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3786A1 -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3786A1
WO2018043786A1 PCT/KR2016/010186 KR2016010186W WO2018043786A1 WO 2018043786 A1 WO2018043786 A1 WO 2018043786A1 KR 2016010186 W KR2016010186 W KR 2016010186W WO 2018043786 A1 WO2018043786 A1 WO 20180437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oral cavity
treat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1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성숙
김인재
Original Assignee
최성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숙 filed Critical 최성숙
Publication of WO20180437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37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0Straight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the operation of the treatment unit for dental car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device which can operate automatically without a footswitch and which is easy to control operation.
  •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device includes a medical care unit including a movable tool for the dental care, a handpiece to which the movable tool is coupled,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at the medical care unit is accessible to oral cavity or ready for operation. And a signal discri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access or operation preparation state of the treatment unit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to control driving of the scal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ignal of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do.
  •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mounting structure to be mounted on the oral cavity and the oscillator for oscillating a light or sound wave or ultrasonic signal of a laser or a specific wavelength, and the receiver for receiving the oscillation signal of the oscillator,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is the treatment unit Approaching the oral cavity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oscillation signal of the oscillator is not received by the treatment unit to the receiver, and transmits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medical treatment unit and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a magnetic field or a specific frequency, and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mounting structure mounted on the oral cavity, and includes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the signal The receive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when the treatment unit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on the oral cavity mounted structure or one side of the oral cavity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includes a contact sensor for detecting the contact of the movable tool of the treatment unit,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that the movable tool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nd transmit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 the contact senso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detect only the contact of the movable tool.
  • the sensor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treatment unit for irradia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mounting structure mounted on the oral cavity or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oral cavity to receiv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o transmit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 the sensor unit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mounting structure to be mounted on the oral cavity and includes a sound sensor for detect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movable tool of the treatment unit in contact with the teeth or gums or oral cavity mounting structure,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in the sound sensor When the movable tool detects a sound generated by collision,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 the oral cavity mounting structure to be mounted on the oral cavity is preferably an opening machine.
  •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dical care unit including a movable tool for dental care, a handpiece coupled to the movable tool, an auxiliary member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patient receiving the medical care, and the medical care unit; A discrimina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ea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intraoral tissue of the patient by detecting a difference in parameters between the auxiliary members or a change of the parameter between the treating unit and the auxiliary membe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ignal of the determination unit.
  • the auxiliary member may be a mouse mirror, and the mouse mirror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 the auxiliary member may be a wearable device worn on a patient's body, and the wearable device may have an electrode formed at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patient's body,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eatment devic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foot switch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equipment and improve the ease of use of the operator.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of FIG.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treatment apparatus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fth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dental treatment apparatus of FIG.
  •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xth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venth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Automatic operation of the dent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for the treatment, to enable efficient dental treatment, the treatment unit 100 and the sensor unit 200, the signal discrimination The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are included.
  • the treatment unit 100 is a devic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 condition of a tooth, and a scaler, a drill handpiece 120, and the like may be applied.
  • a scaler, a drill handpiece 120, and the like may be applied.
  • an ultrasonic scaler for removing calculus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treatment unit 100.
  • the treatment unit 100 is not limited to the scaling unit, and all treatment means using a combination of various dental movable tools 110 including the drill and the handpiece 120 may be applied.
  • the scaling unit includes a scaler tip for removing calculus in contact with teeth and gums, and a handpiece 120 on which the scaler tip is mounted.
  • the movable tool 110 may be a drill for cutting teeth in addition to the scale tip.
  • the scale tip is formed with a water injection hole for spraying water on one side, and is repeatedly attached to the handpiece 120 so that it can be replaced when the end of the tip is worn while repeated use to remove tartar.
  • the handpiece 120 is formed to be gripped by hand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scaling or other medical treatment.
  • the sensor unit 200 is for detecting that the scaling unit enters the oral cavity, and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300 performs scaling by the scaling unit approaching the oral cavity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00. Determine if you are ready for the test.
  •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300 transmits the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cal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ignal of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300.
  • the control unit 400 applies ultrasonic waves to the scale tip through the ultrasonic driving unit 420 and the water injection driving unit 410 and supplies water required during scaling.
  •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ultrasonic driving unit 420 and the water spray driving unit 41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caler, but the treatment unit 100 is described.
  • the pneumatic handpiece 120 injects compressed air to drive the head portion on which the drill is mounted, o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handpiece 120, supplies power to drive the motor of the head portion.
  • the control unit 400 is form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in a manner.
  • FIGS. 2 and 3 illustrate a first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treatment apparatus.
  • an oscillator 211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installed in an opening part of the sensor unit 200 and And a receiver 212 that receives the infrared rays oscillated by the oscillator 211.
  • the opening is to be mounted on the oral cavity to keep the patient's mouth open for dental treatment, an oscillator 211 for irradiating infrared ligh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infrared light irradiated from the oscillator 211 is provided.
  • the receiver 212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received.
  • the oscillator 211 and the receiver 212 are connected to the signal discriminator, and when the operator enters the handpiece 120 into the oral cavity for scaling, the oscillator 211 is performed by the handpiece 120 or the operator's hand.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waveguide may not be received by the receiver 212, or a time difference may be received.
  • the signal discriminator determines whether the handpiece 120 enters the patient's mouth through the time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infrared light is received at the receiver 212 or the infrared light is oscillated at the oscillator 211 and then received at the receiver 212.
  •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determination signal from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and drives the scaling unit through the ultrasonic driving unit 420 and the water spray driving unit 410 when starting the driving.
  • the signal discriminator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400 of the scaling unit. Stop the drive.
  • the scaling unit enters the oral cavity, the scaling unit is automatically driven, and when the scaling unit exits the oral cavity, the driving is stopp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riving.
  •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scillator 211 was infrared, but in addition, ultraviolet rays or lasers may be oscillated.
  • FIG. 4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omatically operating dental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other type of sensor unit 200.
  •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gnal transmitter 221 in which 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treatment unit 100, and a signal receiver 222 mounted to the opening.
  • a signal transmitter 221 for transmitting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is mounted on the handpiece 120 of the treatment unit 100, and the signal receiver 222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signal transmitter 221.
  •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21 is formed to be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er 222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ignal transmitter 221 and the signal receiver 222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ignal discriminator receives the signal receiver 222.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4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FIG. 5 illustrates a third embodiment of an automatically operating dental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other type of sensor unit 200.
  •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contact sensor 230 located at one side in the opening or the oral cavity.
  • the touch sensor 230 is a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movable tool 110 of the treatment unit 100 is in contact, and when the movable tool 110 contacts the touch sensor 230,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300 is a contact sensor.
  • the determin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230.
  •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300 which detects this transmits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to drive the treatment unit 100. To be.
  • the contact sensor 230 is preferably formed to detect only the contact of the movable tool (110).
  • the contact sensor 230 may be configured to react only with the metal of the scale tip.
  • the contact sensor 230 is in contact once the driving is started, when the movable tool 11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230 can be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is started, and the contact is made to the contact sensor 230 once while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is in progress. If it is made,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400 may be set to stop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 FIG. 6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n automatically operating dental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yet another type of sensor unit 200.
  • the sensor unit 200 may be a sound sensor 2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the oral cavity.
  • the sound sensor 240 may detect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movable tool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eth or the gums, and the movable tool 110 enters the medical unit 100 into the oral cavity for a driving signal.
  • the determin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0.
  • the sound sensor 240 detects only a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generated when the movable tool 110 contacts the tooth, the gum, or the opening, and thus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is influenced by other noise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as not to receive.
  • FIG. 7 and 8 illustrate a fifth embodiment of an automatically operating dental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ensor unit 200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251 and a light receiving unit 252.
  •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251 mounted to the handpiece 120 and a light receiving unit 252 mounted to the opening unit.
  • the light emitting unit 25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piece 120 to irradiate ligh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52 is mounted to the opener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handpiece 120 and the scale tip enter the oral cavity
  • the light irradiated at 251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252 and senses the entry of the scaling unit.
  •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252 and detects the irradiation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251 at the light receiving unit 252 and transmits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to control the scaling unit in the control unit 400. Drive it.
  • the light emitting unit 251 irradiates light whose illuminance, luminance, or wavelength of light has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52 is configured to detect on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51 to the handpiece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 252 does not detect light of a light source other than the mounted light emitting unit 251.
  • FIG. 9 and 10 show a sixth embodiment and a seventh embodiment of an automatic operation dental treatment apparatus.
  •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car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dical care unit 100, an auxiliary member, a determination unit 310 and the control unit 400.
  • the auxiliary member contacts the patient's body and detects a difference or change in a parameter between the treatment unit 100 and the auxiliary member in the determination unit 310, and transmits a deter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in the determination unit 310.
  • the control unit is form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 the auxiliary member is a member that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patient.
  • a mouse mirror 260 is applied.
  • the mouse mirror 26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riminating unit.
  • the mouse mirror 260 is used for the operator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during the dental treatment or to lift or pull the internal tissues of the oral cavity such as lips or tongue to one side, and maintains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during the procedure.
  • the determination unit 310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ameters occurs when the movable tool 110 of the treatment unit 100 is in contact with the teeth or gums while the mouse mirror 260 is in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the determination unit 310 generates a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parameters determines whether the treatment unit is in contact with the teeth or gums.
  • the parameter may be capacitance, impedance, resistance, or the like.
  • the auxiliary member may be formed of a wearable device 270 worn on the body of the patient as shown in FIG. 10.
  • the wearable device 2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wrist band worn on the wrist.
  • an electrode is formed in a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skin of the patient.
  • the wearable device 27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310, and the treatment unit 100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10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ameters when the treatment unit 100 is in contact with the tooth or the gum and when it is no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te of contact with the teeth or gums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unit 100 in the control unit 400.
  • the automatic operation dental examin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edical treatment unit 100 entering the oral cavity or the medical preparation state through the sensor unit 200,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medical treatment unit 100 in the control unit 400. By turning on / off the driving of the operator to increase the ease of use and efficient medical care is made.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or treatment, and is highly industrially applic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진료를 위한 진료유닛의 구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상기 진료유닛이 구강 내에 접근하거나 동작 준비 상태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진료유닛의 접근 또는 동작준비 상태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와, 상기 신호판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판별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본 발명은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를 위한 진료유닛의 구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이 날로 발전하면서 구강 특히 치아의 건강은 인체의 어느 장기 못지않게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더욱이 치아의 건강을 쉽게 헤치는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량이 늘어나면서 치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치아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치아 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정기적인 치아 검진을 위해 보통 주기적으로 스케일링을 하는 것이 권장하며, 충치 등이 발생하는 경우 치과 진료 기구를 이용해 치료를 실시한다.
스케일러나 치과진료 기구들은 대부분 핸드피스에 장착해 사용하며, 시술자가 풋스위치를 통해 구동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풋스위치는 오랫동안 사용하다보면 발목이나 종이리에 큰 부담이 가게 될 수 있으며, 작동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 실수로 풋스위치를 밟아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풋스위치 없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동작 제어가 용이한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상기 진료유닛이 구강 내에 접근하거나 동작 준비 상태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진료유닛의 접근 또는 동작준비 상태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와, 상기 신호판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판별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스케일링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고 레이저 또는 특정 파장의 광이나 음파 또는 초음파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의 발진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진료유닛이 구강 내로 접근하여 상기 발진기의 발진신호가 상기 진료유닛에 의해 상기 수신기로 수신되지 못하는 것을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로 판단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진료유닛에 설치되며 자기장 또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기와,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송출기의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수신기는 상기 진료유닛이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상기 신호송출기의 송출신호가 수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 또는 구강 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료유닛의 가동툴이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가동툴이 상기 접촉센서에 접촉하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에 판단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가동툴의 접촉만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진료유닛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구강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것을 판별하여 상기 제어부로 판단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진료유닛의 가동툴이 치아나 잇몸 또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소리센서에서 상기 가동툴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면 이를 통해 판단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은 개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상기 진료를 받는 환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보조부재와, 상기 진료유닛과 보조부재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상기 진료유닛과 보조부재 사이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진료유닛이 환자의 구강내 조직에 접촉한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와 연결되어 상기 판별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는 마우스미러이며, 상기 마우스미러는 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부재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풋스위치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진료기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진료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개념도,
도 6은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4 실시예의 개념도,
도 7은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5 실시예의 개념도,
도 8은 도 7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6 실시예의 개념도,
도 10은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7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자동으로 진료를 위한 진료유닛(10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치과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료유닛(100)과 센서부(200), 신호판별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진료유닛(100)은 치아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구로서, 스케일러, 드릴핸드피스(120)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는 초음파를 인가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초음파 스케일러를 진료유닛(100)의 일 예로 기재한다. 물론 상기 진료유닛(100)은 스케일링유닛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릴을 비롯해 각종 치과용 가동툴(110)을 핸드피스(120)에 결합해 사용하는 모든 진료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스케일링유닛은 치아와 잇몸에 접촉하여 치석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러팁과, 스케일러팁이 장착되는 핸드피스(120)를 포함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료유닛(100)은 상기 스케일링유닛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가동툴(110)은 상기 스케일러팁 외에 치아를 절삭하기 위한 드릴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스케일러팁은 일측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치석 제거를 위해 사용이 반복되면서 팁의 단부가 마모되면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드피스(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핸드피스(120)는 시술자가 스케일링 또는 다른 진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스케일링유닛이 구강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신호판별부(300)는 센서부(200)의 감지신호를 통해 스케일링유닛이 구강 내부로 접근하여 스케일링을 위한 준비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신호판별부(300)에서는 판단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제어부(400)는 신호판별부(300)의 판단신호에 따라 스케일링유닛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스케일링유닛을 구동시킬 때 초음파 구동부(420)와 물분사 구동부(410)를 통해 스케일러팁에 초음파를 인가하고 스케일링 중에 필요한 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료유닛(100)이 스케일러이기 때문에 제어부(400)가 스케일러의 구동 제어를 위해 초음파 구동부(420)와 물분사 구동부(410)를 컨트롤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진료유닛(100)이 드릴핸드피스(120)인 경우 드릴이 장착된 헤드부의 구동을 위해 공압식 핸드피스(120)의 경우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전기식 핸드피스(120)의 경우 헤드부의 모터를 구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제어부(400)가 진료유닛(100)의 구동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8에는 센서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에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부(200)가 개구기에 설치되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진기(211)와, 상기 발진기(211)에서 발진된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신기(212)를 포함한다.
개구기는 치과 진료를 위해 환자의 입을 벌린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강에 장착되는 것인데, 이 개구기의 일측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진기(211)가 설치되고, 상기 발진기(211)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수신기(212)가 설치된다.
발진기(211)와 수신기(212)는 신호판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케일링 시술을 위해 시술자가 핸드피스(120)를 구강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핸드피스(120) 또는 시술자의 손에 의해 발진기(211)에서 발진된 적외선이 수신기(212)에서 수신되지 못하거나, 수신되는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신호판별부는 수신기(212)에서 적외선이 수신되는지의 여부 또는 적외선이 발진기(211)에서 발진된 후 수신기(212)에서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차를 통해 핸드피스(120)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진입한 것을 판단하며, 판단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어부(400)는 신호판별부로부터 판단신호를 전달받고,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 초음파 구동부(420)와 물분사 구동부(410)를 통해 스케일링유닛을 구동한다.
그리고 핸드피스(120)가 구강 외부로 나와 발진기(211)에서 발진된 적외선이 수신기(212)에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신호판별부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에서는 스케일링유닛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렇게 스케일링유닛이 구강으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스케일링유닛을 구동하고, 구강에서 빠져나오면 구동을 정지하여 자동으로 구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진기(211)에서 조사되는 광이 적외선이었으나, 이 외에도 자외선이나 레이저가 발진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다른 형태의 센서부(200)를 포함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센서부(200)가 진료유닛(100)에 설치되는 신호송출기(221)와, 개구기에 장착되는 신호수신기(222)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료유닛(100)의 핸드피스(120)에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기(221)가 장착되고, 신호수신기(222)는 신호송출기(221)의 송출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송출기(221)에서 송출되는 송출신호는 신호송출기(221)와 신호수신기(222)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신호수신기(222)에 수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핸드피스(120)가 구강 내부로 진입하면 신호송출기(221)와 신호수신기(222)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신호수신에서 송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신호수신기(222)에서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판단하여 제어부(400)에 전달한다.
제어부(400)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료유닛(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5에는 다른 형태의 센서부(200)를 포함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부(200)가 개구기 또는 구강 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접촉센서(23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센서(230)는 진료유닛(100)의 가동툴(110)이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접촉센서(230)에 가동툴(110)이 접촉하면 신호판별부(300)는 접촉센서(23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부(400)로 판단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시술자가 핸드피스(120)를 잡고 가동툴(110)로 접촉센서(230)를 터치하면 이를 감지한 신호판별부(300)는 제어부(400)로 판단신호를 전달해 진료유닛(100)이 구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접촉센서(230)는 가동툴(110)의 접촉만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동툴(110)이 스케일러팁인 경우 스케일러팁의 금속재에만 반응하도록 접촉센서(230)를 구성할 수 있다.
접촉센서(230)가 한번 접촉되면 구동이 시작되고, 다시 접촉센서(230)에 가동툴(110)이 접촉하면 진료유닛(100)의 구동이 멈추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센서(230)에 일정 시간 내에 2회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진료유닛(100)의 구동이 시작되고, 진료유닛(100)의 구동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1회 접촉센서(230)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진료유닛(100)의 구동이 멈추도록 신호판별부와 제어부(400)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또 다른 형태의 센서부(200)를 포함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부(200)가 개구기 또는 구강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소리센서(240)일 수 있다.
소리센서(240)는 가동툴(110)이 치아나 잇몸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동 신호를 위해 진료유닛(100)을 구강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가동툴(110)로 치아나 잇몸 또는 개구기의 일측을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소리센서(240)에서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소리신호를 통해 신호판별부(300)에서는 진료유닛(100)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400)로 판단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소리센서(240)는 가동툴(110)이 치아나 잇몸 또는 개구기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만을 감지하도록 하여 진료 중 발생하는 다른 소음에 의해 진료유닛(100)의 구동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에는 발광부(251)와 수광부(252)를 포함하는 센서부(200)를 구비한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것처럼 센서부(200)가 핸드피스(120)에 장착되는 발광부(251)와, 개구기에 장착되는 수광부(252)를 포함한다.
발광부(251)는 핸드피스(1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며, 수광부(252)는 개구기에 장착되어 상기 핸드피스(120)와 스케일러팁이 구강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251)에서 조사되는 광이 수광부(252)에 입사되면서 스케일링유닛의 진입을 감지한다.
신호판별부(300)는 상기 수광부(252)와 연결되어 수광부(252)에서 발광부(251)의 조사광을 감지하면 판단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여 제어부(400)에서 상기 스케일링유닛을 구동시킨다.
상기 발광부(251)는 조도나 휘도 또는 광의 파장이 특정 파장대가 되는 광을 조사하고, 수광부(252)에서는 상기 발광부(251)에서 조사되는 광 만을 감지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핸드피스(120)에 장착되는 발광부(251)가 아닌 다른 광원의 광을 수광부(252)가 감지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에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의 제6 실시예와 제7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들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진료유닛(100)과, 보조부재, 판별부(31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보조부재는 환자의 신체에 접촉하며, 진료유닛(100)과 보조부재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변화를 판별부(310)에서 감지하고, 판별부(310)에서는 제어부(400)로 판단신호를 전달해 제어부에서 진료유닛(1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부재는 환자와 상시 접촉하는 부재로서, 도 9의 제 6실시예에서는 마우스미러(260)가 적용되었다.
마우스미러(260)는 전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우스미러(260)는 치과 진료 중에 시술자가 구강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서 또는 입술이나 혀와 같이 구강 내부 조직을 한쪽으로 들추거나 견인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시술 중 구강에 항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마우스미러(260)가 구강 내에 접촉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진료유닛(100)의 가동툴(110)이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패러미터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판별부(310)에서는 이러한 패러미터의 차이를 통해 진료유닛이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패러미터는 정전용량, 임피던스, 저항 등일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환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270)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밴드 형태로 웨어러블 기기(270)가 형성되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접촉부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웨어러블 기기(270) 역시 판별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료유닛(100)이 치아 또는 잇몸과 접촉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패러미터의 차이를 통해 판별부(310)에서는 진료유닛(100)이 치아 또는 잇몸에 접촉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제어부(400)로 전달하여 제어부(400)에서 진료유닛(10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는 센서부(200)를 통해 진료유닛(100)이 구강 내부로 진입하거나 진료 준비 상태임을 감지하고, 제어부(400)에서 자동으로 진료유닛(100)의 구동을 온/오프 함으로써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진료가 이루어지게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한 장치에 적용되며,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

Claims (11)

  1.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상기 진료유닛이 구강 내에 접근하거나 동작 준비 상태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진료유닛의 접근 또는 동작준비 상태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와;
    상기 신호판별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판별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고 레이저 또는 특정 파장의 광이나 음파 또는 초음파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의 발진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진료유닛이 구강 내로 접근하여 상기 발진기의 발진신호가 상기 진료유닛에 의해 상기 수신기로 수신되지 못하는 것을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로 판단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진료유닛에 설치되며 자기장 또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송출기와,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송출기의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수신기는 상기 진료유닛이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상기 신호송출기의 송출신호가 수신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 또는 구강 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료유닛의 가동툴이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가동툴이 상기 접촉센서에 접촉하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에 판단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가동툴의 접촉만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진료유닛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구강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수광부에서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것을 판별하여 상기 제어부로 판단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진료유닛의 가동툴이 치아나 잇몸 또는 구강 장착 구조물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판별부는 상기 소리센서에서 상기 가동툴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면 이를 통해 판단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장착되는 구강 장착 구조물은 개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9. 치과 진료를 위한 가동툴과, 상기 가동툴이 결합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진료유닛과;
    상기 진료를 받는 환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보조부재와;
    상기 진료유닛과 보조부재 사이의 패러미터의 차이 또는 상기 진료유닛과 보조부재 사이의 패러미터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진료유닛이 환자의 구강내 조직에 접촉한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와 연결되어 상기 판별부의 판단신호에 따라 상기 진료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마우스미러이며,
    상기 마우스미러는 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이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PCT/KR2016/010186 2016-09-01 2016-09-09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WO201804378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523A KR101821563B1 (ko) 2016-09-01 2016-09-01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KR10-2016-0112523 2016-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786A1 true WO2018043786A1 (ko) 2018-03-08

Family

ID=5773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186 WO2018043786A1 (ko) 2016-09-01 2016-09-09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1563B1 (ko)
WO (1) WO2018043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00B1 (ko) * 2017-05-18 2018-07-18 (주)세신정밀 핸드피스용 전기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877934B1 (ko) * 2017-05-22 2018-07-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상태 측정 초음파 스케일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383A (ja) * 2004-10-29 2006-05-18 Takara Belmont Co Ltd 歯科治療装置の動作状態表示装置
KR20140088167A (ko) * 2011-10-28 2014-07-09 내비게이트 써지컬 테크놀로지, 인크. 수술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299B1 (ko) * 2013-10-17 2014-09-17 장유준 자동 동작 초음파 스케일러
KR20140137841A (ko) * 2013-05-24 2014-12-03 김인재 치아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KR101588823B1 (ko) * 2014-01-17 2016-01-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작업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1520B1 (en) 1999-05-06 2001-06-05 Coltene/Whaledent Ultrasonic scaler with adaptive amplitu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383A (ja) * 2004-10-29 2006-05-18 Takara Belmont Co Ltd 歯科治療装置の動作状態表示装置
KR20140088167A (ko) * 2011-10-28 2014-07-09 내비게이트 써지컬 테크놀로지, 인크. 수술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841A (ko) * 2013-05-24 2014-12-03 김인재 치아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KR101439299B1 (ko) * 2013-10-17 2014-09-17 장유준 자동 동작 초음파 스케일러
KR101588823B1 (ko) * 2014-01-17 2016-01-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용 작업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563B1 (ko) 2018-01-25
KR20160149173A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774A (en)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for teeth
US8092457B2 (en) Drilling device and drilling procedures for surgical purposes
KR101448860B1 (ko) 유브이 및 레이저 복합형 휴대용 핸드피스 치료 장치
US7063692B2 (en) Surgical operation system
US20050282102A1 (en) Kit for use by dental professionals
WO2021172696A1 (ko) 레이저 조사 장치
WO2021215552A1 (ko) 집속 초음파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집속 초음파 장치
WO2014189212A1 (ko) 치아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EP0880940A3 (en) Laser treatment apparatus
WO2018043786A1 (ko)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ITMI961167A1 (it) Devitalizzatore dentale con correnteelettrica ad alta frequenza
EP3964117A1 (en) Devices utilizing fluorescent enhancement theragnosis technology
WO2019017572A1 (ko)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
SE9900076D0 (sv) Anordning för utvärtes behandling av munhålan medelst ljus
KR101396086B1 (ko) 치아색 진단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및 치주염 치료 장치
WO2019112189A1 (ko) 의료용 레이저 장치
KR101853101B1 (ko) 구강검진·헬스케어클린을 갖는 스마트 oct 장치 및 방법
JP2005193012A (ja) 歯科診療装置
JP4755604B2 (ja) 歯科用の手用器具、歯科用の治療装置及び歯科用の手用器具で情報を表示する方法
WO2019103504A1 (ko) 구강 세정기
KR101391625B1 (ko) 여드름 치료 장치
KR101439299B1 (ko) 자동 동작 초음파 스케일러
JP2004154211A (ja) 口腔観察装置
JP4813097B2 (ja) 手術装置
JP2761369B2 (ja) 電子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152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152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