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631B1 -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631B1
KR102463631B1 KR1020220068654A KR20220068654A KR102463631B1 KR 102463631 B1 KR102463631 B1 KR 102463631B1 KR 1020220068654 A KR1020220068654 A KR 1020220068654A KR 20220068654 A KR20220068654 A KR 20220068654A KR 102463631 B1 KR102463631 B1 KR 10246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anel
unit
frame
separ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631B9 (ko
Inventor
정성대
김동환
김정윤
Original Assignee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8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631B1/ko
Priority to PCT/KR2022/008675 priority patent/WO2022197167A2/ko
Priority to JP2022545350A priority patent/JP735798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631B1/ko
Publication of KR10246363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63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상에서 제1 유닛이 정션박스를, 제2 유닛이 외곽 프레임을 각각 태양광 모듈로부터 분리하는 구조로부터, 사용연한이 종료된 태양광모듈의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의 용이한 분리 제거가 가능한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FOR FRAME OF PHOTOVLTAIC MOUDULE}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연한이 종료된 태양광모듈의 분리수거 및 재활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패널은 부피도 크고 무거우며 알루미늄과 유리 등을 포함한 재활용할 수 있는 물질은 분리하고 부피를 줄여서 폐기 또는 재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의 부품대비 중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리가 총중량의 67.5%를 차지하며, 알루미늄 프레임이 총중량의 16.3%를 차지하고, 솔라셀 부분은 총중량의 3.41%를 차지하며, EVA는 총중량의 6.53%를 차지하고, 백시트는 총중량의 3.14%를 차지하며, 정션박스는 총중량의 1.75%를 차지하고, 구리는 총중량의 1.17%를 차지하며, 주석은 총중량의 0.12%를 차지하고, 납은 총중량의 0.08%를 차지한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의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은 주로 실리콘계 접착제 혹은 접착 씰로 부착되어 있다.
이때, 정션박스의 부착에 사용되는 실리콘계 접착제나, 알루미늄 프레임의 접착시 사용하는 접착 강도는 대략 2 내지 2.3 MPa 정도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접착 강도는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을 대략 400kg, 즉 25~30kgf/㎠ 정도의 힘을 가해야 태양광 패널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정도라 하겠다.
기존에는 인력과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을 분리하였으나 이렇게 분리 작업을 할 경우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에 직면하는 것은 물론이며, 신속한 폐기처분 및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등록특허 제10-2154030호의 "폐태양광모듈 분리해체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강화유리로부터 각종 레이어 형태로 적층된 솔라셀의 분리 수거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이러한 레이어 형태로 적층된 솔라셀 주변의 분리 수거 이전에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은 작업자가 일일이 분리시켜야 하는 한계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의 분리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1540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연한이 종료된 태양광모듈의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의 용이한 분리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션박스와 금속재의 외곽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이 거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서 변위 가능하며, 상기 정션박스를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변위 가능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상기 외곽 프레임을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 분리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태양광 모듈이 거치되는 상면을 가지는 선반 패널과, 상기 선반 패널의 상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상부 지지 칼럼과, 상기 상부 지지 칼럼 각각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선반 패널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하부 지지 칼럼과, 상기 하부 지지 칼럼 각각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외곽 프레임을 분리하는 상기 제2 분리부의 동작은,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정션박스를 분리하는 상기 제1 분리부의 동작이 이루어진 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유체압력으로 가동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한 승강 로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와,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칼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승강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상부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이 거치되는 선반 패널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한 제1 로드와, 상기 제1 분리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정션박스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구비한 제1 분리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 블록은 상기 제1 연결 블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상기 선반 패널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선반 패널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제1 접촉면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태양광 모듈과 상기 정션박스의 부착 부분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로드가 신장됨에 따른 상기 제1 분리 블록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정션박스가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상부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의 네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이 거치되는 선반 패널과 평행하게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한 제2 로드와, 상기 제2 분리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구비한 제2 분리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로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리 블록은 상기 제2 연결 블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선반 패널에 대하여 직교함과 동시에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외곽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연한이 종료된 태양광모듈의 정션박스와 외곽 프레임을 솔라셀로부터 분리하는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베이스의 선반 패널 상에서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제1 분리부가 정션박스를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제1 분리부와 제2 유닛의 제2 분리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이 베이스(300)의 선반 패널(310) 상에서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베이스(300)의 상부 구조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제1 분리부(110)가 정션박스(410)를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제1 분리부(110)와 제2 유닛(200)의 제2 분리부(210)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 상에서 제1 유닛(100)이 정션박스(410, 이하 도 4 참조)를 태양광 모듈(400, 이하 도 4 참조)로부터 분리하고 제2 유닛(200)이 외곽 프레임(420, 이하 도 4 참조)을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분리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베이스(300)는 정션박스(410)와 금속재의 외곽 프레임(420)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400)이 거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유닛(100)은 베이스(300) 상에서 변위 가능하며, 정션박스(410)를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베이스(300) 상에서 변위 가능하며, 태양광 모듈(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외곽 프레임(420)을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 분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베이스(300)는, 태양광 모듈(400)이 거치되는 상면을 가지는 선반 패널(310)과, 선반 패널(310)의 상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상부 지지 칼럼(320)과, 상부 지지 칼럼(320) 각각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00)는, 선반 패널(310)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하부 지지 칼럼(340)과, 하부 지지 칼럼(340) 각각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은 상부 지지 프레임(330)과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00)는, 하부 지지 프레임(350)에 장착되어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에 유체 압력을 공급하는 작동 액추에이터(이하 미도시)와, 하부 지지 프레임(350)에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방향성 캐스터(352)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베이스(300)는, 상부 지지 프레임(330)에 장착되어 유체압력으로 가동되는 승강 실린더(360)와, 승강 실린더(360)로부터 출입 가능한 승강 로드(362)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선반 패널(310)측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370)와, 상부 지지 프레임(330)에 장착되어 선반 패널(310)측으로 연장되고 승강 몸체(370)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칼럼(33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은 승강 몸체(370)에 구비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300)는, 승강 로드(362)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승강 몸체(370)와 연결되는 몸체연결 브라켓(3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연결 브라켓(380)은, 승강 로드(362)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상면을 가지며 선반 패널(310)과 평행한 코어 지지편(381)과, 코어 지지편(381)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승강 몸체(37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편(38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베이스(300)에 구비된 상부 지지 프레임(33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370)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린더(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베이스(300)에 구비되어 태양광 모듈(400)이 거치되는 선반 패널(310)과 평행하게, 제1 실린더(120)로부터 출입 가능한 제1 로드(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제1 분리부(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 로드(121)와 연결되어 정션박스(410)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111)을 구비한 제1 분리 블록(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린더(120)는 선반 패널(310)에 거치되는 태양광 모듈(400)의 다양한 사이즈 및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승강 몸체(370)에 대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과 좌우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제1 로드(121)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1 브라켓(130)과, 제1 브라켓(13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반 패널(310)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블록(13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리 블록(110)은 제1 연결 블록(131)에 연결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면(111)은, 선반 패널(310)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반 패널(310)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접촉면(111)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도 4(a)와 같이 태양광 모듈(400)과 정션박스(410)의 부착 부분에 접촉되고, 제1 실린더(120)로부터 제1 로드(121)가 신장됨에 따른 제1 분리 블록(11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정션박스(410)가 도 4(b)와 같이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베이스(300)에 구비된 상부 지지 프레임(33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370)의 네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린더(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베이스(300)에 구비되어 태양광 모듈(400)이 거치되는 선반 패널(310)과 평행하게 제2 실린더(220)로부터 출입 가능한 제2 로드(2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2 분리부(2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로드(221)와 연결되어 외곽 프레임(42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 접촉면(221)을 구비한 제2 분리 블록(22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 실린더(220)는 선반 패널(310)에 거치되는 태양광 모듈(400)의 다양한 사이즈 및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승강 몸체(370)에 대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과 좌우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2 로드(221)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2 브라켓(230)과, 제2 브라켓(23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반 패널(310)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블록(23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리 블록(220)은 제2 연결 블록(231)에 연결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면(221)은, 선반 패널(310)에 대하여 직교함과 동시에 외곽 프레임(420)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외곽 프레임(42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외곽 프레임(420)을 분리하는 제2 분리부(210)의 동작은, 도 4와 같이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정션박스(410)를 분리하는 제1 분리부(110)의 동작이 이루어진 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분리부(110)와 제2 분리부(210)는 도 5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도 6과 같이 상호 분리된 형태로, 제1 분리부(110)를 기준으로 제1 분리부(110)의 좌우 양측에 제2 분리부(210)를 배치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린더(220)가 승강 몸체(370)의 네 측면 중 제1 실린더(120)가 장착된 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승강 몸체(370)의 일 측면에서 제1 실린더(120)의 좌우 양측에 제2 실린더(220)가 각각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2 로드(221)가 선반 패널(310)과 평행하게 제2 실린더(220)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리 블록(220)은, 제1 분리 블록(1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도 5와 같이 제1 분리 블록(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6과 같이 분리 형성되어 순차적인 동작 수행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연한이 종료된 태양광모듈의 정션박스와 알루미늄 프레임의 용이한 분리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분리부(제1 분리 블록)
111...제1 접촉면
120...제1 실린더
121...제1 로드
130...제1 브라켓
131...제1 연결 블록
200...제2 유닛
210...제2 분리부(제2 분리 블록)
211...제2 접촉면
220...제2 실린더
221...제2 로드
230...제2 브라켓
231...제2 연결 블록
300...베이스
310...선반 패널
320...상부 지지 칼럼
330...상부 지지 프레임
331...가이드 칼럼
340...하부 지지 칼럼
350...하부 지지 프레임
352...방향성 캐스터
360...승강 실린더
362...승강 로드
370...승강 몸체
380...몸체연결 브라켓
381...코어 지지편
382...연결 지지편
400...태양광 모듈
410...정션박스
420...외곽 프레임

Claims (10)

  1. 정션박스와 금속재의 외곽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이 거치되는 상면을 가지는 선반 패널과, 상기 선반 패널의 상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상부 지지 칼럼과, 상기 상부 지지 칼럼 각각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선반 패널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하부 지지 칼럼과, 상기 하부 지지 칼럼 각각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유체압력으로 가동되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한 승강 로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로드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몸체와 연결되는 몸체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승강 몸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실린더와, 상기 선반 패널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한 제1 로드와, 상기 정션박스와 접촉하도록 상기 선반 패널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로드와 연결되는 제1 분리 블록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승강 몸체의 네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실린더와, 상기 선반 패널과 평행하게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출입 가능한 제2 로드와, 상기 선반 패널에 대하여 직교함과 동시에 상기 외곽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외곽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로드와 연결되는 제2 분리 블록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승강 몸체에 대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과 좌우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연결 브라켓은,
    상기 승강 로드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선반 패널과 평행한 코어 지지편과,
    상기 코어 지지편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승강 몸체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외곽 프레임을 분리하는 상기 제2 분리 블록의 동작은,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상기 정션박스를 분리하는 상기 제1 분리 블록의 동작이 이루어진 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 패널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제1 접촉면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태양광 모듈과 상기 정션박스의 부착 부분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상기 제1 로드가 신장됨에 따른 상기 제1 분리 블록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정션박스가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2 분리 블록은,
    상기 제1 분리 블록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분리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몸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칼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승강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로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 블록은 상기 제1 연결 블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로드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선반 패널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리 블록은 상기 제2 연결 블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10. 삭제
KR1020220068654A 2022-06-07 2022-06-07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KR10246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654A KR102463631B1 (ko) 2022-06-07 2022-06-07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PCT/KR2022/008675 WO2022197167A2 (ko) 2022-06-07 2022-06-20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JP2022545350A JP7357980B2 (ja) 2022-06-07 2022-06-20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フレーム自動分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654A KR102463631B1 (ko) 2022-06-07 2022-06-07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631B1 true KR102463631B1 (ko) 2022-11-09
KR102463631B9 KR102463631B9 (ko) 2023-02-23

Family

ID=8332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654A KR102463631B1 (ko) 2022-06-07 2022-06-07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57980B2 (ko)
KR (1) KR102463631B1 (ko)
WO (1) WO2022197167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6363A (ja) * 2012-12-06 2014-06-26 Shinryo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KR102154030B1 (ko) 2019-04-16 2020-09-09 김영국 폐태양광모듈 분리해체장치
KR102364967B1 (ko) * 2021-08-10 2022-02-22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이동형 태양광모듈해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형 태양광모듈해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915A (ko) * 2012-02-21 2013-08-29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전지 폐 모듈 프레임 해체 장치
JP2016203093A (ja) * 2015-04-22 2016-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のリサイクル装置およびリサイクル方法
KR102323237B1 (ko) * 2019-06-12 2021-11-08 엄진섭 폐태양광발전모듈 분해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6363A (ja) * 2012-12-06 2014-06-26 Shinryo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KR102154030B1 (ko) 2019-04-16 2020-09-09 김영국 폐태양광모듈 분리해체장치
KR102364967B1 (ko) * 2021-08-10 2022-02-22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이동형 태양광모듈해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형 태양광모듈해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7167A2 (ko) 2022-09-22
JP7357980B2 (ja) 2023-10-10
KR102463631B9 (ko) 2023-02-23
JP2023514974A (ja) 2023-04-12
WO2022197167A3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58235Y (zh) 多柱升降式操作平台
KR102463631B1 (ko)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US20160160511A1 (en) Panel moving systems
CN210102948U (zh) 一种物流周转箱分离装置
KR20220074169A (ko)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CN214977012U (zh) 一种扣板切角装置
KR102526139B1 (ko)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CN108278468B (zh) 一种多功能激光扫描成像仪承载运输平台
CN217167432U (zh) 一种门窗加工用立式铣床
CN220889354U (zh) 一种房屋建筑施工平台
CN216912553U (zh) 一种不锈钢加工用边角材料剪切装置
CN112267710B (zh) 一种防下陷的装配建筑用支撑框架
CN214866613U (zh) 一种连续模的防料带抖动机构
CN217369695U (zh) 一种显示屏生产车间用除尘装置
CN218732700U (zh) 门板安装辅助装置
CN218557405U (zh) 一种木材钻孔装置
CN209867719U (zh) 电池片提升装置及焊接系统
CN217436931U (zh) 用于堆放板材的升降台
CN114439255A (zh) 一种钢盒安装辅助机构
CN220652027U (zh) 一种层压机的拉出装置
CN220700479U (zh) 一种压片设备
CN214730627U (zh) 一种侧面取件箱
CN216004622U (zh) 一种pe贴合保护膜的绕带撤膜装置
CN216003575U (zh) 纤维地板制品存放装置
CN217167440U (zh) 一种分体床身龙门侧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