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39928A1 - 덴탈 체어 장치 - Google Patents

덴탈 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39928A1
WO2022239928A1 PCT/KR2022/000183 KR2022000183W WO2022239928A1 WO 2022239928 A1 WO2022239928 A1 WO 2022239928A1 KR 2022000183 W KR2022000183 W KR 2022000183W WO 2022239928 A1 WO2022239928 A1 WO 20222399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suction
dental chair
chair devic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01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춘환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ublication of WO20222399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399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hair device.
  • a dental chair device on which the patient can lie down is essentially required to examine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perform treatment on the teeth.
  • the dental chair device includes a multi-directional driv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ture of a patient lying down according to a manager's manipulation. Through this, the doctor may set the posture of the dental chair device in the most convenient posture for observing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chair device that allows a doctor to perform all dental treatment tasks alone during dental treatment without the help of a nurse.
  • the base unit a seat unit formed so that a patient can lie on the base unit; a main lighting unit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from the base unit and radiating main lighting light toward the seat unit; a doctor table mov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unit; an assist table mov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unit; a suction unit configured to suck foreign matter in the mouth of the patient; and a guide unit extending from the assist table and formed to be deformable to support the suction unit and emit sub-illumination light.
  •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having one end formed as an opening; and a suction tip having one sid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other side to suck in the foreign matter.
  • the suction tip may be formed to be deformable by external force.
  •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cradle extending to be deformable in shape on the assist table; and a sub-lighting unit installed at an end of the cradle to irradiate the sub-illumination light.
  • a coupling unit configured to couple the suction unit and the guide unit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radle includes a metal surface
  •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one side fitted to the suction pipe and the other side fitted to the cradle; and a second coupling unit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and formed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etal surface.
  • the first coupling unit is coupled to the suction unit and the guide unit so that each end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so that when the suction tip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sub-lighting unit in the oral cavity.
  • the distance to the suction tip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uction tip.
  • the assist tab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housing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hold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nd formed to fix one end of the cradle inserted through the housing hole.
  • the cradle is formed of a tubular body
  • the assist table includes a control board provid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sub lighting unit; and a cable extending from the control board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tubular body and coupled to the sub-lighting unit.
  • the holder includes a holder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assist table at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into which the cradle is inserted, and the cable is formed to exten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radle through the holder hole. It can be.
  • the seat unit formed so that the patient can lie down; a main lighting unit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and radiating main lighting light toward the seat unit; a doctor table form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heet unit; an assist table formed to be movable toward the seat unit; a suction unit extending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ump to suck foreign matter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it extends from the assist table and is formed to be shape-deformable to support the suction unit, and is disposed closer to the oral cavity than the main lighting unit to eliminate shadows generated in the oral cavity despite the main lighting light. It may include; a guide unit configured to emit sub-illumination light.
  •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having one end formed as an opening; and a suction tip having one sid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and being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other side to suck in the foreign matter.
  •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cradle extending to be deformable in shape on the assist table; and a sub-lighting unit installed at an end of the cradle to irradiate the sub-illumination light.
  • the cradle includes a metal surface
  •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one side fitted to the suction pipe and the other side fitted to the cradle; and a second coupling unit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and formed to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etal surface.
  • the suction unit is supported through the guide unit, the treatment work by the doctor alone is possible without additional manpower,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and improving treatment efficiency.
  • the suction position can be freely adjust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radle to provide customized treatment for each patient.
  • near-field light irradiation to the oral cavity is additionally performed,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hadow areas in the oral cavity.
  • the suction tip is configured to be deformed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 suction unit is coupled to the guide unit through magnetic coupling, convenience of coupling may be further improved.
  • a cable for supplying electrical signals or power to the sub-lighting unit is extended along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cradle to prevent disconnection in advance and improve aesthetics.
  • hygiene may be further improved by combining the sub lighting unit and the suction unit to provide sterilizing light to the suction uni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tilizing the dental chai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chai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suction unit 160 and a guide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 irradiation method through the sub lighting unit 17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guide unit 170 and the assist tabl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formable structure of a suction tip 16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sub lighting unit 173 and a suction pipe 161 for realizing a steril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tilizing the dental chai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rse N mainly assisted i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liva, blood, pus, and tooth debris generat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P during dental treatment with a suction unit 160 such as a suction.
  • the dental chair device 100 allows the doctor (D) to perform even the assist work performed by the existing nurse (N) alone.
  • the suction unit 160 is maintained in a specific posture through engagement with the guide unit 170 . This is because the suction unit 160 needs to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P and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during dental treatment.
  • the doctor D When the dental treatment starts, the doctor D performs the first operation of setting the posture of the guide unit 170 and the suction unit 160, the second operation of driving the suction unit 160, and finally the suction unit 160. ) through the third operation of stopping the driving and removing it from the mouth of the patient P, it is possible to treat the patient P alone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nurse N.
  • the guide unit 170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lighting mean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ain lighting provided in the dental chair device 100, light is irradiated to the oral cavity closer together with the suction unit 160 to minimize the shaded area in the oral cavity.
  • the doctor D can perform even assist work alone with a simple manipulation, and focused lighting on the oral cavity is possible, thereby improving not only economic feasibility but also overall treatment efficiency be able to do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ntal chai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ntal chair device 100 includes a base unit 110, a seat unit 120, a main lighting unit 130, a doctor table 140, an assist table 150, a suction unit 160 and a guide unit 170.
  • the base unit 110 is a means for fixing configurations such as the seat unit 120, the main lighting unit 130, the doctor table 140, and the assist table 150. Accordingly, the dental chair device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ll other components are combined into one through the base unit 110 .
  • the seat unit 120 has a basic chair shape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patient.
  • the posture of the seat unit 120 may be changed through a drive unit (not shown) so that the patient may lie down.
  • a lying posture of the patient may be optimized for a doctor to treat the patient.
  • the main lighting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base unit 110 and radiates main lighting light (see L1 or less in FIG. 4 , omitted below) toward the seat unit 120 .
  • the main lighting unit 13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and may include members for adjusting a lighting angle and a lighting direction.
  • the doctor table 140 is an object on which various types of BURs for processing work and handpieces for driving them are mounted.
  • the doctor table 14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unit 110 . Specifically, the doctor table 14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base unit 110 in a pivoting and lifting manner.
  • the assist table 150 is an object on which tools for assisting a machining operation are mounted.
  • the assist table 150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ctor table 140 with respect to the seat unit 120 .
  • the assist table 150 may include assist means such as a suction unit 160, a guide unit 170, and a 3-way-syring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uction unit 160 is a means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may generate suction force by a suction pump (not shown).
  • the guide unit 17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suction unit 160 and irradiating sub-illumination light (Fig. 4, L2 below).
  • the guide unit 170 is coupled to the assist table 150 and may itself be formed to extend into a shape-deformable structure.
  • the suction unit 160 is supported through the guide unit 170 connected to the assist table 150, and the sub lighting unit 173 moved in the same way as the suction unit 160 is provided.
  •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medical treatment alone can be further improved.
  • FIGS. 3 and 4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suction unit 160 and the guide unit 170 will be described.
  •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suction unit 160 and the guide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ub lighting unit 17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ight irradiation method through the
  • the suction unit 160 and the guide unit 17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unit 180.
  • the specific configuration for their combination is as follows.
  • the suction unit 160 may include a suction pipe 161 , an ejector 163 , and a suction tip 165 .
  • the suction pipe 161 is formed as a tubular body, and one end is formed as an opening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 suction pump.
  • the suction pump may be installed separately, or may be installed on the above-described assist table (Fig. 2, 150 or less) or the base unit (Fig. 2, 110 or less).
  • the suction pipe 161 may be formed to be deformable in shape and may be formed as a generally corrugated pipe body.
  • the ejector 163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suction pipe 161 and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trolling suc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suction pump or filtering sucked foreign substances.
  • the ejector 163 may be composed of a Saliva ejector or the like.
  • the suction tip 165 is substantially inserted into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is a means for primarily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suction pipe 161 or the ejector 163 .
  • the suction tip 16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suction pipe 161 when the ejector 163 is excluded, and when the ejector 163 is provided, the suction tip 165 is used for disposable use. Can be coupled to the opening.
  • the guide unit 170 may include a cradle 171 and a sub lighting unit 173 .
  • the cradle 171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assist tabl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to the air. At this time, the cradle 171 is composed of metal bellows and may be formed such that its shape is deformed and maintained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holder 171 is not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structures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shape can be deformed and maintained.
  • the sub-illumination unit 17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radle 171 extending from the assist table to emit sub-illumination light L2. Accordingly, the sub-illumination unit 173 may move in the same manner as the cradle 171 moves and emit the sub-illumination light L2.
  • the sub lighting unit 173 may be formed to be angularly adjustable.
  • the sub lighting unit 173 may be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radle 171, but an angle adjust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cradle 171 and the sub lighting unit 173 so that the angle of the sub lighting unit 173 is adjusted. It can be.
  • known angle adjusting members capable of turning with respect to a bearing or a cradle may be applied.
  • the coupling unit 180 is a means for coupling the suction unit 160 and the guide unit 170 to each other.
  • the coupling unit 18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oupling unit 181 and a second coupling unit 183 .
  • the first coupling unit 181 may be formed of a fitting member having one side fitted to the suction pipe 161 and the other side fitted to the cradle 171 .
  • a plurality of fitting members may be provided to couple the guide unit 170 and the suction unit 160 at different positions.
  • the ejector 163 and the sub lighting unit ( 173) can be located close to it.
  • the transfer site 163 and the sub lighting unit 173 may not be placed on the same line as needed, in which case the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181 will b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 the distance from the oral cavity to the sub lighting unit 173 may be defin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uction tip 165 .
  • the distance from the main lighting unit 130 to the patient's oral cavity is the first distance (S1), and the main illumination light (L1) is irradiated at that distance, while the sub lighting unit 173 has a distance to the patient's oral cavity.
  • the second distance (S2) is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S1), and the second distance (S2) is a distance automatically set by the oral insertion of the suction tip 165, thus optimizing lighting and shading in the oral cavity. area can be minimized.
  • the second coupling unit 183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161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er 171 .
  • the second coupling unit 183 may include a coupling housing 183a, a magnet groove 183b, and a magnet 183c.
  • Coupling housing (183a) one side is formed of a clamp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around the suction pipe 161 and the other side may have a protrusion. Therefore, it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suction pipe 161 through the tongs.
  • the magnet groove 183b may be concavely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coupling housing 183a.
  • the magnet 183c is inserted into the magnet groove 183b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neodymium.
  • the second coupling unit 183 may be formed in plural and fitted to different positions of the suction pipe 161,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econd coupling units 183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cradle 171 at different positions.
  • the end regions of the guide unit 170 and the suction unit 160 are fitted together by the first coupling unit 181, and the middle region is optionally It can be magnetically coupled by the second coupling unit 183.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161, the guide unit 170 and the suction unit 16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more efficiently.
  •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guide unit 170 and the assist tabl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ssist table 150 may include a housing 151, a housing hole 153, a holder 155, a control board 157, and a cable 159.
  • the housing 151 is a main body of the assist table 150 and may be formed to have an internal space. In FIG. 4, it is generally formed as a hexahedron, but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 the housing hole 153 may b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housing 151 so as to communicate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housing 151 .
  • the holder 155 is a means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holder 171 of the guide unit 17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51.
  • the cradle 171 When the cradle 17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51 through the housing hole 153,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155.
  • the cradle 171 accommodated in the holder 155 may be fixed to the holder 155 by bolts.
  • the holder 155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hole 155a.
  • the holder hole 155a guides a cable 159 connected to a control board 157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71 .
  • the holder hole 155a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assist table 150 at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 end of the holder 155 .
  • the control board 157 is a means for provid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sub lighting unit 173 or controlling power supply or operation signals to other assist members.
  • the control board 157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5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lighting unit 173 through a cable 159 .
  • the cable 159 may be inserted and extended into the holder 171 through the holder hole 155a and connected to the sub lighting unit 173 .
  • the guide unit 17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holder 155 provided inside the assist table 150, and the cable 159 extending from the control board 157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der 171 to the sub It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73. Accordingly, disconnection of the cable 159 due to external impac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formable structure of a suction tip 16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ction tip 165 may include a suction pipe 165a, a bent portion 165b, and a suction port 165c for shape modification.
  • the suction tip 165 is formed of a resin or plastic tubular body, deformation of the tubular body itself may occur when an external force or posture is changed. This deformation is freely made in the patient's oral cavity, but the suction tip 165 is not fixed in the deformed posture.
  • a region of the suction pipe 165a close to the suction port 165c may be formed as a bending deformation portion 165b.
  • the bending deformation part 165b may have a plurality of pleated structures and may include metal bellows as well.
  • the doctor may bend the suction port 165c in a desired direction b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pressing or turning with a finger) to the curved portion 165b.
  • the bent deformable portion 165b can maintain its current bent posture when no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pleat structure or bellows structure.
  •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165c can be changed and fixed in a desired direction, so that the doctor's intended treatment posture can be implemented more efficiently.
  • FIGS. 8 and 9 the configuration of the sub lighting unit 173 capable of providing germicidal ligh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sub lighting unit 173 and a suction pipe 161 for realizing a steril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 lighting unit 173 is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60 to irradiate the sterilizing light L3 to the suction unit 160 .
  •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hird coupling unit 187.
  • the third coupling unit 187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sub lighting unit 173 and the suction pipe 161 to face each other.
  • the third coupling unit 187 may include a light coupling portion 187a, a diffusion portion 187b, and a tube coupling portion 187c.
  • the lighting coupler 187a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ub lighting unit 173 as a means for being coupled to the sub lighting unit 173 .
  • the diffusion unit 187b is a means for diffusing or amplifying the sterilizing light L3 irradiated from the sub lighting unit 173, and a diffusion lens or the like may be applied.
  • the pipe coupling portion 187c is a means for engaging with the opening of the suction pipe 161 or the opening of the ejector 163 .
  • the third coupling unit 187 may have an integral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coupling portion 187a, the diffusion portion 187b, and the tube coupling portion 187c are continuously disposed.
  • the sub lighting unit 173 and the suction pipe 161 may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 the sub lighting unit 173 may emit sterilizing light L3.
  • the sterilization light (L3) is light capable of sterilizing germs such as bacteria, and may include ultraviolet (UV) light. If ultraviolet light is included, the sub lighting unit 173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ing modules to separately emit visible light and ultraviolet light.
  • the sterilization light L3 irradiated from the sub lighting unit 173 is composed of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a sterilization function.
  • the sterilizing light L3 is diffused. It can be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161 in a diffused state by the portion 187b.
  • the sterilizing light (L3)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161 in this way sterilizes the inner surface to which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oral suction are attached, so that the suction pipe 161 can be maintained in a cleaner state.
  •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suction tube 161 is performed by simply removing the suction tip (FIG. 3, 165) and combining the third coupling unit 187 to operate the sub lighting unit 173 during non-treatment. Hygiene and management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dental chair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dental chai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서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메인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조명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닥터 테이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어시스트 테이블;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유닛; 및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연장되고 형상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닛을 지지하고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덴탈 체어 장치
본 발명은 덴탈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다양한 요인에 손상 또는 오염되어 충치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충치 발생 시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 조치로 치아 진료가 활용되고 있다.
치아 진료 시, 환자의 구강을 살피고 치아에 대하여 치료를 실시하기 위해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덴탈 체어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덴탈 체어 장치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눕혀진 환자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는 다방향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관찰하기 가장 용이한 자세로 덴탈 체어 장치의 자세를 설정할 수 있다.
환자의 자세를 의사에 맞게 최적화한다고 하더라도, 치아 치료는 의사 혼자서 하기에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치아 치료는 대체로, 다양한 종류의 BUR가 부착된 핸드피스로 치아 또는 잇몸을 가공는 가공 작업과 이때 발생되는 침, 피, 치아 부스러기 등의 이물을 흡입하는 어시스트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의사가 상기 가공 작업을 실시하고 간호사가 석션을 통한 어시스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인건비의 증가와 간호 인력에 대한 구인난에 따라, 기존 간호사가 수행하였던 어시스트 작업을 대신할 새로운 수단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치과 진료 시 의사가 치아 치료 작업 전부를 간호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덴탈 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서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메인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조명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닥터 테이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어시스트 테이블;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유닛; 및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연장되고 형상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닛을 지지하고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유닛은, 일단이 개구부로 형성되는 흡입관; 및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구강 내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팁은,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형성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금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일측이 상기 흡입관에 끼움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대에 끼움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흡입관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금속면에 자력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의 각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흡입 팁이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구강에서 상기 서브 조명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흡입 팁의 길이에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거치대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은, 상기 서브 조명부에 대하여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기판; 및 상기 제어 기판에서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서브 조명부와 결합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거치대가 삽입되는 개구의 반대측에서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 홀을 통해 상기 거치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는,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 유닛;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메인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조명 유닛; 상기 시트 유닛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닥터 테이블;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어시스트 테이블; 흡입 펌프와 연통된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유닛; 및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연장되며 형상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 조명 유닛보다 상기 구강에 대해 더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조명광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강 내부에 발생되는 음영을 해소하기 위한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 유닛은, 일단이 개구부로 형성되는 흡입관; 및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구강 내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금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일측이 상기 흡입관에 끼움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대에 끼움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흡입관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금속면에 자력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덴탈 체어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유닛을 통해 흡입 유닛을 지지함에 따라 별도의 추가 인력없이도 의사 혼자 치료 작업이 가능해짐으로써, 인건비 감소 및 치료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대의 형상 변형을 통해 흡입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환자별 맞춤 진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유닛 구비되는 서브 조명부를 통해 어시스트 작업 시 구강에 대한 근거리 광 조사가 추가로 이루어짐으로써 구강 내 음영 영역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 팁이 외력에 따라 형상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작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력 결합을 통해 가이드 유닛에 흡입 유닛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결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 조명부에 전기적인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거치대의 관체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단선을 사전에 방지하고 심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 조명부와 흡입 유닛을 서로 결합시켜 살균광을 흡입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위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100)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유닛(160)과 가이드 유닛(170)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조명부(173)를 통한 광 조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170)과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팁(165)의 변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서브 조명부(173)와 흡입관(161)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100)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치과 진료 시 환자(P)가 덴탈 체어 장치(100)에 누운 상태에서, 의사(D)는 가공 작업을 실시하고, 간호사(N)는 옆에서 어시스트하는 방식으로 진료가 이루어졌다.
간호사(N)는 주로 치아 치료 시 환자(P)의 구강 내에 발생되는 침, 피, 고름 및 치아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을 석션(Suction)과 같은 흡입 유닛(160)으로 제거하는 어시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100)는, 기존 간호사(N)에 의해 수행되었던 어시스트 작업까지도 의사(D) 혼자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흡입 유닛(160)은 가이드 유닛(170)과의 체결을 통해 특정 자세로 유지된다. 흡입 유닛(160)은 치아 치료 시에 환자(P)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자세를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의사(D)는 치아 치료 시작 시 가이드 유닛(170)과 흡입 유닛(160)의 자세를 설정하는 제1 조작과, 흡입 유닛(160)의 구동을 실시하는 제2 조작, 마지막으로 흡입 유닛(160)의 구동 중단 및 이를 환자(P)의 구강에서 제거하는 제3 조작을 통해, 간호사(N)의 어시스트 없이 혼자서도 환자(P)의 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유닛(170)에는 추가적인 조명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덴탈 체어 장치(100)에 구비된 기존 메인 조명 외에도 흡입 유닛(160)과 함께 보다 가까이서 구강에 대한 광 조사를 실시하여 구강 내 음영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100)에 의하면 의사(D)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어시스트 작업까지도 혼자 수행할 수 있고, 구강에 대한 집중 조명이 가능해져 경제성뿐 아니라 전체적인 진료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덴탈 체어 장치(100)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2에서는 덴탈 체어 장치(100)의 전체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덴탈 체어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덴탈 체어 장치(100)는 베이스 유닛(110), 시트 유닛(120), 메인 조명 유닛(130), 닥터 테이블(140), 어시스트 테이블(150), 흡입 유닛(160) 및 가이드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시트 유닛(120), 메인 조명 유닛(130), 닥터 테이블(140) 및 어시스트 테이블(150) 등의 구성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덴탈 체어 장치(100)는 베이스 유닛(110)을 통해 다른 모든 구성들이 하나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시트 유닛(120)은,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본적인 의자 형상을 가진다. 시트 유닛(12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을 통해 자세가 변경되어, 환자가 눕기에 알맞도록 변형될 수 있다. 환자의 누운 자세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데 최적화된 것일 수 있다.
메인 조명 유닛(130)은, 베이스 유닛(110)에 설치되어 시트 유닛(120)을 향해 메인 조명광(도 4, L₁이하생략)을 조사하는 것이다. 메인 조명 유닛(130)은 복수의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명 각도 및 조명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닥터 테이블(140)은, 가공 작업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BUR들과 그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핸드피스들이 거치되는 대상물이다. 닥터 테이블(140)은 베이스 유닛(110)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닥터 테이블(14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유닛(110)에 대해 선회 및 승강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어시스트 테이블(150)은, 가공 작업을 어시스트하기 위한 도구들이 거치되는 대상물이다. 어시스트 테이블(150)은 시트 유닛(120)을 기준으로 닥터 테이블(14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시스트 테이블(150)은, 후술하는 흡입 유닛(160), 가이드 유닛(170) 및 쓰리웨이 시린지(3-way-syringe)와 같은 어시스트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흡입 유닛(160)은, 환자의 구강 내 이물을 흡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하지 않은 흡입 펌프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이드 유닛(170)은, 흡입 유닛(160)을 지지하고 서브 조명광(도 4, L₂이하생략)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이다. 가이드 유닛(170)은 어시스트 테이블(150)에 결합되고, 그 자신은 형상 변형 가능한 구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덴탈 체어 장치(100)에 의하면, 어시스트 테이블(150)에 연결된 가이드 유닛(170)을 통해 흡입 유닛(160)을 지지하고, 흡입 유닛(160)과 동일하게 이동되는 서브 조명부(173)를 통해 추가적인 광을 환자의 구강으로 조사함에 따라, 의산 단독 진료의 효율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관한 덴탈 체어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흡입 유닛(160)과 가이드 유닛(170) 간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유닛(160)과 가이드 유닛(170)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조명부(173)를 통한 광 조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유닛(160) 및 가이드 유닛(170)은 결합 유닛(18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의 결합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흡입 유닛(160)은 흡입관(161), 이젝터(163), 및 흡입 팁(165)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161)은, 관체로 형성되어 일단은 개구부로 형성되고 타단은 흡입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입 펌프는 별도로 설치되거나, 상술한 어시스트 테이블(도 2, 150 이하생략) 또는 베이스 유닛(도 2, 110 이하생략)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관(161)은, 형상 변형 가능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대체로 주름진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163)는, 흡입관(161)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흡입 펌프로부터 전달되는 흡입력을 제어하거나 흡입되는 이물을 여과시키는 등의 기능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젝터(163)는 살리바 이젝터(Saliva Ejec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 팁(165)은, 실질적으로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어 이물을 1차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흡입관(161)의 개구부 또는 이젝터(16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말해, 흡입 팁(165)은 1회용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이젝터(163)가 배제된 경우에는 흡입관(161)의 개구부와 직접 연결되고, 이젝터(163)가 구비된 경우에는 이젝터(163)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 가이드 유닛(170)은 거치대(171) 및 서브 조명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71)는, 일단이 어시스트 테이블에 결합되고, 타단은 공중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거치대(171)는 메탈 자바라(Metal Bellows)로 구성되어 외력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 및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171)의 구조가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형상이 변형 및 유지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방식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서브 조명부(173)는,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연장되는 거치대(171)의 끝단에 설치되어 서브 조명광(L₂)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조명부(173)는 거치대(171)의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하며 서브 조명광(L₂)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브 조명부(173)는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서브 조명부(173)는 거치대(171) 끝단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거치대(171)와 서브 조명부(173) 사이에 각도 조절부가 설치되어 서브 조명부(173)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로는, 베어링이나 거치대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공지의 각도 조절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결합 유닛(180)은, 흡입 유닛(160)과 가이드 유닛(17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결합 유닛(180)은, 예를 들어 제1 결합 유닛(181) 및 제2 결합 유닛(1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181)은, 일측이 흡입관(161)에 끼움되고 타측이 거치대(171)에 끼움되는 끼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 부재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가이드 유닛(170) 및 흡입 유닛(16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181)는, 흡입 유닛(160)의 이젝터(163) 및 가이드 유닛(170)의 서브 조명부(173)의 끝단들이 서로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이적터(163)와 서브 조명부(173)와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적터(163)와 서브 조명부(173)는 필요에 따라 동일 선상에 놓이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제1 결합 유닛(181)의 위치는 앞서와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흡입 팁(165)이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구강에서 서브 조명부(173)까지의 거리는 흡입 팁(165)의 길이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조명 유닛(130)에서 환자의 구강까지의 거리가 제1 거리(S₁)이고 해당 거리에서 메인 조명광(L₁)이 조사되는 반면, 서브 조명부(173)는 환자의 구강까지의 거리가 흡입 팁(165)에 대응되는 제2 거리(S₂)이고 해당 거리에서 서브 조명광(L₂)이 조사되는 것이다. 제2 거리(S₂)는 제1 거리(S₁)보다 짧고, 제2 거리(S₂)는 흡입 팁(165)의 구강 삽입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는 거리임에 따라, 구강 내에 대한 조명의 최적화 및 음영 영역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제2 결합 유닛(183)은, 흡입관(161)의 외부에 부착되어 거치대(171)에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 유닛(183)은 결합 하우징(183a), 자석 홈(183b) 및 자석(183c)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하우징(183a)은, 일측이 흡입관(161)의 둘레에 끼움될 수 있는 집게 구조로 형성되고 타측은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집게를 통해 흡입관(16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자석 홈(183b)은, 결합 하우징(183a)의 돌출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석(183c)은, 자석 홈(183b)에 삽입되며, 네오디뮴(Neodymium)과 같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 유닛(183)은 복수로 형성되어 흡입관(161)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유닛(183)은 거치대(171)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181) 및 제2 결합 유닛(183)에 따라, 가이드 유닛(170) 및 흡입 유닛(160)의 끝단 영역은 제1 결합 유닛(181)에 의해 끼움 결합되고, 중간 영역은 선택적으로 제2 결합 유닛(183)에 의해 자력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흡입관(161)의 길이에 관계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가이드 유닛(170)과 흡입 유닛(16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덴탈 체어 장치(100)에 의하면, 어시스트 테이블(150)에 연결된 가이드 유닛(170)을 통해 흡입 유닛(160)을 지지하고, 결합 유닛(180)을 통해 이들을 서로 다른 영역에서 결합시킴으로써, 흡입 유닛(16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은, 흡입 유닛(160) 및 가이드 유닛(170)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가이드 유닛(170)과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170)과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어시스트 테이블(150)은, 하우징(151), 하우징 홀(153), 홀더(155), 제어 기판(157), 및 케이블(159)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51)은,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본체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대체로 육면체로 형성되었으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우징 홀(153)은, 하우징(15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하우징(151)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더(155)는, 가이드 유닛(170)의 거치대(171)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51)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171)는 하우징 홀(153)을 통해 하우징(151)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홀더(155)에 수용될 수 있다. 홀더(155)에 수용된 거치대(171)는 볼트에 의해 홀더(155)에 고정될 수도 있다.
홀더(155)는 홀더 홀(155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홀더 홀(155a)은, 후술하는 제어 기판(157)과 연결되는 케이블(159)이 거치대(17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를 안내하는 것이다. 홀더 홀(155a)은 홀더(155)의 개방 단부의 반대측에서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기판(157)은, 서브 조명부(173)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거나, 다른 어시스트 부재들에 대하여 전원 공급 또는 동작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 기판(157)은 하우징(15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케이블(159)을 통해 서브 조명부(1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59)은 홀더 홀(155a)을 통해 거치대(171)의 내부로 삽입 연장되어 서브 조명부(17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유닛(170)은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내부에 구비된 홀더(155)에 삽입 고정되고, 제어 기판(157)에서 연장되는 케이블(159)이 거치대(171) 의 내부를 통해 서브 조명부(173)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따른 케이블(159)의 단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은, 가이드 유닛(170)과 어시스트 테이블(15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도 7에서는 흡입 팁(165)의 변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팁(165)의 변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팁(165)은 형상 변형을 위하여 흡입관(165a), 굴곡 변형부(165b) 및 흡입구(165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 팁(165)은 수지나 플라스틱 재질의 관체로 형성됨에 따라 외력이나 자세 변경 시 관체 자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환자 구강 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나, 흡입 팁(165)은 변형된 자세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165c)에 근접한 흡입관(165a) 영역을 굴곡 변형부(165b)로 형성할 수 있다. 굴곡 변형부(165b)는 복수의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메탈 자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 변형부(165b)를 포함하는 경우, 의사는 해당 굴곡 변형부(165b)에 대하여 외력(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돌려서)을 제공하여 흡입구(165c)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렇게 구부려진 굴곡 변형부(165b)는 주름 구조 또는 자바라 구조에 의해 추가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구부려진 현재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굴곡 변형부(165b)를 구비하는 흡입 팁(165)의 경우, 흡입구(165c)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 및 고정할 수 있어, 의사가 의도하는 진료 자세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은 굴곡 변형부(165b)를 구비한 흡입 팁(165)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살균광을 제공할 수 있는 서브 조명부(17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서브 조명부(173)와 흡입관(161)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서브 조명부(173)를 흡입 유닛(160)에 결합시켜, 흡입 유닛(160)에 대해 살균광(L₃)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제3 결합 유닛(18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 유닛(187)은, 서브 조명부(173)와 흡입관(161)이 서로 대면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3 결합 유닛(187)은 조명 결합부(187a), 확산부(187b) 및 관 결합부(187c)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결합부(187a)는, 서브 조명부(173)에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서브 조명부(173)의 일면에 결합된다. 확산부(187b)는, 서브 조명부(173)에서 조사되는 살균광(L₃)을 확산 또는 증폭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확산 렌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관 결합부(187c)는, 흡입관(161)의 개구 또는 이젝터(163)의 개구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제3 결합 유닛(187)은, 조명 결합부(187a), 확산부(187b) 및 관 결합부(187c)가 연속되게 배치되는 일체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조명부(173)와 흡입관(161)은 직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서브 조명부(173)는 살균광(L₃)을 조사할 수 있다. 살균광(L₃)은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광으로, 자외선(UV) 광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자외선 광이 포함되는 경우, 서브 조명부(173)는 가시광과 자외선 광을 각각 구분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조명부(173)에서 조사되는 살균광(L₃)이 인체에 무해하며 살균 기능을 갖는 405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따라서, 제3 결합 유닛(187)에 의해 서브 조명부(173)와 흡입관(161)이 서로 연결되고, 서브 조명부(173)에서 살균광(L₃)이 조사되는 경우, 해당 살균광(L₃)은 확산부(187b)에 의해 확산된 상태로 흡입관(161)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흡입관(161) 내부로 전달되는 살균광(L₃)은 구강 흡입 시 발생한 이물들이 붙어있는 내부면을 살균하여 흡입관(161)을 보다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 진료 시, 흡입 팁(도 3, 165)을 제거하고 제3 결합 유닛(187)을 결합하여 서브 조명부(173)를 동작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흡입관(161)의 살균 소독을 실시할 수 있어 위생성 및 관리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덴탈 체어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덴탈 체어 장치에 대한 제조 분야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14)

  1.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서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메인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조명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닥터 테이블;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어시스트 테이블;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유닛; 및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연장되고 형상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닛을 지지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은,
    일단이 개구부로 형성되는 흡입관; 및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구강 내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팁;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팁은,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덴탈 체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끝단에 설치되어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조명부;를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형성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금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일측이 상기 흡입관에 끼움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대에 끼움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흡입관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금속면에 자력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흡입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의 각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흡입 팁이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구강에서 상기 서브 조명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흡입 팁의 길이에 대응되게 하는 것인, 덴탈 체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거치대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은,
    상기 서브 조명부에 대하여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기판; 및
    상기 제어 기판에서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서브 조명부와 결합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거치대가 삽입되는 개구의 반대측에서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홀더 홀을 통해 상기 거치대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덴탈 체어 장치.
  11.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트 유닛;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메인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조명 유닛;
    상기 시트 유닛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닥터 테이블;
    상기 시트 유닛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어시스트 테이블;
    흡입 펌프와 연통된채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유닛; 및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연장되며 형상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 조명 유닛보다 상기 구강에 대해 더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조명광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강 내부에 발생되는 음영을 해소하기 위한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은,
    일단이 개구부로 형성되는 흡입관; 및
    일측이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구강 내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 팁;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테이블에서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조명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조명부;를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금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일측이 상기 흡입관에 끼움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대에 끼움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흡입관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금속면에 자력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덴탈 체어 장치.
PCT/KR2022/000183 2021-05-10 2022-01-05 덴탈 체어 장치 WO20222399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078A KR102545112B1 (ko) 2021-05-10 2021-05-10 덴탈 체어 장치
KR10-2021-0060078 2021-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9928A1 true WO2022239928A1 (ko) 2022-11-17

Family

ID=8402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0183 WO2022239928A1 (ko) 2021-05-10 2022-01-05 덴탈 체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5112B1 (ko)
WO (1) WO202223992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169U (ja) * 2009-11-19 2010-01-28 秀美 山本 口腔内バキューム装置及びバキューム管保持用スタンド、並びに歯科治療用チェア
KR101907176B1 (ko) * 2018-04-18 2018-10-11 김하익 석션 보조 장비
KR102075997B1 (ko) *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KR102208416B1 (ko) * 2020-02-19 2021-01-26 송정화 석션 보조 장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4647A (ja) * 1984-10-16 1986-05-13 岡本 智之 歯科用照明装置
CA2261752A1 (en) * 1996-08-08 1998-02-19 Schering Corporation Preparation of aminomethyl-phenylimidazoles
KR102079347B1 (ko) * 2018-11-30 2020-02-19 문현규 치과용 유닛 체어
KR102443647B1 (ko) * 2019-05-20 2022-09-15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169U (ja) * 2009-11-19 2010-01-28 秀美 山本 口腔内バキューム装置及びバキューム管保持用スタンド、並びに歯科治療用チェア
KR101907176B1 (ko) * 2018-04-18 2018-10-11 김하익 석션 보조 장비
KR102075997B1 (ko) *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KR102208416B1 (ko) * 2020-02-19 2021-01-26 송정화 석션 보조 장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Bright Alone", DENTIUM, 8 April 2021 (2021-04-08), pages 1 - 3, XP09300503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www.dentalarir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1344> [retrieved on 20221205] *
KIM SEON-YEONG: "A Chair with a Suction Holder that Can Allow a Doctor to Treat Patients without a Nurse.", SEMINARBIZ, 25 April 2021 (2021-04-25), pages 1 - 5, XP09300502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www.seminarbiz.kr/news/articleView.html?idxno=14099> [retrieved on 202212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112B1 (ko) 2023-06-21
KR20220153153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5707A2 (ko) 바이트블럭을 이용한 led 구강조명기
JP3121812B1 (ja) 歯科・医科用器具の照明装置
US5882194A (en) Illuminated suction tool with a disposable tip
WO2013100312A1 (ko) 삼차원 내시경 수술장치
WO2016178472A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WO2022239928A1 (ko) 덴탈 체어 장치
WO2021101095A1 (ko) 이동형 커튼 소독 장치
KR100392224B1 (ko) 일회용 팁이 달린 조명 장치가 부착된 흡입 기구
WO2023219449A2 (ko)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WO2012115370A2 (ko)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KR200359447Y1 (ko) 구강 내 치과용 광 공급 장치
WO2020138639A1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RU2652904C2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отсас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одноразов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с локальным освещением
CN116492187A (zh) 牙科椅装置
WO2018124367A1 (ko) 음이온을 이용한 집중치료장치
WO2018043786A1 (ko)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CN112875036A (zh) 种植体包装瓶
RU177538U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отсас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одноразов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с локальным освещением
KR20200133679A (ko)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WO2023033320A1 (ko) 필터가 결합된 핸드피스 커넥터를 포함하는 장치
WO2024072181A2 (ko) 구강삽입형 관리 시스템
RU2209609C2 (ru) Освещаемый отсас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наконечником одноразового применения
RU168425U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отсас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одноразов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с локальным освещением
WO2022215861A1 (ko) 구인두 광조사 치료장치
WO2023096013A1 (ko) 치과용 uv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07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807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