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76B1 - 석션 보조 장비 - Google Patents

석션 보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76B1
KR101907176B1 KR1020180044807A KR20180044807A KR101907176B1 KR 101907176 B1 KR101907176 B1 KR 101907176B1 KR 1020180044807 A KR1020180044807 A KR 1020180044807A KR 20180044807 A KR20180044807 A KR 20180044807A KR 101907176 B1 KR101907176 B1 KR 10190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er
suction
coupled
suction modu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익
Original Assignee
김하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익 filed Critical 김하익
Priority to KR102018004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76B1/ko
Priority to PCT/KR2019/003899 priority patent/WO20192034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17/04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석션 보조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을 파지하는 파지구, 및 파지구에 결합되며, 석션 모듈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의사는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석션 보조 장비{Suction Auxiliary Equipment}
본 발명은 석션 보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의사가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 보조 장비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에서는 진료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내에 발생되는 타액, 이물질, 혈액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과용 석션 장비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석션 장비에는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석션 팁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석션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치과 진료에서는 석션 모듈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석션 팁이 사용자의 구강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보조하는 간호 보조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치과 병원의 소형화로 인해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없이 의사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1인 치과가 치의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의사 단독으로의 1인 치과 진료가 가능하게 위해서는 석션 모듈의 사용을 도와주는 간호 보조 인력의 업무가 기술적으로 대체될 수 있어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3216호(2017.06.0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의사가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 보조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을 파지하는 파지구; 및 상기 파지구에 결합되며, 상기 석션 모듈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구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구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는,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며 소성 변형 가능한 제1 조절구, 상기 제1 조절구에 결합되며 힌지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조절구, 및 상기 제2 조절구에 결합되며 볼 베어링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3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구는 상기 제3 조절구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의사는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제2 조절구(320) 및 제3 조절구(33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에서의 제1 조절구(3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는 파지구(200), 조절구(310,320,330), 및 지지구(400)를 포함한다.
파지구(200)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100)을 집게 방식으로 파지하며, 파지구(200)에는 조절구(310,320,33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한편, 석션 모듈(100)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집게 방식의 파지구(200)의 내부에는 우레탄 등의 연성 재질의 보조 파지구(250)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파지구(200)에 결합 설치되는 조절구(310,320,330)는 파지구(2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지지구(400)는 조절구(310,320,3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조절구(310,320,330) 및 파지구(2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지지구(400)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봉형 부재로서 지지구(400)의 상단에는 조절구(310,320,330)의 타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구(400)의 하단에는 지지구(4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체(4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서의 고정체(450)는 지면에 설치되는 반구형 구조체로서 진료실 내에서의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이송 바퀴 등이 하부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고정체(450)는 조절구(310,320,330) 및 파지구(200)의 하중에 의해 지지구(400)가 전도되지 않도록 충분한 무게를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조절구(310,320,330)는 제1 조절구(310), 제2 조절구(320), 및 제3 조절구(330)를 포함하며, 제1 조절구(310)는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로서 일단이 지지구(4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1 조절구(310)의 타단에는 제2 조절구(320)가 설치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제1 조절구(310)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형 절곡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을 진료의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석션 모듈(10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석션 호스(130)를 고정 스트랩(500)을 이용하여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제1 조절구(310)에 고정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제1 조절구(310)의 내부에 석션 호스(130)가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 조절구(310)를 이용한 위치 조절 과정에서 석션 호스(130)로 인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 1에서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석션 호스(130)로 인해 진료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석션 호스(130)를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제1 조절구(310)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되, 제1 조절구(310)의 타단의 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석션 호스(130)의 석션 모듈(100)과의 결합 단부가 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조절구(3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석션 호스(130)가 지지구(400)의 내부까지 연결 설치되도록 하고, 지지구(4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체(450)를 통해 석션 호스(130)의 석션기 본체와의 결합 단부가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수직 설치되는 봉형 부재인 지지구(400)의 내부에는 석션 호스(130)가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수납 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지지구(400) 내부의 원통형 수납 공간은 제1 조절구(310)의 내부에 형성된 석션 호스(130)의 설치 공간과 연속된 공간을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2 조절구(320)는 힌지 방식으로 구동되며, 일단은 제1 조절구(3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2 조절구(320)의 타단에는 제3 조절구(330)가 연결 설치된다.
제3 조절구(330)는 볼 베어링 방식으로 구동되며, 일단은 제1 조절구(3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3 조절구(330)의 타단에는 파지구(200)가 힌지 결합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제2 조절구(320) 및 제3 조절구(33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조절구(320)는 고정부(325), 및 회동부(327)를 포함한다.
고정부(325)의 일단은 제1 조절구(31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회동부(327)의 일단은 고정부(325)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2 조절구(320)의 힌지 결합 부위에서의 고정부(325)와 회동부(327)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제3 조절구(330)는 볼(ball) 구조체(335), 회동체(337), 및 힌지부(339)를 포함한다.
볼 구조체(335)는 회동부(327)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체(337)는 볼 구조체(335)를 감싸고 있는 볼 구조체(335)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볼 구조체(33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동체(337)의 타측에는 힌지부(339)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볼 구조체(33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체(337)를 원하는 방향으로 볼 구조체(335)의 3차원 구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회동체(337)의 볼 구조체(335)와의 결합 각도 및 결합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볼 구조체(335)와 회동체(337)의 결합 강도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회동체(337)의 볼 구조체(335)와의 결합 각도 및 결합 방향이 파지구(200) 및 석션 모듈(100)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회동체(337)의 타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힌지부(339)에는 파지구(200)가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힌지부(339)에 결합된 파지구(200)의 결합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최종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제1 조절구(310)를 통해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조절구(320)의 힌지 결합 부위에서의 결합 각도의 조절을 통해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3 조절구(330)에서의 볼 베어링 방식의 결합 부위에서의 결합 방향 및 결합 각도의 조절을 통해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3차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조절구(330)와 파지구(200)의 힌지 결합 부위에서의 결합 각도의 조절을 통해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최종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 의사 등의 사용자는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100)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에서의 제1 조절구(3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에서의 제1 조절구(310)는 강성부(311), 및 연성부(312)를 포함한다.
강성부(311)는 강성 코일 구조체로서, 일단이 지지구(40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연성부(312)는 일단이 강성부(311)의 타단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성 코일 구조체로서 연성부(312)의 타단은 제2 조절구(320)에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조절구(310)에서의 지지구(400) 측 연결 부위는 상대적으로 방향 및 위치 전환의 필요가 많지 않으므로 강성 코일 구조체인 강성부(311)로 구성하고, 제1 조절구(310)에서의 제2 조절구(320) 측 연결 부위는 진료 환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방향 및 위치 전환의 필요가 많으므로 연성 코일 구조체인 연성부(312)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은 제1 조절구(310)의 차등 강성 구조에 의하면, 석션 모듈(100)에 대한 견고한 위치 고정의 기능과 석션 모듈(100)에 대한 유연한 위치 조정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석션 모듈, 110: 석션 팁,
130: 석션 호스, 200: 파지구,
250: 보조 파지구, 310: 제1 조절구,
311: 강성부, 312: 연성부,
320: 제2 조절구, 325: 고정부,
327: 회동부, 330: 제3 조절구,
335: 볼 구조체, 337: 회동체,
339: 힌지부, 400: 지지구,
450: 고정체, 500: 고정 스트랩.

Claims (3)

  1.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100)을 파지하는 파지구(200);
    상기 파지구(200)에 결합되며, 상기 석션 모듈(100)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310,320,330); 및
    상기 조절구(310,320,330)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구(310,320,330)를 지지하는 지지구(400)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310,320,330)는, 상기 지지구(400)에 결합되며 소성 변형 가능한 제1 조절구(310), 상기 제1 조절구(310)에 결합되며 힌지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 조절구(320), 및 상기 제2 조절구(320)에 결합되며 볼 베어링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3 조절구(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구(310)는,
    일단이 지지구(40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강성 코일 구조체인 강성부(311), 및 일단이 상기 강성부(311)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조절구(320)에 결합되는 연성 코일 구조체인 연성부(312)를 포함하는 것인 석션 보조 장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200)는 상기 조절구(310,320,330)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석션 보조 장비.
KR1020180044807A 2018-04-18 2018-04-18 석션 보조 장비 KR10190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07A KR101907176B1 (ko) 2018-04-18 2018-04-18 석션 보조 장비
PCT/KR2019/003899 WO2019203479A1 (ko) 2018-04-18 2019-04-02 석션 보조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07A KR101907176B1 (ko) 2018-04-18 2018-04-18 석션 보조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76B1 true KR101907176B1 (ko) 2018-10-11

Family

ID=6386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07A KR101907176B1 (ko) 2018-04-18 2018-04-18 석션 보조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7176B1 (ko)
WO (1) WO20192034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997B1 (ko) *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KR102208416B1 (ko) 2020-02-19 2021-01-26 송정화 석션 보조 장비
WO2021256620A1 (ko) 2020-06-16 2021-12-23 (주) 덴토존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WO2022239928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덴티움 덴탈 체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565A1 (en) 2007-04-26 2008-10-30 Comdel Innovations Inc. Suction coupling system and assembly
KR101653525B1 (ko) 2016-07-04 2016-09-01 서재현 전도가 방지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KR101743216B1 (ko) * 2016-02-22 2017-06-02 김태인 시술 보조 기구
KR101745434B1 (ko) 2016-04-06 2017-06-09 이민정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0940A (ja) * 2010-02-09 2011-08-25 High Dental Japan Kk 歯科技工用平行測定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565A1 (en) 2007-04-26 2008-10-30 Comdel Innovations Inc. Suction coupling system and assembly
KR101743216B1 (ko) * 2016-02-22 2017-06-02 김태인 시술 보조 기구
KR101745434B1 (ko) 2016-04-06 2017-06-09 이민정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KR101653525B1 (ko) 2016-07-04 2016-09-01 서재현 전도가 방지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997B1 (ko) *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KR102208416B1 (ko) 2020-02-19 2021-01-26 송정화 석션 보조 장비
WO2021167182A1 (ko) * 2020-02-19 2021-08-26 송정화 석션 보조 장비
US20220142846A1 (en) * 2020-02-19 2022-05-12 Dentaluv Inc. Suction aid equipment
JP2022525701A (ja) * 2020-02-19 2022-05-18 デンタラ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引補助装置
WO2021256620A1 (ko) 2020-06-16 2021-12-23 (주) 덴토존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KR20210155709A (ko) 2020-06-16 2021-12-23 (주) 덴토존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US11432917B2 (en) 2020-06-16 2022-09-06 Dentozone Co., Ltd. Dental suction assisting device
WO2022239928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덴티움 덴탈 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79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76B1 (ko) 석션 보조 장비
JP5815407B2 (ja) 脊椎安定化及び誘導固定システム
US6972020B1 (en) Multi-directional internal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EP1890618B1 (en) Fixator or splint
JP5306573B2 (ja) コンピュータ支援による整形外科的処置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US20070129634A1 (en) Biomedical positioning and stabilization system
JPH05211985A (ja) 脳室用内視鏡ガイド装置
JPH08510403A (ja) 特に骨折を漸進的に矯正するための整形外科装置
CN110167502B (zh) 手术肢体定位设备
JPH07241300A (ja) 医療器具の保持装置
JP2005253987A (ja) 保持装置
US20210007728A1 (en) Surgical retractor
KR102208416B1 (ko) 석션 보조 장비
KR101709585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관절부 고정장치
EP3741344A1 (en) Limb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653526B1 (ko)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JP6923136B2 (ja) 口腔開口維持装置及びその開口維持部品
JP4618863B2 (ja) 最小侵入手術における補助器具のための保持システム
CN218458163U (zh) 旋转可调超短型外固定架
CN218978848U (zh) 连接件、控制手柄及软性内窥镜
CN213696838U (zh) 一种医用临床口腔观察装置
CN208259733U (zh) 臼头式截骨圆点定位万向器
KR20230126857A (ko) 치과용 석션기구 거치 장치
CN115919592A (zh) 手术用肢体托架
KR20160071122A (ko) 진료용 의자에 구비되는 수술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