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130B)는 몸체부(131) 및 헤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1)는 결합 홀(121)과 결합 홈(115)이 이루는 홈부와 동일 또는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32)는 몸체부(131)의 상단에 연결되고 몸체부(131)의 폭보다 가로 방향(도면 기준)으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130B)가 홈부에 결합 시 몸체부(131)는 홈부에 삽입되고, 헤드부(132)는 지대주(120)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이때, 지대주(12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헤드부(132)에 의해 몸체부(131)의 계속적인 삽입이 저지되므로, 몸체부(131)가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몸체부(131)의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 하단면은 홈부의 바닥면과 이격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131)의 하단면과 홈부의 바닥면이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스크류(130B) 체결 시 또는 반복적인 음식물 저작 시 발생되는 수직 응력을 흡수 혹은 분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130B)는 체결시 헤드부(132)에 의해 지대주(120)가 인공 치근(110)에 수직으로 가하는 응력이 가중되어, 헤드부가 없는 스크류(130A)에 비해 더욱 강한 강성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130B)는 도 1d에 도시된 스크류(130A)보다 인공 치근(110)과 지대주(120)의 강력한 결합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의 스크류들(130A, 130B)은 기계적 강성이 약할 수 있는 인공 치근(110)의 기계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티타늄(Ti), 또는 의과용 스테인리스 스틸(surgical 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또는 이의 합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조골(101)과 마주하는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부(111)를 통해, 치조골(101)에 임플란트 유닛(100A)을 매식한 경우, 잇몸(102)으로부터 치조골(101)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101)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101)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1)는 치조골(101)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렇게 되면, 뼈 이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1)는 임플란트 유닛(100A) 사용 중 치조골(101)이 녹아 치주낭이 형성될 경우 치주낭이 잇몸(102) 속으로 깊게 진행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고, 치조골(101)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큰 직경의 임플란트 유닛(100A)을 안정적으로 매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치근(110)과 지대주(120) 간의 응력 분산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통해, 임플란트 유닛(100A)의 매식 안정성을 확보하여, 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B)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B)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도 1d의 130A 또는 도 1e의 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이의 상단부를 외측 몸체(117)와 내측 몸체(118)로 구분시키는 트렌치(trench)(116)를 포함한다. 이때, 내측 몸체(118)의 측벽에는 스텝부(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텝부(118A)는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스크류(132A, 132B)가 없이 지대주(120)가 인공 치근(110)에 딸각하고 삽입고정될 수 있는 체결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텝부(118A)는 인공 치근(110)과의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체결시 변형되었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 적합한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텝부(118A)는 지대주(12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응력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텝부(118A)를 수평 방향의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측 몸체(118)의 측벽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트렌치(116)의 내측 벽면이므로, 스텝부(118A)는 경사진 내측 몸체(118)의 측벽 기울기에 비해 더 완만한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단차를 형성할 수 있으면 된다. 스텝부(118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지대주(120)의 하단부에도 카운터 스텝부(123)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B)은 인공 치근(110)에 형성되는 스텝부(118A) 및 지대주(120)에 형성되는 카운터 스텝부(123)를 가진다. 이를 통해, 지대주(120)로부터 인공 치근(110)에 전달되는 수직 응력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치조골(101)에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100B)에 대한 안정성 확보 및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101)에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100C)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임플란트 유닛(100C)을 도시한 사시도 및 이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C)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치조골(101)과 마주하는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인공 치근(110)은 홈 형태의 구조의 내부 저부로부터 공간부(111)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기둥(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기둥(112)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부(111) 내에 위치되는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 기둥(112)은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기둥(11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치근(110)을 치조골(101)에 매식하는 경우, 돌출 기둥(112)은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9A) 및 공간부(111)와 마주하는 인공 치근(1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9B)과 함께,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인공 치근(110)은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돌출 기둥(112)이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돌출 기둥(112)이 공간부(111) 내에 위치되는 길이로 돌출된 경우보다 인공 치근(11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돌출 기둥(112)의 외관은 하부 방향(도면 기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돌출 기둥은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 전체가 일정한 폭을 갖는 필라(pillar) 형태이거나 부분적으로 테이퍼 형상과 필라 형상이 조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치근(110)을 치조골(101)에 매식하는 경우, 치조골(101)에 대한 인공 치근(110)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D)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4c는 슬릿(114)이 보다 확장된 구조의 임플란트 유닛(100D)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D)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도 1d의 130A, 도 1e의 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도 1a의 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치조골(101)과 마주하는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인공 치근(110)은 홈 형태의 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공간부(111)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113)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 기둥(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공간부(111)의 측부에 해당되는 일 영역에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한 쌍의 슬릿(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릿(114)은 각각 공간부(111)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114)은 공간부(111)를 통해 개방된 치조골(101)의 바닥면(도면 기준 상단면)뿐만 아니라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치조골(101)의 측면 또한 공간부(111)와 연통 혹은 공간부(111) 측으로 개방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을 따라 한 쌍의 슬릿(114)이 형성되면, 잇몸(102)과 치조골(101) 사이의 영양 공급 채널이 증가 혹은 다양화되어, 잇몸(102)으로부터 치조골(101)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101)의 안정화를 확실하게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101)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치조골(101)을 공간부(111)와 연통시키는 한 쌍의 슬릿(114)이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치조골(101)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보다 많은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1) 및 한 쌍의 슬릿(114)을 통해, 임플란트 유닛(100D) 사용 중 치조골(101)이 녹아 치주낭이 형성된 경우 치주낭이 잇몸(102) 속으로 깊게 진행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인플란트 유닛(100D)이 매식되는 치조골(101)의 두께가 얇더라도 큰 직경의 임플란트 유닛(100D)을 안정적으로 이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D)은 도 4a 및 도 4b보다 폭(도면 기준으로 슬릿의 세로 방향 길이)이 확장된 구조를 갖는 슬릿(1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의 경우는 슬릿(114)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마주보는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 중 한 쪽의 호의 길이가 서로 마주보는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의 원주 대비 2/5 또는 3/7 또는 3/8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a 및 도 4b의 경우는 적어도 두께가 D1인 치조골(101)에 임플란트 유닛(100D) 매식이 가능하다.
도 4c의 경우는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 중 한 쪽 호의 길이가 서로 마주보는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의 원주 대비 1/4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c의 경우는 D1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D2인 치조골(101)에 임플란트 유닛((100D) 매식이 가능하다. 즉, 도 4c와 같은 형태로 슬릿(114)의 폭이 확장된 구조, 다시 말해,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의 호의 길이가 도 4a 및 도 4b의 경우보다 짧게 형성되면, 치조골(101)이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100D)을 뼈 이식 없이도 안정적인 구조로 치조골(101)에 매식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E)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E)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도 1d의 130A, 도 1e의 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도 1a의 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치조골(101)과 마주하는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인공 치근(110)은 홈 형태의 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공간부(111)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113)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 기둥(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은 공간부(111)의 측부에 해당되는 일 영역에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4개의 슬릿(114)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슬릿(114)은 각각 공간부(111)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114)은 공간부(111)를 통해 개방된 치조골(101)의 바닥면(도면 기준 상단면)뿐만 아니라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치조골(101)의 측면 또한 공간부(111)와 연통 혹은 공간부(111) 측으로 개방시킨다.
공간부(111)의 측부에 해당되는 인공 치근(110)의 일 영역에는 하나의 슬릿(1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슬릿(114)이 하나만 형성되면, 인공 치근(110)이 받는 응력에 불균형이 발생되어, 인공 치근(1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슬릿(114)은 둘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슬릿(114)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와 달리 홀수 개로 형성되면, 복수 개의 슬릿이 대칭 구조를 이루지 못해, 마찬가지로 인공 치근(1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슬릿(114)은 짝수 개로 형성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F)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F)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도 1d의 130A, 도 1e의 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 유닛(100F)은 공간부(111)의 측방에 해당되는 인공 치근(110)의 일 영역에 공간부(111)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14A)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114A)은 공간부(111) 일부를 채우는 치조골(101)과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치조골(101)을 서로 연결시켜,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100F)의 안정성을 높이고, 인공 치근(110) 내, 외부에 위치되는 치조골(101) 상호 간의 영양 공급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혹은 통로 역할을 한다. 보다 원활한 영양 공급을 위해, 통공(114A)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 개의 통공(114A)이 예컨대, 그물망 구조를 이루도록 촘촘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통공(114A)은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G)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G)은 치조골(101)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한다. 이때, 지대주(120)는 스크류(도 1d의 130A, 도 1e의 130B)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G)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G)에서, 인공 치근(도 1a의 110)의 외측 몸체(도 1a의 117)가 생략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인공 치근(110)에서 외측 몸체(도 1a의 117)가 생략되면, 그 만큼 인공 치근(110)의 부피 혹은 폭이 감소되므로, 두께가 얇은 치조골(101)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100G)을 뼈 이식 없이도 매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인공 치근(110)에서 외측 몸체(도 1a의 117)가 생략됨에 아울러, 도 4c와 같이, 슬릿(114)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마주보는 인공 치근(110)의 외주면 중 일측 및 타측 외주면의 호의 길이가 일측 및 타측 외주면이 이루는 원의 원주 대비 예를 들어 각각 1/4로 형성되면, 매우 얇은 두께의 치조골(101)에도 뼈 이식 없이 임플란트 유닛(100G)을 매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A ~ 100G; 임플란트 유닛들
101; 치조골 102; 잇몸
110; 인공 치근 111; 공간부
112; 돌출 기둥 113; 나사산
114; 슬릿 114A; 통공
115; 결합 홈 116; 트렌치
117; 외측 몸체 118; 내측 몸체
118A; 스텝부 119A, 119B; 나사산
120; 지대주 121; 결합 홀
122; 체결 구조 123; 카운터 스텝부
130A, 130B; 스크류 131; 몸체부
132; 헤드부 140; 보철물
101; 치조골 102; 잇몸
110; 인공 치근 111; 공간부
112; 돌출 기둥 113; 나사산
114; 슬릿 114A; 통공
115; 결합 홈 116; 트렌치
117; 외측 몸체 118; 내측 몸체
118A; 스텝부 119A, 119B; 나사산
120; 지대주 121; 결합 홀
122; 체결 구조 123; 카운터 스텝부
130A, 130B; 스크류 131; 몸체부
132; 헤드부 140; 보철물
Claims (19)
- 치조골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상단부에는 상기 상단부를 외측 몸체와 내측 몸체로 구분시키는 링 형태의 트렌치가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치조골과 마주하는 하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홈 형태의 구조의 저부로부터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기둥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되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기둥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측부에 해당되는 상기 인공 치근의 일 영역에는 상기 공간부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상기 인공 치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슬릿은 대칭 구조를 이루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지대주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인공 치근에 상기 지대주 결합 시 상기 결합 홀과 정렬되어 하나의 홈부를 이루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스크류가 결합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홈부와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구비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홈부와 동일한 길이 또는 상기 홈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폭보다 확장되어 상기 스크류가 상기 홈부에 결합 시 상기 지대주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벽면은 경사면을 이루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인공 치근의 상단부가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몸체는 상기 지대주의 상대 회전 및 슬립 방지를 위해 다각형 또는 타원 단면을 갖거나 슬립 방지 요철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몸체의 측벽에는 스텝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 측벽에는 상기 스텝부에 대응되는 카운터 스텝부가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와 마주하는 상기 인공 치근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의 상단부는 상기 지대주에 결합되는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914A KR101608176B1 (ko) | 2015-06-08 | 2015-06-08 | 임플란트 유닛 |
US15/002,621 US10743966B2 (en) | 2015-01-21 | 2016-01-21 | Implan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0914A KR101608176B1 (ko) | 2015-06-08 | 2015-06-08 | 임플란트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8176B1 true KR101608176B1 (ko) | 2016-03-31 |
Family
ID=5565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0914A KR101608176B1 (ko) | 2015-01-21 | 2015-06-08 | 임플란트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17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1612B1 (ko) * | 2017-11-07 | 2018-02-26 | 백승관 |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
KR101856365B1 (ko) | 2016-10-13 | 2018-05-09 | 김광섭 | 임플란트 유닛 |
KR20190107228A (ko) * | 2018-03-07 | 2019-09-19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
KR20190136480A (ko) * | 2018-05-31 | 2019-12-10 | 주식회사 메디덴 | 치과용 임플란트 |
KR20200142279A (ko) * | 2019-06-12 | 2020-12-22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30022004A (ko) * | 2021-08-06 | 2023-02-14 | 김윤동 | 임플란트 유닛 |
-
2015
- 2015-06-08 KR KR1020150080914A patent/KR10160817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6365B1 (ko) | 2016-10-13 | 2018-05-09 | 김광섭 | 임플란트 유닛 |
KR101831612B1 (ko) * | 2017-11-07 | 2018-02-26 | 백승관 |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
WO2019093659A1 (ko) * | 2017-11-07 | 2019-05-16 | 백승관 |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
CN111432747A (zh) * | 2017-11-07 | 2020-07-17 | 新世纪医疗技术有限公司 | 一体式的牙科用植入物 |
KR20190107228A (ko) * | 2018-03-07 | 2019-09-19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
KR102125419B1 (ko) | 2018-03-07 | 2020-06-23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
KR20190136480A (ko) * | 2018-05-31 | 2019-12-10 | 주식회사 메디덴 | 치과용 임플란트 |
KR102131972B1 (ko) | 2018-05-31 | 2020-07-09 | 주식회사 메디덴 | 치과용 임플란트 |
KR20200142279A (ko) * | 2019-06-12 | 2020-12-22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102289250B1 (ko) * | 2019-06-12 | 2021-08-13 | (주)포인트닉스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KR20230022004A (ko) * | 2021-08-06 | 2023-02-14 | 김윤동 | 임플란트 유닛 |
KR102618565B1 (ko) | 2021-08-06 | 2023-12-27 | 김윤동 | 임플란트 유닛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8176B1 (ko) | 임플란트 유닛 | |
RU2612487C2 (ru) |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 |
ES2325054T3 (es) | Implante dental enosal. | |
US6273720B1 (en) | Dental implant system | |
KR101173758B1 (ko) |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 |
ES2381376T3 (es) | Implante dental | |
KR101091587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 |
KR102562065B1 (ko) | 치아 연결 시스템 | |
JP7138707B2 (ja) |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 |
JPS618043A (ja) | 義歯保持体を取付けるための顎骨内植込み子 | |
KR20060135786A (ko) | 뼈에 사용하기 위한 앵커링 요소 | |
US20080081316A1 (en) | Fixture | |
US20090191508A1 (en) | Mini implant | |
KR101660183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0662583B1 (ko) |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 |
KR200489041Y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2321570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US10743966B2 (en) | Implant unit | |
KR101219149B1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
KR102165212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608170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608167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740181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608169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20190122285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