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053B1 -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053B1
KR102469053B1 KR1020210014505A KR20210014505A KR102469053B1 KR 102469053 B1 KR102469053 B1 KR 102469053B1 KR 1020210014505 A KR1020210014505 A KR 1020210014505A KR 20210014505 A KR20210014505 A KR 20210014505A KR 102469053 B1 KR102469053 B1 KR 102469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nit
heterogeneous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360A (ko
Inventor
마병인
Original Assignee
(주)미디어에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디어에버 filed Critical (주)미디어에버
Priority to KR102021001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021/6463Op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6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는, 정원경의 일부와 타원경의 일부가 상호 결합되는 이종챔버를 지지하는 챔버 케이싱; 상기 챔버케이싱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공기 중 에어로졸 입자가 샘플링되어 포집되는 스트랩필터(strap filter)와, 상기 스트랩필터에 특정 항체를 노출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이종챔버로 출입시키는 포집에어 샘플러; 상기 챔버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종챔버에 입력광원을 송출하는 UV 광원부; 및 상기 이종챔버로부터 사출되는 형광(Fluorescence Light)을 검출하는 형광 수광부A 및 형광 수광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는, 액상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를 포집하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수회 이상 샘플링하여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 파장을 수광하여 신속, 정확한 종판별을 할 수 있고 1회성이 아닌 연속적인 판별이 가능하여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APPARATUS FOR IDENTIFYING SPECIES OF MICROBE IN REAL-TIME}
본 발명은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중 에어를 포집하고 특정 항체를 노출시켜 형광 광검출하여 종 판별이 편리하고 적어도 수회 이상에 걸쳐 연속적인 종 판별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는 종 판별 및 연속적이고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거의 해를 걸러 신종 전염병이 창궐하고 있다. 예컨대, 구제역, 아프리카 돼지열병,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동종간 감염병과, 감기바이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중동호흡기증후군 등의 이종간 감염병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관련 질병이 대표적이다.
특히, 2019년 중국에서 발병하여 전세계적으로 재앙 수준이 되고 있는 코비드(Covid 19) 사태는 현재 진행형이면서 전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들 바이러스, 미생물에 대한 신속하고 빠른 진단, 정확한 판별 기술이 매우 절실하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피검사자의 상, 하기도로부터 표본을 얻거나, 객담 또는 기관지의 타액을 채취하고, 이를 PCR 기법(중합효소연쇄반응 또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등)으로 감도를 높여 바이러스를 검출 및 판별하는 기법이 있다. 또는 신속항원 진단법은, 검체판에 특정 미생물에 대응되는 항체를 마련하고, 액상의 항원이 투입되면 항원항체 반응 여부를 확인하여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전술한 진단법 모두 피검사자의 타액을 샘플링하고 이를 액상으로 시편화하는 전처리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액상으로 샘플링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에 오염되어 결과가 부정확, 불편할 수 있고 진단 과정이 1회성이고 단속적으로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8094호에서, 형광 광검출 기법을 이용하여 신속, 정밀하게 공기 중의 미생물을 검출하는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이 기술은 공기 중 샘플링된 에어에 미생물에 광원을 조사하여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을 검출하여 실시간으로 대기 상태 및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미생물을 진단, 판별하는 방법으로 피검사자의 타액을 샘플링하는 방식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 중 바이러스를 포집하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수회 이상 연속적인 샘플링을 수행하여 형광 광검출 기법을 통한 특정 미생물의 종 판별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액상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를 포집하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수회 이상 샘플링하여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 파장을 수광하여 신속, 정확한 종판별을 할 수 있고 1회성이 아닌 연속적인 판별이 가능하여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는, 정원경의 일부와 타원경의 일부가 상호 결합되는 이종챔버를 지지하는 챔버 케이싱; 상기 챔버케이싱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공기 중 에어로졸 입자가 샘플링되어 포집되는 스트랩필터(strap filter)와, 상기 스트랩필터에 특정 항체를 노출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이종챔버로 출입시키는 포집에어 샘플러; 상기 챔버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종챔버에 입력광원을 송출하는 UV 광원부; 및 상기 이종챔버로부터 사출되는 형광(Fluorescence Light)을 검출하는 형광 수광부A 및 형광 수광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 수광부A는 상기 원형검체 내의 미생물의 총량을 검출하고, 상기 형광 수광부B는 상기 항원검체의 특정 파장 대역의 밀집도(density)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형광 수광부A와 형광 수광부B 사이에 마련되어 파장 대역의 밀집도에 따라 형광 파장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수광 블록; 및 상기 이종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UV 광원부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회수 덤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에어 샘플러는, 상기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블로잉부; 상기 스트랩필터가 권취된 공급롤을 권취 해제하여 상기 에어블로잉부로 상기 스트랩필터를 공급하고 타측의 회수롤로 회수하는 필터권취롤부; 및 특정 항체가 수용되어 상기 스트랩필터로 분무하는 항체스프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에어 샘플러는, 상기 에어블로잉부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트랩필터를 부분 로딩하여 가이드하는 필터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홀더는 상기 스트랩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 하면에 배치되는 한쌍이며, 상기 필터홀더 판면에는, 상기 에어블로잉부가 블로잉하는 에어가 관통되는 포집용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 동시에 적어도 수회 샘플링되도록, 상기 에어블로잉부 및 상기 항체스프레이부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원경의 중심은 상기 타원경의 제1 초점일 수 있다.
상기 UV 광원부의 입력광원은 UV 광원이며, 상기 입력광원의 파장 대역은 275 nm ~ 405 n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는, 액상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를 포집하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수회 이상 샘플링하여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 파장을 수광하여 신속, 정확한 종판별을 할 수 있고 1회성이 아닌 연속적인 판별이 가능하여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서 이종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에어블로잉부를 통해 포집된 에어로졸 입자가 스트랩필터에 포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는 도 1에서 이종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의 에어블로잉부를 통해 포집된 에어로졸 입자가 스트랩필터에 포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정원경(102)의 일부와 타원경(101)의 일부가 상호 결합되는 이종챔버(100)를 지지하는 챔버 케이싱(110); 상기 챔버케이싱(110)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공기 중 에어로졸 입자가 샘플링되어 포집되는 스트랩필터(213)(strap filter)와, 상기 스트랩필터(213)에 특정 항체를 노출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이종챔버(100)로 출입시키는 포집에어 샘플러(200); 상기 챔버 케이싱(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종챔버(100)에 입력광원을 송출하는 UV 광원부(300); 상기 이종챔버(100)로부터 사출되는 형광(Fluorescence Light)을 검출하는 형광 수광부A(500) 및 형광 수광부B(510); 상기 형광 수광부A(500)와 형광 수광부B(510) 사이에 마련되어 파장 대역의 밀집도에 따라 형광 파장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420)를 포함하는 수광 블록(400); 및 상기 이종챔버(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UV 광원부(300)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회수 덤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는 도 1 내지 도 2,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트랩필터(213)가 부분 수용되는 이종챔버(100), 이종챔버(100)로 입력광원을 조사하는 UV 광원부(300), 타액에 굴절 및 반사된 형광을 검출하는 형광 수광부A(500) 및 형광 수광부B(510)를 포함하는 형광검출부와, 에어로부터 에어로졸 입자를 포집 및 항원항체 반응하여 형광검출부로 공급하는 전처리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종챔버(100)는 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케이싱(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종챔버(100)는 주로 도 3을 참조하면, 정원경(102)의 일부와 타원경(101)의 일부가 상호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종챔버(100)의 우측 부분은 2개의 초점(F1, F2)을 가지는 타원인 타원경(101)으로 마련될 수 있어, UV 광원부(300)로부터 입사된 입력광원이 실질적으로 타원경(101)의 제1초점(F1)으로 수렴될 수 있다.
그리고, 이종챔버(100)의 좌측 부분은 원 형상인 정원경(102)으로 마련되며, 타원경(101)과 정원경(102)이 상호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원경(102)의 중심은 상기 타원경(101)의 제1 초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광원이 조사되고, 충돌한 입력광원은 산란하여 굴절되며 산란, 굴절된 광원은 정원경(102)에 의해 다시 타원경(101)으로 집광되고 정원경(102)의 개구를 통해 상기 타원경(101)의 제2초점(F2)을 향하여 이종챔버(100)의 제1 광출사구(104)로 사출될 수 있다.
챔버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UV 광원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V 광원부(300)는 상기 이종챔버(100)에 입력광원을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UV 광원부(300)의 입력광원은 UV 광원이며, LED 또는 LD 소자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광원의 파장 대역은 275 nm ~ 405 n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65㎚의 UV 영역의 광을 방출하여 비생물(inanimate object)의 형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UV 광원부(300)에는 제1 입사렌즈(310) 및 제2 입사렌즈(320)가 각각 마련되어 이종챔버(100) 내로 조사되는 입력광원을 이종챔버(100)의 제1 초점(F1)으로 집광될 수 있게 한다.
한편, 기존의 진단법은 모두 피검사자의 타액을 추출하고 이를 액상으로 시편화, 이른바 샘플링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샘플링하는 과정에서 오염되어 테스트가 부정확, 불편할 수 있고 진단 과정 자체가 1회성으로 단속적인 판별 작업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대기 중 에어로부터 에어로졸 입자를 포집하고 동시에 적어도 여러번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전치리 구성으로서 포집에어 샘플러(200)가 개시된다.
상기 포집에어 샘플러(200)는 주로 도 1 내지 도 2,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블로잉부(220); 상기 스트랩필터(213)가 권취된 공급롤(211)을 권취 해제하여 상기 에어블로잉부(220)로 상기 스트랩필터(213)를 공급하고 타측의 회수롤(212)로 회수하는 필터권취롤부(210); 특정 항체가 수용되어 상기 스트랩필터(213)로 분무하는 항체스프레이부(240); 및 상기 에어블로잉부(22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트랩필터(213)를 부분 로딩하여 가이드하는 필터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블로잉부(220)는 대기 중의 에어를 흡입하여 공기 중 에어로졸 입자를 스트랩필터(213)에 포집시키는 부분이다. 에어블로잉부(220)에는 스트랩필터(213)를 사이에 두고 상, 하면에 에어인렛노즐(221)과 에어아웃렛노즐(222)이 각각 마련되어 에어의 입출입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에어인렛노즐(221)과 에어아웃렛노즐(222)은 필터홀더(23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홀더(230)는 상기 스트랩필터(213)를 사이에 두고 상, 하면에 배치되는 한쌍이며, 상기 필터홀더(230) 판면에는, 상기 에어블로잉부(220)가 블로잉하는 에어가 관통되는 포집용 관통홀(231)이 형성되며, 포집용 관통홀(231)에 에어인렛노즐(221)과 에어아웃렛노즐(222)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에어로부터 포집된 에어로졸 입자 즉, 미생물의 포집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a1의 경우 포집되지 않은 상태, a2의 경우 고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 a3의 경우 저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필터권취롤부(210)는 에어블로잉부(220)로 스트랩필터(213)를 공급 및 회수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권취롤부(210)는 에어블로잉부(2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공급롤(211)과, 타측에 마련되는 회수롤(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롤(211)에는 상기 스트랩필터(213)가 권취되어 있으며, 스트랩필터(213)는 공급롤(211) 또는 회수롤(212)에 권취되어 있는 양이 고려되어 적어도 수미터 내지는 수십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랩필터(213)의 스펙으로 폭은 5 mm, 두께는 0.5 mm, 길이는 5 m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길이 스펙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공급롤(211)은 스트랩필터(213)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공급롤(211)에서 스트랩필터(213)가 권취 해제하여 에어블로잉부(220)로 공급될 수 있다. 에어블로잉부(220)에서 포집된 에어를 포함된 스트랩필터(213)는 형광검출부를 거쳐 판별 작업이 수행되고 이후 타측의 회수롤(212)로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롤(211) 및 회수롤(212)에는 모터 드라이브(도 4 참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모터 드라이브는 정밀하게 회동 제어되는 스텝핑 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권취롤부(210)는 공급롤(211), 회수롤(212) 및 스트랩필터(213)가 한 세트로 모듈화되어 있어 스트랩필터(213)의 수명이 다한 경우 등에 모듈 구성을 쉽게 탈착할 수 있게 마련되어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항체스프레이부(240)는 스트랩필터(213)에 항체를 분무하는 부분으로서, 스트랩필터(213)에 포집된 에어로졸 입자에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항체스프레이부(240) 내의 항체는 판별 대상이 되는 특정 항원에 대응되는 특정 항체(예컨대,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항체)일 수 있으며, 특정 항체뿐만 아니라 항원항체 반응 시 형광 반응이 발생되도록, 특정 항체에는 형광을 발하는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입자에 특정 항체가 분무되어 항원항체 반응 시 형광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스프레이부(24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항체의 보관에 용이하도록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온도유지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일의 상기 에어블로잉부(220) 및 상기 항체스프레이부(240)의 구성과 달리, 상기 에어블로잉부(220) 및 상기 항체스프레이부(240)가 도 6에서처럼 복수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도 7의 (b)에서와 같이, 한번의 샘플링 작업으로 상기 에어 중 에어로졸 입자가 동시에 수회 샘플링될 수 있으며, 예컨대 b1의 경우 포집되지 않은 상태, b2의 경우 고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 b3의 경우 저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가 여러번에 걸쳐 샘플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항체스프레이부(240)에는 각각 다른 종의 항체가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기 다른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왼편의 항체스프레이부(240)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대응항체, 중앙의 항체스프레이부(240-1)에는 박테리아 A 대응항체, 오른편의 항체스프레이부(240-2)에는 박테리아 대응항체 구성 등으로 각기 달리 마련될 수 있어, 포집된 에어로부터 코로나 진단, 각종 박테리아 진단 등의 복수의 종 판별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항체스프레이부(240)에 인접한 스트랩필터(213)에는 스트랩필터(213)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50)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상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를 포집하되 단일의 종 판별 또는 복수의 종 판별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1회성이 아닌 적어도 수회 이상 연속적인 샘플링을 통해 항원항체 반응이 수행되어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샘플링된 에어로졸 입자로부터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 파장을 수광하여 단파장의 입력광원에 기반되는 광검출이 가능해져 고분해능의 정밀도로 검출될 수 있다.
도 1 기준으로 볼 때 챔버 케이싱(110)의 좌측편으로 수광 블록(4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광 블록(400)은, 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수광렌즈(410) 및 상기 형광 수광부A(500)와 형광 수광부B(510) 사이에 마련되어 파장 대역의 밀집도에 따라 형광 파장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초점(F2)으로 사출된 출력광원은 제2 광출사구(103)를 거쳐 수광렌즈(410)에 의해 직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빔스플리터(420)는 상기 형광 수광부A(500)와 형광 수광부B(510) 사이에 마련되어 파장 대역의 밀집도에 따라 형광 파장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빔스플리터(420)는 입력광원의 파장과 상이하게 출력되는 출력광원 중에서 파장이 변화된 형광은 90도 변경하여 형광 수광부A(500)로 보내고, 입력광원의 파장과 상이하게 출력되는 출력광원 중에서 파장이 밀집도가 높은 특정 파장 대역은 빔스플리터(420)를 관통하여 형광 수광부B(51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형광 수광부A(500), 형광 수광부B(510) 각각은 제1집광렌즈(501) 및 제2집광렌즈(511)를 통해 전달된 광으로부터 미생물의 존재 여부와 그 양을 검출한다.
즉, 상기 형광 수광부A(500)는 형광반응의 미생물의 존재 여부와 총량을 검출하여 미생물의 대상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 수광부B(510)는 형광반응의 특정 파장 대역의 밀집도(density), 또는 기설정된 값 이상의 피크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형광 수광부A(500), 형광 수광부B(510)는 이종챔버(100) 외부로 사출된 형광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광에 대한 검출 신호를 발생하여 신호처리부(미도시)로 전송한다. 한편, 미생물에 의한 자기 형광의 경우에는 산란광에 비해 매우 미세한 신호이기 때문에, 형광 수광부A(500), 형광 수광부B(510)는 광전자증폭관(Photo Multiplier Tube, PMT)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검출되는 형광은 미생물의 존재 유무와 그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덤프부(500)는 이종챔버(100)내로 입사된 주광선 중에 제1초점을 지나지 않고 난반사, 투과된 광원을 제2 광출사구(103)로 출사시켜 회수하는 부분이다.
즉, 회수 덤프부(500)는 이종챔버(100)로 입사된 입력광원 중에 측정 샘플의 입자와 충돌하지 않은 광원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종챔버(100) 내에서 산란광 이외의 주변광이 제1광출사구(17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회수 덤프부(500)는 원뿔형 덤프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덤프부재(510)는 꼭지점이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원뿔형 부재(410)에 충돌한 광이 직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수 덤프부(500) 내벽에는 스펀지 등과 같이 광을 흡수하는 부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요철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액상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를 동시에 포집하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수회 이상 샘플링하여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 파장을 수광하여 신속, 정확한 종판별을 할 수 있고 1회성이 아닌 연속적인 판별이 가능하여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종판별 장치를 이용한 종판별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에어 포집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우선 공급롤(211)로부터 스트랩필터(213)가 권취 해제하여 에어블로잉부(22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 에어블로잉부(220)는 공기 중의 에어로졸 입자(미생물)를 스트랩필터(213)에 포집시킬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에어로부터 포집된 에어로졸 입자 즉, 미생물의 포집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a1의 경우 포집되지 않은 상태, a2의 경우 고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 a3의 경우 저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 항체스프레이부(240)에서 스트랩필터(213)에 특정 항원에 대응되는 특정 항체를 분무한다. 이에 따라 스트랩필터(213)에 포집된 에어로졸 입자에 항원항체 반응이 유도된다.
이럴 경우, 수회 연속적으로 샘플링된 에어로졸 입자에 항원항체 반응이 유도되고, 이들 복수의 반응 결과로부터 종 판별 데이터가 복수회 수행될 수 있어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블로잉부(220) 및 상기 항체스프레이부(240)가 도 6에서처럼 복수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도 7의 (b)에서와 같이, 한번의 샘플링 작업으로 상기 에어 중 에어로졸 입자가 동시에 수회 샘플링될 수 있으며, 예컨대 b1의 경우 포집되지 않은 상태, b2의 경우 고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 b3의 경우 저농도로 미생물이 포집된 상태가 여러번에 걸쳐 샘플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항체스프레이부(240)에는 각각 다른 종의 항체가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기 다른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 UV 광원부(300)를 통해 입력광원이 조사되어 형광 수광부A(500) 및 형광 수광부B(510)에서 수광되는 형광의 수광 여부 즉, 특정 미생물의 존재 유무와 그 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상기 형광 수광부A(500)는 공기 중의 미생물의 존재 여부와 총량을 검출하여 미생물의 대상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형광 수광부B(510)는 공기 중의 특정 파장 대역의 밀집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항원검체를 이용한 항원검체 판별하는 방식은 신속항원검사법과 유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형광 광검출 기법을 이용하여 수분 내로 판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액상이 아닌 피검사자에 노출된 공기를 포집하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수회 이상 샘플링하여 산란 및 굴절되는 형광 파장을 수광하여 신속, 정확한 종판별을 할 수 있고 1회성이 아닌 연속적인 판별이 가능하여 판별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종챔버 101 : 타원경
102 : 정원경 103 : 제2 광출사구
104 : 제1 광출사구 110 : 챔버 케이싱
200 : 포집에어 샘플러 210 : 필터권취롤부
211 : 공급롤 212 : 회수롤
213 : 스트랩필터
220 : 에어블로잉부 230 : 필터홀더
240 : 항체스프레이부 300 : UV 광원부
310 : 제1 입사렌즈 320 : 제2 입사렌즈
400 : 수광 블록 410 : 수광렌즈
420 : 빔스플리터 500 : 형광 수광부A
501 : 제1 집광렌즈 510 : 형광 수광부B
511 : 제2 집광렌즈 530 : 회수덤프부
540 : 덤프부재

Claims (9)

  1. 정원경의 일부와 타원경의 일부가 상호 결합되는 이종챔버를 지지하는 챔버 케이싱;
    상기 챔버케이싱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공기 중 에어로졸 입자가 샘플링되어 포집되는 스트랩필터(strap filter)와, 상기 스트랩필터에 특정 항체를 노출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이종챔버로 출입시키는 포집에어 샘플러;
    상기 챔버 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종챔버에 입력광원을 송출하는 UV 광원부; 및
    상기 이종챔버로부터 사출되는 형광(Fluorescence Light)을 검출하는 형광 수광부A 및 형광 수광부B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 수광부A는 원형검체 내의 미생물의 총량을 검출하고,
    상기 형광 수광부B는 항원검체의 특정 파장 대역의 밀집도(density)를 검출하며,
    상기 정원경의 중심은 상기 타원경의 제1 초점(F1)이며,
    상기 이종챔버 일측에는 제1 초점으로 진입되는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홀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랩필터가 입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포집에어 샘플러는,
    상기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블로잉부;
    상기 스트랩필터가 권취된 공급롤을 권취 해제하여 상기 에어블로잉부로 상기 스트랩필터를 공급하고 타측의 회수롤로 회수하는 필터권취롤부; 및
    특정 항체가 수용되어 상기 스트랩필터로 분무하는 항체스프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에어 샘플러는, 상기 에어블로잉부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트랩필터를 부분 로딩하여 가이드하는 필터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홀더는 상기 스트랩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 하면에 배치되는 한쌍이며,
    상기 필터홀더 판면에는, 상기 에어블로잉부가 블로잉하는 에어가 관통되는 포집용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수광부A와 형광 수광부B 사이에 마련되어 파장 대역의 밀집도에 따라 형광 파장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수광 블록; 및
    상기 이종챔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UV 광원부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회수 덤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 동시에 적어도 수회 샘플링되도록, 상기 에어블로잉부 및 상기 항체스프레이부가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광원부의 입력광원은 UV 광원이며,
    상기 입력광원의 파장 대역은 275 nm ~ 405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KR1020210014505A 2021-02-02 2021-02-02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KR10246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05A KR102469053B1 (ko) 2021-02-02 2021-02-02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05A KR102469053B1 (ko) 2021-02-02 2021-02-02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60A KR20220111360A (ko) 2022-08-09
KR102469053B1 true KR102469053B1 (ko) 2022-11-22

Family

ID=8284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05A KR102469053B1 (ko) 2021-02-02 2021-02-02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05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3996A (ja) 2005-10-19 2007-05-10 Funai Electric Co Ltd 測定装置
JP4048504B2 (ja) * 2005-07-26 2008-02-20 船井電機株式会社 蛍光検出装置
JP2012217382A (ja) * 2011-04-08 2012-11-12 Fuji Electric Co Ltd 微生物検出装置
KR101246661B1 (ko) 2012-06-28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대기 중의 부유입자의 실시간 형광검출장치
JP5706088B2 (ja) 2010-01-06 2015-04-22 大阪瓦斯株式会社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検知方法および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検知装置
KR101721190B1 (ko) * 2015-11-09 2017-03-30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KR101825159B1 (ko) * 2017-03-24 2018-02-06 (주)미디어에버 난반사 감소 기능이 부가된 이종의 반사경이 결합된 미세먼지 및 미생물 검출장치
KR101878094B1 (ko) 2017-02-03 2018-07-12 (주)미디어에버 이종의 반사경이 결합된 미세 먼지 및 미생물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8504B2 (ja) * 2005-07-26 2008-02-20 船井電機株式会社 蛍光検出装置
JP2007113996A (ja) 2005-10-19 2007-05-10 Funai Electric Co Ltd 測定装置
JP5706088B2 (ja) 2010-01-06 2015-04-22 大阪瓦斯株式会社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検知方法および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検知装置
JP2012217382A (ja) * 2011-04-08 2012-11-12 Fuji Electric Co Ltd 微生物検出装置
KR101246661B1 (ko) 2012-06-28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대기 중의 부유입자의 실시간 형광검출장치
KR101721190B1 (ko) * 2015-11-09 2017-03-30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KR101878094B1 (ko) 2017-02-03 2018-07-12 (주)미디어에버 이종의 반사경이 결합된 미세 먼지 및 미생물 검출 장치
KR101825159B1 (ko) * 2017-03-24 2018-02-06 (주)미디어에버 난반사 감소 기능이 부가된 이종의 반사경이 결합된 미세먼지 및 미생물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60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1625B2 (ja) 分光光度・比濁検出ユニット
US8760648B2 (en) Integrated microbial collector
US9134230B2 (en) Microbial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862253B2 (ja) 粒子の非対称性の分析装置
EP3761008B1 (en) Micro object detection apparatus
JP5990185B2 (ja) 液体試料を測光的又は分光的に検査する装置
JP2008191163A (ja) 粒子分析装置
JP2012509486A (ja) 媒体中の固体粒子を分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74435B1 (ko) 미세먼지 및 미생물 검출 장치
US4031399A (en) Fluorometer
KR102469055B1 (ko)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통합 시스템
JP4050748B2 (ja) 粒子測定装置
KR102328165B1 (ko) 유체 시료 분석을 위한 광학 검출 장치
KR102469049B1 (ko)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종판별 방법
KR102469053B1 (ko) 실시간 미생물 종판별 장치
JP2008026036A (ja) 含有物測定装置
CN112334755A (zh) 粒子检测装置
KR102065755B1 (ko) 오염인자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5389384A (zh) 基于前向粒子计数器耦合侧向光度计的颗粒物浓度检测系统及方法
US2022037347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fine dust and microorganisms
JPH1019779A (ja) 微弱蛍光測定装置
JP2000019114A (ja) 微弱蛍光検出方法および微弱蛍光検出装置
JP2005134270A (ja) 粒子状物質分析装置
JPH06213795A (ja) 浮遊粒子計測装置
JPH10115584A (ja) 蛍光フローセ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