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526B1 -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526B1
KR101653526B1 KR1020160084139A KR20160084139A KR101653526B1 KR 101653526 B1 KR101653526 B1 KR 101653526B1 KR 1020160084139 A KR1020160084139 A KR 1020160084139A KR 20160084139 A KR20160084139 A KR 20160084139A KR 101653526 B1 KR101653526 B1 KR 101653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ixed
ball
fixing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현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서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현 filed Critical 서재현
Priority to KR102016008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이동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진료장치를 각각 고정하고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관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관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관절이 고정되거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Assitant device for dental care}
본 발명은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력자의 수를 최소로 하여 치과 의사가 환자의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치과 의사의 치료를 보조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진료장치가 사용된다. 다양한 진료장치는 환자가 눕게 되는 유닛 체어 근방에 배치된다. 의사는 치료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진료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치과 치료가 이뤄질 때 환자는 유닛 체어에 누운 상태에서 입을 벌리고, 치과 의사는 환자의 머리 근방에 앉은 상태에서 치과 치료를 수행한다. 이 때, 의사의 옆에는 치료를 보조하기 위해 조력자가 위치하게 된다.
조력자는 석션을 환자의 입에 고정하여 구강 내부에서 발생되는 타액이나 절삭물 등의 적출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리플렉터를 비추거나, 광중합기를 입속에 고정하거나, 부분 조명을 비추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치과 의사는 양손으로 두 개의 진료장치만을 잡을 수 있으므로, 조력자가 치과 치료에 요구되는 다른 진료장치를 잡아 환자의 입속의 적당한 곳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최근 의료인력의 인건비가 상승함에 따라, 치과 치료시 조력자의 역할을 대체하기 위해 진료 보조장치가 도입되었다.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다양한 진료장치를 거치대에 거치하여, 종래 진료장치를 지지하던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진료장치를 주름관으로 지지하고 있어, 중량이 무거운 카메라와 같은 진료장치를 고정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주름관을 사용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치과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도중에 주름관을 건드리면 그 위치가 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진료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다양한 진료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료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진료장치를 각각 고정하고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관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관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관절이 고정되거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가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의 선단에는 상기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전면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은,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마련된 제1볼 조인트;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마련된 제2볼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을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고정시키면, 상기 제1볼 조인트와 제2볼 조인트도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일측으로 적어도 한 개의 주름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적어도 2개의 관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관절부재를 구비하므로 복수의 진료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링크 구조를 갖는 복수의 다관절부재를 구비하므로, 진료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다관절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사용되는 다관절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관절부재의 고정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에서 (a)는 다관절부재의 고정유닛에 의해 링크와 볼 조인트가 풀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다관절부재의 고정유닛에 의해 링크와 볼 조인트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의 다관절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1)는 몸체(10)와 복수의 다관절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복수의 다관절부재(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베이스부(20)와 베이스부(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면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0)의 하부에는 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유닛(40)이 설치된다. 구동유닛(40)으로는 복수의 바퀴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바퀴(40)는 몸체(10)를 일정한 장소에 고정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0)에는 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1)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1)를 사용할 때, 치과 의사의 발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바퀴(40)는 개구(21)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20)의 내부에는 밸런스로 사용될 수 있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부(30)는 베이스부(20)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베이스부(2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환자를 향하는 쪽을 몸체의 전면이라고 하였을 때, 베이스부(20) 쪽이 후방이 된다. 따라서, 전면부(30)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면부(30)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몸체(10)의 무게 중심이 뒤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면부(30)의 상부(31)에 복수의 치료장치를 장착하여도 몸체(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30)는 절곡부(33)를 중심으로 상부(31)와 하부(35)가 다른 경사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전면부(30)의 상부(31)의 경사각이 전면부(30)의 하부(35)의 경사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면부(30)의 하부(35)의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하고, 전면부(30)의 상부(31)의 경사각도를 급하게 하면, 무게 중심을 가능한 한 몸체의 후방으로 위치시키면서도 전면부(30)의 상부(31)가 전면부(30)가 연장되는 베이스부(20)의 일단에서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30)는 하부(35)의 폭이 상부(31)의 폭보다 넓은 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몸체(10)를 구성하면, 몸체(10)의 무게 중심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몸체(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10)의 상부(31)에는 복수의 다관절부재(10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31)에는 복수의 다관절부재(100)와 함께 적어도 한 개의 주름관(200)이 설치될 수 있다. 주름관(200)은 석션과 같이 무게가 무겁지 않으며, 내부의 통로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다관절부재(100)는 몸체(10)의 상부(31)에 설치되며, 각각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다관절부재(100)는 진료장치를 적절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위치나 자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다관절부재(100)는 적어도 2개의 관절이 고정되거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관절부재(100)는 몸체(10)의 상부(31)에 마련된 복수의 고정돌기(170)에 고정된다. 복수의 고정돌기(170)의 상단에는 암나사(171)가 마련되어 있어, 다관절부재(100)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1)는 2개의 고정돌기(170)와 2개의 다관절부재(100)를 포함한다.
다관절부재(100)의 선단에는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160)가 설치된다. 홀더(160)에는 다양한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홀더(160)의 일단에는 다관절부재(100)의 일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암나사(161)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160)에는 리플렉터, 광중합기, 조명, 석션기, 촬영장치 등과 같은 진료장치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다관절부재(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사용되는 다관절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관절부재의 고정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관절부재(100)는 제1링크(110), 제2링크(120), 제1볼 조인트(130), 제2볼 조인트(140), 및 고정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110)는 강체로 형성되며, 외력이 가하여도 변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110)는 제1링크 몸체(111), 제1연결 고리(115), 및 제1링크 로드(113)로 구성된다. 제1링크 몸체(111)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링크 로드(113)가 설치된다. 제1연결 고리(115)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링크 몸체(111)의 일단에 설치된다. 제1링크 몸체(111)는 제1연결 고리(115)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제1링크 몸체(11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 로드(113)의 일단은 제1연결 고리(115)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링크(120)는 제1링크(1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2링크(120)는 강체로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가하여도 변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2링크(120)는 제2링크 몸체(121), 제2연결 고리(125), 및 제2링크 로드(123)로 구성된다. 제2링크 몸체(121)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링크 로드(123)가 설치된다. 제2연결 고리(125)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링크 몸체(121)의 일단에 설치된다. 제2링크 몸체(121)는 제2연결 고리(12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제2링크 몸체(12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로드(123)의 일단은 제2연결 고리(125)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볼 조인트(130)는 제1링크 몸체(121)의 타단, 즉 제1연결 고리(125)와 반대쪽에 설치된다. 제1볼 조인트(130)는 제1볼 하우징(131)과 제1볼 나사(133)로 구성된다.
제1볼 하우징(131)은 제1링크 몸체(111)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1볼 하우징(131)의 일단에는 테이퍼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퍼 구멍(132)에는 제1볼 나사(133)가 삽입되어 있다. 테이퍼 구멍(132)의 지름은 제1볼 나사(133)가 빠지지 않으면서 제1볼 나사(133)가 자유롭게 회전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볼 하우징(131)은 조립을 위해 상부 하우징(131a)과 하부 하우징(13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31a)과 하부 하우징(131b)은 나사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테이퍼 구멍(132)은 하부 하우징(131b)에 마련되며, 상부 하우징(131a)은 제1링크 몸체(111)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제1볼 나사(133)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제1볼 하우징(131)의 테이퍼 구멍(13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볼(134)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몸체(10)의 고정돌기(170)에 고정되는 수나사(135)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볼 나사(133)의 수나사(135)를 고정돌기(170)의 암나사(171)에 결합하면, 제1링크(110)가 몸체(10)에 고정되게 된다.
제2볼 조인트(140)는 제2링크 몸체(120)의 타단, 즉 제2연결 고리(125)와 반대쪽에 설치된다. 제2볼 조인트(140)는 제1볼 조인트(13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2볼 조인트(140)는 제2볼 하우징(141)과 제2볼 나사(143)로 구성된다.
제2볼 하우징(141)은 제2링크 몸체(121)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2볼 하우징(141)의 일단에는 테이퍼 구멍(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퍼 구멍(142)에는 제2볼 나사(143)가 삽입되어 있다. 테이퍼 구멍(142)의 지름은 제2볼 나사(143)가 빠지지 않으면서 제2볼 나사(143)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볼 하우징(141)은 조립을 위해 상부 하우징(141a)과 하부 하우징(14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41a)과 하부 하우징(141b)은 나사 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테이퍼 구멍(142)은 하부 하우징(141b)에 마련되며, 상부 하우징(141a)은 제2링크 몸체(121)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제2볼 나사(143)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제2볼 하우징(141)의 테이퍼 구멍(14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볼(144)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홀더(160)에 고정되는 수나사(145)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2볼 나사(143)의 수나사(145)를 홀더(160)의 암나사(161)에 결합하면, 홀더(160)가 제2링크(120)에 고정되게 된다.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고정유닛(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고정유닛(150)은 제1고정 부시(151), 제2고정 부시(152), 샤프트(153), 및 노브(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부시(151)는 제1링크(110)의 제1연결 고리(115)에 삽입되어 제1연결 고리(11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제1링크 로드(113)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151a)이 마련된다. 또한, 제1고정 부시(151)의 중앙에는 샤프트(153)가 삽입되는 고정 구멍이 마련된다.
제2고정 부시(152)는 제2링크(120)의 제2연결 고리(125)에 삽입되어 제2연결 고리(12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면에는 제2링크 로드(123)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152a)이 마련된다. 또한, 제2고정 부시(152)의 중앙에는 샤프트(153)가 삽입되는 고정 구멍이 마련된다.
샤프트(153)는 제1고정 부시(151)와 제2고정 부시(152) 각각의 고정 구멍에 삽입되어 제1고정 부시(151)와 제2고정 부시(152)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다. 샤프트(153)는 제1고정 부시(151)와 제2고정 부시(152)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샤프트(153)가 회전하면, 제1고정 부시(151)와 제2고정 부시(152)도 샤프트(153)와 일체로 회전한다. 샤프트(153)의 일단에는 노브(155)가 결합되는 수나사(153a)가 마련된다.
노브(155)는 샤프트(153)의 나사부(153a)에 나사 체결된다. 이를 위해 노브(155)의 하단에는 샤프트(153)의 나사부(153a)에 결합되는 암나사부(155a)가 마련된다. 노브(155)는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를 죄거나 푸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노브(155)의 암나사와 샤프트(153)의 수나사(153a)가 조이는 방향으로 노브(155)를 회전시키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서로 상대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위치 관계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노브(155)의 암나사(155a)와 샤프트(153)의 수나사(153a)가 풀리는 방향으로 노브(155)를 회전시키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서로 상대방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풀 수 있다. 즉, 노브(155)와 샤프트(153)가 풀리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노브(155)와 샤프트(153)를 조이는 경우에는 제1링크 로드(113)와 제2링크 로드(123)에 의해 제1볼 조인트(130)의 제1볼 나사(133)와 제2볼 조인트(140)의 제2볼 나사(143)도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 각각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유닛(150)이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를 고정시키면, 제1볼 조인트(130)와 제2볼 조인트(140)도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 각각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다관절부재(100)는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다관절부재(100)는 3개의 관절을 포함한다. 즉, 제1링크(110)와 제1볼 조인트(130)가 연결되는 부분이 제1관절에 해당하고,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연결되는 부분이 제2관절에 해당하며, 제2링크(120)와 제2볼 조인트(140)가 연결되는 부분이 제3관절에 해당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를 갖는 다관절부재(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의 (a)는 다관절부재의 고정유닛에 의해 링크와 볼 조인트가 풀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다관절부재의 고정유닛에 의해 링크와 볼 조인트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150)의 노브(155)와 샤프트(153)가 조임 상태일 경우에는,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가 고정된다. 즉,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는 상대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에 힘을 가하여도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의 연결 각도를 조정할 수 없다. 이때, 고정유닛(150)의 제1고정 부시(151)의 외면은 제1링크 로드(113)의 일단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제1링크 로드(113)는 제1볼 조인트(130) 쪽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 로드(113)의 타단이 제1볼 나사(133)의 볼(134)을 제1볼 하우징(131)의 외부로 밀게 된다. 그러면, 제1볼 나사(133)의 볼(134)은 제1링크 로드(113)의 타단에 의해 제1볼 하우징(131)의 테이퍼 구멍(132)에 꽉 낀 상태가 되어 제1볼 나사(133)가 제1볼 하우징(131)에 대해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1볼 조인트(133)도 제1링크(110)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의 (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링크(120)의 일단에 설치된 제2볼 조인트(140)의 제2볼 나사(143)도 제2링크 로드(123)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유닛(150)의 노브(155)를 죄면, 제1링크(110), 제2링크(120), 제1볼 조인트(130), 및 제2볼 조인트(140)가 고정된 상태가 되어, 제2링크(120)의 일단에 고정된 홀더(160)에 치료장치를 장착한 경우에도 치료장치의 중량에 의해 다관절부재(100)가 변형되지 않는다.
다관절부재(100)의 자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고정유닛(150)의 노브(155)를 푼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55)를 풀면, 제1링크(110)의 제1연결 고리(115)와 제2링크(120)의 제2연결 고리(125)가 서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링크(110)와 제2링크(120) 사이의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링크(110)의 제1링크 로드(113)의 일단은 고정유닛(150)의 제1고정 부시(151)의 외면에 마련된 홈(151a)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링크 로드(113)는 제1링크 몸체(111)의 내부에서 고정유닛(15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링크 로드(113)가 제1볼 조인트(130)의 제1볼 나사(133)에 인가하던 힘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볼 나사(133)는 제1링크(110)의 일단에 결합된 제1볼 하우징(13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10)의 고정 돌기(170)에 대해 제1링크(110)의 자세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노브(155)를 풀면, 제2링크(120)의 일단에 설치된 제2볼 조인트(140)의 제2볼 나사(143)도 제2링크 로드(123)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므로, 제2볼 나사(143)는 제2링크(120)의 일단에 결합된 제2볼 하우징(14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볼 나사(143)에 결합된 홀더(160)에 고정된 치료장치의 자세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다관절부재(100)를 이용하여 몸체(10)에 대해 치료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였으면, 사용자는 다관절부재(100)의 고정유닛(110)을 죈다. 그러면, 다관절부재(100)의 제1링크(110), 제2링크(120), 제1볼 조인트(130), 및 제2볼 조인트(140)가 고정되어 치료장치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다관절부재로 치료장치를 지지하므로, 치료장치의 위치나 자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는 다관절부재를 이용하여 치료장치를 견고하게 지지 및 고정하고 있으므로, 주름관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와 달리 치료장치의 중량에 의해 다관절부재의 자세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한 개의 노브로 3개의 관절을 동시에 고정하는 다관절부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관절부재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각 관절부에 인접한 2개의 링크를 고정하거나 풀 수 있는 체결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관절부재가 3개의 관절을 갖는 경우, 체결부재도 3개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10; 몸체
20; 베이스부 21; 개구
30; 전면부 31; 상부
35; 하부 40; 구동유닛
100; 다관절부재 110; 제1링크
111; 제1링크 몸체 113; 제1링크 로드
115; 제1연결 고리 120; 제2링크
121; 제2링크 몸체 123; 제2링크 로드
125; 제2연결 고리 130; 제1볼 조인트
131; 제1볼 하우징 132; 테이퍼 구멍
133; 제1볼 나사 140; 제2볼 조인트
141; 제2볼 하우징 142; 테이퍼 구멍
143; 제2볼 나사 150; 고정유닛
151; 제1고정 부시 152; 제2고정 부시
153; 샤프트 155; 노브
160; 홀더 170; 고정돌기
200; 주름관

Claims (6)

  1. 복수의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진료장치를 각각 고정하고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관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다관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관절이 고정되거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은,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마련된 제1볼 조인트; 및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마련된 제2볼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을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고정시키면, 상기 제1볼 조인트와 제2볼 조인트도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가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각각의 선단에는 상기 진료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면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다관절부재 일측으로 적어도 한 개의 주름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KR1020160084139A 2016-07-04 2016-07-04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KR10165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39A KR101653526B1 (ko) 2016-07-04 2016-07-04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39A KR101653526B1 (ko) 2016-07-04 2016-07-04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526B1 true KR101653526B1 (ko) 2016-09-01

Family

ID=5694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39A KR101653526B1 (ko) 2016-07-04 2016-07-04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42B1 (ko) 2016-12-23 2017-07-25 곽호정 치과용 자동 석션 장치
WO2018117368A1 (ko) * 2016-12-23 2018-06-28 곽호정 의료용 석션 장치 및 치과용 석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314U (ja) * 1983-11-28 1985-06-20 矢口建材加工株式会社 床構造材
JPH0655613U (ja) * 1992-10-28 1994-08-02 日本歯科薬品株式会社 歯科用吸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314U (ja) * 1983-11-28 1985-06-20 矢口建材加工株式会社 床構造材
JPH0655613U (ja) * 1992-10-28 1994-08-02 日本歯科薬品株式会社 歯科用吸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42B1 (ko) 2016-12-23 2017-07-25 곽호정 치과용 자동 석션 장치
WO2018117368A1 (ko) * 2016-12-23 2018-06-28 곽호정 의료용 석션 장치 및 치과용 석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1288B2 (en) Automated therapy table and method therefor
US2022017654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oskeleton attachment
US10004569B2 (en) Repositionable medical instrument support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7536734B2 (en) Birthing support apparatus
JP4736946B2 (ja) 歩行補助具
JP2018531676A (ja) 褥中患者のため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機構
KR101693795B1 (ko)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US20040082885A1 (en) Combination pro/supination and flexion therapeutic mobilization device
ES2878803T3 (es) Soporte de posición de herramienta para endoscopio
KR102469205B1 (ko) 운동 보조 장치
ES2913124T3 (es) Dispositivo robótico para la verticalización y ayuda al movimiento de sujetos con discapacidades motrices severas
KR101653526B1 (ko)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KR101907176B1 (ko) 석션 보조 장비
CN108904209A (zh) 一种可用于髋关节和膝关节手术病患进行术前体位固定的体位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JP7237174B2 (ja) 股関節または膝関節手術用脚部保持装置およびその配置方法
JPH0560932B2 (ko)
KR102433374B1 (ko) 치과용 시술보조기구
JP2010110365A (ja) 長下肢装具
KR100499346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CN106073966A (zh) 一种骨关节矫形器
KR101653525B1 (ko) 전도가 방지되는 치과용 진료 보조장치
EP2008631B1 (en) Supporting device for dental instruments
JP2017029335A (ja) エルボークラッチ
JP2005087419A (ja) 流体圧マッサージ器を装着した手術台
CN109498318A (zh) 硬膜外麻醉体位摆放辅助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