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565B1 -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565B1
KR102618565B1 KR1020210104112A KR20210104112A KR102618565B1 KR 102618565 B1 KR102618565 B1 KR 102618565B1 KR 1020210104112 A KR1020210104112 A KR 1020210104112A KR 20210104112 A KR20210104112 A KR 20210104112A KR 102618565 B1 KR102618565 B1 KR 10261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abutment
hole
coupl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004A (ko
Inventor
김윤동
Original Assignee
김윤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동 filed Critical 김윤동
Priority to KR102021010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5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 사용자의 저작 활동 시에 횡방향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며, 저작 활동으로 인해 인공 치근 및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유닛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유닛 {IMPLANT UNI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사용자의 저작 활동 시에 횡방향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며, 저작 활동으로 인해 인공 치근 및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결손된 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 지지 용도로 턱뼈 안이나 위에 픽스쳐를 식립하여 인공치아를 고정 사용하는 치과용 보철물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환자의 치조골에 외과 시술을 통해 인공 치근(픽스쳐)를 식립한다.
이후, 환자의 구강 내 환경에 맞추어 원하는 형태의 지대주(어버트먼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잇몸을 절개하여, 원하는 형태의 지대주에 맞게 잇몸을 형성하는 힐링용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장착하고 1~2 주 정도의 잇몸 회복 기간을 갖는다.
이후, 보철물(크라운)과 함께 설치 사용할 지대주를 기공소에서 제작하여 구강 내 장착하거나, 또는 기성품으로 만들어진 지대주를 장착하고, 장착된 지대주 상에 기공소에서 제작한 보철물을 장착한다.
그런데, 자연치와 달리 임플란트는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하는 저작(咀嚼)압력에 취약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즉, 자연치의 경우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하는 저작압력에 의한 충격을 치주인대에서 흡수하여 치아를 보호하지만, 치조골에 직접 식립되는 임플란트는 치주인대와 같은 생리적인 완충 요소가 없으므로, 보철물이 음식물을 씹을 때의 저작압력이 보철물에 그대로 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을 씹을 때에는 혀, 입술, 뺨 등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을 구강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악과 하악 간의 수직 압력과 함께 다양한 방향의 횡방향 외력이 치아에 가해지게 된다.
그런데, 지대주 상에 보철물이 장착되는 종래의 임플란트는 횡방향 외력에 취약하다는 한계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00060 (2012.09.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6242 (2012.09.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6666 (2005.09.1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7692 (2012.11.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사용자의 저작 활동 시에 횡방향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며, 저작 활동으로 인해 인공 치근 및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감안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결합 가능하며, 상단부에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의 중심부에 하부 측으로 연장된 스크류 결합용 홀이 형성된 인공 치근; 기저부가 상기 인공 치근의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기저부의 상부 측으로 본체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 측으로 보철물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 결합부, 본체부 및 기저부를 관통하여 스크류 관통용 홀이 형성된 지대주; 상기 스크류 관통용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류 결합용 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지대주를 상기 인공 치근에 고정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지대주의 보철물 결합부에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보철물;을 포함하며, 상기 보철물 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원형의 스크류 관통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관통용 홀의 외측에 동심원 형태를 가지면서 하부 측으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환형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은,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기둥 형상의 외측면에 외삽되는 주 삽입면과,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환형 요홈부에 내삽되는 환형 삽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닛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철물의 환형 삽입부의 하단부와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환형 요홈부의 요홈 저면부의 사이에는 완충용 실리콘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하부 측 외주연에는 환형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의 주 삽입면에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가 상기 환형의 그루브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대주의 보철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지대주의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보철물의 하부면에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지지수단이 분산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 설치 홀과, 각각의 스프링 설치 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받는 볼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 설치 홀의 하부 측에는 스프링 설치 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제공하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지지체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 측에 고정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지대주의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스프링 설치 홀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 지지체 노출 홀이 관통 형성된 환형의 지지판체가 적층 설치되고,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은 상기 볼 지지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설치 홀에 삽입된 볼 지지체는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을 통해 상부로 일부 노출되되,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을 통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제공받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체는 상기 지대주 및 상기 보철물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임플란트 사용자의 저작 활동 시에 횡방향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며, 저작 활동으로 인해 인공 치근 및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결합 상태 단면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상태 단면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설치 상태 단면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탄성 지지수단의 단면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탄성 지지수단의 단면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결합 상태 단면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상태 단면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설치 상태 단면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탄성 지지수단의 단면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유닛은, 임플란트 사용자의 저작 활동 시에 횡방향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며, 저작 활동으로 인해 인공 치근 및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유닛은, 인공 치근(10), 지대주(20), 스크류(30) 및 보철물(40)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 치근(10)은 치조골(2)에 결합 가능하며, 상단부에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의 중심부에 하부 측으로 연장된 스크류 결합용 홀(14)이 형성된다. 부호 11은 인공 치근(10)의 본체부이며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는 지대주(20)의 삽입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스크류 결합용 홀(14)은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의 저면부의 중심부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크류 결합용 홀(14)의 깊이 방향 일 지점에는 스크류(30)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대주(20)는, 기저부(22)가 상기 인공 치근(10)의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기저부(22)의 상부 측으로 본체부(24)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4)의 상부 측으로 보철물 결합부(26)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 결합부(26), 본체부(24) 및 기저부(22)를 관통하여 스크류 관통용 홀(28)이 형성된다. 스크류 관통용 홀(28)의 상부 측은 스크류(30)의 나사 머리(30b)가 통과 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 스크류(30)의 나사 머리(30b)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단턱부가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기저부(22)의 하부 측에는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에 삽입 결합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다각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12)에도 이에 상응하는 다각형상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0)는 상기 스크류 관통용 홀(28)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류 결합용 홀(14)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지대주(20)를 상기 인공 치근(1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30)의 하단부에는 수나사부(30a)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나사 머리(30b)가 형성된다.
상기 보철물(40)은 상기 지대주(20)의 보철물 결합부(26)에 삽입식으로 결합된다. 일예로 상기 보철물(40)은 PFM(Porcelain Fused to metal), 금, 지르코니아 등 통상의 보철물용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철물 결합부(2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보철물 결합부(26)의 중심 측에 상하 방향으로 원형의 스크류 관통용 홀(28)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관통용 홀(28)의 외측에 동심원 형태를 가지면서 하부 측으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환형 요홈부(27)가 형성된다. 보철물 결합부(26)의 외측면 일측에는 보철물(40)과 삽입 결합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평면부(2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철물(40)에도 이에 상응하는 또다른 부분평면부(4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철물(40)의 환형 삽입부(47)의 하단부(47a)와 상기 보철물 결합부(26)의 환형 요홈부(27)의 요홈 저면부(27a)의 사이에는 완충용 실리콘층(50)이 형성된다.
완충용 실리콘층(50)은, 경질의 보철물(40)의 환형 삽입부(47)의 하단부(47a)와 경질의 지대주(20)의 환형 요홈부(27)의 요홈 저면부(27a)가 완충용 소재층을 개재하여 상호 대면 결합하도록 하여,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하는 저작압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실리콘은 인체 무해성을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정 성분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 치과 인상 체득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치과용 실리콘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예로, 완충용 실리콘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은 보철물(40)을 지대주(20)에 결합하기 전에 환형 요홈부(27)의 요홈 저면부(27a)에 도포하거나 환형으로 미리 제작된 실리콘 소재 링이 환형 요홈부(27)의 요홈 저면부(27a)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보철물(40)은, 상기 보철물 결합부(26)의 기둥 형상의 외측면에 외삽되는 주 삽입면(46)과, 상기 보철물 결합부(26)의 환형 요홈부(27)에 내삽되는 환형 삽입부(47)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을 때에는 혀, 입술, 뺨 등을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을 구강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악과 하악 간의 수직 압력과 함께 다양한 방향의 횡방향 외력이 치아에 가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보철물(40)은 주 삽입면(46)과 함께 환형 삽입부(47)를 구비하므로,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하는 횡방향 압력에 대해 더욱 견고한 횡방향 지지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보철물 결합부(26)의 하부 측 외주연에는 환형의 그루브(26a)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40)의 주 삽입면(46)에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46a)가 상기 환형의 그루브(26a)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환형의 돌출부(46a)와 상기 환형의 그루브(26a)를 이용한 결합 구조는 보철물(40)을 360도 전 방향에 걸쳐서 횡방향 및 종방향 압력에 대응하여 지대주(20)에 견고한 걸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한편, 상기 지대주(20)의 보철물 결합부(26)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지대주(20)의 본체부(24)의 상부면(25)에는 상기 보철물(40)의 하부면(45)에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지지수단(60)이 분산 설치된다. 일예로, 상기 분산 설치는 지대주(20)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탄성 지지수단(60)이 대칭형으로 설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4개의 탄성 지지수단(60)이 대칭형으로 설치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 설치된 복수의 탄성 지지수단(60)은, 경질의 보철물(40)의 하부면(45)과 경질의 지대주(20)의 본체부(24)의 상부면(25) 사이에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하는 저작압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탄성 지지수단(60)은, 상기 본체부(24)의 상부면(25)에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 설치 홀(62)과, 각각의 스프링 설치 홀(62)에 삽입되는 스프링(64)과, 상기 스프링(64)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64)의 탄성 지지력을 받는 볼 지지체(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완충용 실리콘층(50)은 실리콘 소재의 탄성 특성에 의해 특히 중앙 측에서 저작 시의 미세한 완충감을 제공하며, 스프링(64)의 탄성 지지력을 받는 볼 지지체(66)는 기구적 구성에 의한 탄성 지지력을 통해 실리콘층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 복원력에 기초한 완충 기능을 특히 주변 측에서 제공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위치 및 탄성 특성을 갖는 완충 수단에 의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유닛은 임플란트 사용자의 저작 활동 시에 인공 치근 및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지지수단(60)은 조립 설치의 관점에서 스프링(64)과 볼 지지체(66)가 스프링 설치 홀(6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 설치 홀(62)의 하부 측에는 스프링 설치 홀(62)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64)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제공하는 걸림 돌출부(62a)가 형성되며, 상기 볼 지지체(66)는 상기 스프링(64)의 상부 측에 고정 결합된다. 볼 지지체(66)의 고정 결합은 용접, 솔더링, 접착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부호 B는 볼 지지체(66)와 스프링(64)의 고정 결합 부위를 나타내며, 부호 CP는 보철물(40)의 하부면(45)과 볼 지지체(66)가 만나는 접점을 나타내며, 부호 A는 보철물(40)의 결합 시에 그 하부면(45)에 의해 볼 지지체(66)가 가압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보철물(40)이 아직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지대주(20)의 스프링 설치 홀(62)로부터 스프링(64)과 볼 지지체(66)가 삽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보철물(40)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의 탄성 지지수단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상기 볼 지지체(66)가 스프링 설치 홀(6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또다른 구성을 갖는다.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지대주(20)의 본체부(24)의 상부면(25)에는, 각각의 스프링 설치 홀(62)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 지지체 노출 홀(68a)이 관통 형성된 환형의 지지판체(68)가 적층 설치된다.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68a)은 상기 볼 지지체(6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설치 홀(62)에 삽입된 볼 지지체(66)는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68a)을 통해 상부로 일부 노출되되,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68a)을 통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제공받는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보철물(40)이 아직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지대주(20)의 스프링 설치 홀(62)로부터 스프링(64)과 볼 지지체(66)가 삽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보철물(40)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체(68)는 상기 지대주(20) 및 상기 보철물(40)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일예로, 환형의 지지판체(68)는 인체 무해성을 갖는 얇은 금속판, 고분자 소재판이 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체(68)가 지대주(20) 및 보철물(40)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 지지수단(60) 및 완충용 실리콘층(50)과 함께 완충 소재로서의 기능을 더욱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2: 치조골
10: 인공 치근
12: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
14: 스크류 결합용 홀
20: 지대주
22: 기저부
24: 본체부
25: 본체부의 상부면
26: 보철물 결합부
26a: 그루브
27: 환형 요홈부
28: 스크류 관통용 홀
30: 스크류
40: 보철물
45: 보철물의 하부면
46: 주 삽입면
46a: 돌출부
47: 환형 삽입부
50: 완충용 실리콘층
60: 탄성 지지수단
62: 스프링 설치 홀
62a: 걸림 돌출부
64: 스프링
66: 볼 지지체
68: 지지판체
68a: 볼 지지체 노출 홀

Claims (8)

  1. 치조골에 결합 가능하며, 상단부에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의 중심부에 하부 측으로 연장된 스크류 결합용 홀이 형성된 인공 치근;
    기저부가 상기 인공 치근의 지대주 결합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기저부의 상부 측으로 본체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 측으로 보철물 결합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 결합부, 본체부 및 기저부를 관통하여 스크류 관통용 홀이 형성된 지대주;
    상기 스크류 관통용 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크류 결합용 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지대주를 상기 인공 치근에 고정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지대주의 보철물 결합부에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보철물;을 포함하며,
    상기 보철물 결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원형의 스크류 관통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관통용 홀의 외측에 동심원 형태를 가지면서 하부 측으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환형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은,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기둥 형상의 외측면에 외삽되는 주 삽입면과,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환형 요홈부에 내삽되는 환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대주의 보철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지대주의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보철물의 하부면에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지지수단이 분산 설치되고,
    상기 탄성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 설치 홀과, 각각의 스프링 설치 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받는 볼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지대주의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스프링 설치 홀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 지지체 노출 홀이 관통 형성된 환형의 지지판체가 적층 설치되고,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은 상기 볼 지지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설치 홀에 삽입된 볼 지지체는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을 통해 상부로 일부 노출되되, 상기 볼 지지체 노출 홀을 통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의 환형 삽입부의 하단부와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환형 요홈부의 요홈 저면부의 사이에는 완충용 실리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결합부의 하부 측 외주연에는 환형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보철물의 주 삽입면에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가 상기 환형의 그루브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는 상기 지대주 및 상기 보철물보다 더 낮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유닛.
KR1020210104112A 2021-08-06 2021-08-06 임플란트 유닛 KR10261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12A KR102618565B1 (ko) 2021-08-06 2021-08-06 임플란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12A KR102618565B1 (ko) 2021-08-06 2021-08-06 임플란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04A KR20230022004A (ko) 2023-02-14
KR102618565B1 true KR102618565B1 (ko) 2023-12-27

Family

ID=8522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12A KR102618565B1 (ko) 2021-08-06 2021-08-06 임플란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5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3845A1 (de) 2003-08-05 2005-02-17 Paraplant 2000 Ohg Implantatteil für ein zahnimplantat
KR101608176B1 (ko)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66Y1 (ko) 2005-05-02 2005-09-26 장성욱 임플란트 원추형나사
KR200463189Y1 (ko) 2011-02-28 2012-10-23 (주)에큐세라 임플란트 시스템
KR20120100060A (ko) 2011-03-02 2012-09-12 주식회사 네오비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16348B1 (ko) 2011-05-15 2012-12-27 이도상 완충형 임플란트
KR20140029191A (ko) * 2012-08-28 2014-03-10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48805B1 (ko) * 2013-09-23 2015-08-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3845A1 (de) 2003-08-05 2005-02-17 Paraplant 2000 Ohg Implantatteil für ein zahnimplantat
KR101608176B1 (ko)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04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353B1 (ko) 치아 임플란트
US4488875A (en) Connector for overdenture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KR1020850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9675434B2 (en) Dental bridge
KR101707905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10939983B2 (en) Dental implant unit
KR10232157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10709526B2 (en) Dental implant
KR102618565B1 (ko) 임플란트 유닛
US20220273402A1 (en) Implant abutment
KR101067752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US11779438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1596504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038772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230038580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039996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044939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172695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CN218636120U (zh) 一种高稳定性义齿
KR20180082913A (ko) 임플란트용 멀티 스캔 어버트먼트
KR20240040796A (ko) 치과용 부착 조립체, 각형성된 임플란트 조립체, 및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