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416B1 - 석션 보조 장비 - Google Patents

석션 보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416B1
KR102208416B1 KR1020200020425A KR20200020425A KR102208416B1 KR 102208416 B1 KR102208416 B1 KR 102208416B1 KR 1020200020425 A KR1020200020425 A KR 1020200020425A KR 20200020425 A KR20200020425 A KR 20200020425A KR 102208416 B1 KR102208416 B1 KR 10220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er
pair
suction
ball
su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화
Original Assignee
송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3100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084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화 filed Critical 송정화
Priority to KR102020002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416B1/ko
Priority to PCT/KR2020/009381 priority patent/WO2021167182A1/ko
Priority to JP2022503397A priority patent/JP2022525701A/ja
Priority to US17/438,696 priority patent/US2022014284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96Bendable saliva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석션 보조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을 파지하는 파지구, 파지구에 결합되며, 석션 모듈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 및 파지구 및 조절구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의사는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석션 보조 장비{Suction Auxiliary Equipment}
본 발명은 석션 보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의사가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 보조 장비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에서는 진료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내에 발생되는 타액, 이물질, 혈액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과용 석션 장비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석션 장비에는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석션 팁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석션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치과 진료에서는 석션 모듈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석션 팁이 사용자의 구강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보조하는 간호 보조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치과 병원의 소형화로 인해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없이 의사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1인 치과가 치의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의사 단독으로의 1인 치과 진료가 가능하게 위해서는 석션 모듈의 사용을 도와주는 간호 보조 인력의 업무가 기술적으로 대체될 수 있어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7176호(2018.10.1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의사가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 보조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을 파지하는 파지구; 및 상기 파지구에 결합되며, 상기 석션 모듈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구 및 상기 조절구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는, 일단이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며 상기 석션 모듈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대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조절구, 및 일단이 상기 제1 조절구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파지구가 결합되는 제2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 의사는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제1 조절구 및 제2 조절구의 설치 구조를 확대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에서의 조절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는 파지구(200), 조절대(300), 지지구(400), 제1 조절구(500-1), 및 제2 조절구(500-2)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지지구(400), 조절대(300), 제1 조절구(500-1), 및 제2 조절구(500-2)는 연속적으로 결합 설치되며, 제2 조절구(500-2)의 단부에는 파지구(200)가 결합되고, 파지구(200)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100)을 클램프 방식으로 파지한다.
지지구(400)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봉형 부재로서 파지구(200) 및 조절구(5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며, 지지구(400)의 상단에는 회동부(470)가 구비되어 있고, 지지구(400)의 하단에는 지지구(4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체(450)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체(450)는 지면에 설치되는 패널형 구조체로서 진료실 내에서의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이송 바퀴 등이 하부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고정체(450)는 조절구 및 파지구(200)의 하중에 의해 지지구(400)가 전도되지 않도록 충분한 무게를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회동부(47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디스크 구조체로 구성되며, 조절대(300)는 회동부(47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디스크 구조체 중 하나의 디스크 구조체에 결합설치된다.
한편, 조절대(300)가 결합된 디스크 구조체가 다른 디스크 구조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조절대(300)의 설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절대(300)는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로서 일단이 회동부(470)에 결합되고, 조절대(300)의 타단에는 제1 조절구(500-1)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조절대(300)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형 절곡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을 진료의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조절대(300)에는 석션 모듈(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석션 호스(미도시)를 고정시킴으로써 석션 호스가 조절대(300)를 따라 설치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7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조절대(300)의 내부에 석션 호스가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조절대(300)를 이용한 위치 조절 과정에서 석션 호스로 인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석션 호스로 인해 진료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석션 호스를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조절대(300)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되, 조절대(300)의 타단의 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석션 호스의 석션 모듈(100)과의 결합 단부가 인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절대(3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석션 호스가 지지구(400)의 내부까지 연결 설치되도록 하고, 지지구(4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체(450)를 통해 석션 호스의 석션기 본체와의 결합 단부가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수직 설치되는 봉형 부재인 지지구(400)의 내부에는 석션 호스가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수납 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지지구(400) 내부의 원통형 수납 공간은 조절대(300)의 내부에 형성된 석션 호스의 설치 공간과 연속된 공간을 형성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사용을 대기하는 추가의 석션 모듈이 파지됨으로써 거치되는 거치대(350)를 조절대(300)에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제1 조절구(500-1) 및 제2 조절구(500-2)의 설치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절대(3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조절구(500-1)는 한 쌍의 볼 구조체(510), 하부 플레이트(520), 상부 플레이트(530) 및 고정부재(540)를 포함한다.
각각의 볼 구조체(510)에는 하나의 연결 로드(51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절구(500-1)의 우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 로드(515)는 조절대(300)의 단부에 결합 설치되며, 제1 조절구(500-1)의 좌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로드는 제2 조절구(500-2)의 우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 로드(515)와 상호 연결된다.
하부 플레이트(520)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볼 구조체(510)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530)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볼 구조체(510)가 각각 파지되는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볼 구조체(510)는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520)와 상부 플레이트(530) 사이의 공간에 볼 베어링의 구조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재(540)는 상부 플레이트(53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5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고정부재(540)의 하단부는 하부 플레이트(52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되, 고정부재(540)는 한 쌍의 볼 구조체(51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정부재(540)를 볼트와 같은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정부재(54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볼 구조체(510)의 제1 조절구(500-1)에서의 결합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부재(540)의 머리부위가 상부 플레이트(53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 플레이트(530)의 상부면에는 고정부재(540)의 볼트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제1 조절구(500-1)에 구비된 한 쌍의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각도 및 결합 방향을 볼 구조체(510)의 3차원 구면을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540)에서의 결합을 위한 회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볼 구조체(510)의 제1 조절구(500-1)에서의 결합 각도 및 결합 방향이 파지구(200) 및 석션 모듈(100)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제1 조절구(500-1)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조절구(500-2) 또한 한 쌍의 볼 구조체(510), 하부 플레이트(520), 상부 플레이트(530) 및 고정부재(540)를 포함한다.
제2 조절구(500-2)에서의 각각의 볼 구조체(510)에도 하나의 연결 로드(51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2 조절구(500-2)의 우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 로드(515)는 제1 조절구(500-1)의 좌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 로드(515)와 상호 연결되며, 제2 조절구(500-2)의 좌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로드는 파지구(200)에 결합된다.
제2 조절구(500-2)에서의 하부 플레이트(520)의 상부면에도 한 쌍의 볼 구조체(510)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조절구(500-2)에서의 상부 플레이트(530)의 하부면에도 한 쌍의 볼 구조체(510)가 각각 파지되는 한 쌍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볼 구조체(510)는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520)와 상부 플레이트(530) 사이의 공간에 볼 베어링의 구조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조절구(500-2)에서의 고정부재(540) 또한 상부 플레이트(53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5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고정부재(540)의 하단부는 하부 플레이트(52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되, 고정부재(540)는 한 쌍의 볼 구조체(51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조절구(500-2)에서의 고정부재(540) 또한 볼트와 같은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정부재(54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볼 구조체(510)의 제1 조절구(500-1)에서의 결합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부재(540)의 머리부위가 상부 플레이트(53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제2 조절구(500-2)에서의 상부 플레이트(530)의 상부면에도 고정부재(540)의 볼트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제2 조절구(500-2)에 구비된 한 쌍의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각도 및 결합 방향을 볼 구조체(510)의 3차원 구면을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 파지구(200)에 파지되어 있는 석션 모듈(10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540)에서의 결합을 위한 회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볼 구조체(510)의 제2 조절구(500-2)에서의 결합 각도 및 결합 방향이 파지구(200) 및 석션 모듈(100)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조절대(300)를 통해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1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1 조절구(500-1)의 우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조절구(500-1)의 좌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3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2 조절구(500-2)의 우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4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조절구(500-2)의 좌측에 설치된 볼 구조체(5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최종(5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 의사 등의 사용자는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석션 모듈(100)을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치과 진료를 단독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에서의 조절대(30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에서의 조절대(300)는 강성부(310), 및 연성부(320)를 포함한다.
강성부(310)는 강성 코일 구조체로서, 일단이 회동부(470)에 고정 설치되며, 연성부(320)는 일단이 강성부(310)의 타단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연성 코일 구조체로서 연성부(320)의 타단에는 제1 조절구(500-1)가 설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절대(300)에서의 회동부(470) 측 연결 부위는 상대적으로 방향 및 위치 전환의 필요가 많지 않으므로 강성 코일 구조체인 강성부(310)로 구성하고, 조절대(300)에서의 제1 조절구(500-1) 측 연결 부위는 진료 환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방향 및 위치 전환의 필요가 많으므로 연성 코일 구조체인 연성부(320)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은 조절대(300)의 차등 강성 구조에 의하면, 석션 모듈(100)에 대한 견고한 위치 고정의 기능과 석션 모듈(100)에 대한 유연한 위치 조정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석션 보조 장비를 치과 진료용 체어에 직접 결합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치과 진료용 체어가 지지구(40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석션 보조 장비는 지지구(40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게 되며, 조절대(300)의 단부가 회동부(470) 등과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치과 진료용 체어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절대(300)의 내부에 전선 등의 전력 공급선이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조절대(300)에 추가로 결합 설치되는 진료용 조명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이 전력 공급선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력 공급선을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조절대(300)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되, 조절대(300)의 타단의 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전력 공급선의 진료용 조명기기와의 연결 단부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조절대(3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전력 공급선이 지지구(400)의 내부까지 연결 설치되도록 하고, 지지구(4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체(450)를 통해 전력 공급선의 타단부가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수직 설치되는 봉형 부재인 지지구(400)의 내부에는 전력 공급선이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수납 공간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지지구(400) 내부의 원통형 수납 공간은 조절대(300)의 내부에 형성된 전력 공급선의 설치 공간과 연속된 공간을 형성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석션 모듈, 200: 파지구,
300: 조절대 310: 강성부,
320: 연성부, 350: 거치대,
370: 가이드 부재, 400: 지지구,
450: 고정체, 470: 회동부,
500-1: 제1 조절구, 500-2: 제2 조절구,
510: 볼 구조체, 515: 연결 로드,
520: 하부 플레이트, 530: 상부 플레이트,
540: 고정부재.

Claims (3)

  1. 사용자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석션 모듈(100)을 파지하는 파지구(200);
    상기 파지구(200)에 결합되며, 상기 석션 모듈(100)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 및
    상기 조절구가 단부에 설치되며, 소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석션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는,
    한 쌍의 볼 구조체(510), 상기 한 쌍의 볼 구조체(510)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오목홈이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520), 상기 한 쌍의 볼 구조체(510)가 각각 파지되는 한 쌍의 오목홈이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53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53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520)를 볼트 방식으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볼 구조체(510)의 상기 조절구에서의 결합 강도를 조절하는 고정부재(54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볼 구조체(510) 중 하나의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 로드(515)는 상기 파지구(200)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볼 구조체(510) 중 다른 하나의 볼 구조체(510)에 구비된 연결 로드(515)는 상기 조절대(300)에 연결되는 것인 석션 보조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200) 및 상기 조절구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구(400)를 더 포함하는 석션 보조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는,
    일단이 상기 지지구(400)에 결합되며 상기 석션 모듈(100)의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대(30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조절구(500-1), 및 일단이 상기 제1 조절구(500-1)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파지구(200)가 결합되는 제2 조절구(500-2)를 포함하는 것인 석션 보조 장비.
KR1020200020425A 2020-02-19 2020-02-19 석션 보조 장비 KR10220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25A KR102208416B1 (ko) 2020-02-19 2020-02-19 석션 보조 장비
PCT/KR2020/009381 WO2021167182A1 (ko) 2020-02-19 2020-07-16 석션 보조 장비
JP2022503397A JP2022525701A (ja) 2020-02-19 2020-07-16 吸引補助装置
US17/438,696 US20220142846A1 (en) 2020-02-19 2020-07-16 Suction ai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25A KR102208416B1 (ko) 2020-02-19 2020-02-19 석션 보조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416B1 true KR102208416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425A KR102208416B1 (ko) 2020-02-19 2020-02-19 석션 보조 장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42846A1 (ko)
JP (1) JP2022525701A (ko)
KR (1) KR102208416B1 (ko)
WO (1) WO20211671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105B1 (ko) * 2021-08-19 2022-04-19 (주)덴탈럽 에어로졸 흡입 겸용 석션 보조 장비
WO2022239928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덴티움 덴탈 체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565A1 (en) * 2007-04-26 2008-10-30 Comdel Innovations Inc. Suction coupling system and assembly
KR101743216B1 (ko) * 2016-02-22 2017-06-02 김태인 시술 보조 기구
KR101745434B1 (ko) * 2016-04-06 2017-06-09 이민정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KR101907176B1 (ko) 2018-04-18 2018-10-11 김하익 석션 보조 장비
KR102075997B1 (ko) *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070A (en) * 1918-01-19 1921-04-14 Alfred Schoenfeld Improvements in lighting arrangements for dentists
FR2387027A1 (fr) * 1977-04-12 1978-11-10 Benzaria Clement Ensemble d'articulation perfectionne de moulages d'arcades dentaires
KR930005949Y1 (ko) * 1991-01-29 1993-09-13 정원영 치과의자의 흡입노즐 지지용 스윙아암
AU3620800A (en) * 1999-03-12 2000-09-28 Robert C. Mckinney Dental articulator
JP3959644B2 (ja) * 2003-09-30 2007-08-15 英宏 藤江 歯科診療装置
JP5529575B2 (ja) * 2010-02-10 2014-06-25 寿一 藤本 口腔内吸引装置の吸引管の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565A1 (en) * 2007-04-26 2008-10-30 Comdel Innovations Inc. Suction coupling system and assembly
KR101743216B1 (ko) * 2016-02-22 2017-06-02 김태인 시술 보조 기구
KR101745434B1 (ko) * 2016-04-06 2017-06-09 이민정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KR101907176B1 (ko) 2018-04-18 2018-10-11 김하익 석션 보조 장비
KR102075997B1 (ko) * 2018-11-01 2020-02-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928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덴티움 덴탈 체어 장치
KR102388105B1 (ko) * 2021-08-19 2022-04-19 (주)덴탈럽 에어로졸 흡입 겸용 석션 보조 장비
WO2023022350A1 (ko) * 2021-08-19 2023-02-23 (주)덴탈럽 에어로졸 흡입 겸용 석션 보조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182A1 (ko) 2021-08-26
US20220142846A1 (en) 2022-05-12
JP2022525701A (ja)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416B1 (ko) 석션 보조 장비
WO2022088535A1 (zh) 一种介入造影和治疗手术通用机器人
WO2019203479A1 (ko) 석션 보조 장비
US20070129634A1 (en) Biomedical positioning and stabilization system
KR101745434B1 (ko)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TWI743582B (zh) 用於機器人手術推車的萬向輪
TW202023491A (zh) 機器人手術推車
JP6770282B2 (ja)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に用いられるベース部材
KR102388105B1 (ko) 에어로졸 흡입 겸용 석션 보조 장비
JP2007097987A (ja) 歯科矯正器具
KR101653526B1 (ko)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CN215020924U (zh) 一种用于呼吸管道的夹持装置
CN213099124U (zh) 一种牙科诊疗用万向调节柔性支架
KR20100087979A (ko) 교정용 고정장치
CN210932521U (zh) 一种用于微创手术的器械夹持装置
KR20230126857A (ko) 치과용 석션기구 거치 장치
CN112690748A (zh) 一种角度可调的内窥镜
KR101653525B1 (ko) 전도가 방지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CN210992453U (zh) 呼吸管支架结构
CN210020748U (zh) 用于稳定下颌的夹持装置
CN205515884U (zh) 一种气管导管尾端托架
CN211408969U (zh) 一种肠胃外科检查用托架
JP2807868B2 (ja) 歯科用治療具のチューブ支持装置
JP3230062U (ja) タブレットホルダ
CN218870285U (zh) 一种人体下肢辅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62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921

Effective date: 202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