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514B1 -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514B1
KR102468514B1 KR1020210005238A KR20210005238A KR102468514B1 KR 102468514 B1 KR102468514 B1 KR 102468514B1 KR 1020210005238 A KR1020210005238 A KR 1020210005238A KR 20210005238 A KR20210005238 A KR 20210005238A KR 102468514 B1 KR102468514 B1 KR 10246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glass
display panel
frame
displa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055A (ko
Inventor
지에 양
펑 리우
시웨이 루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프레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보호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에 합착되어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하고,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블랙 가장자리 영역만을 통해 보호 유리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장착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의 폭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2010623013.X이고 출원일자가 2020년 6월 30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기계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은 프레임(10)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중심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가장자리에 위치한 블랙 가장자리 영역(21)을 포함하며, 블랙 가장자리 영역(21)은 디스플레이 영역(22)의 외부에 둘러싸여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표시 효과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22)을 최대한 커버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 배면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21)과 프레임(10) 사이에 양면 테이프(30)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프레임(10)을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프레임(10)의 이러한 고정 방법은 블랙 가장자리 영역(21)의 폭이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더욱 적합한데, 예를 들면, 블랙 가장자리 영역(21)의 폭이 6.5 mm이거나 6.5 mm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더욱 적합하다. 블랙 가장자리 영역(21)의 폭이 비교적 작으면,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프레임(10)을 직접 접착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프레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보호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에 합착되어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하고,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측벽 사이에 제1 간극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차광층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고 프레임 표면의 일부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광층은,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연장부가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호 유리가 접착되는 위치에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 내에 상기 보호 유리를 접착하기 위한 상기 접착제가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제는 디스펜싱 공정을 통해 상기 요홈 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컴포넌트; 및
상기 백라이트 컴포넌트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백라이트 컴포넌트를 베어링하는 배면판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백라이트 컴포넌트의 출광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제2 간극이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유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접착층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은 상기 접착층을 통해 함께 합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감광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 유리의 내표면에 합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함 - ; 및
접착제를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을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를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을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 측벽 사이에 제1 간극을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고 상기 프레임 표면의 일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 유리의 내표면에 합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함 - 는,
보호 유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 사이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
접착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의 중심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 및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과 상기 보호 유리의 중심 영역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충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보호 유리를 통해 프레임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는 프레임과 접촉되지 않으며, 블랙 가장자리 영역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블랙 가장자리 영역을 통해 보호 유리와 연결될 필요가 없이, 보호 유리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착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의 폭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보호 유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착에 편리하다. 블랙 가장자리 영역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기 면적 대비 화면 비율(screen-to-body ratio)의 향상에도 도움되고, 무-프레임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 뿐만 아니라, 보호 유리의 내표면은 프레임측벽 표면에 접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 정면은 하나의 전체적인 보호 유리로 보이므로, 사용자 체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서세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분 구성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분 구성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구성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보호 유리의 구성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그 예는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련될 경우,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반해, 이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상”, “하”, “최상”, “밑”, “내”, “외”, “수직”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 모식도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주로 프레임(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보호 유리(13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보호 유리(130) 내표면에 합착되어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며,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초과하고,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는 접착제(160)를 통해 프레임(110)의 측벽 표면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보호 유리(130)를 통해 프레임(110)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 자체는 프레임(110)과 접촉되지 않으며,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을 통해 보호 유리(130)와 연결될 필요가 없이, 보호 유리(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초과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장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착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보호 유리(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장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착에 편리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이 0.9 mm이더라도, 심지어 폭이 0.9 mm보다 작더라도, 장착에 편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이 0.9 mm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도 적합한데, 예를 들면,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이 6.5 mm인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도 적합하다.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기 면적 대비 화면 비율의 향상에도 도움된다.
이 뿐만 아니라, 보호 유리(130)는 프레임(110)의 측벽 표면에 장착되고, 프레임(110)의 측벽은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외부를 향해 약간 돌출된 돌출 부분(112) 이외에, 거의 전체가 보호 유리(130) 하측에 위치하고,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은 프레임(110) 측벽 표면에 접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 정면은 하나의 전체적인 보호 유리(130)로 보이므로, 실제 응용에서, 프레임(110)이 거의 보이지 않는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받을 경우, 프레임(110)의 돌출 부분(112)이 제일 먼저 힘을 받으므로, 프레임(110)의 돌출 부분(112)은 보호 유리(130)에 대한 보호를 강화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상기 개구 내에 장착된다.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커버되고, 보호 유리(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초과하는 가장자리 영역(132)은 접착제(160)를 통해 프레임(110)의 측벽 표면과 접착되며; 여기서, 중심 영역(131)은 가장자리 영역(132)의 내측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의해 표시된 화면은 보호 유리(130)를 통해 관찰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표시 효과에 영향주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사이즈와 보호 유리(130)의 사이즈를 설계할 경우, 표시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표시 효과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121)을 최대한 커버하지 않도록,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면적보다 작지 않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폭을 W1로 표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에서의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의 폭을 W2로 표시하면, W1 ≤W2이다. 제2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폭을 L1로 표시하고, 제2 방향에서의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을 L2로 표시하면, L1 ≤ L2이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완전히 보여질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보호 유리(130)는 강화 유리이고, 구체적으로 초백 강화 유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초백 강화 유리의 투명도가 높으므로, 화질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110)과 같은 금속 프레임(110)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 프레임(110)은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도 및 방열 효과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프레임(110) 측벽 사이에 제1 간극이 구비되고,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차광층(132)이 구비되어, 제1 간극을 커버하고 프레임(110) 표면의 일부분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110) 측벽 사이의 간격 W9을 의미하고, 제1 간극은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에 대응된다.
제1 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피 팽창에 적응하기 위해, 선택 가능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 가장자리와 프레임(110) 측벽 사이의 간격 W9 = 0.5 ~ 1.2 mm이고, 구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간격을 0.6 mm, 0.7 mm, 0.9 m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호 유리(130)는 프레임(110) 표면의 일부분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제1 간극도 커버하므로, 보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110)을 감소시킴으로써, 프레임(110)의 존재감을 더욱 약화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2와 도 1의 무-프레임(110) 효과를 비교하되, 여기서, 도 1과 도 2에서 가장 우측의 점선은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과 디스플레이 영역(121) 사이의 경계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제1 방향을 따른 폭 W4 = 0.9 mm이고, 프레임(110)이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외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 부분(112)의 폭 W5는 0.4 mm이며, 디스플레이 모듈 외측으로부터 관찰할 경우, 차광층(132)은 디스플레이 바운드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고, 보이는 프레임(110)은 돌출 부분(112)의 폭 W5 = 0.4 mm일 뿐이므로, 프레임(110)의 존재감을 약화시킬 수 있다. 제1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표시하지 못하는 디스플레이 바운드의 폭 W8은 돌출 부분(112)의 폭 W5,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이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폭 W7, 제1 간극의 폭 W9 및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 W4의 합인데, 즉 W8 = W5 + W7 + W9 + W4 = 3.6 mm이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으로만 유-프레임(110)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도 1에서, 제1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프레임(110)의 측벽은 거의 모두 외부에 노출되고, 노출되는 부분의 폭 D1은 1.0 mm이며,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 D2는 6.5 mm이고,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프레임(110) 측벽 사이의 제1 간극도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간극의 폭 D3 = 0.9 mm이고, 디스플레이 바운드 D4 = D1 + D2 + D3 = 8.4 mm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W8 = 3.6 mm보다 훨씬 크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바운드는 더 좁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무-프레임(110) 효과는 더욱 우수하다.
차광층(132)은 보호 유리(130) 일측으로부터 보이는 프레임(110) 및 프레임(110) 내부 구조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백라이트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있어서, 차광층(132)은 광선이 프레임(110) 내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도 있다. 차광층(132)이 위치한 가장자리 영역(132)은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의 외부에 둘러싸여 설치되고,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은 투광되므로, 중심 영역(131)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영상을 볼 수 있다.
보호 유리(1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 부재를 구성하므로, 비교적 높은 기기 면적 대비 화면 비율을 획득하고, 무-프레임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의 사이즈는 프레임(110)과 장착하는데 필요한 사이즈를 만족시키고, 제1 간극을 커버하기만 하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의 사이즈는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의 제1 방향을 따른 폭 W6, 및 제2 방향을 따른 길이를 포함한다.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이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폭 W7 = 1.2 ~ 3.0 mm이고, W6은 W7보다 크다. W7은 구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1.5 mm, 1.7 mm, 2.2 mm, 3.0 mm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차광층(132)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 사이에는 틈이 없는데, 틈이 없으므로 프레임(110) 내의 구조가 보호 유리(130)를 통해 관찰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고, 프레임(110) 내 광선이 누출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도 있다. 차광층(132)은 마침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과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차광층(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과 중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3 방향을 따른 투영에서, 차광층(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과 엇갈리게 설치되거나, 또는 중첩되게 설치된다. 도 2는 제3 방향을 따른 투영에서 차광층(132)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이 중첩되게 설치됨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차광층(132)은,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형성된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포함한다.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층은 검은색이다. 구체적으로, 검은색 인쇄 잉크 또는 페인트를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인쇄할 수 있고, 인쇄 잉크 또는 페인트가 건조된 후,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크스크린 인쇄층은 프레임(110) 내부 구조를 커버할 수 있고, 차광 작용을 가진다.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형성하는 이외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방식으로 차광층(1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광층(132)은, 코팅 방법으로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차광층(132)은,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부착된 차광 필름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광 필름을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접착한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의 표면과 보호 유리(130) 내표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도록, 프레임(110)의 측벽에 연장부(113)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측벽은 굴곡된 구조이고, 연장부(113)는 둘러싸게 설치되어 프레임(110)의 개구를 형성하며, 연장부(113)는 프레임(110)과 보호 유리(130) 내표면 장착의 접촉면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프레임(110)과 보호 유리(130)의 고정 효과의 향상에 도움된다. 또한, 연장부(113)는 프레임(110)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보호 유리(130) 장착 시, 차광층(132)은 연장부(113)를 커버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좁은 프레임(110) 효과에 영향주지 않는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프레임(110)과 보호 유리(130)가 접착되는 위치에 요홈(111)이 구비되고; 요홈(111) 내에 보호 유리(13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160)가 구비된다.
요홈(111) 내의 접착제(160)는 아크릴산 폴리머 접착제 또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착제(160)는 디스펜싱 공정을 통해 요홈(111) 내에 설치된다.
비제한적으로, 디스펜싱 기기를 이용하여 접착제(160)를 요홈(111) 내에 드립핑(dripping) 또는 코팅한 다음, 보호 유리(130)를 프레임(110)에 안착하고, 접착제(160)가 경화된 후, 보호 유리(130)를 프레임(110)에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110)이 충분히 큰 개구를 가지도록 확보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110)과 보호 유리(130)가 대향되는 도킹면 면적이 비교적 작으므로, 디스펜싱 시 디스펜싱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점도가 비교적 작고 유동성이 비교적 우수한 접착제에 있어서, 요홈(111)의 설치는 접착제(160)가 요홈(111)의 설치 영역을 따라 유동하도록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영역에 대한 접착제(160)의 오염을 감소시킨다. 이 밖에, 요홈(111)을 설치하지 않고 접착제(160)를 직접 프레임(110)과 보호 유리(130)가 대향되는 도킹면에 코팅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120) 배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컴포넌트(150)를 더 포함하고;
배면판(140)은 백라이트 컴포넌트(150)의 배면에 위치하며 프레임(110) 내에 장착되고, 백라이트 컴포넌트(150)를 베어링한다.
비제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컴포넌트(150)는 광원을 포함하는 이외에, 아래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반사판(151), 도광판(152), 휘도 강화 필름(153)(프리즘 필름라고도 함), 확산편(154) 등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은 측광식 또는 직사식일 수 있다. 휴대폰, 노트북과 감시기는 주로 측광식 백라이트 모듈을 사용하지만, 액정 TV는 대부분 직사식 광원을 사용한다. 광원은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Fluorescent Lamp, CCFL) 및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판(151)(Reflector Sheet)은 반사갓으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이의 주요 작용은 광원에 의해 발사된 광선을 완전히 도광판(152)에 이송시켜 무익한 소모를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광판(152)(Light Guide Plate)의 주요 작용은 측면 광원에 의해 발사된 광선을 패널의 정면에 가이드하는 것이다. 프리즘 필름(Prism Film)은 휘도 강화 필름(153)(Brightness Enhancement Film)으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이의 주요 작용은 각 산란 광선을 해당 필름층을 통해 굴절 및 전반사시키고 일정한 각도로 집중시킨 다음 백라이트로부터 발사시켜 스크린 휘도 강화된 표시 효과를 일으키는 것이다. 측광식 백라이트 컴포넌트(150)에 있어서, 확산편(154)(Diffuser)의 주요 작용은 백라이트식 광선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보정하여 광학 확산 효과에 도달하는 것이다. 백라이트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영상에 충족한 휘도, 및 분포가 균일한 광선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배면판(140)은 철 플라스틱판 또는 알루미늄 플라스틱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평면 스크린 또는 곡면 스크린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곡면 스크린일 경우, 보호 유리(130)도 대응되게 곡면으로 제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TV, 태블릿 PC, 휴대폰, 및 노트북, 데스크톱 컴퓨터의 모니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컴포넌트(150)의 출광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배면 사이에 제2 간극 H1이 구비된다.
제2 간극 H1은 백라이트 컴포넌트(150)가 열을 받아 수직 방향을 따라 팽창하도록 공간을 남겨둘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적으로 사용되도록 확보한다.
또한, 백라이트 컴포넌트(150)의 가장자리와 프레임(110) 측벽 사이에 제3 간극이 더 구비되고, 제3 간극은 백라이트 컴포넌트(150)가 열을 받아 도 2에 도시된 제1 방향을 따라 팽창하도록 공간을 남겨둘 수 있다. 제3 간극은 도광판(152)과 프레임(110) 사이의 간극 H2를 포함하고, 비제한적으로, H2 = 1.2 ~ 2.5 mm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H2를 1.2 mm, 1.5 mm, 1.6 mm, 1.8 mm, 2.5 mm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수동 발광식 디스플레이 패널(120), 즉 액정 패널(OC, Open Cell)인데, 수동 발광식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액정 패널이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으므로 백라이트 컴포넌트(150) 중의 광원을 통해 광선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발광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능동 발광식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는데, 능동 발광 모드는, OLED(Organic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 기술의 발광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즉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OLED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모두 제어를 받아 3가지 상이한 컬러의 광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백라이트 컴포넌트(150)를 설치할 필요없고, 광원이 필요없이 발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 접착층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보호 유리(130) 내표면은 접착층을 통해 함께 합착된다.
또한,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에 접착층이 충진되고, 접착층의 가장자리는 차광층(132)에 위치하며, 접착층은 보호 유리(130)의 중심으로부터 차광층(132)까지 확장되는데, 즉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풀 합착(full lamination)된다. 풀 합착은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틈이 없이 완전히 함께 접착되도록 확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보호 유리(130) 사이의 공기를 억제하며, 광선 반사를 감소시키고, 투과 광선의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고, 표시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양면 테이프로 고정된 것에 비해 더욱 우수한 수율을 가진다.
풀 합착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 합착, 즉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를 네 변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접착층은 "□"자형이다. 이 밖에, 용접과 같은 다른 방식을 통해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합착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면 사이의 접착층은 투명 접착층이다. 투명 접착층은 광선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화질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착층은 감광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감광성 접착제는 아크릴산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접착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접착제는 투광성이 우수하며,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면 사이의 접착제는 자외선 조사 방식을 통해 경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일 구체적인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TV를 예로 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은 0.9 mm이므로, 직접 디스펜싱 방법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프레임(110)과 직접 조립할 수 없다. 강화 보호 유리(130)와 액정 패널의 풀 합착을 통해 조립 공간을 증가시킨다. 다음, 정확한 디스펜싱 방식을 통해 강화 보호 유리(130)를 프레임(110)에 고정시킨다. TV의 정면은 하나의 전체적인 강화 보호 유리(130)로 보이므로, 프레임(110)의 존재감을 약화시킨다. 동시에, 강화 보호 유리(130)에 실크스크린 인쇄을 수행하여 내부 구조를 커버한다. 강화 유리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의 풀 합착은 UV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두께는 0.1 mm밖에 안되고, 강화 유리는 초백 광학 유리를 사용하므로, 화질에 영향주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간극 W9 = 0.6 mm이고, 프레임(110)이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외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 부분(112)의 폭 W5 = 0.4 mm이며,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이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폭 W7 = 1.7 mm이고,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 W4 = 0.9 mm이며, 디스플레이 바운드의 폭 W8 = W5 + W7 + W9 + W4 = 0.4 + 1.7 + 0.6 + 0.9 = 3.6 mm이다. 일반 구조에 비해, 극히 좁은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사용함으로써, 기기 면적 대비 화면 비율이 더욱 높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방법은 주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에 합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S101 -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초과함 - ; 및
접착제를 통해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을 프레임(110)의 측벽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 S10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유리(130)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중심 영역(131)에 커버하여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고정시킨 다음, 보호 유리(130)의 가장자리 영역(132)과 프레임(110)을 접착하여 고정시키되,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프레임(110)의 개구 내에 장착된다.
보호 유리(130)는 프레임(110)의 측벽 표면에 장착되고, 프레임(110)의 측벽은 거의 전체가 보호 유리(130) 하측에 위치하며,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은 프레임(110) 측벽 표면에 접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 정면은 하나의 전체적인 보호 유리(130)로 보이므로, 실제 응용에서, 프레임(110)이 거의 보이지 않는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보호 유리(130)를 통해 프레임(110)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 자체는 프레임(110)과 접촉되지 않으며,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을 통해 보호 유리(130)와 연결되지 않아도 되고, 보호 유리(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초과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장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착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의 폭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보호 유리(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장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착에 편리하다.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기 면적 대비 화면 비율의 향상에도 도움된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은,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차광층(132)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를 통해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을 프레임(110)의 측벽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프레임(110) 측벽 사이에 제1 간극을 남겨두는 단계를 포함하며, 차광층(132)은 제1 간극을 커버하고 프레임(110) 표면의 일부분 및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일부분을 커버한다.
선택 가능하게, 차광층(132)을 형성하는 단계는 단계 S101 전에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101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차광층(132)은 마침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는데, 즉, 차광층(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과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차광층(132)은 마침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가장자리와 중첩될 수 있는데, 즉, 차광층(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블랙 가장자리 영역(122)과 중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프레임(110) 내의 구조가 보호 유리(130)를 통해 관찰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고, 프레임(110) 내 광선이 누출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보호 유리(130) 내표면의 가장자리 영역(132)에 차광층(132)을 형성하는 단계는,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차광층(13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검은색 인쇄 잉크 또는 페인트를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인쇄할 수 있고, 인쇄 잉크 또는 페인트가 건조된 후,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크스크린 인쇄층은 프레임(110) 내부 구조를 커버할 수 있고, 차광 작용을 가진다.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형성하는 이외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방식으로 차광층(1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광층(132)은, 코팅 방법으로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차광층(132)은,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부착된 차광 필름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광 필름을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에 접착한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에 합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초과함 - 는,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디스플레이 면 사이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
접착제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보호 유리(130)의 내표면의 중심 영역(131)을 접착하는 단계; 및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 사이에 접착층이 충진된다.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의 접착제는 요홈(111) 내에 위치한 상기 접착제의 종류와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의 접착제는 투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요홈(111) 내 접착제는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투명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접착층은 광선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화질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보호 유리(130)의 중심 영역(131) 사이에 접착층이 충진되는데, 즉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풀 합착된다. 풀 합착은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틈이 없이 완전히 함께 접착되도록 확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보호 유리(130) 사이의 공기를 억제하며, 광선 반사를 감소시키고, 투과 광선의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고, 표시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양면 테이프로 고정된 것에 비해 더욱 우수한 수율을 가진다.
풀 합착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 합착, 즉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 유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를 네 변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접착층은 "□"자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제품 실시예에서 공개된 특징은 충돌되지 않는 전제 하에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제품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되,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4)

  1.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프레임,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보호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에 합착되어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하고,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측벽 사이에 제1 간극이 구비 - 상기 제1 간극의 폭은 0.5 내지 1.2 mm임 -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차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고 프레임 표면의 일부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실크스크린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상기 프레임의 표면 및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과 각각 접촉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호 유리가 접착되는 위치에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 내에 상기 보호 유리를 접착하기 위한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디스펜싱 공정을 통해 상기 요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컴포넌트; 및
    상기 백라이트 컴포넌트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백라이트 컴포넌트를 베어링하는 배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컴포넌트의 출광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사이에 제2 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유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접착층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보호 유리 내표면은 상기 접착층을 통해 함께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감광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 유리의 내표면에 합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함 - ; 및
    접착제를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을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접착제를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을 상기 프레임의 측벽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측벽 사이에 제1 간극을 남겨두는 단계 - 상기 제1 간극의 폭은 0.5 내지 1.2 mm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고 상기 프레임 표면의 일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해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 유리의 내표면에 합착하여 일체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초과함 - 는,
    보호 유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 사이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
    접착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보호 유리의 내표면의 중심 영역을 접착하는 단계; 및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과 상기 보호 유리의 중심 영역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210005238A 2020-06-30 2021-01-14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468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23013.XA CN111580297A (zh) 2020-06-30 2020-06-30 显示模组和显示模组的制作方法
CN202010623013.X 202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55A KR20220002055A (ko) 2022-01-06
KR102468514B1 true KR102468514B1 (ko) 2022-11-18

Family

ID=7211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238A KR102468514B1 (ko) 2020-06-30 2021-01-14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2397B2 (ko)
EP (1) EP3933492A1 (ko)
JP (1) JP2022013630A (ko)
KR (1) KR102468514B1 (ko)
CN (1) CN1115802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81938A (ja) * 2020-11-20 2022-06-01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US11899299B2 (en) 2021-10-14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4898658B (zh) * 2022-04-12 2024-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9470A (ja) * 2010-03-29 2011-10-20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4368B2 (ja) * 2003-03-28 2009-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装置用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160083B2 (ja) * 2006-04-11 2008-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装置用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374858B2 (ja) 2007-10-31 2013-1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保護板一体型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114277B1 (ko) * 2008-10-15 2012-03-13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KR101751996B1 (ko) 2010-04-06 201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9000A (ko)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프리즘테크놀로지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 보호유리의 가장자리 차광부 형성방법과 차광부 형성장치 및 차광부를 갖는 보호유리
JP5569379B2 (ja) 2010-12-09 2014-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保護板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451711B2 (ja) 2011-10-14 2014-03-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940186B1 (ko) 2012-10-29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50382B1 (ko) * 2012-11-28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 장치
KR102231515B1 (ko) * 2014-02-04 2021-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EP2916165B1 (en) 2014-03-05 2018-04-04 LG Electronics Inc. Curved mobile terminal
JP6494920B2 (ja) 2014-04-07 2019-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4656804B (zh) 2014-11-21 2019-05-17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160094544A (ko)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916980B2 (ja) 2015-03-31 2021-08-11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367931B1 (ko) * 2015-10-30 2022-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 레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1270B1 (ko) 2017-04-27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9159239A (ja) 2018-03-16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9470A (ja) * 2010-03-29 2011-10-20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55A (ko) 2022-01-06
EP3933492A1 (en) 2022-01-05
US11422397B2 (en) 2022-08-23
JP2022013630A (ja) 2022-01-18
US20210405431A1 (en) 2021-12-30
CN111580297A (zh)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51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US9395572B2 (en) Display apparatus
US9904003B2 (en) Backlight module
KR101807442B1 (ko) 백라이트 모듈 및 상기 백라이트 모듈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22655A (ja) 表示装置
KR201401297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42140B1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9274362B2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315792A (ja) 液晶表示装置
TW201400924A (zh) 顯示面板及顯示裝置
KR10127785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WO2015192398A1 (zh) 背光模组
KR101719156B1 (ko) 액정표시장치
US9323086B2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30035B1 (ko) 백색 및 흑색 양면 차광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N212410989U (zh) 显示模组
CN110018594B (zh) 背光模组及显示模组
KR20220075846A (ko) 표시 장치
KR20120025900A (ko)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80851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11006684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210038401U (zh) 一种直下式液晶显示背光模组及显示设备
KR101507156B1 (ko) 액정표시모듈
JP2019090859A (ja) 表示装置
KR20080068967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