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504A1 - 구강 세정기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3504A1
WO2019103504A1 PCT/KR2018/014481 KR2018014481W WO2019103504A1 WO 2019103504 A1 WO2019103504 A1 WO 2019103504A1 KR 2018014481 W KR2018014481 W KR 2018014481W WO 2019103504 A1 WO2019103504 A1 WO 201910350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dy portion
light emitting
speak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4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레오
Publication of WO201910350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35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controlling brush technique device, e.g. stroke movement measu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Definitions

  • the following example relates to an oral cleanser.
  • the toothbrush used to remove the back has been playing a major role in preventing tooth decay, periodontal disease, and gingivitis as an oral hygiene tool.
  • Toothbrush is a tool used for brushing teeth with toothpaste for health care of teeth and hygiene in the oral cavity.
  • the toothbrush is composed of a stick-shaped handle and a body formed at the tip of the handle, Includes a brush.
  • the brush is rubbed against the tooth and rubbed to remove the tooth within the mouth.
  • the brush operation is completed, the inside of the mouth is cleaned with the cleansing water and the tooth is spit out.
  •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oral cleanser that audibly and visually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to a user.
  • 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oral cleanser that automatically performs a user's oral cleansing operation.
  • An oral cleanser includes: a housing; A cleaning module including a body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module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nd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head portion.
  •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body is housed and an insertion port formed i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housing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to be positioned at the insertion port, And may further include a cap.
  • the housing cap includes: a diverging member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And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verging member so as to face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extending member.
  • the housing cap may radiat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side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transmitting the light along the extending member to the diverging member.
  • the head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 a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And a tip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member,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dy portion.
  • the clean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rush portion connected to the tip and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 the brush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ush unit to provide sound within the user's mouth.
  • the acoustic portion includes a speaker groove including a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and recessed therein; A speaker disposed in the speaker groove; And a contact pad disposed in an open area of the speaker groove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speaker may be a bone conduction speaker.
  • the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the user with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of the action.
  • the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oral cleansing operation of the us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was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module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ing cap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unit of the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ush portion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sing module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oral cleanser 1 can clean the inside of the user's mouth.
  • the oral cleanser 1 may perform a brushing operation of rubbing a user's tooth through vibratio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of the user, or may suck in the user's oral water such as a tobacco tooth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the mouth washer 1 stimulates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in addition to the tactile sense of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using the oral cleanser 1.
  • the oral cleanser 1 may include a housing 100, a housing cap 110, a cleaning module, a light emitting portion 140, a brush portion 180, and an acoustic portion 190.
  • the housing 100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mouth washer 1.
  •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and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held by a user.
  • the housing 10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electric shock caused by the electronic parts disposed therein can be prevented.
  •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oral cleaner 1 can be operated.
  •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receiving space provided therein and an insertion port 101 (see Fig. 5) formed at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 a cleaning module for example a body part 120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body part 120, thereby preventing the body part 120 inserted there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and shaking.
  • the insertion port 10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 a part of the cleaning module that is, a head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ertion port 101.
  • the body part 120 is dispos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head part 130 is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01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0.
  • each configuration of the oral care applian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cap 110 may be fastened to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cap 11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insertion port 101 of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cap 110 may include a hollow through the cent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30 is insertable.
  • the housing cap 110 can effectively transmit light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for example, into the user's mouth.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cleaning module can perform functions for oral cleaning of the user.
  • 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body portion 120, a head portion 130, a hydraulic pressure portion 150, a vibration portion 170, and a buffer portion 160.
  • the body portion 120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100.
  • the body portion 120 may comprise an actuating element for the operation of the mouth washer 1.
  • the body portion 12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PCB circuit board for operating the mouthwasher 1, a switch, a portable battery providing power, a charging means, and the like. Each componen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odule.
  • the body part 120 may be formed as a module including various kinds of par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oral care cleanser 1.
  • the head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0.
  • the head portion 130 is extended from the body portion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outside the housing 100, that is,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01 of the housing 100, .
  • the head portion 13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31, a supporting member 132 and a tip 133.
  •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120.
  •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toward the insertion port 101.
  • Other configurations of the body part 120 and the head part 13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31.
  • the connecting member 131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00.
  • the support member 13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3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dy 120. That is,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2 and the body 120 at regular intervals.
  • the support member 132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00.
  • the support member 13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onstant area. In this case, the supporting member 132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insertion port 101 so as to be caught by the insertion opening 101,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131 and the body portion 120 ar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
  • the tip 133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32 and may extend longitudinally from the support member 132. At least a portion of the tip 133 may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0 by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ort 101. In other words, the portion of the tip 133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32 is locat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extended portion of the tip 133 extends out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101 .
  • the tip 133 may include a flow port 1331 that penetrates the inside.
  • the flow port 1331 can communicate with the tip 133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upport member 132 may include a hollow form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132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ort 1331.
  • a flow path of the fluid can be formed through the tip 133 and the support member 132.
  • the hydraulic section 150 can provide a fluid flow function through the mouth washer 1.
  • the hydraulic portion 150 may allow fluid to flow through the mouth washer 1 to inhale the sewage in the user's mouth or provide a rinse solution into the user's mouth.
  • the hydraulic section 150 may include a first flow tube 151, a second flow tube 152, and a hydraulic pump 153.
  • the hydraulic pump 153 may generate pressure fluctuations for fluid flow.
  • the hydraulic pump 153 may include, for example, a storage container and a motor for varying the pressure in the storage container.
  • a first flow tube 151 and a second flow tube 15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 One side of the first flow tube 151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ntainer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flow port 1331 of the head part 130.
  • One side of the second flow tube 152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ntainer and the other side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odule.
  • a fluid flow path from the head portion 130 of the mouth washer 1 to the exterior can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flow tube 151 and the second flow tube 152.
  • the vibration unit 170 can perform the brushing function of the mouth washer 1 by vibrating the head unit 130 of the mouth washer 1.
  • the vibration unit 170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172 (see FIG. 6) that is powered by power and a contact member 171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electric motor 172.
  • the vibration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130.
  • the contact member 17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31.
  • the contact member 171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protruded.
  • the contact member 171 may have a cross-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side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 the protruding portion repeatedly contacts the connecting member 131,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head portion 130 can be generated. Therefore, vibration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31 and the contact member 171 is transmitted to the tip 133, which can cause the vibration of the brush unit 180 (see FIG. 7) connected to the tip 133 .
  • the vibrating part 170 having various shapes and connection structures capable of generating the trembling of the head part 130 can be applied to the oral cleanser 1.
  • the buffer unit 160 may attenuate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head unit 130.
  • the buffer unit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sertion port 101 and the tip 133 of the housing 100.
  • the buffer portion 160 may include a hollow formed through the tip to allow the tip 133 to pass therethrough. In other words, the tip 133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buffer portion 160.
  • the buffer unit 16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serve as a buffer between the tip 133 and the housing 100.
  • the buffer portion 160 can seal the space between the tip 133 and the insertion port 101 by seal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 101 into which the tip 133 is inser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insertion port 101 between the use of the oral care appliance 1,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mponents in the oral care appliance 1.
  • the light emitting portion 140 i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120, and can emit light toward the head portion 130.
  • the light emitting portion 14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that is, in a space between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2.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portion 140 can be dispos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00.
  • 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include an LED that generates light by electric energy.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housing cap 110.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ing cap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of the oral clea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cross- Fig.
  • the housing cap 110 and the housing 10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 the housing cap 110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 101 of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cap 110 may include a diverging member 1111 and an elongate member 1112.
  • the diverging member 1111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low of the housing cap 110.
  • the diverging member 1111 may be formed of a transmissive material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therethrough.
  • the housing cap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not transmit light, light generated in the housing 100 can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only through the diverging member 1111.
  • the extending member 1112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verging member 1111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direction in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includes a coupling groove 103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port 101.
  • the extension member 11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03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100, (100). ≪ / RTI >
  • the extending member 1112 may be formed of a transmissive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 the extension member 1112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light emitting portion 140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12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extending member 1112. 6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diverging member 1111 through the extending member 1112, so that the ligh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40 inside the housing 100 can be diver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by passing through the diverging member 1111 along the extending member 1112.
  • the light emitting unit 140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14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light emitting unit 140 that may occur during use of the oral cleans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rradiate the oral cavity with the light.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140 can be irradiated only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elongate member 1112 and the diverging member 1111 so that the light is concentrated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140 .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unit 140 can perform a lighting function to illuminate a specific portion in the user's mouth.
  • the light emitting unit 140 can provide the user with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ral cleanser.
  • 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Each LED can selectively illuminate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oral cleanser,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intuitiv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ral cleanser. Further, 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provid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oral cleanser or the time required for use.
  •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light emitting unit 140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types of LED operation control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etting conditions.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ush portion of an oral clea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rush part 18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ad part 130, that is, the tip 133, and is inserted into the mouth of the user, thereby performing the oral cleaning function of the user.
  • the brush unit 180 can perform a function of rubbing the user's teeth or sucking the user's mouth water and discharging the user's mouth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re unit by shaking the vibration of the head unit 130 have.
  • the brush part 180 may include a connecting hole 181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rush part 18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82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hole 181.
  • the connector 181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ush part 180.
  • the connector 181 may be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rush part 180 so that the tip 133 can be inserted.
  • the connection port 181 may communicate with the flow port 1331 formed in the tip 133 to provide a fluid flow path between the brush portion 180 and the head portion 130.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8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rush portion 180. Each through hole 182 may communicate with the connector 181 to spray a rinse solution into the mouth of a user, or may provide a fluid flow path for sucking the wastewater in the user's mouth. Each through-hole 18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see FIG. 1) for physically cleaning the mouth by contacting the user's mouth.
  • the acoustic unit 190 may be provided in the brush unit 180 to provide sound within the user's mouth.
  • the acoustic portion may include a speaker groove, a speaker, and a contact pad.
  • the speaker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ush portion 180. [ The speaker groove may include a spac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sinks into the inside of the brush portion.
  • a speaker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speaker groove.
  • the speaker may be a bone conduction speaker.
  • the bone conduction speaker outputs the vibration and transmits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sound to the user in the bone conduction manner.
  • the sound output from the bone conduction speaker can be transmitted to the cochlea through the bones in the user's mouth, for example, the teeth. Therefor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use of the oral cleanser through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bone conduction speaker in a state of using the oral cleanser.
  • the acoustic unit 190 may perform an alarm function through the bone conduction speaker to inform the user that the oral cleaner has been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the contact pads are disposed in the open area of the speaker groove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eak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ct p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user's mouth rinsing from flowing into the speaker, and to prevent the speaker from being damaged.
  • the oral cleanser can effectively perform a user's oral cleansing operation by cleaning the user's mouth through vibration, injecting fluid into the oral cavity, or inhaling the wastewater.
  • the oral cleanser illuminates the inside of the user's mouth by irradi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with light,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ral cleanser.
  • the oral cleanser can assist the user in using the oral cleanser effectively by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oral cleanser as auditory information through the acoustic part.

Abstract

구강 세정기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세정 모듈;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세정기
아래의 실시예는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 후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 플라그, 치석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칫솔은 구강위생용 용구로서 충치, 치주질환, 치은염등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칫솔(Toothbrush)은, 치아의 건강관리와 구강 내 위생 청결을 위해 치약을 묻혀 치아를 닦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스틱 형태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선단에 형성된 몸체에 가느다란 모 부재가 촘촘하게 식모되는 브러쉬를 포함한다. 치아 세정시에는 칫솔의 브러쉬를 치아에 대고 문지르면서 구강 내의 양칫물을 제거하는 행동을 반복하게 되며, 브러쉬 동작이 완료되면 세정수로 구강 내를 세척하고 양칫물을 뱉어내게 된다.
그런데, 양치질이 끝나고 구강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세정수를 마시고 가글하여 뱉어내는 동작을 여러 번 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인 또는 중증환자들 중에서 혼자서 양치질을 하는 것이 곤란하여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서 양치질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타인의 도움을 받아서 양치질을 하는 경우 양칫물이 목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양칫물이 식도로 넘어가게 되므로 양치 시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편리하고, 위생적이면서 안전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동작 정보를 청각,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강 세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구강 세정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구강 세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세정 모듈;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몸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둘레 방향에 형성되는 발산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발산부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광되는 발광부의 빛을 상기 연장부재를 따라 상기 발산부재로 투과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지지부재 및 몸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세정 모듈은, 상기 팁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구강 내에 소리를 제공하는 음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음향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에 함몰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스피커 홈; 상기 스피커 홈에 배치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 홈의 개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접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사용자에게 동작 정보를 청각,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사용자의 구강 세정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세정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하우징 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하우징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발광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브러쉬부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구강 세정기
100: 하우징
110: 하우징 캡
120: 몸체부
130: 헤드부
140: 발광부
150: 유압부
160: 버퍼부
170: 진동부
180: 브러쉬부
190: 음향부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세정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는, 사용자의 구강 내를 세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세정기(1)는 사용자의 별도 동작 없이도 진동을 통해 사용자의 치아를 문지르는 브러싱(brushing) 동작을 수행하거나, 양칫물과 같은 사용자의 구강 내 오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세정기(1)는 사용자의 촉각 이외에, 시각, 청각을 자극함으로써, 구강 세정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는, 하우징(100), 하우징 캡(110), 세정 모듈, 발광부(140), 브러쉬부(180) 및 음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구강 세정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절연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으로 인한 감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구강 세정기(1)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조작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삽입구(101,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에는 세정 모듈, 예를 들어 후술하는 몸체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은 몸체부(12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삽입된 몸체부(12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되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구(101)는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하우징(1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01)를 통해 세정 모듈의 일부, 즉, 후술하는 헤드부(13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정 모듈이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몸체부(12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헤드부(130)는 삽입구(101)를 통해 수용공간을 빠져나와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정 모듈이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구강 세정기(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 캡(110)은 하우징(100)에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 캡(110)은 하우징(100)의 삽입구(101)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캡(110)은 헤드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캡(11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내의 빛을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 구강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세정 모듈은, 사용자의 구강 세정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세정 모듈은, 몸체부(120), 헤드부(130), 유압부(150), 진동부(170) 및, 버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0)는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20)는 구강 세정기(1)의 작동을 위한 작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는 구강 세정기(1)의 작동을 위한 PCB 회로기판, 스위치, 전력을 제공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수단 등의 다양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부품은 모듈(module)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몸체부(120)는 구강 세정기(1)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30)는 몸체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즉, 하우징(100)의 삽입구(101)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몸체부(12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부(130)는, 연결부재(131), 지지부재(132) 및 팁(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1)는 몸체부(1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1)는 삽입구(101)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131)를 통해 몸체부(120) 및 헤드부(130)의 다른 구성들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31)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몸체부(120)로부터 이격되도록 연결부재(13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2) 및 몸체부(12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2)는 삽입구(101)에 걸리도록 삽입구(101)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131) 및 몸체부(120)가 하우징(100) 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팁(133)은 지지부재(132)에 연결되고, 지지부재(132)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팁(133)의 적어도 일부는 삽입구(101)를 통과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재(132)에 연결된 팁(133) 부위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팁(133)의 연장된 타측 부위는 삽입구(101)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팁(133)은 내부를 관통 형성하는 유동구(13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구(1331)는 팁(133)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2)는 유동구(1331)와 연통되도록 지지부재(13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팁(133) 및 지지부재(132)를 통해 유체의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압부(150)는, 구강 세정기(1)를 통한 유체 유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압부(150)는 구강 세정기(1)를 통해 유체를 유동시킴으로써, 사용자 구강 내의 오수를 흡입하거나, 사용자 구강 내로 세정액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압부(150)는, 제 1 유동관(151), 제 2 유동관(152) 및 유압펌프(15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펌프(153)는, 유체의 유동을 위한 압력 변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압펌프(153)는, 예를 들어, 수용용기와, 수용용기 내의 압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용기에는 제 1 유동관(151) 및 제 2 유동관(152)이 연결될 수 있다. 제 1 유동관(151)의 일측은 수용용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헤드부(130)의 유동구(13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유동관(152)은 일측은 수용용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세정 모듈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유동관(151) 및 제 2 유동관(152)을 통해 구강 세정기(1)의 헤드부(130)로부터 외부까지의 유체 유동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진동부(170)는 구강 세정기(1)의 헤드부(130)를 진동시킴으로써, 구강 세정기(1)의 브러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진동부(170)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동모터(172, 도 6 참조) 및 전동모터(17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접촉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70)는 헤드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재(171)는 연결부재(131)에 접촉되도록, 몸체부(120) 및 지지부재(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재(171)는 일측면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재(171)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의 일부가 돌출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접촉부재(171)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된 부위가 연결부재(131)에 반복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헤드부(130)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31) 및 접촉부재(171)의 접촉에 따른 진동이 팁(133)으로 전달됨으로써, 팁(133)과 연결된 브러쉬부(180, 도 7 참조)의 떨림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헤드부(130)의 떨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연결구조를 가지는 진동부(170)가 구강 세정기(1)에 적용될 수 있다.
버퍼부(160)는 헤드부(130)의 진동에 따라 하우징(1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버퍼부(160)는 하우징(100)의 삽입구(101) 및 팁(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부(160)는 팁(133)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버퍼부(160)의 중공에는 팁(133)이 삽입될 수 있다. 버퍼부(16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팁(133) 및 하우징(100) 사이의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버퍼부(160)는 팁(133)이 삽입된 삽입구(101)의 개방부위를 밀폐시킴으로써, 팁(133) 및 삽입구(101) 사이의 공간을 실링(sealing)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세정기(1)의 사용간에 삽입구(101)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강 세정기(1) 내의 부품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발광부(140)는 몸체부(120)에 구비되어, 헤드부(130)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40)는 몸체부(120)의 일측, 다시 말해, 몸체부(120) 및 지지부재(13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4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140)는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40)가 발생시키는 빛은 하우징 캡(110)을 통해 수용공간으로부터 하우징(100)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하우징 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하우징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발광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하우징 캡(110) 및 하우징(100)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 캡(110)은 하우징(100)의 삽입구(101)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캡(110)은, 발산부재(1111) 및 연장부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산부재(1111)는 하우징 캡(110)의 중공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발산부재(1111)는 빛이 투과 가능하도록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캡(110)이 빛이 투과할 수 없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00) 내에서 발생되는 빛은 발산부재(1111)를 통해서만 하우징(10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연장부재(1112)는 하우징(100) 내의 수용공간 방향을 향해 발산부재(111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0)은 삽입구(101) 주변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홈(103)을 포함하고, 연장부재(1112)는 체결홈(103)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체결되는 동시에,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부재(1112)는, 빛이 투과 가능한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재(1112)는 수용공간에 배치된 몸체부(12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20)에 배치된 발광부(140)는 연장부재(111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발광부(140)가 발산하는 빛은 연장부재(1112)를 통해 발산부재(1111)로 투과됨으로써, 하우징(10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광되는 발광부(140)의 빛이 연장부재(1112)를 따라 발산부재(1111)를 통과함으로써, 하우징(100)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발광부(140)가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강 세정기 사용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발광부(14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하우징(100) 외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강으로 효과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40)가 조사하는 빛을 연장부재(1112) 및 발산부재(1111)를 통해서만 하우징(100) 외부로 조사함으로써, 발광부(140)의 빛이 집중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40)를 통해 사용자 구강 내의 특정 부분을 밝히는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발광부(140)는 구강 세정기의 작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40)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LED는 구강 세정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구강 세정기의 동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40)는 구강 세정기의 배터리 잔량이나, 사용에 소요된 시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발광부(140)의 작동 제어 방식은 예시에 불과하며, 설정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LED 작동 제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브러쉬부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브러쉬부(180)는 헤드부(130)의 타측, 즉, 팁(133)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세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부(180)는 헤드부(130)의 진동을 전달받아 떨림으로써, 사용자의 치아를 문지르거나, 사용자의 구강 내 오수를 흡입하여 구강 세정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브러쉬부(180)는,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구(181)와, 상기 연결구(181)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8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181)는 브러쉬부(1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81)는 팁(133)이 삽입 가능하도록 브러쉬부(18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81)는 팁(133)에 형성된 유동구(1331)와 연통됨으로써 브러쉬부(180) 및 헤드부(130) 사이의 유체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통공(182)은 브러쉬부(18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통공(182)은 연결구(181)와 연통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로 세정액을 분사하거나, 사용자 구강 내의 오수를 흡입하는 유체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통공(182)에는 사용자의 구강에 접촉함으로써 구강을 물리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복수의 브러쉬모(도 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음향부(190)는 브러쉬부(18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에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부는 스피커 홈, 스피커, 및 접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홈은, 브러쉬부(18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홈은 외부로 노출되되 브러쉬부의 내부로 함몰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홈의 공간에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는 진동을 출력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음향에 따른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는 사용자 구강 내의 뼈, 예를 들어, 치아를 통해 달팽이관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강 세정기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골전도 스피커로부터 전달되는 소리를 통해, 구강 세정기의 사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부(190)는 골전도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상 구강 세정기를 사용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촉 패드는, 스피커 홈의 개방 영역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접촉 패드를 통해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구강 세정간의 이물질이 스피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피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의 구강을 세정하는 동시에, 구강 내에 유체를 분사하거나 오수를 흡입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세정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세정기는 하우징 내부의 빛을 외부로 집중시켜 조사함으로써, 사용자 구강 내를 밝히는 동작을 수행하고, 구강 세정기의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구강 세정기는 음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구강 세정기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청각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구강 세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세정 모듈;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몸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일측에 형성된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둘레 방향에 형성되고,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발산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발산부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는, 구강 세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광되는 발광부의 빛을 상기 연장부재를 따라 상기 발산부재로 투과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발산시키는, 구강 세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지지부재 및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구강 세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모듈은,
    상기 팁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는 브러쉬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구강 내에 소리를 제공하는 음향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에 함몰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스피커 홈;
    상기 스피커 홈에 배치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 홈의 개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골전도 스피커인, 구강 세정기.
PCT/KR2018/014481 2017-11-24 2018-11-23 구강 세정기 WO201910350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70 2017-11-24
KR1020170158670A KR20190060457A (ko) 2017-11-24 2017-11-24 구강 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504A1 true WO2019103504A1 (ko) 2019-05-31

Family

ID=6663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481 WO2019103504A1 (ko) 2017-11-24 2018-11-23 구강 세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60457A (ko)
WO (1) WO20191035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1853A1 (ja) * 2019-12-26 2021-07-0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4598950A (zh) * 2022-02-08 2022-06-07 深圳市云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骨传导过压提醒装置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317Y1 (ko) * 1999-07-02 2000-02-15 김종백 멜로디기능을갖는칫솔
KR20110031604A (ko) * 2009-09-21 2011-03-29 이동원 골전도(骨傳導) 뮤직 칫솔
KR20140148444A (ko) * 2012-05-04 2014-12-31 더 질레트 컴퍼니 구강 위생 기구
US20160143718A1 (en) * 2013-06-19 2016-05-26 Kolibree Toothbrush system with sensors for a dental hygiene monitoring system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KR101822645B1 (ko) * 2017-07-28 2018-01-26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KR101822646B1 (ko) * 2017-07-28 2018-01-26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317Y1 (ko) * 1999-07-02 2000-02-15 김종백 멜로디기능을갖는칫솔
KR20110031604A (ko) * 2009-09-21 2011-03-29 이동원 골전도(骨傳導) 뮤직 칫솔
KR20140148444A (ko) * 2012-05-04 2014-12-31 더 질레트 컴퍼니 구강 위생 기구
US20160143718A1 (en) * 2013-06-19 2016-05-26 Kolibree Toothbrush system with sensors for a dental hygiene monitoring system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KR101822645B1 (ko) * 2017-07-28 2018-01-26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KR101822646B1 (ko) * 2017-07-28 2018-01-26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1853A1 (ja) * 2019-12-26 2021-07-0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413010B2 (ja) 2019-12-26 2024-01-1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4598950A (zh) * 2022-02-08 2022-06-07 深圳市云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骨传导过压提醒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457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22275A1 (ko) 구강 세정기
WO2015072676A1 (ko) 구강형 전동칫솔
KR101603239B1 (ko)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WO2015126102A1 (ko) 구강 세정장치
RU26207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WO2019022276A1 (ko) 구강 세정기
JP2019022717A (ja) 制御された吸引と洗浄機能を備えた電動歯ブラシ
ATE454861T1 (de) Mundpflegegerät mit einem schwingenden interdentalbehandlungskopf
WO2019103504A1 (ko) 구강 세정기
US4148309A (en) Personal hygiene device
JP2012505702A (ja) 唾液吸引機能を有する舌保護用ティップス、バイトブロックおよび口腔照明器
KR100768030B1 (ko) 치과용 마우스 프롭
US20210345767A1 (en) Disinfecting toothbrush box
WO2018236004A1 (ko) 치아 미백 장치
WO2013137601A1 (ko) 휴대용 칫솔
WO2020197034A1 (ko) 구강 삽입용 전동칫솔 및 그 세정장치
WO2012165686A1 (ko) 칫솔 겸용 잇몸 마사지 장치
WO2018062741A1 (ko) 치아세정 겸용 잇몸 마사지 기구
KR200427295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잇몸 및 치아 관리기구
CN113116577B (zh) 一种可替换模块化清洁和治疗平台
KR20230103909A (ko) 전동 칫솔
WO2019103502A2 (ko) 구강 세정기
KR20100009218U (ko)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WO2019103503A1 (ko) 구강 세정기
CN201332821Y (zh) 一种设有发光单元的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03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03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