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101A -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9101A KR20180009101A KR1020160090571A KR20160090571A KR20180009101A KR 20180009101 A KR20180009101 A KR 20180009101A KR 1020160090571 A KR1020160090571 A KR 1020160090571A KR 20160090571 A KR20160090571 A KR 20160090571A KR 20180009101 A KR20180009101 A KR 20180009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artificial
- root
- artificial root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3—Details of the shape having more than one ro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하부 내주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인공 치근;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인공 치근과 상대적 수직 변위에 따라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외경을 조절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인공 치근은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결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인공 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치아이다. 상기 인공 치아는 충치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연 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자연 치아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치과적 질병의 증상과 예후에 따라 상기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를 대체하고자 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브릿지, 틀니 또는 치조골 내의 매식이란 세 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상기 브릿지의 경우, 건강한 인접 치아를 깎아내야만 하므로 자연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치아 뿌리가 없어 저작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십년 정도로 그리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틀니의 경우에는 자연 치아의 손상과 치조골이 사용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흡수되는 현상과 사용시 구강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사용자에게 구강 내 이물감을 주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 및 틀니는 치조골이 튼튼한 이상 그 적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임플란트 방법은 치조골이 치료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인접한 자연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독립적 시술이 가능하고,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 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이 우수하여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유닛은 관리 상태에 따라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바람직하다.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치아 역할을 하는 보철물(crown),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하는 인공 치근(fixture)와 상기 보철물과 상기 인공 치근 사이를 연결하는 지대주(abutment)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경우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어서 섭취하는 행위 등을 통해 구강 내에서 지속적인 하중이 반복될 때, 치조골과 임플란트 유닛의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지속적인 응력 집중에 의해 임플란트 유닛이 치조골 내로의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치조골의 파괴 또는 임플란트 유닛의 치조골 내로의 흡수 현상으로 인해, 추가적인 병증을 유발하거나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 감소 또는 치조골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플란트 유닛이 견고하게 치조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치조골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켜서 임플란트 유닛 의 수명 연장 또는 치조골의 손상 방지를 위한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하부 내주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인공 치근;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인공 치근과 상대적 수직 변위에 따라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외경을 조절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인공 치근은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결합한다.
상기 공간부의 상기 홈 형태는 상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형 및 필라(pillar)형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또는 곡선형 테이퍼 처리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된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인공 치근이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제 1 요철 패턴이 형성된 로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제 1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 패턴이 형성된 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상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다각형 너트, 원형 너트 및 윙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렌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패턴은 상기 하부 내주면에서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패턴은 상기 하부 내주면에 복수 개가 계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상에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치조골과 결합되는 외주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유닛은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내주면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유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치근의 하부 외경 조절을 위한 지지 부재를 통해 인공 치근의 하부가 확장되어 치조골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에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을 연장 시키고 치조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조골에 임플란트 유닛의 매식 시에 인공 치근이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매식될 수 있도록 하며, 인공 치근의 하부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된 유격 내에 치조골이 증식됨으로써, 인공 치근과 치조골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가 포함된 인공 치근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의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인공 치근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가 포함된 인공 치근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B)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유닛(100A 또는 100B)은 치조골에 결합되는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지대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대주(120)는 결합 부재(130)를 매개로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과 지대주(120)가 각각 독립된 구조체를 갖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과 지대주(120)가 일체형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결합 부재(130)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다. 지대주(120) 상에는 보철물(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150A 또는 150B)가 삽입되어 있다. 인공 치근(110A 또는 110B) 및 지지 부재(150A 또는 150B)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110A)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110B)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표시된 참조 번호 중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정의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공통적인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A)은 잇몸으로 덮인 하지의 치조골에 직접 매식되어 기둥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A)의 최대 직경 또는 폭은 1㎜ 내지 6㎜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범위 내이다.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은 치조골에 매식되어 치조골과 유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의 외관은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 전체가 일정한 폭을 갖는 필라(pillar) 형상을 갖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공 치근(110A)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9)과 같은 쓰레드(threa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 치근(110A)은 매식 시 치조골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은 티타늄(Ti), 텅스텐(W), 알루미늄(Al), 하프늄(Hf), 니오븀(Nb), 탄탈륨(Ta), 지르코늄(Zr), 백금(Pt),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식이 없고 적합한 강도와 생체 적합성을 갖는 다른 금속, 금속이 아닌 세라믹 인공뼈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가 인공 치근(110)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은 그 표면 상에 치조골과의 반응성을 촉진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생체 활성이 우수한 수산화아파타이트[Ca10(PO4)6(OH)2,HA]와 같은 인산칼슘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A) 상에 TiO2, Ta2O5, Nb2O5, ZrO2, SiO2, RuO2, MoO2, MoO3, VO, VO2, V2O3, V2O5, CrO2, 또는 CrO3와 같은 금속 세라믹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코팅 재료로서 골유착을 촉진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공 치근(110A)은 지지 부재(150)의 신장력이나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공 치근(110A)은 공간부(111)를 갖는다. 공간부(111)는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길이 방향(도면 기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111)는 치조골에 인공 치근(110)이 매식된 경우, 잇몸과 치조골 사이에서 영양 공급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111)가 형성되면, 잇몸으로부터 치조골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A)이 공간부(111)를 구비하면, 치조골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공간부(111)의 깊이는 인공 치근(110A)의 하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5 % 내지 80%의 범위 내의 깊이를 갖는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5% 미만의 깊이에서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되지 않아 전술한 채널 역할을 할 수 없으며,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기계적 지지력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공간부(111)의 홈 형태는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의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공 치근(110A)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형 또는 필라(pillar)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간부(111)의 형태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일 수 있으며,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같은 필라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공간부(110)는 지지 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는 일체의 공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A)은 공간부(111)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112) 상에 지지 부재(150)와의 체결을 위한 제 1 체결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와의 체결을 위해, 제 1 체결부(113a)는 공간부(111)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112)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로드 구조 또는 볼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구조는 길게 형성된 폴 형태의 구조물 외주면 상에 제 1 요철 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제 1 요철 패턴은 지지 부재(150)와의 마찰, 고정, 체결을 증가시키기 위한 패턴으로서 양각 또는 음각된 모양을 갖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트 구조는 길게 형성된 폴 형태의 구조물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지지 부재(150)와의 회전 결합을 위한 다양한 나사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a)의 볼트 구조는 인공 치근(110A)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119)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113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a)의 나사산(113a-1)은 인공 치근(110A)의 치조골 매식 시에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부재(150)가 상대 회전 및 상승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경우에, 공간부(111)에 삽입된 지지 부재(150)의 바닥면은 치조골과 접촉하게 된다. 치조골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으로 인해, 지지 부재(150)는 인공 치근(110A)의 회전에 따라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150)가 공간부(111)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 구조가 필요하다. 즉, 하부 내측면(112)에 형성된 제 1 체결부(113a)의 나사산(113a-1)은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부재(150)가 상대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나사산 구조를 갖는다.
인공 치근(110)의 하부 내측면(112)은 요철이 없는 편평면일 수도 있지만,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인공 치근(110A)의 하부 내주면(112)에 트렌치 패턴(1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트렌치 패턴(114)은 하부 내주면(112) 상에 원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패턴(114)은 하부 내주면(112)에서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 패턴(114)의 홈의 깊이는 인공 치근(110A)의 하부 외경의 변형이 용이하며, 인공 치근(11A)의 하부에 대한 내구력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트렌치 패턴(114)은 하부 내주면(112)에 복수 개가 계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트렌치 패턴(114)이 하부 내주면(112) 상에 형성됨으로써, 지지 부재(150)에 의한 인공 치근(110A)의 하부 외경이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B)은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과 마찬가지로 잇몸으로 덮인 하지의 치조골에 직접 매식되며, 치조골과 유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B)의 외관은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과 마찬가지로 필라(pillar) 형상 또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9)과 같은 쓰레드(threa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공 치근(110B)은 매식 시 치조골에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은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과 마찬가지로 공간부(111)를 가질 수 있다. 공간부(111)는 인공 치근(110)의 하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의 구조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공간부(111)의 홈 형태는 인공 치근(110B)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형 또는 필라(pillar)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은 공간부(111)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112) 상에 지지 부재(150)와의 체결을 위한 제 1 체결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와의 체결을 위해, 제 1 체결부(113b)는 공간부(111)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112)의 상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홈 구조는 폭 방향의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을 갖는 폴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 구조는 홈의 내주면 상에 제 1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요철 패턴은 지지 부재(150)와의 마찰, 고정, 체결을 위한 패턴으로서 양각 또는 음각된 모양을 갖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구조는 홈의 내주면 상에 지지 부재(150)와의 회전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체결부(113b)는 인공 치근(110B)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113b-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b)의 나사산(113b-1)은 인공 치근(110B)의 치조골 매식 시에 인공 치근(110B)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부재(150)가 상대 회전 및 상승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B)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경우에, 공간부(111)에 삽입된 지지 부재(150)의 바닥면은 치조골과 접촉하게 되고, 치조골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으로 인해, 지지 부재(150)는 인공 치근(110B)의 회전에 따라 인공 치근(110B)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 1 체결부(113b)의 나사산(113b-1)에 의해 지지 부재(150)가 공간부(111)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은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인공 치근(110B)의 하부 내주면(112)에 형성된 트렌치 패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B)의 트렌치 패턴(114)은 도 2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A)과 마찬가지로 하부 내주면(112) 상에 원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내주면(112)에서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렌치 패턴(114)은 하부 내주면(112)에 복수 개가 계층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110C)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C)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치근(110D)의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인공 치근(110D)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표시된 참조 번호 중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정의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공통적인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C)은 인공 치근(110C)의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인공 치근(110C)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1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5)은 공간부(111)를 인공 치근(110C)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슬릿(11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인공 치근(110C)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 치근(110C)의 하부에 하나의 슬릿(1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슬릿(115)이 하나만 형성되면, 인공 치근(110C)이 받는 응력에 불균형이 발생되어, 인공 치근(110C)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슬릿(115)은 둘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슬릿(115)이 홀수 개로 형성되면, 복수 개의 슬릿이 대칭 구조를 이루지 못해, 마찬가지로 인공 치근(110C)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슬릿(115)은 짝수 개로 형성되어, 대칭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110C)은 공간부(111)의 측부에 해당되는 일 영역에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한 쌍의 슬릿(11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5)은 인공 치근(110C)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절개된 슬릿(115)의 높이는 인공 치근의 하부 내측면(112)의 상단부에 이르는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슬릿(115)은 인공 치근(110C)의 하부 외주면과 공간부(111)를 관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것일 수 있다.
슬릿(115)의 형성으로 인해, 인공 치근(110C)의 하부가 공간부(111) 내에 삽입된 지지 부재(150)로 인해 측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인공 치근(110C)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치조골 부분과 공간부(111) 내의 치조골 부분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의 각 부분 간에 영양 공급이 슬릿(115)을 통해 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인공 치근(110C)의 외주면을 따라 슬릿(115)이 형성되면, 잇몸과 치조골 사이의 영양 공급 채널이 증가 혹은 다양화되어, 잇몸으로부터 치조골에 부가적인 영양 공급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의 안정화를 확실하게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치조골 흡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슬릿(115)이 인공 치근(110C)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치조골이 얇아 뼈 이식이 불가피한 경우 골세포가 직접 나올 수 있는 보다 많은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뼈 이식의 성공률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1) 및 슬릿(115)을 통해, 임플란트 유닛의 사용 중 치조골이 녹아 치주낭이 형성된 경우 치주낭이 잇몸 속으로 깊게 진행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인플란트 유닛이 매식되는 치조골의 두께가 얇더라도 큰 직경의 임플란트 유닛을 안정적으로 이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D))은 공간부(111)의 측부에 해당되는 일 영역에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며 형성된 4개의 슬릿(115)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슬릿(115)은 각각 공간부(111)를 측면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인공 치근(110D)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115)은 인공 치근(110D)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치근(110D)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치조골 부분과 공간부(111) 내의 치조골 부분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의 각 부분 간에 영양 공급이 슬릿을 통해 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공 치근(110D)은 공간부(111)의 측방에 해당되는 인공 치근(110D)의 하부에 공간부(111)를 측면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은 공간부(111) 일부를 채우는 치조골과 인공 치근(110D)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치조골을 서로 연결시켜, 매식된 임플란트 유닛의 안정성을 높이고, 인공 치근(110D)의 내, 외부에 위치되는 치조골 상호 간의 영양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혹은 통로 역할을 한다. 원활한 영양 공급을 위해, 통공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 개의 통공은 그물망 구조를 이루도록 촘촘히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통공은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공 치근은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의 하부 내주면에 트렌치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치근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 패턴과 슬릿 패턴이 인공 치근에 함께 형성됨으로써, 지지 부재에 의한 인공 치근의 측부 확장이 보다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150A)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지지 부재(150A)의 수직 단면도이다. 또한,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150B)의 사시도이고,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지지 부재(150B)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50A)는 인공 치근(110A)의 하부를 측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인공 치근(110A)의 공간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A)는 금속 재질,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150A)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공 치근의 하부를 측 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일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A)는 다각형 너트, 원형 너트 및 윙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너트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150A)의 구조는 너트 구조 이외에도 볼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A)는 지지 부재(150A)의 하부가 지지 부재(150A)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A)의 하부 직경(D1)은 지지 부재(150A)의 상부 직경(D2)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50A)는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단면 구조가 직선 또는 곡선형 테이퍼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0A)는 원뿔 형상일 수 있으며, 원뿔의 측면이 직선 또는 곡선의 테이퍼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150A)의 하부 직경(D1)이 상부 직경(D2)보다 크다면, 지지 부재(150A)가 인공 치근(110A)의 공간부(111)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하게 되는 경우에, 지지 부재(150A)의 하부가 인공 치근(110A)의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지지 부재(150A)가 상부 방향으로 보다 상승하게 되면, 지지 부재(150A)의 하부가 인공 치근(110A)의 하부를 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지지 부재(150A)의 상부는 인공 치근(110A)의 제 1 체결부(113a)와 결합하기 위한 제 2 체결부(150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50A-1)는 인공 치근(110A)과 결합하여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체결부(113a)가 외주면에 제 1 요철 패턴이 형성된 로드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체결부(150A-1)는 내주면에 제 1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요철 패턴은 인공 치근(110A)의 제 1 요철 패턴과의 마찰, 고정, 체결을 위한 패턴으로서 양각 또는 음각된 모양을 갖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113a)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체결부(150A-1)는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상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체결부(150A-1)는 제 1 체결부(113a)의 볼트 구조와의 회전 결합을 위한 다양한 나사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50A-1)의 너트 구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관통된 홀 형태일 수도 있고, 너트 구조의 하부가 폐쇄된 홈 구조일 수도 있다.
제 2 체결부(150A-1)의 너트 구조는 인공 치근(11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9)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상대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50A-1)의 상대 나사산은 인공 치근(110A)의 치조골 매식 시에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부재(150A)가 상대 회전 및 상승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A)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경우에, 공간부(111)에 삽입된 지지 부재(150A)의 바닥면은 치조골과 접촉하게 된다. 치조골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으로 인해, 지지 부재(150A)는 인공 치근(110A)의 회전에 따라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150A)가 공간부(111)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사산 구조가 필요하다. 즉, 하부 내측면(112)에 형성된 제 2 체결부(150A-1)의 상대 나사산은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부재(150A)가 상대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나사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50A)의 하단부(150A-2)는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과정에서 치조골과 접하는 부분이다. 지지 부재(150A)의 하단부(150A-2)는 치조골과 가능한한 넓은 표면적에서 접할 수 있도록 편평한 형태일 수도 있지만,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치조골과의 접하는 부분에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 형태일 수도 있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50B)는 인공 치근(110B)의 하부를 측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인공 치근(110B)의 공간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금속 재질, 비금속 재질,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공 치근(110B)의 하부를 측 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일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B)는 지지 부재(150B)의 하부가 지지 부재(150B)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50B)의 하부 직경(D3)은 지지 부재(150B)의 상부 직경(D4)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50B)는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단면 구조가 직선 또는 곡선형 테이퍼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0B)는 원뿔 형상일 수 있으며, 원뿔의 측면이 직선 또는 곡선의 테이퍼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150B)의 하부 직경(D3)이 상부 직경(D4)보다 크기때문에, 지지 부재(150B)가 인공 치근(110B)의 공간부(111)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하게 되는 경우에, 지지 부재(150B)의 하부가 인공 치근(110B)의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지지 부재(150B)가 상부 방향으로 더 상승하게 되면, 지지 부재(150B)의 하부가 인공 치근(110B)의 하부를 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지지 부재(150B)의 상부는 인공 치근(110B)의 제 1 체결부(113b)와 결합하기 위한 제 2 체결부(150B-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50B-1)는 인공 치근(110B)과 결합하여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수직 중심축 상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체결부(113b)가 공간부(111)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112)의 상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요철 패턴을 갖는 홈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체결부(150B-1)의 외주면은 제 1 체결부(113b)의 제 1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요철 패턴은 인공 치근(110B)의 제 1 요철 패턴과의 마찰, 고정 또는 체결을 위한 패턴으로서 양각 또는 음각의 다양한 패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113b)가 공간부(111)의 수직 중심축(CA)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112)의 상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너트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체결부(150B-1)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체결부(113b)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상대 나사산을 갖는 볼트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체결부(150B-1)는 제 1 체결부(113b)의 너트 구조와의 회전 결합을 위한 다양한 나사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50B-1)의 볼트 구조는 인공 치근(110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9)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상대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50B-1)의 상대 나사산은 인공 치근(110B)의 치조골 매식 시에 인공 치근(110B)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부재(150B)가 상대 회전 및 상승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B)의 하단부(150B-2)는 인공 치근(110B)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과정에서 치조골과 접하는 부분이다. 지지 부재(150B)의 하단부(150B-2)는 치조골과 가능한한 넓은 표면적에서 접할 수 있도록 편평한 형태일 수도 있지만,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치조골과의 접하는 부분에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150A)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에 매식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공 치근(110A)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지지 부재(150A)가 삽입되어 있다. 지지 부재(150A)가 인공 치근(110A)의 공간부(11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AL) 내에 매식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50A)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AL)에 매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재(150A)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A)을 치조골(AL)에 매식하기 위해, 사전에 인공 치근(110A)이 매식될 공간을 치조골(AL)에 확보해 놓을 수 있다. 지지 부재(150A)가 포함된 인공 치근(110A)이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119)에 의해 회전하면서 치조골(AL)에 매식되면, 인공 치근(110A)의 하단부보다 더 밑에 존재하는 지지 부재(150A)의 하단부가 치조골(AL)과 접촉하게 된다. 지지 부재(150A)의 하부가 치조골(AL)과 접촉함에 따라, 지지 부재(150A)는 인공 치근(110A)이 회전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인공 치근(110A)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 지지 부재(150A)는 인공 치근(110A)의 하부 내측면(112)에 형성된 제 1 체결부(113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인공 치근(110A)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인공 치근(110A)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지지 부재(150A)는 지지 부재(150A)의 하부가 인공 치근(110A)의 하부 내측면(112)와 접촉하게 되며, 지지 부재(150A)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인공 치근(110A)의 하부 외경을 측면 방향 즉, A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따라서, 치조골(AL)에 매식되는 인공 치근(110A)의 하부가 지지 부재(150A)에 의해 측부 확장됨으로 인해, 인공 치근(110A)에 인가되는 응력을 치조골(AL)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AL)에 안정적으로 매식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부재(150A)를 포함하는 인공 치근(110A)이 치조골(AL)에 매식되어 지지 부재(150A)가 인공치근(110A)의 공간부(111) 내에 완전히 삽입되더라도, 지지 부재(150A)의 상부는 인공치근(110A)의 공간부(111)와 어느 정도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50A)의 상부와 인공치근(110A)의 공간부(111)가 형성하는 유격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조골, 혈관 또는 잇몸을 포함하는 인체 조직이 유격 내에서 성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 유닛과 치조골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치조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A, 110B: 인공 치근
111: 공간부
120: 지대주
130: 결합 부재
140: 보철물
15A, 150B: 지지 부재
111: 공간부
120: 지대주
130: 결합 부재
140: 보철물
15A, 150B: 지지 부재
Claims (15)
- 치조골에 결합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하부 내주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인공 치근;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인공 치근과 상대적 수직 변위에 따라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외경을 조절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인공 치근은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결합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상기 홈 형태는 상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테이퍼(taper)형 및 필라(pillar)형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단면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또는 곡선형 테이퍼 처리된 단면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된 제 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인공 치근이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중심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제 1 요철 패턴이 형성된 로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제 1 요철 패턴에 대응하는 제 2 요철 패턴이 형성된 홀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상대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다각형 너트, 원형 너트 및 윙 너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너트 구조인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렌치 패턴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패턴은 상기 하부 내주면에서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패턴은 상기 하부 내주면에 복수 개가 계층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외경에 대한 측방향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인공 치근의 하부 상에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은 상기 치조골과 결합되는 외주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 패턴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하부 내주면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유격을 갖는 임플란트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0571A KR20180009101A (ko) | 2016-07-18 | 2016-07-18 | 임플란트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0571A KR20180009101A (ko) | 2016-07-18 | 2016-07-18 | 임플란트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9101A true KR20180009101A (ko) | 2018-01-26 |
Family
ID=6102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0571A KR20180009101A (ko) | 2016-07-18 | 2016-07-18 | 임플란트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910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3475A1 (ko) * | 2018-07-13 | 2020-01-1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
KR20200113728A (ko) | 2019-03-26 | 2020-10-07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유기프레임워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
-
2016
- 2016-07-18 KR KR1020160090571A patent/KR201800091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3475A1 (ko) * | 2018-07-13 | 2020-01-1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
KR20200113728A (ko) | 2019-03-26 | 2020-10-07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유기프레임워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2353B1 (ko) | 치아 임플란트 | |
EP4108208B1 (en) | Asymmetric zygomatic dental implant | |
RU2612487C2 (ru) |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 |
JP5469341B2 (ja) | 生体適合性セラミックから作られた二部品型歯科インプラント | |
US7341454B2 (en) | Attachment mechanism for dental implants | |
KR200386621Y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US20220104921A1 (en) |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 |
US20140004481A1 (en) | Crestal Implant And Method For Processing Same | |
JPS618043A (ja) | 義歯保持体を取付けるための顎骨内植込み子 | |
KR101608176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660183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126525B1 (ko) |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 |
US10743966B2 (en) | Implant unit | |
KR20180009101A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608170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0473141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CN105101906B (zh) | 具有带一个或多个外圈的安装元件的单件式或多件式种植系统 | |
US7556500B2 (en) | Bone-adaptive surface structure | |
KR101608167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856365B1 (ko) | 임플란트 유닛 | |
Pandey et al. | Macrodesign of dental implant–A review | |
JP2725194B2 (ja) | 人工歯根 | |
KR100540447B1 (ko) |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 |
JP7465620B2 (ja) | セルフタッピング式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 | |
JP7305283B2 (ja) | スレッド溝深さが漸減す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