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679A -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679A
KR20200133679A KR1020200060304A KR20200060304A KR20200133679A KR 20200133679 A KR20200133679 A KR 20200133679A KR 1020200060304 A KR1020200060304 A KR 1020200060304A KR 20200060304 A KR20200060304 A KR 20200060304A KR 20200133679 A KR20200133679 A KR 2020013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traction
auxiliary device
suc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647B1 (ko
Inventor
백인규
Original Assignee
백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규 filed Critical 백인규
Priority to PCT/KR2020/00659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35934A1/ko
Publication of KR2020013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0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mouth props, tongue guards, tongue depressors or cheek 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4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는, 외부 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본체, 치과 시술 시 발생한 부산물을 구강 내에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1 석션부 및 치과 시술 시 치료 부위의 시야 확보를 위해,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리트렉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AUXILIARY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본 개시는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의 부산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환자의 연조직을 특정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치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 시,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구강 내에는 물, 침, 혈액 등과 같은 이물질이 계속 고이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구강 내에 머물게 되면 치료 부위에 대한 작업 시야가 확보되지 않고, 치료 부위에 바이러스 감염이나 세균성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석션(suction)을 이용하여 치과 시술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필수적으로 제거해줘야 한다. 또한, 치과 치료 시 치료 부위에 대한 작업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리트렉터를 통해 혀, 뺨 등과 같이 환자의 연조직을 특정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는 리트렉션(retraction) 작업이 필요하다.
즉, 치과 시술 시, 원활한 치료를 위해서는 리트렉터 작업을 통해 환자의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석션 작업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리트렉터 작업과 석션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서는 치위생사의 도움 없이 의사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하기 어려우며, 리트렉터 작업과 석션 작업은 단순 보조 작업에 지나지 않아 근로자의 근무 의욕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료 부위를 치료하기 위해 치아를 삭제하는 경우, 미세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 분진에 의해 치료 부위에 대한 작업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치료 부위에 바이러스 감염이나 세균성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구강 내의 부산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환자의 연조직을 특정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치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는, 외부 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본체, 치과 시술 시 발생한 부산물을 구강 내에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1 석션부 및 치과 시술 시 치료 부위의 시야 확보를 위해,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리트렉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에어홀 및 리트렉션부의 휘어지는 정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리트렉션 바디 및 리트렉션 바디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리트렉션 바디의 휘어짐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받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는, 제1 석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리트렉션부 및 제1 석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리트렉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트렉션부는,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1 링크 및 복수의 제1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2 리트렉션부는,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2 링크 및 복수의 제2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일측부는 본체와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 석션부 또는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연결관 및 외부 라인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트렉션부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 제1 에어홀 및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팽창하도록 구성된 제1 주름부를 포함하고, 제2 리트렉션부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 제2 에어홀 및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팽창하도록 구성된 제2 주름부를 포함하고, 리트렉션부는 일방향으로 휘어져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 제1 리트렉션부 또는 제2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가 주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부산물을 구강 외에서 흡입하고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석션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부를 밝히도록 제1 석션부 또는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본체와 결합되어 제1 석션부 및 리트렉션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로봇 암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지는 리트렉션부를 이용하여 혀 또는 뺨 등과 같은 환자의 연조직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연조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치과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를 이용하여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제1 석션부를 통해 부산물을 흡입하거나,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보조 인력없이 사용자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를 통해 제1 석션부 및/또는 제2 석션부를 기존의 외부 장치의 외부 라인에 연결하여 제1 석션부 및/또는 제2 석션부로부터 흡입된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라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보조 장치에 대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이 수월해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외부에서 부산물을 흡입하는 제2 석션부를 통해 치과 시술 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이나, 에어로젤 등과 같은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치료 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치료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치료 부위에 대한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조 장치의 정밀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료 부위를 치료하는 경우,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치료 부위를 시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제1 석션부 및 리트렉션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트렉션부 및 제2 리트렉션부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트렉션부 및 제2 리트렉션부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석션부 및 리트렉션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석션부 및 리트렉션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석션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가 동작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기 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암에 결합된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이다.
도 15는 본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가 동작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술하기에 앞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도면의 왼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좌' 또는 '좌측', 그 오른쪽은 '우' 또는 '우측' 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100)는 제1 석션부(110), 리트렉션부(120), 본체(130), 연결관(140), 교체 연결관(150) 및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140)은 커넥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3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유닛 체어나 로봇 암 등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30)는 외부 장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3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3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체(130)가 외부 장치에 착탈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복수의 흡착판(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30)는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30)는 연결관(140) 및 교체 연결관(150)을 통해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관(140)의 일단부에 커넥터(142)가 형성되어, 연결관(140)의 커넥터(142)가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교체 연결관(150)과 결합되고, 연결관(140)의 타단부가 본체(130)와 결합될 수 있다.
교체 연결관(150)은 연결관(14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걸림돌기와 걸림홈 등과 같이 연결관(140)과 교체 연결관(150)이 다양한 결합 구조로 구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교체 연결관(150) 또한, 이상에서 상술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교체 연결관(150)은 교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교체 전 또는 후 멸균 소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140)은 제1 석션부(110) 및/또는 리트렉션부(120)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키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관(140)은 제1 석션부(110) 및/또는 리트렉션부(120)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조 장치(100)는 지지부(170) 및 지지부(17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70)는 지지 프레임(180)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70)가 지지 프레임(180)의 상면에 배치되고, 지지부(170)와 지지 프레임(180) 각각에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프레임에 지지부(17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30)가 지지면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지지부(170)와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부(170)와 지지 프레임(18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170)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 프레임(180)은 지지부(170)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예를 들어, 지지부(170)의 하부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석션부(110)는 치과 시술 시 발생한 부산물(예를 들어, 구강 내의 침, 물, 이물질 등)을 구강 내에서 흡입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석션부(110)는 흡입한 부산물을 본체(130)로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관(140) 및 교체 연결관(150)을 통해 본체(1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석션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연결관(15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교체 연결관(15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구강 내에서 흡입한 부산물을 교체 연결관(150) 및 연결관(140)을 통해 본체(1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130)는 연결관(140) 및 교체 연결관(150)을 통해 제공받은 부산물(예를 들어, 구강 내의 침, 물, 미세분진,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30)는 연결관(140)과 연결되기 위한 라인 또는 구조물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30)의 내부에는 구강 내부로부터 흡입한 부산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관(140)과 연결되도록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60)의 일측부는 본체(130)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외부 라인(예를 들어, 외부 석션 장치의 석션 라인, 물 공급 라인, 에어 라인 등)과 연결되어 제1 석션부(110)로부터 흡입한 부산물을 구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석션부(110)로부터 흡입된 부산물은 교체 연결관(150), 연결관(140), 본체(130) 및 연결부(16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외부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100)는 부산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관(140)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연결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조작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흡입되는 부산물이 연결관(140)을 통해 본체(130)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연결관(140)의 내부가 막히도록 연결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미도시)는 교체 감염 예방을 위해 모션 센서 또는 터치 센서로 동작하는 스위치 등일 수 있다.
리트렉션부(120)는 치과 시술 시, 치료 부위에 대한 작업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혀, 뺨 등과 같은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트랙션부(120)는 환자의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120)는 제1 석션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트렉션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연결관(15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제1 석션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교체 연결관(150) 및 연결관(140)을 통해 본체(130)와 연결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관(140)을 통해 본체(1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석션부(110) 또는 리트렉션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관(14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연결관(14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석션부(110)가 부산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부산물에 교체 연결관(150), 연결관(140), 본체(130) 및 연결부(160)를 통해 외부 라인으로 이동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60)는 외부 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이나, 에어를 본체(130), 교체 연결관(150) 및 연결관(140)을 통해 제1 석션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100)의 제1 석션부 및 리트렉션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석션부는 석션 팁(232) 및 석션 팁 연결부(2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 팁(232)은 석션 팁 연결부(234)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구강 내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고, 석션 팁 연결부(234)는 제1 석션부가 구강 내에서 흡입한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교체 연결관(15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교체 연결관(1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석션부로부터 흡입된 부산물을 연결관(미도시), 본체(미도시)를 따라 외부 라인과 연결된 연결부(미도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는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석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트렉션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연결관(15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교체 연결관(150)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석션부(232, 234)의 좌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리트렉션부(220)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연결관(15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교체 연결관(150)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석션부(232, 234)의 우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트렉션부는 다자유도(Multi Degree of Freedom, MDOF)를 가지도록 복수의 링크 및 복수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트렉션부(210)는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1 링크(212) 및 복수의 제1 관절(21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리트렉션부((220)는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2 링크(222) 및 복수의 제2 관절(2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1 링크(212)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관절(214)은 각각의 제1 링크(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링크(222) 또한,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2 관절(224)은 각각의 제2 링크(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링크(212)는 회전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어 및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어는 입력측 기어 및 출력측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미도시)는 복수의 기어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입력측 기어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각각의 기어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각 제1 링크(212) 사이의 제1 관절(214) 각각이 특정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링크(222) 또한, 회전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어 및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기어 중 하나에 배치된 제2 구동부(미도시)가 입력측 기어에 회전력이 부여할 수 있다. 제2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각각의 기어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각 제2 링크(222) 사이의 제2 관절(224) 각각이 특정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관절(214) 중 적어도 일부는 x, y, z 축 중에서 지정된 축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 관절(prismatic joint)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관절(214) 중 적어도 일부는 x 축 구동부(미도시), y 축 구동부(미도시) 및 z 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x 축 구동부(미도시), y 축 구동부(미도시) 및 z 축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x 축 병진 운동, y 축 병진 운동 및 z 축 병진 운동을 포함하는 3-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관절(224) 중 적어도 일부는 x 축 구동부(미도시), y 축 구동부(미도시) 및 z 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고, x, y, z 축 중에서 지정된 축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 관절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절(224) 중 적어도 일부는 x 축 구동부(미도시), y 축 구동부(미도시) 및 z 축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x 축 병진 운동, y 축 병진 운동 및 z 축 병진 운동을 포함하는 3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제1 관절(214) 중 적어도 일부는 x, y, z축 중에서 지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 관절(revolute joint)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관절(214) 중 적어도 일부는 롤(roll) 구동부(미도시) 및 피치(pitch)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롤(roll) 구동부(미도시) 및 피치(pitch)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롤 방향 회전 및 피치 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2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절(224) 또한, 적어도 일부가 롤(roll) 구동부(미도시) 및 피치(pitch)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x, y, z축 중에서 지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 관절(revolute joint)로 구성되어 롤(roll) 구동부(미도시) 및 피치(pitch)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롤 방향 회전 및 피치 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2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제1 관절(214) 중 적어도 일부는 요(yaw)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요(yaw)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요 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1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절(224) 또한, 적어도 일부가 요(yaw)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요(yaw)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요 방향 회전을 포함하는 1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링크(212, 222) 및 복수의 관절(214, 224)을 포함하는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를 이용하여 연조직을 원활하게 밀어내거나 또는 잡아당김으로써, 연조직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연조직을 원활히 다룰 수 있다. 따라서, 치료 부위에 대한 작업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치과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리트렉션부가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를 포함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의 리트렉션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리트렉션부 각각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치과 시술 시, 연조직을 견인하고 치료 부위에 대한 작업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보조 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는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기기 위해 제1 석션부(110)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치료 부위의 위치 및/또는 치료 부위 주변의 연조직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는 복수의 링크(212, 222) 및 복수의 관절(214, 224)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휘어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는 복수의 링크(212, 222) 및 복수의 관절(214, 224)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휘어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석션부(110)는 리트렉션부(210, 220)에 의해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치과 치술 시 구강 내부에서 발생한 흡입물을 흡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석션부(110)는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물 또는 에어를 구강 내부로 분사할 수도 있다.
리트렉션부(210, 220)가 동작하는 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도록 치료 부위의 위치 및/또는 치료 부위 주변의 연조직에 따라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가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가 서로 다른 형상 및/또는 다른 방향으로 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석션부(110) 및 리트렉션부(120)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석션부(440) 및 리트렉션부(400)의 수평 단면도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트렉션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트렉션부(210), 제2 리트렉션부(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연조직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석션부(110)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치료 부위의 위치 및/또는 치료 부위 주변의 연조직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는 임의의 수의 리트렉션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리트렉션부 각각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제1 리트렉션부(210) 및 제2 리트렉션부(22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트렉션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트렉션부(450), 제2 리트렉션부(460) 및 제3 리트렉션부(4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리트렉션부(450, 460, 470)는 복수의 링크 및 복수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석션부(440)로부터 벌어진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명부(미도시)는 임의의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석션부(540)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는, 부산물을 구강 외에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2 석션부(540) 및 환자의 구강 내부를 밝하도록 구성된 조명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부(550)는 제1 석션부(510) 또는 리트렉션부(520, 5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550)는 LED 모듈일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석션부(5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550)는 환자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구강 내부를 밝히기 위해, 석션 팁(512)의 흡입구와 가까운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석션부(510) 또는 리트렉션부(520, 5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조명부(550)를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를 밝힘으로써, 보조 조명의 역할을 하여 치과 시술 시, 시술할 부위에 대해 작업 시야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제2 석션부(540)는 구강 외부에서 부산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석션부(540)는 교체 연결관(560) 및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본체(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석션부(540)는 교체 연결관(56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석션부(5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 연결관(56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교체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고, 구강 외에서 흡입한 부산물을 교체 연결관(560) 및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본체(미도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석션부(540)를 통해 흡입된 부산물은 교체 연결관(560), 연결관(미도시), 본체(미도시) 및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라인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제1 석션부(510) 및/또는 제2 석션부(540)를 기존의 외부 장치의 외부 라인에 연결하여 제1 석션부(510) 및/또는 제2 석션부(540)로부터 흡입된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라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보조 장치에 대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이 수월해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석션부의 구성은 제2 석션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강 외부에서 부산물을 흡입하는 제2 석션부를 통해 치과 시술 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이나, 에어로젤 등과 같은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치료 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치료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치료 부위에 대한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석션부(540)가 교체 연결관(560) 및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본체(미도시)와 연결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석션부(540)는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본체(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석션부(540)는 연결관(미도시)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연결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석션부(540)가 부산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부산물에 교체 연결관(560), 연결관(미도시), 본체(미도시) 및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라인으로 이동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미도시)는 외부 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이나, 에어를 본체(미도시), 교체 연결관(560) 및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제2 석션부(5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조명부(550)가 LED 모듈일 수 있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섬유 등 다양한 종류의 광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유닛 체어, 로봇 암 등)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본체(630), 환자의 구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구강 내부에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1 석션부(610), 연조직(예를 들어, 혀, 빰 등)을 견인하도록 구성된 리트렉션부(620), 환자의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조명부(650) 및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6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630)는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걸림돌기와 걸림홈 등과 같이 다양한 결합 구조로 구성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본체(630)의 내부에는 흡입한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라인 또는 구조물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630)의 상부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650) 및 촬영부(640)가 배치되어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구강 내부를 밝히거나, 환자의 구강 내부 또는 치료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석션부(610)가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석션부(610)는 흡입한 부산물을 이동시키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물 또는 에어를 석션 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질의 튜브 또는 관을 포함할 수 있다.
리트렉션부(620)는 환자의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도록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렇게 밀어내거나 잡아당겨진 환자의 연조직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트렉션부(620)는 리트렉션 바디(622) 및 받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트렉션 바디(622)는 공기가 주입되는 복수의 에어홀(미도시) 및 리트렉션부(620)의 휘어지는 정도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홈(6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에어홀(미도시)은 본체(630)와 연결되어 본체(63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리트렉션 바디(622)에 주입할 수 있도록 리트렉션 바디(622)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홈(624)은 복수의 에어홀(미도시)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리트렉션부(620)의 휘어지는 정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렉션 바디(622)의 일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트렉션 바디(622)는 복수의 에어홀(미도시)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연질의 비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향은 예를 들어, 복수의 홈(624)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 측면 방향일 수 있다.
받침부(미도시)는 리트렉션 바디(622)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리트렉션 바디(622)의 휘어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미도시)는 복수의 홈(624)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 측면에 배치되어 리트렉션 바디(62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미도시)는 리트렉션부(620)의 휘어짐을 지지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나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도록 인체에 무해한 접착액이나 접착 수단 또는 열 융착에 의해 리트렉션 바디(622)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상술한 리트렉션부(620)의 리트렉션 바디(622), 복수의 홈(624) 및 받침부(미도시)의 구성은 제1 석션부(6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1 석션부(610) 또한, 복수의 에어홀(미도시)을 통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석션부(6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에어홀(미도시)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제1 석션부(610)를 통해 흡입되는 부산물이나, 제1 석션부(610)를 통해 분사되는 물 또는 에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위해, 부산물, 물 또는 에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질의 튜브나 관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는 환자의 구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구강 외부에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2 석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석션부(미도시)는 본체(63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본체(6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1 석션부(610) 및 제2 석션부(미도시)가 부산물을 흡입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의 제1 석션부(610) 및 제2 석션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와 결합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물 또는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가 동작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조 장치가 동작하는 예시를 보조 장치의 주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리트렉션부(620)의 복수의 에어홀(미도시)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트렉션부(6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져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길 수 있다.
제1 석션부(610)의 에어홀(미도시) 또한, 본체(6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주입되어 제1 석션부(6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질 수 있고, 치과 시술 시 구강 내부에서 발생한 흡입물을 흡입하거나, 본체(630)로부터 제공되는 물 또는 에어를 구강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6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기 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6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트렉션부(620)가 동작하는 과정의 예시를 보조 장치의 주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트렉션부(6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하기 전, 사용자는 리트렉션 바디(622)보다 리트렉션부(620)의 받침부(840)가 리트렉션부(620)를 이용하여 밀어내거나 당기려고 하는 환자의 연조직(B)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리트렉션부(62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시킬 수 있다.
리트렉션 바디(622)보다 받침부(840)가 환자의 연조직(B)에 더 가깝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에어홀(830)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경우, 리트렉션부(620)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어 리트렉션부(620)가 팽창하여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트렉션 바디(622)는 환자의 연조직(B)을 밀어내도록 복수의 홈(624)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624)이 형성된 일측의 반대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받침부(840) 또한, 리트렉션 바디(622)의 휘어짐을 지지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암(910)에 결합된 보조 장치(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 암(910)은 제1 암(916), 제2 암(914) 및 베이스 암(9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914)은 베이스 암(91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y 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1 암(916)은 제2 암(914)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y 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암(916)은 보조 장치(900)와 결합되어 보조 장치(900)를 y 축 또는 z 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장치(900)는 제1 암(916)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봇 암(910)을 동작시켜 보조 장치(900)를 이동 및/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로봇 암(910)에 연결된 보조 장치(900)를 환자의 구강 근처 또는 구강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봇 암(910)으로 통해 환자 얼굴의 위치 및/또는 치료 부위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보조 장치(900)의 각도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시술 시 발생하는 부산물(예를 들어, 침, 물, 미세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석션부(1010) 및 리트렉션부(1020, 1030, 10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트렉션부는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 및 제3 리트렉션부(10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석션부(1010)가 본체(1050)의 상부면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가 제1 석션부(1010)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트렉션부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 각각은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홀(미도시) 및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팽창하도록 구성된 주름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트렉션부는 외측면에 주름(1060)이 형성된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 각각의 외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0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의 하부면에는 각각의 리트렉션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에어홀(미도시)은 본체(105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각각의 리트렉션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50)는 각각의 에어홀(미도시)에 공기를 따로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에어홀(미도시)과 대응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라인과 연결된 각각의 연결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에어홀(미도시) 각각으로 주입될 수 있고, 각각의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는 리트렉션부가 일방향으로 휘어져 환자의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도록 에어홀(미도시)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제1 석션부(1010) 또한, 리트렉션부를 따라 휘어지도록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리트렉션부가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를 포함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수의 리트렉션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리트렉션부 각각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션부가 동작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조 장치가 동작하는 예시를 보조 장치의 주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트렉션부가 일방향으로 휘어져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예를 들어,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도록) 제1 리트렉션부(1020), 제2 리트렉션부(103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리트렉션부 중 하나의 에어홀(미도시)에만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리트렉션부 중 제1 리트렉션부(1020)의 에어홀(미도시)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제1 리트렉션부(1020)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어 제1 리트렉션부(1020)가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트렉션부가 팽창된 제1 리트렉션부(1020)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1150)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리트렉션부(1030)의 에어홀(미도시)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제2 리트렉션부(1030)가 팽창되어 리트렉션부가 특정 방향(예를 들어, 대략 2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리트렉션부(1040)의 에어홀(미도시)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제3 리트렉션부(1040)가 팽창되어 리트렉션부가 특정 방향(예를 들어, 대략 10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리트렉션부 중 두개 이상의 리트렉션부의 에어홀(미도시)에 공기가 주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트렉션부(1020)와 제3 리트렉션부(1040)의 에어홀 각각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트렉션부(1020) 및 제3 리트렉션부(1040)가 팽창되어, 리트렉션부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1180)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제1 석션부(1010)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렉션부가 휘는 방향에 따라 휘어질 수 있고, 치과 시술 시 구강 내부에서 발생한 흡입물을 흡입하거나,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물 또는 에어를 구강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트렉션부는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져 혀 또는 뺨 등과 같은 환자의 연조직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연조직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길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치과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리트렉션부를 이용하여 치료 부위의 작업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제1 석션부를 통해 부산물을 흡입하거나,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보조 인력없이 사용자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장치(1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1600)는 통신부(1610), 접촉 감지 센서(1620), 변형 감지 센서(1630), 제어부(1640), 제1 석션부(1650), 제2 석션부(1660), 리트렉션부(1670), 비상 버튼(1680) 및 촬영부(169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 센서(1620)는 접촉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감지 센서(162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포스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감지 센서(1620)는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에 배치되어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와 구강 내 연조직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40)는 접촉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거나, 멈추도록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 센서(1620)는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에 배치되어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와 구강 내 연조직의 접촉 강도 및/또는 접촉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40)는 환자의 연조직이 제1 석션부(12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에 의해 오랜 시간동안 흡입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 강도 및/또는 접촉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가 흡입을 멈추도록 제1 석션부(1650) 및/또는 제2 석션부(16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접촉 감지 센서(1620)는 리트렉션부(1670)에 배치되어 리트렉션부(1670)와 구강 내 연조직의 접촉 강도 및/또는 접촉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40)는 리트렉션부(1670)에 의해 구강 내 연조직에 지나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 강도 및/또는 접촉 시간에 기초하여 리트렉션부(16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변형 감지 센서(1630)는 리트렉션부(1670)의 형상의 변형(예를 들어, 벤딩, 휨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감지 센서(1630)는 벤딩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리트렉션부(1670)의 변형된 위치, 변형 방향, 변형 각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40)는 변형 감지 센서(1630)에 의해 감지되는 리트렉션부(1670)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리트렉션부(16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또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비상 버튼(1680)을 눌러 보조 장치(1600)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외부로 신속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 또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비상 버튼(1680)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1640)는 보조 장치(160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보조 장치(1600)를 구강 내에서 외부로 노출시키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버튼(1680)은 본체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상 버튼(1680)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보조 장치(1600)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외부로 신속하게 노출시키기 위해 페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비상 버튼(1680)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킬 스위치(kill switch)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료 부위를 치료하는 도중, 환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입을 다물어버리는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40)는 보조 장치(1600)가 환자의 구강 외부로 신속하게 노출되도록 보조 장치(1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장치(1600)는 통신부(1610)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61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치과 시술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촬영부(1690)는 구강 내의 치료 부위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1690)는 렌즈계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690)에 의해 치료 부위가 촬영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는 통신부(1610)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640)를 통해 접촉 감지 센서(1620) 및 변형 감지 센서(1630)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석션부(1650), 제2 석션부(1660) 및 리트렉션부(167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조 장치(1600)의 정밀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료 부위를 치료하는 경우,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치료 부위를 시술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보조 장치
110: 제1 석션부
120: 리트렉션부
130: 본체
140: 연결관
142: 커넥터
150: 교체 연결관
160: 연결부
170: 지지부
180: 지지 프레임

Claims (10)

  1.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로서,
    외부 장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본체;
    상기 치과 시술 시 발생한 부산물을 구강 내에서 흡입하도록 구성된 제1 석션부; 및
    상기 치과 시술 시 치료 부위의 시야 확보를 위해,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리트렉션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부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에어홀 및 상기 리트렉션부의 휘어지는 정도를 가이드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리트렉션 바디; 및
    상기 리트렉션 바디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리트렉션 바디의 휘어짐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받침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션부는,
    상기 제1 석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리트렉션부; 및
    상기 제1 석션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리트렉션부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트렉션부는,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1 링크 및 복수의 제1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리트렉션부는,
    다자유도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2 링크 및 복수의 제2 관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측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1 석션부 또는 상기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연결관; 및
    외부 라인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트렉션부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 제1 에어홀; 및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팽창하도록 구성된 제1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트렉션부는,
    상기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 제2 에어홀; 및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팽창하도록 구성된 제2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트렉션부는 일방향으로 휘어져 환자의 연조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리트렉션부 또는 상기 제2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가 주입되는, 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을 구강 외에서 흡입하고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석션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장치.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구강 내부를 밝히도록 상기 제1 석션부 또는 상기 리트렉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장치.
  10.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석션부 및 상기 리트렉션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로봇 암을 더 포함하는, 보조 장치.
KR1020200060304A 2019-05-20 2020-05-20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KR10244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6597 WO2020235934A1 (ko) 2019-05-20 2020-05-20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8664 2019-05-20
KR1020190058664 2019-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679A true KR20200133679A (ko) 2020-11-30
KR102443647B1 KR102443647B1 (ko) 2022-09-15

Family

ID=7364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04A KR102443647B1 (ko) 2019-05-20 2020-05-20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153A (ko) * 2021-05-10 2022-11-18 주식회사 덴티움 덴탈 체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47B1 (ko) * 2000-09-08 2003-10-08 이희영 구강내 수술용 거울
KR20050034623A (ko) * 2001-10-29 2005-04-14 텔레플렉스-씨티 디바이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 조직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구획형 아암
JP2017518160A (ja) * 2014-06-18 2017-07-06 プレジデント アンド フェローズ オブ ハーバード カレッジ ソフトレ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47B1 (ko) * 2000-09-08 2003-10-08 이희영 구강내 수술용 거울
KR20050034623A (ko) * 2001-10-29 2005-04-14 텔레플렉스-씨티 디바이시스 인코포레이티드 안정화 조직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구획형 아암
JP2017518160A (ja) * 2014-06-18 2017-07-06 プレジデント アンド フェローズ オブ ハーバード カレッジ ソフトレトラ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153A (ko) * 2021-05-10 2022-11-18 주식회사 덴티움 덴탈 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647B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3718B2 (ja) 軟性-硬性ハイブリッド内視鏡および器具アタッチメント
US20210068624A1 (en) Detachable endoscope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KR101745434B1 (ko)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AU764984B2 (en)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CN103648433B (zh) 与口腔和牙齿护理有关的器械
JP2020507435A (ja) 歯科処置用の補助装置
JP2018532541A (ja) 歯科用セルフアシスタント装置
HUT67863A (en) Pivoting laryngoscope having a power-driven curved spatula
CN106028958A (zh) 口腔牵开设备和方法
JP2003061900A (ja) 内視鏡装置
KR102443647B1 (ko)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CN105816145A (zh) 多角度可调节式口镜
US20210369083A1 (en) Instrument inser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JPWO2017138533A1 (ja) 副鼻腔に対する挿入機器アッセンブリ
CN112617726A (zh) 一种儿科口腔护理用撑开装置
KR101601144B1 (ko)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CA3198588A1 (en) Laryngoscope and intubation methods
WO2020235934A1 (ko)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CN106821286A (zh) 一次性电子内窥镜
CN209951215U (zh) 一种咽喉部内镜手术装置
KR101409393B1 (ko) 치과용 개구기
JP2020151202A (ja) 内視鏡
CN205832255U (zh) 喉用吸引器
JP7094750B2 (ja) 歯科補助具及び歯科補助システム
CN111265322B (zh) 一种可防止骨粉吸入的两用式吸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