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78472A1 -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78472A1
WO2016178472A1 PCT/KR2016/002062 KR2016002062W WO2016178472A1 WO 2016178472 A1 WO2016178472 A1 WO 2016178472A1 KR 2016002062 W KR2016002062 W KR 2016002062W WO 2016178472 A1 WO2016178472 A1 WO 20161784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main body
oral
phototherapy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0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보라
노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
Publication of WO20161784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784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implantable phototherap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thpiece-shaped phototherap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terilization or whitening of teeth efficiently with a multi-core optical probe drawn from the outside.
  • Periodontal disease has been reported to affect cardiovascular disease, low birth weight premature birth, rheumatoid arthritis, chronic kidney disease, gastroesophageal disease. This suggests that topical inflammation in the oral cavity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ystemic diseases leading to death by affecting systemic inflammation.
  • Oral diseases can be divided into dental caries and other oral diseases.
  • Dental caries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infectious bacteria. Tooth decay is a disease in which teeth are gradually demineralized by the action of bacteria that grow on plaque, a biofilm formed on teeth. Plaque bacteria break down sugars to secrete acids, and deacidification occurs on the enamel of the tooth surface due to dispersing, causing decay.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which are estimated to cause more than 35% of adults, are also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 and the sterilization of oral biofilms plays an important role.
  • Biofilm formation in the oral cavity is a complex process involving more than 500 different bacteria, and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effects of photodynamic therapy on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al disease.
  • Photodynamic therapy has been propo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removing oral bacteria, because light illumination provides easy access to the active site of periodontal disease.
  • Photodynamic therapy uses photosensitive agents that absorb light of a particular wavelength.
  • the photosensitizer has affinity for the cell wall of the bacteria, so the molecules activated by the light source generate free radicals or free radicals that can damage the bacteria, resulting in an antimicrobial effect.
  • Combination of antibiotics and photodynamic therap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a small amount of antibiotics because it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antibiotics alone.
  • Dental caries is the most common outbreak of oral disease in children and is a chronic disease that progresses slowly. Dental caries is well known that Gram-positive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are directly related to dental caries.
  • Photodynamic therapy is one of the most useful treatments.
  • LEDs light emitting diodes
  • LEDs have the advantage over lasers as an alternative to low power lasers.
  • LED is safe because there is almost no heat damage or direct tissue damage, and it is effective and economical because it can treat a large area because it can broaden and flat array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 the LED light source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photosensitive agent, irradiation wavelength, light irradiation intensity (mW / cm2), light irradiation time (min), and light irradiation period (Hz) according to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t is effective for sterilization. As the energy (J / cm2) by the irradiance (mW / cm2) increases, the killing rate of bacteria becomes higher, and the light of visible wavelength above 400nm wavelength is similar to UV when used in high energy. Effect.
  • the intensity of irradiance (mW / cm2) for effective sterilization of pathogenic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irradiation distance, which is one or tenths of a minute at a distance of 5-10 cm from the patient's treatment area. As the strength is weakened.
  • an effective method for removing oral bacteria is high intensity irradiance (mW / cm 2) at a distance of less than 10 mm to all oral teeth or gums and all other areas. By simultaneously irradiating with it can increase the bactericidal power of pathogenic bacteria.
  • Korean Patent No. 10-1478118 is a mouthpiece patent using a conventional light treatment.
  • the prior art discloses a mouthpiece of a structure in which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light source in a treatment device may be provided.
  • the disclosed mouthpiece has a problem in that the therapeutic light cannot be precisely irradiated to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tooth.
  • the prior art has a light emitting device inside the mouthpiece.
  •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inside the mouthpie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put of light cannot be increased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 the light source should be disposed outside, it is preferable to use an optical fiber that can efficiently transmit the therapeutic light from the light source.
  • a multicore fiber In order to irradiate light on the front of the tooth, a multicore fiber must be introduced into the mouthpiece. Therefore, the multi-core optical fiber should be arranged to allow LED light irradiation inside and outside the teeth and gums according to the dental structure and maintain the irradiation distance within 5mm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irradiance (mW / cm2)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 mW / cm2 intensity of irradi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thpiece-shaped light therapy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to irradiate ligh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ooth.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therapy device that does not have a risk of fever due to the generation of light during oral inser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therapy device that can b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ptical fiber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when the oral cavity to ensure sufficient irradiance.
  • An oral implantable phototherapy device includes an optical therapy device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and irradiating light, comprising: a front portion having an orthodontic shape into which an optical fiber bundle is inserted;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the optical fibers of some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are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teeth, and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pass through the body; And a rear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rranged such that the optical fiber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faces the inside of the tooth.
  • the fro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lling hole into which the filling material for adhering the main body is formed.
  •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surface which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of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is formed.
  •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 the rear surface portion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 the rear surfac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void portion is inserted so that the third optical fiber introduc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tooth is formed, more preferably, the rear portion of the third void portion
  • the gap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ed inclined laterally.
  •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packing coupled up and down to surround the front part, the main body, and the rear part.
  • an oral implantable phototherapy device includes: an optical therapy device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and irradiating light, the orthodontic front portion having an optical fiber bundle inserted therein; And a main body coupled to the front part and having the optical fiber arranged and fix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tooth.
  • the fro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ding hole is formed protruding so that the optical fiber bundle can be inserted and fixed.
  • the main body comprises: a first void portion penetrated so that the first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toward the outside of the upper teeth; And a second void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optical fiber toward the outside of the lower teeth of the optical fiber bundle.
  •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to be penetrated so that the optical fiber of a portion of the optical fiber bundle is inserted, the void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lurality of pores is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ing inclined laterally. It is done.
  • the first optical fiber and the second optical fiber is fixed to the main body via a lens.
  • the fron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packing coupled up and down to surround the body.
  • the therapeutic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bundl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terilized or whitening of the oral cavity without the risk of heat generated by the light output.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therapy system including a light therap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ortion of the light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light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portion of the photo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core optical fiber is inserted into the optical 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main body of the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ssembly of the optical fiber and the main body of the optical therap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in body in the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ssembling the main body and the optical fiber as another example of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ght therapy system may include a light therapy device 1, a light generating module 7, and an optical fiber 5.
  • the light generating module 7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directly mounted on the light generating device 1, and thus may generate high output light energy regardless of its size.
  • the light generating module 7 may include a heat sink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may generate light energy of a specific wavelength band for sterilization.
  • LED light emitting diode
  • the therapeutic effect may vary depending on the dose of the photosensitive agent and the size of the irradiance during the photodynamic procedure on the biofilm.
  • at least 50 mW / cm 2 for the treatment of the tooth portion and at least 100 mW / cm 2 for the treatment of the root portion is known to have a therapeutic effect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dose of about 20 J-50 J.
  • the irradiation distance should be close and the irradiance should be high.
  • the light generating module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light with irradiance of 50mW / cm 2 or more in the oral cavity.
  •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rrange the optical fibers with an irradiation distance of 2 to 5 mm from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generating module 7.
  • the light generating module 7 may output light in the blue LED wavelength or the green LED wavelength band for effective sterilization of the caries-causing S. mutans and S. sobrinus.
  • the optical fiber 5 may deliver the treatment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generating module 7 to the light therapy device 1.
  • the optical fib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multicore optical fiber.
  • the operator irradiates light to a treatment spot with a single optical probe. This is because the implant only performs sterilization of the target site for the purpose of sterilizing the specific site where the implant is performed.
  • the optical fiber 5 is connected to the optical treatment device 1 in a bundle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
  • the phototherap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eeth whitening, specifically, to activate the photocatalyst in bleaching using a photocatalyst such as titanium dioxide (TiO2) together with a bleach (hydrogen peroxide). It can be used as a light irradiation means for.
  • a photocatalyst such as titanium dioxide (TiO2) together with a bleach (hydrogen peroxide). It can be used as a light irradiation means for.
  • the phototherapy apparatus 1 may include a front portion 10, a body 30, a rear portion 60, and protective packings 91 and 93.
  • the front part 10, the main body 30 and the rear part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back and forth, and the protective packing 91, 93 is the front part 10, the main body 30, the rear part 60 combined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Can be combined to wrap.
  • the protective packing 91, 93 may be manufactured to be integrated to be combined to surround the front portion 10, the main body 30, the rear portion 60.
  • the front portion 10 may be provided in a tooth shape.
  • the optical fiber bundle 5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portion 10.
  • the front part 10 may have a leading hole 101 protruding so that the optical fiber bundle 5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body 30, in which case, the front portion 10 and the body 30 is preferably bonded so as not to disassemble.
  • At least one filling hole 103 into which the filling material for adhering the main body 30 may be form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0.
  • FIG. 3 shows a main body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30 is coupled with the front portion 10, and the optical fibers 511, 513 (see FIG. 6) of some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5 are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teeth, and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53 may be provided to be penetrated.
  • the main body 30 may have a tooth shape like the front portion 10.
  • a first gap 301, a second gap 303, and a through hole 305 may be formed.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core optical fiber is inserted into a phototherap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void portion 301 is formed on the main body 30 such that the first optical fiber 511 of the optical fiber bundle 5 faces the outer side of the upper teeth.
  • the first optical fiber 511 may be a multicore optical fiber having one or more strands. That is, the first gap 301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corresponding to the upper teeth of the teeth.
  • the first void portion 301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 the second void portion 303 is formed on the main body 30 such that the second optical fiber 513 of the optical fiber bundle 5 faces the outside of the lower teeth.
  • the second optical fiber 513 may be a multicore optical fiber having more than one strand. That is, the second void portion 303 is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teeth of the teeth.
  • the second void portion 303 is form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main body 30.
  • the main body 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es through which the optical fibers 511 and 513 of some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5 are inserted,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void portions 301 and 303.
  • the voids 301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30 among the plurality of voids may penetrate inclined laterally.
  • the voids provided on the side may be voids other than the void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 the void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30 among the first void portions 301 may be inclined laterally so that the optical fibers 51 intro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30 can be easily inserted.
  • the second gap 303 may also have a gap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30 so as to be inclined laterally so that the optical fiber 51 draw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30 can be easily inserted.
  • the lateral direction refers to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30.
  • the main body 30 may have a base surface 307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user abut.
  • the base surface 307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hototherapy device 1 is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to fix and support the user's teeth. As the user bites the base surface 307,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naturally exposed to the first and second voids 301 and 303, and the phototherapy device 1 is fixed.
  • the main body 30 may have a through hole 305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53 of the optical fiber bundle penetrates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 the third optical fiber 53 may be one or more strands of optical fiber.
  • the third optical fiber 53 refers to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except for the first optical fiber 511 and the second optical fiber 513 among the optical fiber bundles 5 introduced into the front portion 10.
  • the third optical fiber 53 is arranged on the rear portion 60 to irradiate the treatment light to the inside of the tooth.
  • the rear part 6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30 so that the optical fiber 53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30 faces the inner side of the tooth.
  • the rear part 60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05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30.
  • the rear part 60 may have an inlet 605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53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305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thereof.
  • the inlet 605 is protruded to be engaged with the main body 30 at the same time as the insertion of the third optical fiber 53.
  • the rear surface 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surface 307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let 605 may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305 to be assembled.
  • the rear part 60 may be formed with third voids 601 and 603 inserted into the third optical fiber 53 introduced inward to face the inside of the tooth.
  • the third voids 601 and 6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ids 601 formed on the rear portion 60 so that some of the third optical fibers 53 face the inside of the upper teeth.
  • the third voids 601 and 6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ids 60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60 such that the rest of the third optical fibers 53 face the inside of the lower teeth.
  • the voids of the third void portions 601 and 603 are formed to be alig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portion 60, respectively.
  • the voids 601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ar surface portion 60 among the third void portions 601 and 603 are formed to be inclined laterally. This is to allow the third optical fiber 53 to be easily inserted into each of the pores 601 and 603 by being able to bend inside the rear part 60 as described above.
  • the gap 601a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ar part 60 may be other than the gap formed in the front of the rear part 60.
  • the front part 10, the main body 30, and the rear part 60 are coup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protective packings 91 and 93 may be coupled up and down to surround the front portion 10, the main body 30, and the rear portion 60.
  • the protective packings 91 and 9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 the protective packings 91 and 93 may be provided of silicon or EVA material.
  • a multi-core optical fiber 5 connected to the light generating module may be inserted into the front part 10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0 and the rear part 60.
  • the first optical fiber 511, the second optical fiber 513, the third optical fiber 531, 533 is arranged in the main body 30 and the rear portion 60 so as to face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teeth in Figure 2 As described above.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ototherapy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ront part 20 and a main body 40 which is fitt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part 20, and assembled with the front part 20.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packing (81, 82) to surround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40 to configure the appearance.
  • the front part 20 may be provided in a dental form, and one or more leading parts 201 through which the optical fiber bundle 5 may be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202 may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20,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202 may be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ortion 20 to have elasticity and have a main body 40.
  • a fitting assembly can be made.
  • the main body 40 may have a tooth shape similarly to the front portion 20, and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401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gagement protrusion 202 to which the engagement protrusion 202 is inserted and fixed.
  • the main body 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oids 402 and 403 to which the optical fiber is arranged and fixed so as to face the outside of the tooth.
  • the gaps 402 and 403 include a first gap portion 402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optical fiber 501 in the optical fiber bundle toward the outside of the upper teeth, and a second optical fiber 502 in the optical fiber bundle. )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gap portion 403 formed to penetrate the outside of the lower teeth.
  • the voids 402a and 403a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40 among the voids 402 and 403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40,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optical fiber is prevented. It can be done easily.
  • the voids 402 and 403 are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40, and the optical fibers 501 inserted into the voids 402 and 403 are formed of a lens ( Fixing may be performed through 501a).
  • the lens 501a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optical fiber 501, and the lens 501a may be inserted into the gap to be fixed by the adhesive B.
  • FIG. 9 the lens 501a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optical fiber 501, and the lens 501a may be inserted into the gap to be fixed by the adhesive B.
  • FIG. 10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in body in the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hototherap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example of the device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example of the body and the optical fiber.
  • the main body 40 ′ is provided with a first void portion 402 ′ and a second void portion 403 ′ formed with an optical fiber facing the upper teeth and lower teeth.
  • the body 40 ′ may be provided by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such as glass or transparent resin, and the gaps 402 ′ and 403 ′ may be provided by recesses formed in the body 40.
  • the optical fiber 501 ' may be inserted into each gap and fixed by the main body 40' by the adhesive B, and the adhesive B may be attached to a transparent seal such as an elastic resin having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 the elastic resin may be a resin in the form of a gel such as silicone.
  • the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fiber 501 'fixed to the main body 40'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main body 40 'and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 the main body 40 to which the optical fiber 501' is fixed Although not shown as a function of the optical system, ') has a concave or convex shap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arranged optical fiber,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body 40' has a direction (focus) and can be output.
  • optical treatment device 5 optical treatment device 5
  • first gap portion 303 and 403 second gap portion
  • 60 rear portion 601, 603: third void portion
  • optical fiber bundle 511 first optical fi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10); 상기 전면부(10)와 결합되고,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는 관통된 본(30)체; 및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를 관통한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후면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본 발명은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인입된 다심의 광 프로브가 구강의 전면을 효율적으로 멸균 또는 치아의 미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주 질환은 심혈관 질환, 저체중 조산,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신장 질환, 상기도폐 질환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이는 구강 내 국소염증이 전신의 염증에 영향을 주고받아 사망에 이르는 전신 질환의 발병과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치과 질환의 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구강 질환은 크게 충치와 그 외 구강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충치(dental caries)는 감염성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감염성 질환중의 하나이다. 충치는, 치아에 형성되는 바이오 필름인 플라그(plaque)에서 자라는 세균의 작용에 의해 차츰 이가 탈회되는 병이다. 플라그의 세균은 당분을 분해하여 산을 분비하고, 이산에 의해 치아 표면의 에나멜질에 demineralization이 일어나 충치가 악화된다. 성인의 35% 이상이 고통 받고 있다고 추정되는 치은염, 치주염 등도 역시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이며, 구강 내 바이오 필름의 멸균 여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강 내의 바이오 필름 형성은 서로 다른 500여종의 세균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이고 많은 연구들이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광역학 치료의 효과를 보고하였다.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가 구강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었는데, 이는 광 조사(illumination)가 치주 질환의 활성위치로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광 감각제를 사용한다. 광 감각제는 세균의 세포벽에 친화성이 있어 광원에 의해 활성화된 분자는 세균을 손상시킬 수 있는 활성 산소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여 항균 효과가 발생한다. 항생제와 광역학 치료를 병용하면 항생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더 큰 효과가 있어 항생제를 적은 양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치아우식증은 어린이의 구강질환중 가장 흔한 범발성 질환이며, 진행과정이 서서히 이루어져가는 만성 질환이기도 하다. 치아우식증은 치면세균막내 관련된 여러 세균 중에서 그람양성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가 치아우식증과 직접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구강 내 정상세균총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우식유발세균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강력한 항생요법이 필요하며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매우 유용한 치료방법의 하나이다.
구강 내에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병원성구강세균이 군집하면 치주염과 유사한 임플란트주위염의 발생가능성이 증가한다. 임플란트에 바이오필름이 부착되면 임플란트 인접조직에 염증과 골흡수가 나타나며, 이것은 임플란트의 실패와 직결된다.
수복과 보존치과학의 가장 오래된 임상적 딜레마중 하나는 와동 형성 후 생균(livebacteria)의 잔존 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육안으로 와동 형성이 깨끗해 보일 때라도, 탐침은 단지 단단한 에나멜과 상아질만 탐지 할 수 있으며, 보이지 않는 박테리아는 에나멜과 치아조직 내에 잠복하여, 수복물이 장착되자마자 충치를 유발할 준비를 하게 된다. 충전재가 충전 되면, 박테리아는 치아의 큰 침식부위가 골절되어 함몰될 때 까지 발견되지 않고 아무런 방해 없이 치아 조직을 공격할 수 있다.
최근 레이저보다 Light emitting diode(LED)를 이용한 의료영역이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저출력레이저의 대체광원으로서 레이저와 비교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LED는 열에 의한 손상이나 직접적인 조직손상이 거의 없어 안전하고, 다양한 파장의 빛을 넓고 평이하게 배열(large, flat arrays) 할 수 있어 넓은 부위를 치료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
LED 광원은 구강 내에 세균에 따라 광감각제의 종류, 조사파장, 광조사세기(mW/㎠), 광 조사시간(min), 광조사주기(Hz)의 조건에서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병원성세균의 살균에 효과적이며, 방사조도(mW/㎠)에 의한 에너지(J/㎠)가 증가 할수록 세균의 사멸율은 더 높아지고 400nm 파장이상의 가시광선파장의 빛은 높은 에너지에서 사용되었을 때 UV와 비슷한 살균의 효과를 나타낸다.
구강 내에 병원성세균의 효과적 살균을 위한 방사조도(mW/㎠)의 세기는 광조사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방사조도는 환자의 치료부위에서 5-10 cm정도 거리에서 수분의 1이나 수십 분의 1로 세기가 약해지는 특성이 있다.
LED을 이용한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에 있어, 구강박테리아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구강 내 치아나 잇몸 안과 밖의 모든 부위 전체를 10mm이내의 근접거리에서 높은 세기의 방사조도(mW/㎠)로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병원성세균의 살균력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광 치료를 이용한 마우스피스 특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78118호가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치료 장치 내에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비될 수 있는 구조의 마우스피스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개시된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내측 외측으로 치료용 광을 정밀하게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치아의 광 역학 치료는 높은 세기의 방사조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선 치아의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광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어야 하며, 조사되는 광의 거리가 가까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의 종래기술은 마우스피스 내부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였다. 마우스피스 내부에 광원이 구비되는 경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광의 출력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원이 외부에 배치되어야 하고, 광원으로부터 치료용 광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광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 전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다심의 광 섬유가 마우스피스 내로 인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심의 광 섬유를 치열구조에 따라 치아 및 잇몸 안과 밖에 LED광 조사가 가능하도록 배열되어야 하고 조사거리를 5mm이내로 유지하여 기존방식에 비해 방사조도(mW/㎠)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마우스피스가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478118호
본 발명은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의 내측 및 외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삽입시 광의 발생으로 발열의 위험이 없는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삽입시 치아의 내측 및 외측으로 광 섬유가 근접하게 배열되어 충분한 방사조도가 확보될 수 있는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는,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는 관통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한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후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는, 상기 본체를 접착시키기 위한 충진물이 투입되는 충진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기저면이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3 광 섬유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부는,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제3 광 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앞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부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제3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제3 공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공극부 중 상기 후면부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상기 본체, 및 상기 후면부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되는 보호 패킹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는,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광 섬유가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는, 상기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리딩 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1 광 섬유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1 공극부; 및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2 광 섬유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2 공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상기 본체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광 섬유 및 상기 제2광 섬유는 렌즈를 매개로 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본체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되는 보호 패킹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는, 치료용 광이 광 섬유 다발을 통해 조사되므로 광 출력에 따른 발열의 위험이 없이 구강의 멸균 또는 치아 미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 치료 장치를 포함한 광 치료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전면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후면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에 다심의 광섬유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본체의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본체와 광 섬유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에서 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다른 예인 본체와 광 섬유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1)를 포함한 광 치료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치료 시스템은 광 치료 장치(1), 광 발생 모듈(7), 광 섬유(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발생 모듈(7)은 광 발생 장치(1)에 직접 실장되지 않고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어, 그 크기와 관계없이 고출력의 광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 발생 모듈(7)은 방열판 및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으며, 멸균을 위한 특정 파장대의 광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치아생체막에 대한 광역학 시술시 광민감제의 투여량과 함께 방사조도(irradiance)의 크기에 따라 치료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치아부분의 치료에는 50mW/㎠이상, 치근부분의 치료에는 100mW/㎠이상에서 약 20 J - 50 J 광선량 증가에 따라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아생체막내 혹은 주변의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조사거리는 가깝고 방사조도를 높게 출력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발생 모듈(7)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구강 내에 50mW/㎠ 이상의 방사조도로 광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1)는 광 발생 모듈(7)로부터 전달된 광을 조사거리 2 내지 5mm로 광 섬유를 배열시킬 수 있다.
광 발생 모듈(7)은 우식원인균인 S. mutans와 S. sobrinus의 효과적인 살균을 위해서 청색 LED 파장 또는 녹색 LED 파장 대역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 섬유(5)는 광 발생 모듈(7)로부터 전달된 치료광을 광 치료 장치(1)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섬유(5)는 다심의 광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치과 또는 의료기관에서 광을 이용한 멸균시 시술자는 단심의 광 프로브로 치료 지점에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는 임플란트가 시술된 특정 부위의 멸균을 위한 목적으로 타겟 지점의 멸균만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균은 구강내에서 쉽게 증식되므로 치아 전면에 대한 멸균이 수행되어야 하며, 시술자가 없이 환자가 가정에서 홀로 구강 치료를 행할 수 없다. 이에 착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섬유(5)는 치아의 전면인 내측 및 외측에 모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심(bundle)으로 광 치료 장치(1)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광 치료 장치(1)는 치아 미백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표백제(과산화수소수)와 함께 이산화티탄(TiO2) 등과 같은 광촉매를 이용한 표백법(bleaching)에서 광촉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광조사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1)는 전면부(10), 본체(30), 후면부(60), 및 보호 패킹(91)(9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0), 본체(30) 및 후면부(60)는 서로 전후 결합되며, 보호 패킹(91)(93)은 결합된 전면부(10), 본체(30), 후면부(60)를 위아래에서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패킹(91)(93)은 일체 형으로 제작되어 전면부(10), 본체(30), 후면부(60)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부(10)는 치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부(10)에는 광 섬유 다발(5)이 인입될 수 있다. 전면부(10)는 광 섬유 다발(5)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리딩 홀(10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0)의 뒷면은 본체(30)와 결합되며, 이때, 전면부(10)와 본체(30)는 분해되지 않도록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전면부(10)에는 본체(30)를 접착시키기 위한 충진물이 투입되는 충진 홀(103)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30)를 나타낸다. 본체(30)는 전면부(10)와 결합되고, 광 섬유 다발(5) 중 일부의 광 섬유(511)(513)(도 6 참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53)는 관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체(30)는 전면부(10)와 같이 치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30)에는 제1 공극부(301), 제2 공극부(303), 관통구(30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에 다심의 광섬유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함께 참고하면, 제1 공극부(301)는 광 섬유 다발(5) 중 제1 광 섬유(511)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본체(30) 상에 형성된다. 제1 광 섬유(511)는 한가닥 이상인 다심의 광 섬유가 될 수 있다. 즉, 제1 공극부(301)는 치열 중 윗니에 대응되는 본체(30)의 상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 공극부(301)는 복수의 공극이 본체(3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 되도록 형성된다.
제2 공극부(303)는 광 섬유 다발(5) 중 제2 광 섬유(513)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본체(30) 상에 형성된다. 제2 광 섬유(513)는 한가닥 이상인 다심의 광 섬유가 될 수 있다. 즉, 제2 공극부(303)는 치열 중 아랫니에 대응되는 본체(30)의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 공극부(303)는 복수의 공극이 본체(3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 되도록 형성된다.
본체(30)는 제1, 2 공극부(301)(303)와 같이 광 섬유 다발(5) 중 일부의 광 섬유(511)(513)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공극 중 본체(30)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301a)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될 수 있다.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이란, 본체(10)의 중앙에 배치된 공극을 제외한 나머지의 공극들이 될 수 있다.
즉, 제1 공극부(301) 중 본체(30)의 사이드에 배치된 공극은 본체(30)의 수직 방향으로 인입되는 광 섬유(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될 수 있다. 제2 공극부(303) 또한 마찬가지로 본체(30)의 사이드에 배치된 공극은 본체(30)의 수직 방향으로 인입되는 광 섬유(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측방향이란 본체(30)의 외측을 말한다.
본체(30)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기저면(307)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저면(307)은 광 치료 장치(1)가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치아가 고정 및 지지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기저면(307)을 물게 됨으로써 윗니와 아랫니가 제1, 2 공극부(301)(303)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며, 광 치료 장치(1)가 고정된다.
본체(30)는 중앙부에 광 섬유 다발 중 제3 광 섬유(53)가 관통되는 관통구(3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광 섬유(53)는 한가닥 이상의 광 섬유일 수 있다. 제3 광 섬유(53)는 전면부(10)로 인입된 광 섬유 다발(5) 중 제1 광 섬유(511), 제2 광 섬유(513)를 제외한 나머지의 광 섬유를 의미한다. 제3 광 섬유(53)는 후면부(60)에 배열되어 치아의 내측으로 치료용 광을 조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면부(60)는 본체(30)의 내측에 결합되어 본체(30)를 관통한 광 섬유(53)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시킬 수 있다.
후면부(60)는 본체(30)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구(305)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부(60)는 관통구(305)를 관통한 제3 광 섬유(53)가 인입되는 인입구(605)가 앞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입구(605)는 제3 광 섬유(53)의 삽입과 동시에 본체(30)와 체결되기 위해서 돌출 형성된다. 후면부(60)는 기저면(307)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며, 인입구(605)가 관통구(305)에 끼움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후면부(60)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3 광 섬유(53)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제3 공극부(601)(6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공극부(601)(603)는 제3 광 섬유(53) 중 일부가 윗니의 내측을 향하도록 후면부(6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공극(6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극부(601)(603)는 제3 광 섬유(53) 중 나머지가 아랫니의 내측을 향하도록 후면부(6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공극(6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극부(601, 603)의 공극들은 후면부(60)의 상하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 되도록 형성된다.
제1, 2 공극부(301)(303)와 마찬가지로, 제3 공극부(601)(603) 중 후면부(60)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601a)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광 섬유(53)가 후면부(60) 내측에서 휘돌아 각각의 공극(601)(603)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면부(60)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601a)이란, 후면부(60)의 정면에 형성된 공극을 제외한 나머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전면부(10), 본체(30), 및 후면부(60)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후, 보호 패킹(91)(93)은 전면부(10), 본체(30), 및 후면부(60)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될 수 있다. 보호 패킹(91, 93)은 광 투과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보호 패킹(91, 93)은 실리콘 또는 EVA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광 발생 모듈에 연결된 다심의 광 섬유(5)가 전면부(10)에 인입되어, 본체(30)와 후면부(60)에 삽입된 형태를 이해할 수 있다. 제1 광 섬유(511), 제2 광 섬유(513), 제3 광 섬유(531)(533)가 본체(30) 및 후면부(60)에 치아의 외측 및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은 도 2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2실시예의 광 치료 장치는 전면부(20), 전면부(20)의 후단에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본체(40)를 포함하며, 조립된 전면부(20)와 본체(40)의 위아래를 감싸서 외관을 구성하게 되는 보호 패킹(8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는 치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광 섬유 다발(5)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리딩부(201)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20)의 테두리에는 후방으로 복수 개의 계합돌기(202)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계합돌기(202)는 전면부(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탄성을 갖고 본체(40)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40)는 전면부(20)와 마찬가지로 치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계합돌기(202)와 대응되어 계합돌기(20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조립공(401)이 형성된다. 본체(40)는 광섬유가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공극부(402)(40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극부(402)(403)는 광섬유 다발 중의 제1광 섬유(501)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1공극부(402)와, 광섬유 다발 중의 제2광 섬유(502)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 제2공극부(40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공극부(402)(403) 중에서 본체(40)의 사이드에 형성된 공극부(402a)(403a)는 본체(40) 표면에 대해 경사를 가짐으로써 광섬유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8을 함께 참고하면, 공극부(402)(403)는 본체(4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각 공극부(402)(403)에 삽입되는 광 섬유(501)는 렌즈(501a)를 매개로 하여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예시된 것과 같이, 광 섬유(501) 전단에는 렌즈(501a)가 마련되며, 렌즈(501a)가 공극부에 삽입되어 접착제(B)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에서 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다른 예인 본체와 광 섬유의 조립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다른 변형예로서 본체(40')는 광 섬유가 윗니와 아랫니를 향하도록 인입 형성된 제1공극부(402')와 제2공극부(403')가 마련되며, 이때 본체(40')는 유리, 또는 투명한 수지와 같은 광 투과율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제공되고 공극부(402')(403')는 본체(40)에 인입 형성된 요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광 섬유(501')는 각 공극부에 삽입되어 접착제(B)에 의해 본체(4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B)로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탄성 수지와 같은 투명 밀봉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 수지로는 실리콘 등의 젤 형태의 수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40')에 고정된 광 섬유(501')에서 출력된 광은 투명한 본체(40')를 투과하여 치아의 외측으로 조사되며, 이때 광 섬유(501')가 고정된 본체(40')는 광학계로 기능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치된 광 섬유의 광축 방향으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체(40')를 투과한 광은 방향성(집속)을 갖고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 : 광 치료 장치 5, 53, 511, 513 : 광 섬유
501 : 렌즈 7 : 광 발생 모듈
10, 20 : 전면부 101, 201 : 리딩홀
103 : 충진홀 30, 40 : 본체
301, 402 : 제1공극부 303, 403 : 제2공극부
305 : 관통구 307 : 기저면
60 : 후면부 601, 603: 제3 공극부
605: 인입구 5: 광 섬유
51, 53: 광 섬유 다발 511: 제1 광 섬유
513: 제2 광 섬유 531, 533: 제3 광 섬유
7: 광 발생 모듈 81, 82, 91, 93 : 보호 패킹

Claims (14)

  1.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는 관통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한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본체를 접착시키기 위한 충진물이 투입되는 충진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기저면이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앙부에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3 광 섬유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는,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제3 광 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앞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제3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제3 공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극부 중 상기 후면부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상기 본체, 및 상기 후면부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되는 보호 패킹을 더 포함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9.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광 섬유가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리딩 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1 광 섬유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1 공극부; 및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2 광 섬유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2 공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상기 본체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 섬유 및 상기 제2광 섬유는 렌즈를 매개로 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본체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되는 보호 패킹을 더 포함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PCT/KR2016/002062 2015-05-06 2016-03-02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WO201617847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22A KR101543270B1 (ko) 2015-05-06 2015-05-06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KR10-2015-0063022 2015-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8472A1 true WO2016178472A1 (ko) 2016-11-10

Family

ID=5406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062 WO2016178472A1 (ko) 2015-05-06 2016-03-02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3270B1 (ko)
WO (1) WO201617847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7984B2 (en) 2020-03-19 2021-10-19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US11524173B2 (en) 2015-07-28 2022-12-13 Know Bi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modulation of nitric oxide
US11654294B2 (en) 2021-03-15 2023-05-23 Know Bio, Llc Intranasal illumination devices
US11986666B2 (en) 2020-03-19 2024-05-21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270B1 (ko) * 2015-05-06 2015-08-12 주식회사 지에이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KR101777507B1 (ko) 2016-04-05 2017-09-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외부의 빛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신체 내부의 균을 없애는 장치
KR20180060698A (ko) * 2016-11-29 2018-06-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질환의 광역동 치료를 위한 장치
CN113995960B (zh) * 2021-11-23 2023-12-08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内光医疗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557A (ko) * 2002-09-24 2005-06-23 프랑소와 뒤레 의료 및 치과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광학적 및화학적 수단을 채용한 미백장치
KR100777438B1 (ko) * 2006-06-05 2007-11-28 럭스프로(주) 마우스피스형 치주질환 광치료기
KR20120079828A (ko) * 2012-06-29 2012-07-13 메디럭스(주) 세척기 복합형의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30094127A (ko) * 2012-02-15 2013-08-23 최선일 구강용 레이저 조사기
WO2015056034A1 (en) * 2013-10-18 2015-04-23 Institut Za Fiziku Teeth whitening device with real time monitoring of whitening process
KR101543270B1 (ko) * 2015-05-06 2015-08-12 주식회사 지에이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18B1 (ko) 2013-09-05 2014-12-31 (주)푸로맥스 구강 삽입형 광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557A (ko) * 2002-09-24 2005-06-23 프랑소와 뒤레 의료 및 치과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광학적 및화학적 수단을 채용한 미백장치
KR100777438B1 (ko) * 2006-06-05 2007-11-28 럭스프로(주) 마우스피스형 치주질환 광치료기
KR20130094127A (ko) * 2012-02-15 2013-08-23 최선일 구강용 레이저 조사기
KR20120079828A (ko) * 2012-06-29 2012-07-13 메디럭스(주) 세척기 복합형의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 장치 및 그 작동방법
WO2015056034A1 (en) * 2013-10-18 2015-04-23 Institut Za Fiziku Teeth whitening device with real time monitoring of whitening process
KR101543270B1 (ko) * 2015-05-06 2015-08-12 주식회사 지에이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4173B2 (en) 2015-07-28 2022-12-13 Know Bi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modulation of nitric oxide
US11617895B2 (en) 2015-07-28 2023-04-04 Know Bi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modulation of nitric oxide
US11147984B2 (en) 2020-03-19 2021-10-19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US11684798B2 (en) 2020-03-19 2023-06-27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US11752359B2 (en) 2020-03-19 2023-09-12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US11986666B2 (en) 2020-03-19 2024-05-21 Know Bio, Llc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US11654294B2 (en) 2021-03-15 2023-05-23 Know Bio, Llc Intranasal illumin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270B1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8472A1 (ko)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WO2011152585A1 (ko)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장치
EP3060159B1 (en) Intra-oral light-therapy apparatuses
US200602403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oral health
EP2386264B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502212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oral health
US200802544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oral health
Panhoca et al. Oral decontamination of orthodontic patients using photodynamic therapy mediated by blue-light irradiation and curcumin associated with sodium dodecyl sulfate
US20060085052A1 (en) Method and means for exerting a phototoxic effect of visible light on microorganisms
US20150164618A1 (en) Laser orthodontic devices
US20070003905A1 (en) Tooth white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whitening teeth using an intra-oral light generating device
US20110104633A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and methods for effecting an oral treatment
WO199800645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treat gingival and periodontal disease
CN112566586B (zh) 用于口腔内处理的咬口器及方法
WO2010098764A1 (en) Mouthpiece that adjusts to user arch sizes and seals from oxygen exposure
Goyal et al. Low level laser therapy in dentistry
IT201800005693A1 (it) Apparecchiatura per trattamenti biofotonici tissutali
EP2420287A1 (en) Method for enhancing viability of periodontal tissue cells
KR20150002011A (ko) 마우스피스
CN201393679Y (zh) 激光牙刷
Hopp et al. Photodynamic therapies–blue versus green
KR20120079828A (ko) 세척기 복합형의 이동식 치주질환 광치료 장치 및 그 작동방법
RU2728108C1 (ru) Способ фотодинамической терапии заболеваний полости рта и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гель-фотосенсибилизатор
KR20060032589A (ko) 광-활성화 살균
KR20220118652A (ko) 플렉스블 red oled가 구비된 상부와 하부 가짜 치아 (이빨 커버)로 이루어진 구강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89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12.01.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895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