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50B1 -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50B1
KR102289250B1 KR1020190069333A KR20190069333A KR102289250B1 KR 102289250 B1 KR102289250 B1 KR 102289250B1 KR 1020190069333 A KR1020190069333 A KR 1020190069333A KR 20190069333 A KR20190069333 A KR 20190069333A KR 102289250 B1 KR102289250 B1 KR 10228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receiving groove
thread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279A (ko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riority to KR102019006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2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61C8/0071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with a self-locking taper, e.g. morse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오목한 제1 수용홈 및 제1 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제1 수용홈의 아래쪽에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수용홈을 갖는 픽스쳐; 중심에 상하 방향의 관통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영역에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에 끼워지는 픽스쳐 결합부를 구비한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쳐의 제2 수용홈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 스크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Implant structure with abutment having skirt por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식립 후 저작에 의해 픽스쳐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시술후 인공치아가 완성되면 자연치와 유사한 충분한 강도와 심미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립 가능한 픽스쳐,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상부에 체결되는 보철물(인공 치아)로 구성된다.
그런데 임플란트 식립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작력에 의해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조금씩 더 삽입되는데 이 때 어버트먼트의 주위를 둘러싸는 픽스쳐의 수용부 테두리가 벌어지면서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3729호 (2013년 7월 3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버트먼트를 수용하는 픽스쳐의 수용부 테두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 스커트 형상의 커버 부재를 형성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오목한 제1 수용홈 및 제1 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제1 수용홈의 아래쪽에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수용홈을 갖는 픽스쳐; 중심에 상하 방향의 관통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영역에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에 끼워지는 픽스쳐 결합부를 구비한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쳐의 제2 수용홈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쳐 결합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 상단의 테두리부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과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오목한 수용홈을 갖는 픽스쳐; 및 상기 픽스쳐의 상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영역에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에 끼워지는 픽스쳐 결합부를 구비한 어버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쳐 결합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 상단의 테두리부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픽스쳐 결합부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픽스쳐의 수용홈의 내측면이 모스 테이퍼(Morse tapered) 방식으로 마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 스커트부를 형성하고 이 스커트부가 픽스쳐의 수용홈의 테두리부를 둘러싸도록 구성하여 픽스쳐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와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결합시 두 부재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커트부의 내측면과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외측면 사이가 완전히 밀착하고 이물질 침투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도1의 결합 영역(A, B)의 확대도,
도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
도4는 도3의 결합 영역(C, D)의 확대도,
도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제3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폭, 두께 등의 수치는 기술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 '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은 픽스쳐(fixture)(10), 어버트먼트(abutment)(20), 및 체결 스크류(30)를 포함한다.
픽스쳐(10)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 치근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픽스쳐(10)의 재질이 티타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금속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픽스쳐(10)는 외주면에 나사산(15)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는 오목한 제1 수용홈(11) 및 제1 수용홈(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제1 수용홈(11)의 아래쪽에 연장 형성된 제2 수용홈(12)을 구비한다. 도시한 것처럼 제1 수용홈(11)은 어버트먼트(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고 제2 수용홈(12)은 체결 스크류(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다. 제2 수용홈(12)은 제1 수용홈(11) 보다 직경이 작으며 제1 수용홈(11)과 제2 수용홈(12) 사이의 단차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어버트먼트(20)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11)은 경사형 측면부(111)와 다각형 측면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다각형 측면부(112)는 단차부(14)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다각형 측면부(112)를 평면으로 절단하여 위에서 바라보면 다각형 측면부(112)의 내측면이 예컨대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형 측면부(111)는 다각형 측면부(112)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면이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4)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수용홈(12)의 내측면에 나사산(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17)은 체결 스크류(30)의 나사산(31)과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어버트먼트(20)는 중심에 상하 방향의 관통구(25)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어버트먼트(20)의 하부 영역인 픽스쳐 결합부(21)는 픽스쳐(10)의 제1 수용홈(11)에 삽입되는 영역으로, 픽스쳐 결합부(21)의 외측면이 픽스쳐(10)의 제1 수용홈(11)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결합된다. 어버트먼트(20)의 상부 영역은 보철물(인공 치아)에 의해 덮이는 영역이다.
어버트먼트(20)의 중심에는 어버트먼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25)로 체결 스크류(30)가 삽입될 수 있다. 관통구(25) 중 상부 관통구 영역은 소정의 제1 직경을 가지며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관통구 영역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소정의 제2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제1 직경과 제2 직경 사이에 단차부(24)가 형성된다.
어버트먼트(20)의 픽스쳐 결합부(21)의 하단부에는 외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형 하단부(22)가 픽스쳐 결합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다각형 하단부(22)를 수평으로 절단했을 때의 다각형 하단부(22)의 외측면이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 형상이며, 이 다각형 형상은 픽스쳐(20)의 다각형 측면부(112)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에 삽입될 때 어버트먼트(20)의 픽스쳐 결합부(21)가 픽스쳐(10)의 제1 수용홈(11)의 경사형 측면부(111)와 맞물리면서 결합되고, 어버트먼트(20)의 다각형 하단부(22)는 픽스쳐(10)의 제1 수용홈(11)의 다각형 측면부(112)와 맞물리면서 결합되며, 이 때 어버트먼트(20)의 다각형 하단부(22)의 외측면이 픽스쳐(10)의 다각형 측면부(112)의 내측면과 맞물리면서 체결되므로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 결합부(2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커트부(23)를 더 포함한다. 스커트부(23)는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에 체결되었을 때 픽스쳐의 제1 수용홈(11) 상단의 테두리부(13)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스커트부(23)는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의 제1 수용홈(11)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수용홈(11)의 테두리부(13)가 벌어져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 스크류(30)는 어버트먼트(20)를 픽스쳐(10)에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체결 스크류(30)의 하부 영역에는 픽스쳐(10)의 제2 수용홈(12)의 나사산(17)에 대응하는 나사산(31)이 형성된다. 체결 스크류(30)의 측면 소정 위치에는 단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을 위해, 체결 스크류(30)가 어버트먼트의 관통구(25)를 관통하여 픽스쳐(10)의 제2 수용홈(12)까지 삽입되고 체결 스크류(30)의 나사산(31)이 픽스쳐(10)의 나사산(17)과 결합하여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를 체결한다. 이 때 체결 스크류(30)의 단차부(34)가 어버트먼트(20)의 단차부(24)에 맞물리며 단차부(24)를 가압함으로써 어버트먼트(20)가 상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2는 도1의 좌측 결합 영역(A)과 우측 결합 영역(B)을 확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때 좌측 결합 영역(A)과 우측 결합 영역(B)이 서로 대칭인 형상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20)의 스커트부(23)의 내측면(23a)과 픽스쳐(10)의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은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격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테두리부(13)의 상단면(13b)과 이와 마주보는 스커트부(23)의 내측 상부면(23b) 사이에 소정 간격의 제1 이격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부(13)의 내측면(13c)과 이와 마주보는 픽스쳐 결합부(21)의 외측면(21a) 사이에도 소정 간격의 제2 이격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시 이러한 이격 공간(S1,S2)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픽스쳐의 테두리부(13)의 상단면(13b)의 폭(d1)이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23)의 내측 상부면(23b)의 폭(d2)보다 약간 더 두껍도록(즉, d1>d2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격 공간(S1)과 제2 이격 공간(S2)의 존재는 어버트먼트(20)의 스커트부(23)의 내측면(23a)과 픽스쳐의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이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격 공간(S1)이 존재하면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 내부로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는 여지를 둔 상태에서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에 체결되는데, 임플란트 식립 후 저작 압력에 의해 어버트먼트(20)가 픽스쳐(10)로 약간 더 들어감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23)의 내측면(23a)과 픽스쳐의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이 더 완전하게 밀착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1 이격 공간(S1)이 없다면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가 저작 압력을 받을 때 스커트부(23)의 내측면(23a)과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 사이에 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2 이격 공간(S2)이 없다면, 즉 테두리부(13)의 내측면(13c)과 픽스쳐 결합부(21)의 외측면(21a) 사이가 완전히 밀착하고 있다면 이로 인해 스커트부(23)의 내측면(23a)과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 사이가 밀착하지 못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픽스쳐(10)와 어버트먼트(20) 체결시 제1 이격 공간(S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이격 공간(S1)과 제2 이격 공간(S2)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커트부(23)의 내측면(23a)과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 사이를 완전히 밀착시켜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4는 도3의 좌측 결합 영역(C0과 우측 결합 영역(D)을 확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은 픽스쳐(40) 및 어버트먼트(50)를 포함한다.
픽스쳐(40)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인공 치근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1의 제1 실시예의 픽스쳐(1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픽스쳐(40)는 외주면에 나사산(45)이 형성되고, 픽스쳐(40)의 상부면에는 어버트먼트(50)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수용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41)은 수용홈의 바닥면(44)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형 측면부(411)와 다각형 측면부(412)로 구성될 수 있다. 다각형 측면부(412)는 수용홈(41)의 바닥면(44)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형성되되 다각형 측면부(412)를 수평으로 절단했을 때의 내측면의 형상이 육각형, 팔각형 등 임의의 다각형을 가진다. 경사형 측면부(411)는 다각형 측면부(412)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측면이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경사형 측면부(411)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측면의 내경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어버트먼트(50)는 중심에 통형상의 부재로서, 일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50)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구(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관통구(55)가 없을 수도 있으며 관통구(55) 대신 상부에 오목한 수용홈(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50)의 하부 영역은 픽스쳐 결합부(51)와 다각형 하단부(52)로 구성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부(51)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며, 테이퍼되는 경사 각도는 픽스쳐(40)의 경사형 측면부(411)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다각형 하단부(52)는 픽스쳐 결합부(51)의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영역으로 외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다각형 하단부(52)를 수평으로 절단했을 때의 다각형 하단부(52)의 외측면이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 형상이며 이 다각형 형상은 픽스쳐(40)의 다각형 측면부(412)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어버트먼트(50)가 픽스쳐(40)에 삽입될 때 어버트먼트(50)의 픽스쳐 결합부(51)가 픽스쳐(40)의 수용홈(41)의 경사형 측면부(411)와 맞물리면서 결합되고 어버트먼트(50)의 다각형 하단부(52)는 픽스쳐(40)의 수용홈(41)의 다각형 측면부(412)와 맞물리면서 결합되며, 이 때 어버트먼트(50)의 다각형 하단부(52)의 외측면이 픽스쳐(40)의 다각형 측면부(412)의 내측면과 맞물리면서 체결되므로 어버트먼트(50)가 픽스쳐(10)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20)는 픽스쳐 결합부(5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커트부(53)를 더 포함한다. 스커트부(53)는 어버트먼트(50)가 픽스쳐(40)에 체결되었을 때 픽스쳐의 수용홈(41) 상단의 테두리부(43)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어버트먼트(50)가 픽스쳐(40)의 수용홈(41)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용홈(41)의 테두리부(43)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실시예에서 픽스쳐(40)와 어버트먼트(50)는 체결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으며 모스 테이퍼(Morse tapered) 방식으로 마찰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어버트먼트(50)의 픽스쳐 결합부(51)의 외측면(51a)과 픽스쳐의 경사형 측면부(411)의 내측면(41a)이 모스 테이퍼 방식으로 마찰 결합될 수 있다. 모스 테이퍼 결합 방식은 쐐기형으로 돌출된 부재를 쐐기형 내측면을 구비한 수용 부재에 밀어 넣어 마찰 결합하는 방식으로, 나사나 볼트 등 다른 결합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마찰 결합에 의해 두 부재를 완전히 밀착시켜 체결하는 방식이다. 모스 테이퍼 방식의 마찰 결합을 위해서는 두 부재가 접촉하는 쐐기 형상의 각도를 특정 값 또는 이 특정 각도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각도는 예컨대 부재의 재질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수직 방향에 대한 픽스쳐 결합부(51)의 외측면(51a)과 경사형 측면부(411)의 내측면(41a) 사이의 접촉 각도(α)를 예컨대 4도로 설정한다. 그러나 이 접촉 각도는 예시적인 것이며, 어버트먼트(50)와 픽스쳐(40)가 모스 테이퍼 방식으로 마찰 결합하는 각도이면 어느 각도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50)와 픽스쳐(40)를 모스 테이퍼 방식으로 결합하면 체결 스크류 등 다른 체결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임플란트 구조물의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50)의 픽스쳐 결합부(51)와 픽스쳐(40)의 수용홈(41) 사이가 완전히 밀착하여 체결되므로 이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한 것처럼,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었을 때, 픽스쳐(40)의 테두리부(43)의 상단면(43b)과 이와 마주보는 스커트부(53)의 내측 상부면(53b)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테두리부(43)의 내측면, 즉 경사형 측면부(411)의 내측면(41a)과 이와 마주보는 픽스쳐 결합부(51)의 외측면(51a)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없이 두 면이 밀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스쳐(40)와 어버트먼트(50)의 체결시 이격 공간(S1)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픽스쳐의 테두리부(43)의 상단면(43b)의 폭(d1)이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53)의 내측 상부면(53b)의 폭(d2)보다 약간 더 두껍도록(즉, d1>d2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이격 공간(S1)이 존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커트(53)의 내측면(52a)과 테두리부(43)의 외측면(43a) 사이를 완전 밀착하여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이격 공간(S1)이 존재하면, 임플란트 식립 후 저작 압력에 의해 어버트먼트(50)가 픽스쳐(40)로 약간 더 들어갈 수 있으므로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53)의 내측면(53a)과 픽스쳐의 테두리부(43)의 외측면(43a)이 더 완전하게 밀착할 수 있다.
도5와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을 나타낸다.
도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은 픽스쳐(40) 및 어버트먼트(50)를 포함한다. 도3의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3 실시예의 픽스쳐(40)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어버트먼트(50)는 관통구(55)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57)이 형성된 것만 상이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나사산(57)이 관통구(55) 내의 아래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나사산(57)의 관통구(55) 내의 중앙 영역이나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관통구(55) 내부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식립 후 시간이 경과하여 임플란트 교체나 치아 치료를 위해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할 경우 어버트먼트(5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57)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50)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분리를 위해 도6에 도시한 분리용 스크류(60)를 사용할 수 있다. 분리용 스크류(60)는 어버트먼트(50) 내측의 나사산(57)에 맞물리는 나사산(63)이 외주면에 형성된 본체부(61) 및 픽스쳐(40)의 수용홈(41)의 바닥면(44)까지 닿을 수 있도록 본체부(61)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연장부(64)로 구성된다. 분리용 스크류(60)의 상부면에는 렌치(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분리용 스크류(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렌치 수용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도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분리용 스크류(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용 스크류(60)의 하단부가 픽스쳐(40)의 바닥면(44)에 접촉할 때까지 분리용 스크류(60)를 삽입한다. 그 후 분리용 스크류(60)를 상기 일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분리용 스크류(60)가 더 이상 아래로 진행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어버트먼트(40)를 위로 상승시킨다. 즉 분리용 스크류(60)를 회전하는 회전력이 어버트먼트(40)를 위로 상승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어버트먼트(50)를 픽스쳐(4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용 스크류(60)를 회전하여 어버트먼트(50)를 상승시켜 분리할 경우 어버트먼트(50)의 상부를 단순히 잡아당겨서 어버트먼트와 픽스쳐를 분리하는 것에 비해 어버트먼트 분리에 필요한 힘이 작게 들고 어버트먼트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어버트먼트와 픽스쳐를 확실히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40: 픽스쳐 11, 41: 제1 수용홈
12, 42: 제2 수용홈 14, 44: 바닥면
20, 50: 어버트먼트 21, 51: 픽스쳐 결합부
22, 52: 다각형 하단부 25, 55: 관통구
30: 체결 스크류 60: 분리용 스크류

Claims (10)

  1.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오목한 제1 수용홈(11) 및 제1 수용홈(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제1 수용홈(11)의 아래쪽에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17)이 형성된 제2 수용홈(12)을 갖는 픽스쳐(10);
    중심에 상하 방향의 관통구(25)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영역에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11)에 끼워지는 픽스쳐 결합부(21)를 구비한 어버트먼트(20); 및
    상기 픽스쳐의 제2 수용홈(12)의 나사산(17)에 맞물리는 나사산(31)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25)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수용홈의 나사산(17)과 결합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체결 스크류(30);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20)는, 상기 픽스쳐 결합부(2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의 제1 수용홈 상단의 테두리부(1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스커트부(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면(23a)과 상기 테두리부(13)의 외측면(13a)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상단면(13b)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의 내측 상부면(23b) 사이에 제1 이격 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내측면(13c)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픽스쳐 결합부(21)의 외측면(21a) 사이에 제2 이격 공간(S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상단면(13b)의 폭(d1)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의 내측 상부면(23b)의 폭(d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5.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조골에 매립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오목한 수용홈(41)을 갖는 픽스쳐(40); 및
    상기 픽스쳐의 상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영역에 상기 픽스쳐의 수용홈에 끼워지는 픽스쳐 결합부(51)를 구비한 어버트먼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50)는, 상기 픽스쳐 결합부(5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의 수용홈 상단의 테두리부(4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스커트부(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픽스쳐 결합부(51)의 외측면(51a)과 이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픽스쳐(40)의 수용홈(41)의 내측면(41a)이 모스 테이퍼(Morse tapered) 방식으로 마찰 결합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구(55)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55)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57)이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쳐에서 분리할 때, 상기 어버트먼트의 나사산(57)과 맞물리는 나사산(63)이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스크류(60)를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55) 내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수용홈(41)이, 수용홈의 바닥면(44)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형성되되 수평으로 절단했을 때의 형상이 다각형을 갖는 다각형 측면부(412) 및 이 다각형 측면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사형 측면부(411)로 구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50)의 픽스쳐 결합부(51)의 외측면과 상기 픽스쳐의 경사형 측면부(411)의 내측면이 모스 테이퍼 방식으로 마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상단면(43b)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의 내측 상부면(53b) 사이에 이격 공간(S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테두리부의 상단면(43b)의 폭(d1)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스커트부의 내측 상부면(53b)의 폭(d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9333A 2019-06-12 2019-06-12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KR10228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33A KR102289250B1 (ko) 2019-06-12 2019-06-12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33A KR102289250B1 (ko) 2019-06-12 2019-06-12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79A KR20200142279A (ko) 2020-12-22
KR102289250B1 true KR102289250B1 (ko) 2021-08-13

Family

ID=7408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333A KR102289250B1 (ko) 2019-06-12 2019-06-12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2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46B1 (ko) * 2011-08-12 2015-08-10 왕제원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
KR101608176B1 (ko) *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808599B1 (ko) * 2017-05-11 2017-12-13 조용문 치과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558A (en) * 1993-11-12 1996-04-02 Mcgill University Osseointegration promoting implant compositio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0597393B1 (ko) * 2004-09-15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1298246B1 (ko) 2011-12-23 2013-08-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46B1 (ko) * 2011-08-12 2015-08-10 왕제원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
KR101608176B1 (ko) * 2015-06-08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808599B1 (ko) * 2017-05-11 2017-12-13 조용문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79A (ko)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2B1 (ko)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EP2119414B1 (en)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US6840769B2 (en) Medical implant
US9301818B2 (en) Abutment and dental-prosthetic arrangement having such an abutment
KR100440680B1 (ko) 인공치아 구조
US5052931A (en) Enossal implant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038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5810589A (en) Dental implant abutment combination that reduces crestal bone stress
US5549475A (en) Enossal single-tooth implant
US10952825B2 (en) Dental implant structure
US20060127849A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210106724A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JP6639286B2 (ja) 貫通固定される多数の義歯
JP2011229912A (ja) 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用アバットメント
EP1772113B1 (en) A set of one-piece angled abutments
KR102289250B1 (ko)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EP2057963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with internal connection
KR20200142280A (ko) 스커트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구비한 임플란트 구조물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JP513171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373420B1 (ko) 임프란트 픽스쳐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1133668B1 (ko) 각진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JP2010252902A (ja) 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