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364A -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364A
KR20090119364A KR1020080045353A KR20080045353A KR20090119364A KR 20090119364 A KR20090119364 A KR 20090119364A KR 1020080045353 A KR1020080045353 A KR 1020080045353A KR 20080045353 A KR20080045353 A KR 20080045353A KR 20090119364 A KR20090119364 A KR 2009011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retractor
mucosa
maxillary sinus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678B1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08004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6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견인부를 구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면에 일측 단부가 접합 되어 상기 제1견인부 방향으로 하부몸체와 벌어지게 연장되며, 연장된 타측 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수평 절곡 및 하향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진 제2견인부가 형성된 상부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에 의하면, 임플란트를 상악골(위턱뼈)에 이식할 때 견인기의 견인부가 잇몸을 견인함과 동시에 상악골 측면에 형성시킨 골 창(상악골을 절개한 부분)을 통해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림으로써, 홀 천공시 상악동 내부로 진입되는 드릴 날과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한 점막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려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부위와 점막 사이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임플란트, 상악동, 상악골, 잇몸, 점막, 견인기

Description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Retractor for implant opera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수술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를 상악골(위턱뼈)에 이식할 때 견인기의 견인부가 잇몸을 견인함과 동시에 상악골 측면에 형성시킨 골 창(상악골을 절개한 부분)을 통해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림으로써, 홀 천공시 상악동 내부로 진입되는 드릴 날과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한 점막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려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부위와 점막 사이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치과에서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먼저 수술 시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제작된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심는다.
이후, 외부로 노출된 임플란트에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로써, 일반 보철물 등은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비슷하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수술 중, 상악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낮다. 이는 상악부의 골질이 약하고 상악동(maxillary sinus)이 있으므로 긴 임플란트를 매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악(위턱)에 존재하는 상악동(위턱뼈)은 점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생리적으로 치아가 상실되면 상악동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확장되므로, 임플란트를 삽입할 수 있는 골 량이 부족해져 상악부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워진다.
상기와 같이, 상악동까지의 골량이 부족한 경우의 기존의 대표적인 시술방법은, 측방접근 상악동 저거상술(Lateral(External)window sinus lift(Sinus graft))과 오스테오톰 상악동 저거상술(Internal sinus lift (Sinus lift)이 있다.
상기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은, 수직적인골량이 많이 부족한 상악 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수술시 상악동까지의 잔존 치조골 높이에 따라 상악골 측벽을 절개하고, 절개된 측벽의 골 창을 통해 이식골을 주입함으로써, 충분한 골량을 확보하여 길이가 긴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법이다.
이와 같은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은, 부족한 골 이식을 위해 환자 자신의 골편을 수술 이외의 부위에서 채취하는 이식 골편의 채취(환자의 골편을 채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공적인 이식골을 사용) 과정과, 구치에 상당하는 구간 전정부위 에 절개선을 설정하는 절개과정 및 점막 골막 피판의 형성과정과, 상악동을 열 때 라운드 버(round bur 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골절선을 넣고 개창하는 상악동 안면 벽의 개창과정과, 상악동 안면 벽 및 상악동 점막의 거상과정과, 골판을 제거한 상악동 내 공간의 처리과정과, 골 이식 과정과, 봉합과정과, 수술 6~12개월 후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오스테오톰 상악동저거상술은, 잔존 골량이 약간 부족한 경우의 수술방법으로써, 오스테오톰(골절도:osteotome 미도시)이라는 정 같은 기구로 망치질을 해서 뼈를 제거한 후, 이 공간에 자가골이나 인공골을 넣고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즉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부위에 1차 드릴로 골을 제거하여 홀을 형성한 후 이 홀에 작은 직경에서부터 점점 큰 직경의 오스테오톰을 번갈아 삽입하여 조심스럽게 망치질함으로써, 홀을 점점 확장한 다음 상악동 점막까지 서서히 접근하여 상악동 점막은 손상시키지 않고 골만을 파절시켜 이 공간에 자가 골이나 인공골을 이식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수술법이다.
상기와 같은 시술방법 중,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은 드릴(twist drill)을 사용하여 상악동 점막에 닿지 않을 정도의 안정된 거리 즉, 상악동점막 아래 상악골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과, 임플란트의 직경에 부합되는 홀이 형성될 때까지 점차 큰 직경의 오스테오톰을 번갈아 홀에 넣고 때리는 과정과, 임플란트 삽입에 적합한 홀이 형성되면 마지막으로 오스테오톰을 조심스럽게 때려서 상악골을 파절시키는 과정과, 상악골에 형성된 홀에 골 이식재를 채우는 과정과, 골 이식재가 채워진 홀 에 다시 오스테오톰을 넣고 부드럽게 때려서 상악동 점막을 들어올리는 과정과, 임플란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가용 골의 높이가 확보되면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측방접근 상악동저거상술에 사용되는 드릴의 날 부위에는, 예리한 드릴 날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악동 점막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임플란트 삽입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즉, 드릴 날이 회전하면서 상악동 내부를 감싸고 있는 점막과 닿을 경우, 상악동 점막의 자중에 의해 점 접촉되어 점막이 쉽게 파열 및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임플란트를 상악골(위턱뼈)에 심을 때 견인기의 견인부가 잇몸을 견인함과 동시에 상악골 측면에 형성시킨 골 창(상악골을 절개한 부분)을 통해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림으로써, 홀 천공시 상악동 내부로 진입되는 드릴 날과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한 점막의 손상이 방지되고,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려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부위와 점막 사이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견인부를 구비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면에 일측 단부가 접합 되어 상기 제1견인부 방향으로 하부몸체와 벌어지게 연장되며, 연장된 타측 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수평 절곡 및 하향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진 제2견인부가 형성된 상부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상악골(위턱뼈)에 이식할 때 견인기의 견인부가 잇몸을 견인함과 동시에 상악골 측면에 형성시킨 골 창(상악골을 절개한 부분)을 통해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림으로써, 홀 천공시 상악동 내부로 진입되는 드릴 날과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에 의한 점막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악동 내부의 점막을 들어올려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부위와 점막 사이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는 사용상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a는 도 2에 따른 제2견인부의 A-A선 단면도, 도 6b는 도 2에 따른 제2견인부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111)와, 상기 손잡이부(111)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견인부(112)를 구비하는 하부몸체(110)와; 상기 손잡이부(111)의 상부 면에 일측 단부가 접합 되어 상기 제1견인부(112) 방향으로 하부몸체(110)와 벌어지게 연장되며, 연장된 타측 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수평 절곡 및 하향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진 제2견인부(121)가 형성된 상부몸체(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견인기(100)의 하부몸체(110)는 금속재를 이용해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작한 것으로, 하부몸체(110)의 일측 단부에는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넓이를 갖는 손잡이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11)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하향 절곡 연장되어 넓이를 갖는 제1견인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10)는 일측 손잡이부(111)로부터 제1견인부(112)까지 상향하다가 하향하는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직선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111)로부터 제1견인부(112)까지를 곡선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제1견인부(112)의 단부가 견인 방향을 향하고 있어 잇몸(6)과 상악골(1) 사이에 용이하게 파고들도록 하여 잇몸(6)을 견인 방향으로 용이하게 벌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10)의 손잡이(111)측 단부에는 상·하 방향 중 일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11a)는 시술자가 손잡이부(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술을 하다가 손잡이부(111)가 손가락 및 손바닥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견인부(112)와 후술 될 상부몸체(120)의 제2견인부(121)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상기 절곡부(111a)를 손가락 또는 손바닥 부위에 걸어 전·후로 밀고 당기거나 회동시키면서 제1견인부(112)와 후술 될 상부몸체(120)의 제2견인부(1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A-A선 단면과 B-B선 단면과 같이, 상기 제1견인부(112)와 후술 될 상부몸체(120)의 제2견인부(121)의 단부가 볼록하게 라운드로 형성되되, 상기 제1견인부(112)와 제2견인부(121)에는 상·하면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제1오목부(112a) 및 제2오목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제1견인부(112)의 단면만을 도시하였으나, 후술 될 제2견인부(121)의 단면도 제1견인부(112)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는 상기 손잡이부(111)측 상부 면에 일측 단부가 접합 되어 상기 제1견인부(112) 방향으로 하부몸체(110)와 벌어지게 연장되며, 연장된 타측 단 부가 일측방향으로 수평 절곡 및 하향 절곡 연장된 형상을 가진 제2견인부(121)가 형성된다.
손잡이로(111)부터 제2견인부(121)로 수평 절곡된 부위는, 하부몸체(110)와 90°정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각도를 달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견인부(121)를 하부몸체(110)와 90°정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하부몸체(110) 넓은 측부로 잇몸(6)을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2견인부(121)를 폭이 좁은 골창(2)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점막(4)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견인기(100)의 길이방향이 시술할 상악동(3)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잇몸(6) 견인 및 점막(4)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시야 확보 및 시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견인기(100)의 길이방향을 시술 부위에 거의 밀착시킨 상태에서 잇몸(6) 견인과 동시에 점막(4)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식골(30) 주입 단계와 홀(5) 천공단계 및 임플란트(20) 삽입 등의 일련의 시술 단계를 진행할 때 견인기(100)에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20)는 손잡이부(111)로부터 제2견인부(121)로 수평 절곡되는 부위까지 까지 상향하다가 하향하는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직선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111)로부터 제2견인부(121)로 수평 절곡되는 부위까지를 곡선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제2견인부(121)를 상악동(3) 내부로 진입시킨 후, 홀(5)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10) 날 및 임플란트(20) 삽입 방향의 타측으로 점막(5)을 용이하게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손잡이부(111)로부터 제1견인부(112)와 제2견인부(121)까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선 형태를 갖으며 서로 이격되게 연장된 형상이므로, 시술 부위의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이고 시술자가 하부몸체(110)의 하부 면과 상부몸체(120)의 상부 면을 누르면서 잇몸(6)과 점막(4)의 견인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견인부(121)의 단부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라운드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견인부(121)에는 상·하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제2오목부(121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된 제1오목부(112a) 및 제2오목부(121a)는, 제1견인부(112)와 제2견인부(121)의 단부의 라운드진 두꺼운 부분보다 얇게 형성시킨 것으로, 제1견인부(112) 및 제2견인부(121)의 단부가 견인할 잇몸(6)과 상부로 밀어올릴 점막(4)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견인부(112) 및 제2견인부(121)의 단부가 라운드로 형성되어 있어 잇몸(6) 및 점막(4)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치아(7)가 있는 상악골(1)의 측부를 절개하여 골 창(2)을 형성시킨 후, 하부몸체(110)의 제1견인부(112)를 잇몸(6)과 상악골(1) 사이를 통해 삽입하여 잇몸(6)을 벌린다.
이때, 제1견인부(112)에 의해 최초에 벌려진 잇몸(6)을 하부몸체(110)의 길이방향 곡선 단부로 감싸면서 상부로 벌린다. 이때, 잇몸(6) 견인 방향의 타측에 형성된 골 창(2)의 진입로와 시야를 확보된다.
이후, 상부몸체(120)의 제2견인부(121)를 상악동(3) 내부로 진입시켜 상악동(3) 내부 면에 부착된 점막(4)을 상부로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점막(4)은 드릴(10) 날 및 임플란트(20) 삽입 방향의 타측으로 밀려 상악동(3) 표면과 이격된다.
다음으로, 상태에서 드릴(10)로 상악골(1)의 하부로부터 상악동(3) 내부로 임플란트(20)를 삽입시킬 수 있는 홀(5)을 천공한다.
즉, 드릴(10) 날이 상악동(3) 내부로 진입하더라도 제2견인부(121)에 의해 밀어올려진 점막(4)은 진입되는 드릴(10) 날과 소정거리를 갖기 때문에 점막(4)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홀(5)을 천공할 수 있다.
이후, 홀(5)을 통해 나사가 형성된 임플란트(20)를 삽입하게 되는데, 임플란트(20)의 일측은 홀(5)을 통해 상악동(3) 내부로 진입된 상태가 되고, 임플란트(20)의 타측은 상악골(1)의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점막(4)과 임플란트(20) 사이에 이식골(30)을 주입시킨 후, 이식골(30)이 굳으면 임플란트(20)가, 굳어진 이식골(30)에 박혀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견인기(100)를 골창(2)으로부터 빼내고, 골창(2)과 잇몸(6)을 봉합한 후, 상악골(1) 외부에 돌출 형성된 임플란트(20)의 연장 부위에 인공치아를 부착시켜 임플란트(20) 수술이 완료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20) 수술용 잇몸(6) 및 점막 견인기의 시술 단계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제1견인부(112)로 잇몸(6)을 벌리고, 제2견인부(121)로 상악동 내부의 점막(4)을 밀어올린 후, 이식골(30)을 주입하고 굳히는 과정을 먼저 실시하고, 굳혀진 이식골(30)에 홀(5)을 천공한 후 임플란트(20)를 삽입하는 단계를 갖는 시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를 사용함으로 써, 상악동(3) 내부로 인입되는 드릴(10) 날과 임플란트(20)에 의한 점막(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악동(3)의 점막(4)을 들어올려 임플란트(20)가 삽입되는 부위와 점막(4) 사이의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는 사용상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a는 도 2에 따른 제2견인부의 A-A선 단면도.
도 6b는 도 2에 따른 제2견인부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악골 2... 골 창
3... 상악동 4... 점막
5... 홀 6... 잇몸
7... 치아 10... 드릴
20... 임플란트 30... 이식골
100... 견인기 110... 하부몸체
111... 손잡이부 111a...절곡부
112... 제1견인부 112a... 제1오목부
120... 상부몸체 121... 제2견인부
121a... 제2오목부

Claims (3)

  1. 일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111)와, 상기 손잡이부(111)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제1견인부(112)를 구비하는 하부몸체(110)와;
    상기 손잡이부(111)의 상부 면에 일측 단부가 접합 되어 상기 제1견인부(112) 방향으로 하부몸체(110)와 벌어지게 연장되며, 연장된 타측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수평 절곡 및 하향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진 제2견인부(121)거 형성된 상부몸체(120);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10)는,
    상기 손잡이(111)측 단부가 상·하 방향 중 일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절곡부(1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견인부(112, 121)의 단부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로 형성되되, 상기 제1견인부(112) 및 제2견인부(121)에는 상·하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제1오목부(112a) 및 제2오목부(121a)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KR1020080045353A 2008-05-16 2008-05-16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KR10093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53A KR100936678B1 (ko) 2008-05-16 2008-05-16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53A KR100936678B1 (ko) 2008-05-16 2008-05-16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364A true KR20090119364A (ko) 2009-11-19
KR100936678B1 KR100936678B1 (ko) 2010-01-14

Family

ID=416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353A KR100936678B1 (ko) 2008-05-16 2008-05-16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76B1 (ko) * 2011-09-27 2013-03-18 이순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520A (en) * 1883-05-29 Dental lip and tongue holder
US573059A (en) * 1896-12-15 Garment-fastener
DE3680876D1 (de) 1985-12-05 1991-09-19 Univ Nebraska Geraet zur zahnaerztlichen beobachtung.
US20050277085A1 (en) 2004-06-14 2005-12-15 Stuart Coleton Viewing instru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76B1 (ko) * 2011-09-27 2013-03-18 이순호 치과 수술용 치은 배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678B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30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0884211B1 (ko)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US8308727B2 (en) Flexible tooling for use in maxillary sinus elevation procedu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981717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US20080182225A1 (en) Tooling and Methodology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KR10088923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81716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TWI444166B (zh) 用以頂起鼻竇之鑽孔工具
KR10137336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공구
KR100936678B1 (ko) 임플란트 수술용 잇몸 및 점막 견인기
JP2014513607A (ja) 上顎洞膜を直接調節して上顎洞膜を所望の方向に所望するだけ安全に挙上できるようにした安全上顎洞膜挙上器及びそれを用いた施術方法
US20090069834A1 (en) Auxiliary tool for formation of implant pre-hole
TW201302165A (zh) 給用於種植體植入孔的初始孔內面邊緣賦予凹凸形態的骨整形器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JP4172764B2 (ja) 上顎洞底挙上器具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453097Y1 (ko)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막 분리기
KR20110100016A (ko) 팁을 구비한 오스테오톰
KR101170895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윈도우 오프너
KR20100119593A (ko) 치조골 두께 측정자
US20230141066A1 (en) Dental implant to be placed in the posterior upper jaw
JP200904509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治療用骨のみおよびそれに用いる歯科用インプラント
Flanagan Cortical bone spreader osteotome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KR20100032800A (ko) 내부단차사용안전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