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205B1 - 덴탈미러 - Google Patents

덴탈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205B1
KR101365205B1 KR1020120106335A KR20120106335A KR101365205B1 KR 101365205 B1 KR101365205 B1 KR 101365205B1 KR 1020120106335 A KR1020120106335 A KR 1020120106335A KR 20120106335 A KR20120106335 A KR 20120106335A KR 101365205 B1 KR101365205 B1 KR 10136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dental mirror
handle
teet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근
Original Assignee
윤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근 filed Critical 윤병근
Priority to KR102012010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8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69Endoscope light sources at proximal end of an endosc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어금니의 치료시 환자의 잇몸 또는 구강 내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시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덴탈미러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파지 가능한 손잡이; 상기.손잡이와 연결되고 치아와 구강상피 사이로 삽입가능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치아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절곡부에는 치아를 관찰할 수 있는 거울이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덴탈미러{Dental mirror}
본 발명은 덴탈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어금니의 치료시 환자의 잇몸 또는 구강 내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시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덴탈미러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의사가 환자의 치아 또는 잇몸을 관찰할 때 환자의 입을 크게 벌리어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이나 치열 교정 시술 등의 치료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의사는 각종 치료기구를 삽입하여 장시간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야 확보를 위하여 강제로 환자의 입을 개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 1에 개시된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12)의 일단에 형성된 미러팁(14)을 포함하는 덴탈미러(10)에 의해 입을 강제로 견인하여 개방시키기 때문에 환자가 입볼 통증을 호소하거나 구강조직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내측의 어금니, 또는 사랑니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크게 부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7408호에서는 치과용 뺨젖힘 미러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뺨젖힘판으로 뺨안쪽을 밀어붙이기 때문에 치과용 미러팁은 항상 치아의 내측으로만 위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내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어금니의 치료시 환자의 잇몸 또는 구강 내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시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덴탈미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치아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치료에 도움을 주고, 환자 구강 내로 삽입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기기의 위생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후방 대구치 치료시 협측 볼과 혀의 간섭과 손상을 동시에 예방하고, 필요부위에 부착된 거울은 프렙(prep.: 치아를 갈거나 삭제하는 것으로 치아를 깎아 크라운 혹은 라미네이트 등 보철물을 씌우기 전 작업. preparation의 약어)시 쉽고 빠르게 정확한 마진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구강 밖으로 연결되는 부위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구각부의 자극을 최소화시키는 데에 있다.
외부에서 파지 가능한 손잡이; 상기.손잡이와 연결되고 치아와 구강상피 사이로 삽입가능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치아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절곡부에는 치아를 관찰할 수 있는 거울이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미러이다.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는 발광체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절곡부는 빛을 전달할 수 있는 확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손잡이와 상기 삽입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삽입부는 치열을 따라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절곡부는 상기 치아를 향하는 내측단면이 경사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곡부와 반대방향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덴탈미러에 의해, 구강 내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어금니의 치료시 환자의 잇몸 또는 구강 내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고, 환자에게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시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치아 주변을 밝게 하여 시술자가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치료가 가능하며, 환자 구강 내로 삽입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기기의 위생을 확보할 수 있고, 광원이 설치된 손잡이는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삽입부와 절곡부의 구조로 인하여 최후방 대구치 치료시 협측 볼과 혀의 간섭과 손상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고, 삽입부 및 절곡부에 부착된 거울은 프렙시 쉽고 빠르게 정확한 마진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 손잡이를 90도 정도 바깥쪽으로 절곡시켜서 구각부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덴탈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덴탈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덴탈미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덴탈미러가 치아 주변에 위치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어금니 주위에서 덴탈미러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덴탈미러를 지시한다.
상기 덴탈미러(100)는, 구강의 외부에서 파지 가능한 손잡이(102)와, 상기.손잡이(102)와 연결되고 치아(1,2,3,4)와 구강상피 사이로 삽입가능한 삽입부(104)와, 상기 삽입부(104)와 연결되고 치아(1,2,3,4)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절곡부(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02)는 시술자가 쥐는 부분이므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곡부(106)와 반대방향, 즉 상기 치아(1,2,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02)는 상기 삽입부(104)와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손잡이(102)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부(104)의 일단부에 결합링(1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120)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02)에 대하여 상기 삽입부(104)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04)의 타단부는 절곡부(106)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절곡부(106)는 상기 치아(1)를 감싸서 상기 치아(1)의 내측벽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치아(1)를 관찰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104) 및 상기 절곡부(106)에는 거울(108,110,112)가 설치된다. 상기 거울(108,110,112)은 서로 단부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02)의 일단에는 발광체(118)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104)와 상기 절곡부(106)는 빛을 전달할 수 있는 확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예를 들어, PE)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체(118)의 빛은 상기 삽입부(104)와 상기 절곡부(106)를 통해 전체적으로 확산되어, 시술자가 구강 내부를 관찰하기 용이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빛의 확산에 대하여 거울(108,110,112)이 방해를 줄이기 위해, 상기 거울(108,110,112)의 높이를 상기 삽입부(104)와 상기 절곡부(106)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118)로는 발광다이오드 등의 공지의 발광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02) 내부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지(114)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2) 외측에는 상기 발광체(118)를 온오프하는 스위치(1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04)와 상기 절곡부(106) 중 치아(1,2,3,4)에 나란히 연장되는 부분은 치열을 따라 휘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덴탈미러(100)가 치아(1,2,3,4)의 전체적인 모습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삽입부(104)와 상기 절곡부(10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상기 치아(1,2,3,4)를 향하여 내측단면이 경사지게 형성시켜서, 치아(1,2,3,4)의 표면과 가능한 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치아(1,2,3,4)의 관찰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덴탈미러(1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덴탈미러(10)를 이용과정을 설명한다.
환자의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기 덴탈미러(10)를 구강 내에 집어넣는다. 이 때, 상기 삽입부(104)가 치아(1,2,3,4)외측과 구강상피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06)가 상기 치아(1,2,3,4) 중 가장 깊은 치아(어금니 또는 사랑니 등)에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16)를 조작하여 발광체(118)에 빛을 조사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116)를 미리 온상태로 하여 구강 내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덴탈미러(10)는 항상 구강 내에서 제 위치에 배치되고, 삽입부(104)에 의해 뺨부분의 구강상피와 치아(1,2,3,4) 사이를 벌려줄 수 있으므로, 시술자는 편안하게 시술이 가능하고, 환자는 기존의 덴탈미러에 의한 통증 또는 상처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치료가 완료되면, 상기 덴탈미러(10)를 상기 치아(1)로부터 이탈시켜 구강 밖으로 빼내면 된다. 그리고, 상기 덴탈미러(10)의 삽입부(104) 및 절곡부(106)는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위생상의 이유로 교체할 수도 있고, 환자에 따라 치아열의 크기가 다르므로 환자의 치아열에 적합한 삽입부(104) 및 절곡부(106)를 선택하여 교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3,4: 치아 10: 덴탈미러
12: 손잡이 14: 미러팁
100: 덴탈미러 102: 손잡이
104: 삽입부 106: 절곡부
108,110,112: 거울 114: 전지
116: 스위치 118: 발광체
120: 결합링

Claims (6)

  1. 외부에서 파지 가능한 손잡이;
    상기.손잡이와 연결되고 치아와 구강상피 사이로 삽입가능한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치아를 감싸서 치아의 내측벽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절곡부에는 치아의 내측벽, 외측벽, 및 어금니 측벽을 관찰할 수 있는 거울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삽입부는 치열을 따라 휘어지며,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절곡부는 상기 치아를 향하는 내측단면이 경사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는 발광체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절곡부는 빛을 전달할 수 있는 확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삽입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미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곡부와 반대방향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미러.
KR1020120106335A 2012-09-25 2012-09-25 덴탈미러 KR10136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35A KR101365205B1 (ko) 2012-09-25 2012-09-25 덴탈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35A KR101365205B1 (ko) 2012-09-25 2012-09-25 덴탈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205B1 true KR101365205B1 (ko) 2014-02-20

Family

ID=5027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335A KR101365205B1 (ko) 2012-09-25 2012-09-25 덴탈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44B1 (ko) * 2014-09-18 2016-03-08 권진일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47B1 (ko) * 2000-09-08 2003-10-08 이희영 구강내 수술용 거울
KR101059392B1 (ko) 2009-11-23 2011-08-25 주식회사 세라젬바이오시스 구강용 반사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47B1 (ko) * 2000-09-08 2003-10-08 이희영 구강내 수술용 거울
KR101059392B1 (ko) 2009-11-23 2011-08-25 주식회사 세라젬바이오시스 구강용 반사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44B1 (ko) * 2014-09-18 2016-03-08 권진일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510B2 (ja) バイトブロックを用いたled口腔照明器
US200802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JP2015525087A (ja) 歯牙美白器
US10869542B2 (en) Dental brush
TW201735875A (zh) 具有導光功用的牙套
ATE439096T1 (de) Dentalhandstück
EP2967758B1 (en) Modular assembly for dental applications
KR20150002011A (ko) 마우스피스
CA2982576C (en) Heating apparatus with a disinfection device
US10888403B2 (en) Interdental brush and cleaning device for the same
KR101365205B1 (ko) 덴탈미러
KR101601144B1 (ko)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KR20130094127A (ko) 구강용 레이저 조사기
RU155191U1 (ru) Ирригатор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KR200359447Y1 (ko) 구강 내 치과용 광 공급 장치
JP6876899B2 (ja) デンタルミラー
KR20130068916A (ko) 치아 교정기 착용자를 위한 치간세척구
KR101082826B1 (ko) 마우스프롭 착탈식 구강조명장치
US20120237888A1 (en) Dental probe with bristles
TWI766643B (zh) 牙齒美白加速矯正儀
JP4162636B2 (ja) 口腔内照明器具及び装置
CN215994330U (zh) 洁牙器
JP2010274082A (ja) デンタルミラー
STEREOSCOPIC New generation of bonding agents
RU91871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верхушечного периодонти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