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365B1 -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365B1
KR101856365B1 KR1020160132961A KR20160132961A KR101856365B1 KR 101856365 B1 KR101856365 B1 KR 101856365B1 KR 1020160132961 A KR1020160132961 A KR 1020160132961A KR 20160132961 A KR20160132961 A KR 20160132961A KR 101856365 B1 KR101856365 B1 KR 10185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artificial
root
artificial root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970A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102016013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3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3Details of the shape having more than one 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 1 구조체; 및 상기 제 1 구조체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갖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유닛{Implant uni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인공 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치아이다. 상기 인공 치아는 충치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연 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자연 치아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치과적 질병의 증상과 예후에 따라 상기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를 대체하고자 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브릿지, 틀니 또는 치조골 내의 매식이란 세 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상기 브릿지의 경우, 건강한 인접 치아를 깎아내야만 하므로 자연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치아 뿌리가 없어 저작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십년 정도로 그리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틀니의 경우에는 자연 치아의 손상과 치조골이 사용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흡수되는 현상과 사용시 구강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사용자에게 구강 내 이물감을 주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 및 틀니는 치조골이 튼튼한 이상 그 적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임플란트 방법은 치조골이 치료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인접한 자연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독립적 시술이 가능하고,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 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이 우수하여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유닛은 관리 상태에 따라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바람직하다.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치아 역할을 하는 보철물(crown),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하는 인공 치근(fixture)와 상기 보철물과 상기 인공 치근 사이를 연결하는 지대주(abutment)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경우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어서 섭취하는 행위 등을 통해 구강 내에서 지속적인 하중이 반복될 때, 치조골과 임플란트 유닛의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지속적인 응력 집중에 의해 임플란트 유닛이 치조골 내로의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치조골의 파괴 또는 임플란트 유닛의 치조골 내로의 흡수 현상으로 인해, 추가적인 병증을 유발하거나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 감소 또는 치조골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496호 "임플란트 장치 "(등록일자: 2013.11.14)
(특허문헌 00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246호 "임플란트용 체결부재"(등록일자: 2016.08.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플란트 유닛이 견고하게 치조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치조골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켜서 임플란트 유닛 의 수명 연장 또는 치조골의 손상 방지를 위한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 1 구조체; 및 상기 제 1 구조체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갖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조체는 상기 돌출부와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조체는 너트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너트 형상의 상단부는 일정 곡률을 가질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조체는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조체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구조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텝부는 상기 제 2 구조체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조체의 상기 삽입 홈의 내측벽과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구조체의 외측벽 사이는 유격을 가지며, 상기 유격 내에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체의 외측 상단부와 상기 제 2 구조체의 내측 상단부 사이에는 수직 응력의 완충을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지대주의 상기 제 1 구조체와 제 2 구조체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인공 치근에 상기 지대주 결합 시 상기 결합 홀과 정렬되는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홀 및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에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트렌치 구조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인공 치근의 내측 몸체로 정의되고, 상기 트렌치 구조의 바깥 영역이 외측 몸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몸체로 정의되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 단면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대주의 회전 및 슬립 방지를 위해 다각형 단면 및 슬립 방지 요철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렌치 구조는 상기 인공 치근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지대주가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트렌치 구조 내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와 상기 트렌치 구조 사이에는 형성된 일정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외측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지대주의 상기 제 2 구조체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 형태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PVP)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알긴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는 상기 인공 치근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된 홈 형태의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의 상기 홈 형태는 피라미드형, 테이퍼(taper)형 및 필라(pillar)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는 상기 공간부와 치조골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를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치근과 결합하는 지대주가 제 1 구조체 및 제 2 구조체로 구성됨으로써, 지대주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을 연장 시키고 치조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조골에 임플란트 유닛의 매식 시에 인공 치근이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매식될 수 있도록 하며, 인공 치근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 치조골이 증식됨으로써, 인공 치근과 치조골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b에 도시된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지대주를 구성하는 제 1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구조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지대주를 구성하는 제 2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 2 구조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1b에 도시된 지대주를 구성하는 제 2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 2 구조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B)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유닛(100A 또는 100B)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A 또는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대주(120A, 120B)는 결합 부재(130)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에 결합될 수 있다. 지대주(120A 또는 120B)의 상부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상측(A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A)은 잇몸으로 덮인 치조골에 직접 매식되어 기둥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A)의 최대 직경 또는 폭은 1㎜ 내지 8㎜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 내이다.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은 치조골에 매식되어 치조골과 유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의 외관은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 전체가 일정한 폭을 갖는 필라(pillar) 형상을 갖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공 치근(110A)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0A-1)과 같은 쓰레드(threa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 치근(110A)은 매식 시 치조골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은 티타늄(Ti), 텅스텐(W), 알루미늄(Al), 하프늄(Hf), 니오븀(Nb), 탄탈륨(Ta), 지르코늄(Zr), 백금(Pt),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식이 없고 적합한 강도와 생체 적합성을 갖는 다른 금속, 금속이 아닌 세라믹 인공뼈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가 인공 치근(110)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은 그 표면 상에 치조골과의 반응성을 촉진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생체 활성이 우수한 수산화아파타이트[Ca10(PO4)6(OH)2, HA]와 같은 인산칼슘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A) 상에 TiO2, Ta2O5, Nb2O5, ZrO2, SiO2, RuO2, MoO2, MoO3, VO, VO2, V2O3, V2O5, CrO2, 또는 CrO3 와 같은 금속 세라믹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코팅 재료로서 골유착을 촉진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공 치근(110A)은 공간부(110A-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부(110A-2)는 인공 치근(110A)의 하단부로부터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110A-2)는 치조골(AB)에 인공 치근(110A)이 매식된 경우, 잇몸(G)과 치조골(AB) 사이에서 영양 공급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의 하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110A-2)가 형성되면, 잇몸(G)으로부터 치조골(AB)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AB)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AB)의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A)이 공간부(110A-2)를 구비하면, 치조골(AB)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공간부(110A-2)의 깊이는 인공 치근(110A)의 하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5 % 내지 80%의 범위 내의 깊이를 갖는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5% 미만의 깊이에서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되지 않아 전술한 채널 역할을 할 수 없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기계적 지지력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공간부(110A-2)의 홈 형태는 도 1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의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공 치근(110A)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 구조가 피라미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공간부(110A-2)의 형태는 테이퍼(taper)형 또는 필라(pillar)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공간부(110A-2)의 형태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일 수 있으며,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같은 필라 형태일 수도 있다.
인공 치근(110A)은 공간부(110A-2)의 측방에 해당되는 일 영역에 공간부(110A-2)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 홀(110A-3)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홀(110A-3)은 공간부(110A-2)를 채우는 치조골(AB)과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치조골(AB)을 서로 연결시켜,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100A)의 안정성을 높이고, 인공 치근(110A)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되는 치조골(AB) 상호 간의 영양 공급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혹은 통로 역할을 한다. 보다 원활한 영양 공급을 위해, 연통 홀(110A-3)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 개의 연통 홀(110A-3)이 예컨대, 그물망 구조를 이루도록 촘촘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연통 홀(110A-3)은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은 공간부(110A-2)를 측면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슬릿(110A-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0A-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인공 치근(110A)의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슬릿(110A-4)은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슬릿(110A-4)은 인공 치근(110A)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릿(110A-4)의 형성으로 인해, 인공 치근(110A)의 하부가 외력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치조골(AB) 부분과 공간부(110A-2) 내의 치조골(AB) 부분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AB)의 각 부분 간에 영양 공급이 슬릿(110A-4)을 통해 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을 따라 슬릿(110A-4)이 형성되면, 잇몸(G)과 치조골(AB) 사이의 영양 공급 채널이 증가 혹은 다양화되어, 잇몸으로부터 치조골(AB)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AB)의 안정화를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슬릿(110A-4)이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치조골(AB)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보다 많은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0A-2) 및 슬릿(110A-4)을 통해, 임플란트 유닛(100A)의 사용 중 치조골(AB)이 녹아 치주낭이 형성된 경우 치주낭이 잇몸 속으로 깊게 진행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인플란트 유닛(100A)이 매식되는 치조골(AB)의 두께가 얇더라도 큰 직경의 임플란트 유닛(100A)을 안정적으로 이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공 치근(100A)의 상부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다. 도 1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00A)의 상부의 일부 영역에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트렌치 구조(110A-5)에 의해 돌출부가 인공 치근의 내측 몸체(110A-7)로 정의되고, 트렌치 구조(110A-5)의 바깥 영역이 외측 몸체(110A-6)로 정의될 수 있다.
트렌치 구조(110A-5)는 인공 치근(110A)의 깊이 방향으로 하강 홈을 가지며, 지대주(120A)가 인공 치근(110A)의 트렌치 구조(110A-5) 내에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트렌치 구조는(110A-5)는 인공 치근(110A)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측 몸체(110A-7)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에 지대주(120A) 결합 시 인공 치근(110A)의 상단부에 형성된 트렌치 구조는(110A-5)는 홈으로 작용하여, 이에 상응하는 돌출 형태를 갖는 지대주(120A)의 하단부와 암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지대주(120A)의 하단부와 트렌치 구조(110A-5)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대주(120A)의 하단부와 트렌치 구조(110A-5) 사이에 형성된 일정 공간 내에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PVP)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알긴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 구조(110A-5)의 바깥 벽면에 대응하는 외측 몸체(110A-6)의 내주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대주(120A)의 하부 외주면은 외측 몸체(110A-6)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몸체(110A-6)의 내주면이 경사면을 이루면, 지대주(120A)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이들 간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유닛(100A)의 수명이 증가되고, 시술 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110A-6)의 내주면이 가이드 역할을 하여 지대주(120A)와 인공 치근(110A)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트렌치 구조(110A-5)의 안쪽 벽면에 대응하는 내측 몸체(110A-7)의 외주면은 지대주(120A)와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의 상단부와 지대주(120A)의 하단부가 암수 결합되면, 내측 몸체(110A-7)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지대주(120A)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한 결합에 의해 지대주(120A)의 상대 회전 및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의 내측 몸체(110A-7)의 상부 중심 부분은 결합 부재(130)와 체결하기 위한 결합 홈(110A-7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10A-71)은 지대주(120A)가 인공 치근(110A)에 결합되는 경우, 지대주(120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홀(120A-5)과 정렬되어 내측 몸체(110A-7)의 상부 중심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홀(120A-5)과 결합 홈(110A-71)이 결합 부재(130)에 의해 결합되어, 인공 치근(110A)과 지대주(120A)의 강성 결합이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130)는 헤드가 없는 결합 부재일 수도 있고, 헤드가 있는 결합 부재일 수도 있다.
도 3a는 도 1b에 도시된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상측(A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B)은 잇몸으로 덮인 치조골에 직접 매식되어 기둥 역할을 한다. 인공 치근(110B)의 하부 외주면은 치조골(AB)에 매식되어 치조골(AB)과 유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치근(110B)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110B-1)과 같은 쓰레드(threa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 치근(110B)은 매식 시 치조골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의 하부는 공간부(110B-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부(110B-2)는 인공 치근(110B)의 하단부로부터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110B-2)는 치조골(AB)에 인공 치근(110B)이 매식된 경우, 잇몸(G)과 치조골(AB) 사이에서 영양 공급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간부(110B-2)의 홈 형태는 인공 치근(110B)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 구조가 피라미드 형태일 수 있으며, 테이퍼(taper)형 또는 필라(pillar)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인공 치근(110B)은 공간부(110B-2)의 측방에 해당되는 일 영역에 공간부(110B-2)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 홀(110B-3)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홀(110B-3)은 공간부(110B-2)를 채우는 치조골(AB)과 인공 치근(110B)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치조골(AB)을 서로 연결시켜,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100B)의 안정성을 높이고, 인공 치근(110B)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되는 치조골(AB) 상호 간의 영양 공급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혹은 통로 역할을 한다. 보다 원활한 영양 공급을 위해, 연통 홀(110B-3)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 개의 연통 홀(110B-3)이 예컨대, 그물망 구조를 이루도록 촘촘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연통 홀(110B-3)은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은 공간부(110B-2)를 측면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슬릿(110B-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0B-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인공 치근(110B)의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슬릿(110B-4)은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슬릿(110B-4)은 인공 치근(110B)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릿(110B-4)의 형성으로 인해, 인공 치근(110B)의 하부가 외력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B)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치조골(AB) 부분과 공간부(110B-2) 내의 치조골(AB) 부분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AB)의 각 부분 간에 영양 공급이 슬릿(110B-4)을 통해 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인공 치근(110B)의 외주면을 따라 슬릿(110B-4)이 형성되면, 잇몸(G)과 치조골(AB) 사이의 영양 공급 채널이 증가 혹은 다양화되어, 잇몸으로부터 치조골(AB)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AB)의 안정화를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슬릿(110B-4)이 인공 치근(110B)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치조골(AB)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보다 많은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
인공 치근(100B)의 상부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110B-6)를 갖는다. 도 1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00B)의 하부 외주면(110B-1)에서 인공 치근(100B)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스텝 구조(110B-5)에 의해 돌출부(110B-6)가 인공 치근의 상부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스텝 구조(110B-5)는 인공 치근(110B)과 지대주(120B)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확보된 공간 내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 탄성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생체 적합성을 갖는 고분자 탄성체는 지대주(120B)의 상대 운동에 탄성적 거동을 가능하게 하여 인가되는 응력의 흡수 및 분산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또는 알긴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분자 탄성체는 자연 치아의 치근막 역할을 하여 임플란트 유닛을 보호하고 치조골 흡수를 예방하여 수술 후 즉시 치아로서의 기능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110B-6)의 외주면은 지대주(120B)와의 결합을 위한 위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의 상단부와 지대주(120B)의 하단부가 암수 결합되면, 돌출부(110B-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지대주(120B)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결합에 의해 지대주(120B)의 상대 회전 및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110B-6)의 상부 중심 부분은 결합 부재(130)와 체결하기 위한 결합 홈(110B-6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10B-61)은 지대주(120B)가 인공 치근(110B)에 결합되는 경우, 지대주(120B)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홀(120B-5)과 정렬되어 돌출부(110B-6)의 상부 중심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홀(120B-5)과 결합 홈(110B-61)이 결합 부재(130)에 의해 결합되어, 인공 치근(110B)과 지대주(120B)의 강성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B-6)의 하부 단면(B-B')은 돌출부(110B-6)에 결합되는 지대주(120A)의 회전 및 슬립 방지를 위해 다각형 단면 및 슬립 방지 요철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를 위한 돌출부(110B-6)의 하부 단면(B-B')구조는, 사각, 오각 또는 타원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10B-6)의 하부 단면(B-B')이 다각형 단면을 가짐에 따라, 지대주(120A)가 인공 치근(110A)에 결합된 경우에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0B-6)의 상단부에는 슬립 방지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치근(110A)의 상단부와 지대주(120A)의 하단부가 암수 결합되면, 돌출부(110B-6)의 상단부 구조에 의해, 지대주(120A)의 상대 회전 및 슬립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의 인공 치근(110B)은 인공 치근(110B)의 상부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의 외측 몸체(110A-6)가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 치근(110B)에서 외측 몸체가 생략되면, 그 만큼 인공 치근(110B)의 부피 혹은 폭이 감소되므로, 두께가 얇은 치조골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을 뼈 이식 없이도 매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지대주(120A)를 구성하는 제 1 구조체(120A-1)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구조체(120A-1)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지대주(120B)의 제 1 구조체(120B-1)의 구조는 도 1a에 도시된 지대주(120A)의 제 1 구조체(120A-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하에서는 지대주(120A)의 제 1 구조체(120A-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구조체(120A-1)는 인공 치근(110A)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110A-7)와 결합한다. 제 1 구조체(120A-1)는 돌출부(110A-7)와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을 위해, 제 1 구조체(120A-1)의 내주면(120A-11)은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조체(120A-1)의 내주면(120A-11)은 인공 치근(110A)의 상부 외주면과 결합을 위해 암수 나사 결합을 위해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조체(120A-1)는 너트 형상을 포함하며, 너트 형상의 상단부(120A-12)는 일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곡률은 황금 곡률비를 예시할 수 있다. 즉, 중심부로 갈수록 반경이 짧아지는 곡률을 가지며, 이는 지대주 외측부에서 오는 응력을 임프란트 중심부로 모을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임프란트 전표면으로 응력을 분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지대주(120A)를 구성하는 제 2 구조체(120A-2)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 2 구조체(120A-2)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 2 구조체(120A-2)는 상부에 보철물(1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20A-21)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20A-21)는 지대주(120A)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둥이나 속이 빈 원기둥이나 원뿔 등과 같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A-21)는 결합되는 보철물(14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A-2)는 하부에 제 1 구조체(120A-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 홈(120A-2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120A-22)은 제 1 구조체(120A-1)를 에워쌀 수 있는 크기의 홈을 갖는다. 삽입 홈(120A-22)이 형성된 제 2 구조체(120A-2)의 하부는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20A-23)을 포함한다. 슬릿(120A-2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슬릿(120A-23)은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슬릿(120A-23)은 제 2 구조체(120A-2)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릿(120A-23)의 형성으로 인해, 제 2 구조체(120A-2)의 하부가 외력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A-2)의 하부를 측면으로 확장함으로써, 제 1 구조체(120A-1)을 제 2 구조체(120A-2)의 삽입 홈(120A-22)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제 1 구조체(120A-1)가 제 2 구조체(120A-2)의 삽입 홈(120A-22)에 삽입됨으로써, 인공 치근(110A)과 결합하기 위한 지대주(120A)가 완성될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A-2)는 하부에 제 1 구조체(120A-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텝부(120A-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부(120A-24)는 제 2 구조체(120A-2)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스텝부(120A-24)가 제 2 구조체(120A-2)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짐에 따라, 제 1 구조체(120A-1)가 제 2 구조체(120A-2)의 삽입 홈(120A-22)에 삽입될 때, 제 1 구조체(120A-1)가 제 2 구조체(120A-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대주(120A)는 제 2 구조체(120A-2)의 삽입 홈(120A-22)의 내측벽과 삽입 홈(120A-22)에 삽입되는 제 1 구조체(120A-1)의 외측벽 사이에 유격(120A-3)을 가지며, 유격 내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탄성체일 수 있으며, 고분자 탄성체는 제 2 구조체(120-2)의 움직임에 따른 응력의 흡수 및 분산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또는 알긴산일 수 있다.
지대주(120A)는 제 1 구조체(120A-1)의 외측 상단부와 제 2 구조체(120A-2)의 내측 상단부 사이에는 수직 응력의 완충을 위한 탄성 부재(120A-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0A-4)는 제 2 구조체(120A-2)의 삽입 홈(120A-22)의 내측벽에 삽입되는 것으로 링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부재(120A-4)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탄성체일 수 있으며, 고분자 탄성체는 지대주(120A)에 인가되는 응력의 흡수 및 분산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또는 알긴산일 수 있다.
지대주(120A)는 상부에 제 1 구조체(120A-1)와 제 2 구조체(120A-2)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120A-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120A-5)은 결합 부재(130)과 나사 결합 또는 삽이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대주(120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홀(120A-5)과 인공 치근(110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홈(110A-71)이 결합 부재(13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결합 부재(130)는 인공 치근(110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A)의 결합 홀(120A-5)을 관통하여 인공 치근(110A)의 결합 홈(110A-71) 내에 삽입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지대주(120A)가 인공 치근(110A)에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지대주(120A)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지대주(120A)로부터 인공 치근(110A)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결합 부재(130)를 사용하는 경우는 임플란트 이식 수술 후 즉시 기능을 원할 때이다. 결합 부재(130)는 기계적 강성이 약할 수 있는 인공 치근(110A)의 기계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티타늄(Ti), 또는 의과용 스테인리스 스틸(surgical 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또는 이의 합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유닛(100A)은 인공 치근(110A)의 외측 몸체(110A-6)의 내주면과 지대주(120A)의 제 2 구조체(120A-2)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 형태의 탄성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60)는 지대주(120A)의 움직임에 따른 응력을 흡수하거나 인공 치근(110A)에 전달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탄성 부재(160)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탄성체일 수 있으며, 고분자 탄성체는 지대주(120A)에 인가되는 응력의 흡수 및 분산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또는 알긴산일 수 있다.
도 6a는 도 1b에 도시된 지대주(120b)를 구성하는 제 2 구조체(120B-2)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 2 구조체(120B-2)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구조체(120B-2)는 상부에 보철물(1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20B-21)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120B-21)는 지대주(120B)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둥이나 속이 빈 원기둥이나 원뿔 등과 같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B-2)는 하부에 제 1 구조체(120B-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 홈(120B-2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120B-22)은 제 1 구조체(120B-1)를 에워쌀 수 있는 크기의 홈을 갖는다. 삽입 홈(120B-22)이 형성된 제 2 구조체(120B-2)의 하부는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20B-23)을 포함한다. 슬릿(120B-2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슬릿(120B-23)은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슬릿(120B-23)은 제 2 구조체(120B-2)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릿(120B-23)의 형성으로 인해, 제 2 구조체(120B-2)의 하부가 외력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A-2)의 하부를 측면으로 확장함으로써, 제 1 구조체(120B-1)을 제 2 구조체(120B-2)의 삽입 홈(120B-22)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B-2)는 하부에 제 1 구조체(120B-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텝부(120B-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부(120B-24)는 제 2 구조체(120B-2)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스텝부(120B-24)가 제 2 구조체(120B-2)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짐에 따라, 제 1 구조체(120B-1)가 제 2 구조체(120B-2)의 삽입 홈(120B-22)에 삽입될 때, 제 1 구조체(120B-1)가 제 2 구조체(120B-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구조체(120B-2)는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 전체가 일정한 폭을 갖는 필라(pillar)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20B)는 제 2 구조체(120B-2)의 삽입 홈(120B-22)의 내측벽과 삽입 홈(120B-22)에 삽입되는 제 1 구조체(120B-1)의 외측벽 사이에 유격(120B-3)을 가지며, 유격 내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탄성체일 수 있으며, 고분자 탄성체는 제 2 구조체(120B-2)의 움직임에 따른 응력의 흡수 및 분산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B)는 제 1 구조체(120B-1)의 외측 상단부와 제 2 구조체(120B-2)의 내측 상단부 사이에는 수직 응력의 완충을 위한 탄성 부재(120B-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0B-4)는 제 2 구조체(120B-2)의 삽입 홈(120B-22)의 내측벽에 삽입되는 것으로 링 형태일 수 있다. 탄성 부재(120B-4)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탄성체일 수 있으며, 고분자 탄성체는 지대주(120B)에 인가되는 응력의 흡수 및 분산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대주(120B)는 상부에 제 1 구조체(120B-1)와 제 2 구조체(120B-2)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120B-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120B-5)은 결합 부재(130)과 나사 결합 또는 삽이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0)는 인공 치근(110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A)의 결합 홀(120A-5)을 관통하여 인공 치근(110A)의 결합 홈(110A-71) 내에 삽입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A, 110B: 인공 치근
120A, 120B: 지대주
130: 결합 부재
140: 보철물

Claims (19)

  1. 치조골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 1 구조체; 및
    상기 제 1 구조체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갖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는 상기 돌출부와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임플란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는 너트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너트 형상의 상단부는 일정 곡률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체는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체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구조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텝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는 상기 제 2 구조체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체의 상기 삽입 홈의 내측벽과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상기 제 1 구조체의 외측벽 사이는 유격을 가지며, 상기 유격 내에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의 외측 상단부와 상기 제 2 구조체의 내측 상단부 사이에는 수직 응력의 완충을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지대주의 상기 제 1 구조체와 제 2 구조체를 연통시키는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인공 치근에 상기 지대주 결합 시 상기 결합 홀과 정렬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홀 및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에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트렌치 구조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인공 치근의 내측 몸체로 정의되고, 상기 트렌치 구조의 바깥 영역이 외측 몸체로 정의되는 임플란트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몸체로 정의되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 단면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대주의 회전 및 슬립 방지를 위해 다각형 단면 및 슬립 방지 요철 단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구조는 상기 인공 치근의 외경 방향으로 하강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지대주가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트렌치 구조 내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지대주의 하단부와 상기 트렌치 구조 사이에는 형성된 일정 공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외측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지대주의 상기 제 2 구조체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 형태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5.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폴리비닐파이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PVP)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카프로락톤(poly-carprolactone),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알긴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는 상기 인공 치근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된 홈 형태의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상기 홈 형태는 피라미드형, 테이퍼(taper)형 및 필라(pillar)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는 상기 공간부와 치조골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 홀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임플란트 유닛.

KR1020160132961A 2016-10-13 2016-10-13 임플란트 유닛 KR10185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61A KR101856365B1 (ko) 2016-10-13 2016-10-13 임플란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961A KR101856365B1 (ko) 2016-10-13 2016-10-13 임플란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70A KR20180040970A (ko) 2018-04-23
KR101856365B1 true KR101856365B1 (ko) 2018-05-09

Family

ID=6208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961A KR101856365B1 (ko) 2016-10-13 2016-10-13 임플란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3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67B1 (ko) 2015-01-05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608170B1 (ko) 2015-01-21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608176B1 (ko)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67B1 (ko) 2015-01-05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608170B1 (ko) 2015-01-21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608176B1 (ko)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70A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EP2152190B1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KR102562065B1 (ko) 치아 연결 시스템
KR101608176B1 (ko) 임플란트 유닛
US9072566B2 (en) Dental implant
US20140004481A1 (en) Crestal Implant And Method For Processing Same
JPS618043A (ja) 義歯保持体を取付けるための顎骨内植込み子
KR1010923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11166792B2 (en)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JPH0457344B2 (ko)
KR101660183B1 (ko) 임플란트 유닛
KR10112213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10743966B2 (en) Implant unit
KR102097376B1 (ko) 임플란트의 힘을 분산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090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WO2012059908A1 (en) Multi-threaded dental implant
KR102059960B1 (ko)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KR101608170B1 (ko) 임플란트 유닛
KR101608167B1 (ko) 임플란트 유닛
KR101856365B1 (ko) 임플란트 유닛
KR20180009101A (ko) 임플란트 유닛
KR101740181B1 (ko) 임플란트 유닛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608169B1 (ko) 임플란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