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647B1 - 구강내 수술용 거울 - Google Patents

구강내 수술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647B1
KR100400647B1 KR10-2000-0053512A KR20000053512A KR100400647B1 KR 100400647 B1 KR100400647 B1 KR 100400647B1 KR 20000053512 A KR20000053512 A KR 20000053512A KR 100400647 B1 KR100400647 B1 KR 10040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onfiguration
reflector
neck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313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00-005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6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61B1/2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부의 수술시 사용하는 수술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1)로 부터 돌출되는 목부(2)의 선단부에 관절구조(4)에 의해 절첩되는 반사경(3)을 형성하는 구성과, 상기 반사경에 열선(5)을 형성하는 구성과, 본체상에 조명장치(6)를 형성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목부의 단부에 견인용 고리를 형성하는 구성과, 반사경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의 구성과, 화상용렌즈에 의해 수집한 수술정보를 외부 동화상장치로 모니터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강내 수술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울면의 반사각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술부위에 따른 최적의 반사각을 얻을 수 있고, 열선으로 거울면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울본체상에 자체조명장치가 형성됨으로 외부조명 없이도 구강내부의 시야확보가 가능하고,기구의 중복사용을 배제함으로서 수술의 집중도와 정확성을 높이며, 하악각 측면부와 같이 시야가 방해 받기 쉬운 부분도 효과적으로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반사경에 의해 관측이 곤란한 부위나 수술의 전과정을 모니터 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구강내 수술용 거울{OPERATION MIRROR USING IN ORAL CAVITY}
본 발명은 구강내부의 수술시 사용하는 수술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거울면이 형성되는 반사경과 목부의 연결부를 절첩구조로 하여 거울면의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성애 제거를 위한 열선과 조명장치를 구비하며, 견인고리와 세척장치를 함께 구비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술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거울은 구강검사나 구강내 수술이나 교정술등을 실시할 때 시야확보를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치과용 거울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치과용 거울은 거울면이 손잡이로 부터 돌출되는 목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손잡이를 돌리면서 거울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구강내부의 단순한 검사시에는 불편함이 없으나 골절부의 금속판 고정이나 골절단등을 위한 수술일 경우에는 드라이버, 골절단용 톱,견인기등과 함께 사용하여야 함으로 손잡이를 이용한 반사각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고, 외부조명과 함께 사용하여야만 시야확보가 가능하며, 입김등에 의해 발생한 성애에 의해 시야가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골절단시에는 피와 이물질등이 함께 거울면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수술도중에 자주 거울면을 자주 닦아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예를들면, 구강내 수술의 주대상인 하악각의 절단술을 시행할 경우 절단동작과 절단상태를 확인 하기 위해 골절단용 톱과 함께 외부조명장치 및 거울을 삽입하고, 거울면의 반사각 및 절단동작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견인기를 사용하며, 절단된 골조각과 피의 세척 및 배출을 위한 외부세척장치등이 구강내의 좁은 공간상에서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골절단을 위한 톱의 정밀한 조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시야 또한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이 이루어 지고, 시술자와 여러명의 보조자가 함께 수술에 참여하여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한편, 구강내부에서 거울면의 흐름방지를 위해 거울(검사경)과 그 받침대 사이에 발열체를 매설하는 구성(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32990), 한사람에 의해 치과적 수술이 가능하도록 긴 핸들끝에 3-30mm길이의 소형 견인기를 형성하는 구성의 치과기구(유럽 특허공보 제224896)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검사경이나 치과기구는 치과수술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구강내 골절단등과 같은 보다 규모가 큰 수술(하악각을 견인하거나 시야확보를 위해 볼등을 견인하면서 절단, 골절부의 금속편고정 술등)에는 사용하기 곤란하거나 사용이 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반사경과 목부의 연결부를 절첩구조로 하여 거울면의 반사각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술부위에 따른 최적의 반사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반사경에 열선을 설치함으로서 성애에 의해 거울면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과, 거울본체상에 자체조명장치를 형성하여 외부조명 없이도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수술용 거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의 외측으로 견인용 고리를 형성하는 구성과 거울면의 세척장치를 함께 구비하고, 나아가 수술과정을 외부에서 모니터 할 수 있도록 조명부에 별도의 내시경장치를 결합한 수술용 거울을 함께 제시하여 기구의 중복사용을 배제함으로서 수술의 집중도와 정확성을 높이며, 하악각 측면부와 같이 시야가 방해 받기 쉬운 부분도 효과적으로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수술용 거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각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거울의 기본 구성도
도2a 및 도2b는 도1에 의한 수술용 거울의 동작상태도
도3은 목부를 절곡시킨 형태의 실시례도
도4는 목부의 단부에 견인용 고리를 형성한 본 발명의 실시례도
도5는 세척장치를 함께 결합한 본 발명의 실시례도
도6은 도5의 목부 단면구조도
도7은 견인 상태에서 각 부의 동작상태도
도8은 하악각 견인 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손잡이 2.목부 3.반사경 4.관절구조
5.열선 6.조명장치 7.견인용 고리
8.세척장치 9.화상용 렌즈
본 발명은 손잡이와 반사경 및 손잡이와 반사경을 연결하는 목부로 이루어지는 수술용 거울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술용 거울을 구비함에 있어서, 손잡이로 부터 돌출되는 목부의 선단부에 관절구조에 의해 절첩되는 반사경을 형성하는 구성과 상기 반사경의 거울면에 열선을 형성하는 구성과, 거울면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본체상에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의 수술용 거울의 목부단부에 반사경과 함께 견인용 고리를 형성하는 구성과, 상기 반사경의 거울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와 거울면을 향하도록 내시경렌즈를 부착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수술용거울이다.
도1 내지 도2b은 본 발명의 기본적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와 목부(2) 및 목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반사경(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경(3)은 목부에 대하여 관절구조(4)로 결합되어 목부에 대하여 대략 0-180°각도로 절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반사경의 거울면에는 열선(5)이 형성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성애가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선(5)은 손잡이(1) 내에 설치한 스위치(5a)를 켜면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조명장치(6)은 목부상에 다소 경사지게 형성한 조명램프(6a)와 손잡이에 형성한 스위치(6b)로 이루어져 외부 또는 밧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됨으로서 램프의 빛이 거울면에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 및 목부는 다루기 쉽게 형성되며, 목부의 길이는 대략 10-15cm 범위를 갖는다.
반사경은 평면형태의 거울을 케이스에 의해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넓은 관측이 가능하도록 장방형 거울이 사용된다.
반사경과 목부의 관절구조(4)는 절첩형태로서 나사(4a)에 의해 조임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은 관측부위를 효과적으로 관찰 할 수 있는 각도로 반사경의 경사각을 조절한 상태에서 구강내부에 삽입하여 조명장치를 가동시키면 조사된 빛이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구강내부를 비추어줌으로 하악각 측면과 같은 구석진 부위도 외부 조명없이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찰 도중 입김에 의해 반사경이 흐려지면 열선스위치를 켜 성애를 제거시켜 줌으로서 항상 선명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수술용 거울은 구강내부의 간단한 관찰이나 수술부위의 검사등에 매우 유용하고, 금속편의 고정을 위한 드릴링이나 나사고정 또는 상처부위의 처리등 간단한 수술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구성중 목부를 이중으로 절곡시켜 구강내의 구석진 부위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목부(2)를 구성함에 있어 손잡이(1)로 부터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대략 90°내외의 각도로 하향으로 절곡시킨 1차절곡부(2a)와, 목부의 선단부에서 1차절곡부의 연장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20°내외의 각도로 절곡시킨 2차절곡부(2b)를 형성하여 2차절곡부의 단부에 관절구조(4)로 결합되는 반사경(3)을 형성하고, 1차절곡부와 2차절곡부의 경계부에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램프(6a)를 형성한 구성을 보인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 형태는 1차 절곡부가 견인기능을 발휘하여 하악각 측면의 관측등에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즉, 하악각의 측면과 같이 구석진 부위를 관찰하고자 할 때 목부의 1차 절곡부를 이용하여 입술언저리를 걸어 당긴 상태에서 볼과 하악각 사이로 2차 절곡부가 위치하도록 삽입하면 반사경이 하악각 측면을 정확히 비출 수 있고, 이때 조명램프로 부터 조사된 빛은 반사경과 대략 45°내외의 각도를 이루어 효과적인 조명이 가능하게 된다.
도4는 상기한 2차 절곡부(2b)의 연장선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45°내외의 각도를 갖는 목부 연장부(2c)를 형성한 후 그 단부에 견인용 고리(7)를 형성한 구성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5는 상기 구성에 세척장치(8)를 결합한 구성을 보인 것이다.
상기 견인용 고리는 하악각이나 골을 끌어 당긴 상태에서 골의 배면부를 관찰할때 매우 유용하고, 별도의 견인기를 사용하지 않고 견인과 동시에 반사경을 통한 관찰이 이루어 짐으로 수술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톱,드라이버등의 수술기구의 활동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세척장치(8)는 골조직의 절단이나 하악각 측면등의 절개시 발생하는 피나 골조각등을 신속히 제거하고, 반사경의 얼룩을 제거하여 수술상태를 계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외부의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 및 진공흡입압을 손잡이의 끝 부분에 형성한 결합잭(81a)(82a)(83a)을 통하여 내부의 튜브(81b)(82b)(83b)에 의해 반사경위치까지 연장하고, 반사경의 관절연결부의 상부에 각기 물분사노즐(81c) 및 공기분사노즐(82c)을 형성하고, 견인용 고리의 하부 연장부 상에 흡입구(83c)를 형성하여 각기 내부의 튜브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고, 각각의 튜브는 손잡이내에 형성한 밸브스위치(81d)(82d)(83d)에 의해 단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외부 세척장치요소(84)와 각각의 결합잭을 연결한 상태에서 해당 밸브스위치를 개방시키면 외부 세척장치로 부터 물과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져 반사경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물세척하고 공기로 불어 내어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며, 분사된 물과 이물질은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골절단시 묻어나온 피에 의해 시야가 방해 받지 않고 신속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며, 수술시 발생하는 핏물이나 골브러기등이 별도의 흡입장치에 의하지 않고서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명램프(6a)의 위치에 화상용 렌즈(9)를 설치하여 외부의 화상장치에 접속함으로서 수술의 전과정을 외부 화상장치에 의해 모니터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화상용 렌즈는 간단한 형태로서 화상을 수집하는 렌즈와 렌즈에 맺힌화상을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접속잭(9b)에 의해 외부 화상장치에 의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과 내시경용 랜즈 및 케이블에 의해 동화상을 수집하여 외부화상장치로 출력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한 화상용 렌즈는 반사경에 의해 포착하기 어려운 구석진 부위나 전체적인 수술과정을 실시간으로 외부의 동화상장치에 출력시킴으로서 수술의 전과정을 모니터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6은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목부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광케이블,튜브 및 전원선의 보호를 위해 목부내에 공동구(2d)를 형성하고, 공동구내에 열선 및 조명램프에 연결되는 전원선(5b)(6c), 흡입구와 물분사노즐과 공기분사노즐에 각기 연결되는 튜브(81b)(82b)(83c)와, 화상용 렌즈(9)와 연결되는 광케이블(9a)이 각각 부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7은 돌출된 골을 견인고리로 걸어 잡아 당긴 상태에서 골의 측면을 관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조명램프가 켜지고, 세척장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도8은 하악각을 견인고리로 걸어 하악을 견인한 상태에서 반사경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때 입술언저리는 목부의 1차절곡부에 의해 견인되고, 반사경은 하악각 측면에 위치하여 구강을 통한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c는 동화상장치,10은 밧데리,11은 하악, 84는 외부세척장치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울과 목부의 연결부를 절첩구조로 하여 반사각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술부위에 따른 최적의 반사각을 얻을 수 있고, 거울면에 열선을 설치함으로서 성애에 의해 거울면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울본체상에 자체조명장치가 형성됨으로 외부조명 없이도 구강내부의 시야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의 외측으로 견인용 고리를 형성하는 구성과 반사경의 세척장치를 함께 형성하는 구성 및 내시경용 렌즈를 결합시킨 구성에 의해 기구의 중복사용을 배제함으로서 수술의 집중도와 정확성을 높이며, 하악각 측면부와 같이 시야가 방해 받기 쉬운 부분도 효과적으로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반사경에 의해 관측이 곤란한 부위나 수술의 전과정을 모니터 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갖는다.

Claims (5)

  1. 손잡이(1)로 부터 돌출되는 목부(2)의 선단부에 관절구조(4)에 의해 절첩되는 반사경(3)을 형성하는 구성과, 상기 반사경에 열선(5)을 형성하는 구성과, 본체상에 조명장치(6)를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하며, 목부(2)는 손잡이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하향으로 절곡시킨 1차절곡부와, 목부의 선단부에서 1차절곡부의 연장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절곡시킨 2차절곡부를 형성하여 2차절곡부의 단부에 관절형태로 결합되는 반사경(3)을 형성하고, 1차절곡부와 2차절곡부의 경계부에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램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수술용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2차 절곡부의 연장선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45°각도를 갖는 목부 연장부를 형성한 후 그 단부에 견인용 고리(7)를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수술용 거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명램프의 위치에 화상용 렌즈(9)를 설치하여 광케이블(9a)과 손잡이의 단부에 형성한 접속잭(9b)에 의해 외부의 동화상장치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수술과정을 외부의 동화상장치로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수술용 거울.
  4. 삭제
  5. 삭제
KR10-2000-0053512A 2000-09-08 2000-09-08 구강내 수술용 거울 KR10040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12A KR100400647B1 (ko) 2000-09-08 2000-09-08 구강내 수술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12A KR100400647B1 (ko) 2000-09-08 2000-09-08 구강내 수술용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13A KR20010000313A (ko) 2001-01-05
KR100400647B1 true KR100400647B1 (ko) 2003-10-08

Family

ID=1968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512A KR100400647B1 (ko) 2000-09-08 2000-09-08 구강내 수술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6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05B1 (ko) * 2012-09-25 2014-02-20 윤병근 덴탈미러
WO2020235934A1 (ko) * 2019-05-20 2020-11-26 Baek In Kyu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KR20200133679A (ko) * 2019-05-20 2020-11-30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US20210169319A1 (en) * 2019-12-04 2021-06-10 University Of Washington Nasopharyngeal Mirr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145A (ko) * 2016-04-15 2023-09-01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의료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4896A1 (en) * 1985-12-05 1987-06-10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Dental viewing apparatus
US4993945A (en) * 1989-08-01 1991-02-19 D-O Scientific Products, Inc. Heated dental mirror
KR970064557A (ko) * 1996-03-13 1997-10-13 요시키 오시다 치과진단용 검경
JPH1132990A (ja) * 1997-07-18 1999-02-09 Takeyasu Sangyo Kk デンタルミラ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4896A1 (en) * 1985-12-05 1987-06-10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Dental viewing apparatus
EP0224896B1 (en) * 1985-12-05 1991-08-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Dental viewing apparatus
US4993945A (en) * 1989-08-01 1991-02-19 D-O Scientific Products, Inc. Heated dental mirror
KR970064557A (ko) * 1996-03-13 1997-10-13 요시키 오시다 치과진단용 검경
JPH1132990A (ja) * 1997-07-18 1999-02-09 Takeyasu Sangyo Kk デンタルミラ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05B1 (ko) * 2012-09-25 2014-02-20 윤병근 덴탈미러
WO2020235934A1 (ko) * 2019-05-20 2020-11-26 Baek In Kyu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KR20200133679A (ko) * 2019-05-20 2020-11-30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KR102443647B1 (ko) * 2019-05-20 2022-09-15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US20210169319A1 (en) * 2019-12-04 2021-06-10 University Of Washington Nasopharyngeal Mirr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13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822B1 (ko) 하악각 견인기
US6254530B1 (en) Shielded illumination device for ophthalmic surgery and the like
EP1779763B1 (en) Endoscope and tip cover
JP2001521806A (ja) ビデオ直腸鏡
JP2004129951A (ja) 内視鏡用先端フード部材
KR101856045B1 (ko) 광각시스템이 구비된 복강경의 세척장치
JP2004000336A (ja) 超音波処置装置
EA017088B1 (ru) Диагностическая камера и насадка для нее
KR100400647B1 (ko) 구강내 수술용 거울
KR101544714B1 (ko) 복강경 오염방지기구
JPH0538323A (ja) 内視鏡用フード装置
JP2551545Y2 (ja) 超音波内視鏡の先端保護キャップ
JP2002282274A (ja) 内視鏡クリーナ
US8936547B2 (en) Endoscope gas feed system,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4789167B2 (ja) 処置用内視鏡の先端部
CN209847129U (zh) 一种多功能柔性鼻内镜装置
JP3931273B2 (ja) 内視鏡カバー
JP2006325744A (ja) 内視鏡
JP3181659B2 (ja) 内視鏡
JP3766508B2 (ja) 内視鏡装置
JP3068691B2 (ja) 内視鏡の先端部
JP3228718B2 (ja) 内視鏡
JP2005021197A (ja) 内視鏡
JP2003093325A (ja) 内視鏡用フード部材
JPH058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