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881B1 - 도공 장치 - Google Patents

도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881B1
KR102459881B1 KR1020210018084A KR20210018084A KR102459881B1 KR 102459881 B1 KR102459881 B1 KR 102459881B1 KR 1020210018084 A KR1020210018084 A KR 1020210018084A KR 20210018084 A KR20210018084 A KR 20210018084A KR 102459881 B1 KR102459881 B1 KR 10245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ating
coating liquid
flow path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733A (ko
Inventor
히로키 깃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Priority to KR102021001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8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opposite side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도공액의 유로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심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도공 장치의 본체 블록의 길이 방향의 토출 유량을 조정 가능한 도공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공 장치(1)는 본체 블록(10)을 갖춘다. 본체 블록(10)은 도공액 도입부(40)와,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공액 토출부(41)와, 도공액 도입부(40)로부터 도입된 도공액이 유입되는,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공간부(42)와, 제1 공간부(42)의 도공액을 도공액 토출부(41)로 흐르게 하는,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공액 유로(43)와, 도공액 유로(43)에, 당해 도공액 유로(43)의 유로 폭이 부분적으로 넓어지도록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2 공간부(44)와, 제2 공간부(44)에 일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고, 각각이 제2 공간부(44)에 대하여 진퇴하여, 제2 공간부(44)의 일방향의 각 부분의 용적을 변경 가능한 용적 변경 부재(34)를 가진다.

Description

도공 장치{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전지나, 콘덴서 등의 전자부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얇은 띠 형상의 피도공재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공정이 있다. 이 종류의 도공 공정에는, 다이 코터 등으로 불리는 도공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도공 장치는 본체 블록을 가진다. 본체 블록은 도공액이 도입되는 도공액 도입부와, 도공액이 토출되는 일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의 도공액 토출부를 갖추고 있다. 본체 블록은, 그 내부에, 도공액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도공액이 유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긴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도공액 토출부로 통하는 도공액 유로를 갖추고 있다. 도공액은 매니폴드에서 도공액 유량이나 도공액 압력이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되어, 도공액 유로를 통하여 도공액 토출부로부터 토출된다.
상기 도공 장치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는, 토출량의 분포를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조정하기 위해, 도공액 유로의 일방향에 걸쳐 분할한 복수개의 분할 바를 설치하고, 분할 바를 진퇴시킴으로써 각 분할 바마다 도공액 유로의 간극량을 조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도공 장치에서는, 도공액 유로와 도공액 토출부에서의 간극량을 조정하기 위해 다이 본체에 끼워지는 판 형상의 심(shim)(지그)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의 심은, 예를 들면, 피도공재의 폭 방향을 따라 도포하는 장소와 도포하지 않는 장소가 번갈아 있는 것과 같은 스트라이프 모양의 도공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 상술의 도공액 유로와 도공액 토출부에서의 도공액의 유로를 한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경우, 심은, 예를 들면, 빗 형상으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빗살 부분이 도공액을 토출하지 않는 영역(도공액이 흐르지 않는 영역)에 대응하고, 그들 빗살 부분의 사이의 공간이 도공액을 토출하는 영역(도공액이 흐르는 영역)에 대응한다.
일본 특개 2007-44643호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도공액의 유로를 한정하는 심을 사용하여 스트라이프 모양의 도공 패턴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피도공재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도공 부분의 막 두께를 소정의 범위 내로 맞출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도공 부분의 막 두께가 동일하게 되도록, 도공액 토출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토출 유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도공 장치의 분할 바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심의 빗살 부분과 분할 바의 개수나 위치가 맞지 않아 서로 간섭하여, 분할 바를 진퇴할 수 없게 되어 기능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공 장치에 있어서 도공 패턴에 따라 복수 종류의 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의 빗살 부분과 분할 바의 개수나 위치가 반드시 맞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때 도공액 토출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토출 유량을 조정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공액의 유로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심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도공 장치의 본체 블록의 길이 방향의 토출 유량을 조정 가능한 도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따른 도공 장치는 본체 블록을 갖추고, 본체 블록은 도공액 도입부와,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공액 토출부와, 도공액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도공액이 유입되는,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공간부와, 제1 공간부의 도공액을 도공액 토출부로 흐르게 하는,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공액 유로와, 도공액 유로에, 당해 도공액 유로의 유로 폭이 부분적으로 넓어지도록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2 공간부와, 제2 공간부에 일방향에 걸쳐 복수 설치되고, 각각이 제2 공간부에 대하여 진퇴하여, 제2 공간부의 일방향의 각 부분의 용적을 변경 가능한 용적 변경 부재를 가진다.
이 태양에 의하면, 도공액 유로에 제2 공간부를 설치하고, 그 제2 공간부에 용적 변경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공액의 유로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심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당해 심과 용적 변경 부재가 간섭하는 일이 없어, 본체 블록의 길이 방향의 토출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제2 공간부는 용적 변경 부재의 도공액의 흐름 방향의 길이보다도 큰 도공액의 흐름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용적 변경 부재는 제2 공간부의 하류측의 끝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본체 블록은 제2 공간부의 내면으로 통하는 구멍을 가지고, 용적 변경 부재는 구멍에 배치되어, 구멍으로부터 제2 공간부 내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본체 블록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블록부를 가지고, 2개의 블록부의 사이에 제1 공간부와, 도공액 유로와, 제2 공간부 및 도공액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는 다른 블록부의 대향면이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는 동일한 블록부의 대향면이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제1 공간부의 하류부와 제2 공간부의 상류부가 겹쳐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서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제2 공간부의 내면에는 연마 처리가 시행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은 도공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공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공 장치를 단변 방향의 수직 단면으로 절단한 도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공 장치의 제1 블록부의 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공간부 근처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체 블록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심을 배치한 제1 블록부의 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피도공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용적 변경 부재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본체 블록의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겹친 경우의 본체 블록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다른 블록부에 설치한 경우의 본체 블록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겹친 경우의 본체 블록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공간부를 직사각형으로 한 경우의 제2 공간부 근처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공간부를 반원형으로 한 경우의 제2 공간부 근처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5는 헤드부의 선단을 경사지게 한 경우의 제2 공간부 근처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공 장치(1)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공 장치(1)의 분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는 도 1에 도시하는 도공 장치(1)의 자세를 기준으로 한다.
도공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향(길이 방향(Y))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의 본체 블록(10)을 가진다. 본체 블록(10)의 하면은 단변 방향(X)의 중앙이 가장 낮아지도록 아래로 돌출하고, 길이 방향(Y)으로 긴 정상부(20)를 가지고 있다. 본체 블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변 방향(X)의 중앙에서 좌우로 분할된 2개의 블록부(제1 블록부(30), 제2 블록부(31))와, 본체 블록(10)의 길이 방향(Y)의 양측면에 설치된 측판(32)과,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의 사이에 개재되는 지그로서의 심(33)과, 복수의 용적 변경 부재(34)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는 심(33)을 사이에 낀 상태에서 체결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공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공 장치(1)를 단변 방향(X)의 수직 단면으로 절단한 도공 장치(1)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공 장치(1)의 제1 블록부(30)의 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체 블록(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공액 도입부(40)와, 도공액 토출부(41)와, 제1 공간부(42)와, 도공액 유로(43) 및 제2 공간부(44)를 가지고 있다.
도공액 도입부(40)는, 예를 들면, 본체 블록(10)의 제1 블록부(30)의 외측면(30a)으로부터 후술의 제1 공간부(42)로 통하고 있다. 도공액 도입부(40)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Y)의 중앙의 위치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공액 도입부(40)는 본체 블록(10)의 외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도공액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고, 도공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도공액을 본체 블록(10) 내에 도입하고, 제1 공간부(42)에 유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공액 토출부(41)는 본체 블록(10)의 하단의 정상부(20)에 형성되어 있다. 도공액 토출부(41)는 본체 블록(10)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공액 토출부(41)는 가늘고 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유로 폭(D1)(도 3에 도시함)을 가지고 있다. 유로 폭(D1)은, 예를 들면, 0.05mm∼2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1 공간부(42)는 본체 블록(10)의 상하 방향의 중앙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공간부(4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블록부(30)의 대향면(내면)(30b)을 만곡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간부(4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블록(10)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 걸쳐 가늘고 길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공간부(42)의 길이 방향(Y)의 중앙부에 도공액 도입부(40)가 개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공액 유로(43)는 제1 공간부(42)로부터 도공액 토출부(41)로 통해 있다. 도공액 유로(43)는 후술하는 제2 공간부(44) 이외의 부분에서 단변 방향(X)으로 일정한 유로 폭(D1)을 가지고 있다. 도공액 유로(4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부(42)와 같이 본체 블록(10)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제2 공간부(4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공액 유로(43)에 설치되고, 도공액 유로(43)의 유로 폭이 부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간부(44)는 제1 블록부(30)의 대향면(30b)을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간부(44)는, 예를 들면, 제1 블록부(30)의 대향면(30b)이 만곡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상류부(44a)와, 직사각형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하류부(44b)를 가지고 있다.
제2 공간부(4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의 용적 변경 부재(34)의 도공액의 흐름 방향(Z)의 (최대) 길이(L1)보다도 긴 도공액의 흐름 방향(Z)의 (최대) 길이(L2)를 가지고 있다. 제2 공간부(44)는 일정한 도공액 유로(43)의 유로 폭(D1)의 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20배 이하의 (최대) 깊이(D2)를 가지고 있다. 제2 공간부(44)의 전체의 용적은 제1 공간부(42)보다도 작다. 제2 공간부(4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블록(10)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Y)에 있어서 제1 공간부(42) 및 도공액 유로(43)와 동일한 길이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공간부(44)의 내면(44c)에는, 예를 들면, 표면 거칠기가 Rz로 10㎛ 이하가 되는 연마 처리(랩 연마, 버프 연마 등)가 시행되어 있다.
도 6은 본체 블록(10)의 수평 단면(도 3의 C-C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블록(10)에는, 제1 블록부(30)의 외측면(30a)으로부터 제2 공간부(44)로 통하는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60)은 제2 공간부(44)의 내면(44c)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후술의 용적 변경 부재(34)의 헤드부(70)가 수용되는 대직경부(60a)와, 용적 변경 부재(34)의 지지부(71)가 수용되는 소직경부(60b)를 가지고 있다.
대직경부(60a)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공간부(44)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다. 소직경부(60b)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60a)로부터 제1 블록부(30)의 외측면(30a)까지 단변 방향(X)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소직경부(60b)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공간부(44)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복수개, 예를 들면, 5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적 변경 부재(34)는, 예를 들면, 헤드부(70)와, 헤드부(70)를 지지하는 지지부(71)를 가지고 있다. 헤드부(70)는 구멍(60)의 대직경부(60a)에 수용되어 있다.
헤드부(70)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Y)으로 긴 직방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헤드부(70)는 평탄한 선단면(70a)을 가진다. 지지부(71)는 헤드부(70)로부터 소직경부(60b)를 통하여 제1 블록부(30)의 외측면(30a)의 바깥쪽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용적 변경 부재(34)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부에 접속되어 있고, 헤드부(70)가 제2 공간부(44)에 대하여 단변 방향(X)으로 진퇴함으로써, 제2 공간부(44)의 용적을 변경할 수 있다.
용적 변경 부재(34)는 제2 공간부(44)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복수, 예를 들면, 5개 설치되어 있다. 5개의 용적 변경 부재(34)의 헤드부(7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록부(30)의 대향면(30b)을 단변 방향(X)에서 본 내면 시점에서, 길이 방향(Y)으로 거의 간극 없이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개의 용적 변경 부재(34)는 각각이 제2 공간부(44)에 대하여 진퇴하여, 제2 공간부(44)의 길이 방향(Y)으로 5등분한 각 부분의 용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부(42), 도공액 유로(43), 제2 공간부(44) 및 도공액 토출부(41)는 본체 블록(10)의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의 사이에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블록부(30)의 대향면(내면)의 상부에는, 심(33)의 후술하는 베이스부(90)를 끼우기 위한 평탄면(30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블록부(31)의 내면(31a)은 전체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심(33)은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심(33)은 도공액 유로(43)의 도공액의 유로, 및 도공액 토출부(41)의 도공액의 토출 부분을 한정하는 것이다. 심(33)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 모양의 판 형상을 가진다. 심(33)은 일방향으로 뻗는 베이스부(90)와, 베이스부(90)로부터 베이스부(90)의 직각 방향으로 뻗는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유로 규제판(91)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유로 규제판(91)은 베이스부(90)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나머지의 유로 규제판(91)은 베이스부(90)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유로 규제판(91)은 폭, 두께, 길이가 동일하며, 베이스부(90)의 뻗음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심(33)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90)가 제1 블록부(30)의 제1 공간부(42)보다도 상부의 평탄면(30d)에 배치되고, 유로 규제판(91)이 도공액의 흐름 방향(Z)을 따라 제1 공간부(42)로부터 도공액 토출부(41)까지 뻗도록,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것에 의해, 도공액 유로(43)와 도공액 토출부(41)에서 이웃하는 유로 규제판(91)의 사이에만 도공액의 유로가 만들어지고, 길이 방향(Y)으로 도공액이 토출되는 부분과 도공액이 토출되지 않는 부분이 번갈아 생겨, 피도공재에 도공액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도공할 수 있다.
심(3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의 사이에 기밀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심(33)의 두께가 그대로 도공액 유로(43)와 도공액 토출부(41)의 유로 폭(D1)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심(33)은 도공액 토출부(41)의 유로 폭(D1)을 규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공 장치(1)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심(33)이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블록부(30)와 제2 블록부(31)가 서로 체결되고, 그 후 측판(32)이 길이 방향(Y)의 양측면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체 블록(10)이 조립된다.
본체 블록(10)은 도공액 토출부(41)가 롤러(12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롤러(120)의 회전에 의해 띠 형상의 피도공재(A)가 도공액 토출부(41)와 롤러(120)의 사이로 보내진다. 도공액은 본체 블록(10)의 도공액 도입부(40)로부터 도입되어, 제1 공간부(42)에서 길이 방향(Y)으로 확산하고, 도공액의 유량이나 압력이 균등하게 되고 나서 도공액 유로(43)를 흘러, 도공액 토출부(41)로부터 토출된다. 이때, 심(33)의 유로 규제판(91)이 도공액 유로(43) 및 도공액 토출부(41)의 일부의 유로를 규제하여, 유로 규제부(91)가 없는 부분(분할 유로)에만 도공액이 흘러 토출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도공재(A)에는, 폭 방향으로 도공 부분(130)과 비도공 부분(131)이 번갈아 존재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도공 패턴이 형성된다.
도공 시에는, 피도공재(A)의 복수의 도공 부분(130)의 막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각 용적 변경 부재(34)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공액 유로(43)의 길이 방향(Y)의 중앙 근처의 용적 변경 부재(34)를 상대적으로 후퇴시켜, 그 부분의 제2 공간부(44)의 용적을 크게 하고, 도공액 유로(43)의 길이 방향(Y)의 양단 근처의 용적 변경 부재(34)를 상대적으로 전진시켜, 그 부분의 제2 공간부(44)의 용적을 작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심(33)으로 분할된 도공액 토출부(41)의 각 분할 유로의 토출 유량이 맞추어지고, 그 결과, 피도공재(A)의 폭 방향에 걸쳐 균일한 막 두께의 도공 부분(130)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공 장치(1)의 본체 블록(10)이, 도공액 유로(43)에, 그 유로 폭이 부분적으로 넓어지도록 설치된 제2 공간부(44)와, 제2 공간부(44)에 일방향에 걸쳐 복수 설치되고, 각각이 제2 공간부(44)에 대해 진퇴하여, 제2 공간부(44)의 일방향의 각 부분의 용적을 변경 가능한 용적 변경 부재(34)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공액의 유로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심(33)을 사용한 경우에도, 제2 공간부(44)를 사용하여 도공액 유로(4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의 도공액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체 블록(10)의 길이 방향(Y)의 토출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공간부(44)는 용적 변경 부재(34)의 도공액의 흐름 방향(Z)의 길이(L1)보다도 긴 도공액의 흐름 방향(Z)의 길이(L2)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용적 변경 부재(34) 근처에서 도공액의 대류가 생기는 것이 억제되어, 제2 공간부(44)에서 도공액이 원활하게 흐르고, 이것에 의해 도공액의 토출 유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용적 변경 부재(34)는 제2 공간부(44)의 하류부(44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공액의 제2 공간부(44)로의 유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용적 변경 부재(34)가 도공액 토출부(41)에 가깝게 되므로, 제2 공간부(44)의 용적의 조정에 의한 길이 방향(Y)의 토출 유량의 조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체 블록(10)은 제2 공간부(44)의 내면으로 통하는 구멍(60)을 가지고, 용적 변경 부재(34)는 구멍(60)에 배치되어, 구멍(60)으로부터 제2 공간부(44) 내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공간부(44)에 대한 용적 변경 부재(34)의 진퇴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공간부(44)의 내면(44c)에는, 연마 처리가 시행되어 있으므로, 제2 공간부(44)에서의 도공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또, 제2 공간부(44)의 내면(44c)에 부착되는 도공액을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부(42)의 하류부와 제2 공간부(44)의 상류부가 겹쳐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공액이 제1 공간부(42)로부터 제2 공간부(44)로 유입될 때의 압력 손실이 저감되어, 제2 공간부(44)로의 도공액의 유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부(42)와 제2 공간부(44)는 다른 블록부의 대향면이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공간부(42)가 제1 블록부(30)측에 형성되고, 제2 공간부(44)가 제2 블록부(31)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공 장치(1)는, 본체 블록(10)을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설치하는 경우, 본체 블록(10)을 재치하기 위한 스테이지를 갖춘다. 이 경우, 용적 변경 부재(34)를 조작하는 것을 생각하면, 제1 공간부(42)는 용적 변경 부재(34)가 있는 측의 블록부에 설정하는 편이 낫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공간부(42)의 하류부와 제2 공간부(44)의 상류부가 겹쳐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공간부(42)로부터 제2 공간부(44)로의 도공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흐른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블록(10)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공액 도입부(40), 도공액 토출부(41), 제1 공간부(42), 도공액 유로(43), 제2 공간부(44)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공간부(44)의 형상은 종단면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이어도 되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이어도 된다.
용적 변경 부재(34)는 개수도 형상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적 변경 부재(34)의 헤드부(70)는 하류측이 도공액 유로(43)에 보다 근접하도록 선단면(70a)이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도공액 토출부(41)로의 도공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심(33)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심(33)의 유로 규제판(91)의 수는 3개가 아니고, 2개이어도 4개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도공 장치는 심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블록(10)의 도공액 토출부(41)가 아래를 향한 도공 장치(1)의 예를 설명했지만, 도공 장치(1)는 본체 블록(10)의 도공액 토출부(41)가 옆쪽이나 위쪽 등,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도공액의 유로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심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도공 장치의 본체 블록의 길이 방향의 토출 유량을 조정 가능한 도공 장치를 제공할 때 유용하다.
1 도공 장치
10 본체 블록
30 제1 블록부
31 제2 블록부
33 심
34 용적 변경 부재
40 도공액 도입부
41 도공액 토출부
42 제1 공간부
43 도공액 유로
44 제2 공간부

Claims (10)

  1. 본체 블록을 갖추고,
    상기 본체 블록은
    도공액 도입부와,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공액 토출부와,
    상기 도공액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도공액이 유입되는,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도공액을 상기 도공액 토출부로 흐르게 하는,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공액 유로와,
    상기 도공액 유로에, 당해 도공액 유로의 유로 폭이 부분적으로 넓어지도록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2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에 일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고, 각각이 상기 제2 공간부에 대하여 진퇴하여, 상기 제2 공간부의 일방향의 각 부분의 용적을 변경 가능한 용적 변경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용적 변경 부재의 도공액의 흐름 방향의 길이보다도 큰 상기 도공액의 흐름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적 변경 부재는 상기 제2 공간부의 하류측의 끝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은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면으로 통하는 구멍을 가지고,
    상기 용적 변경 부재는 상기 구멍에 배치되어,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부 내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2개의 블록부를 가지고, 상기 2개의 블록부의 사이에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도공액 유로와, 상기 제2 공간부 및 상기 도공액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는 다른 블록부의 대향면이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는 동일한 블록부의 대향면이 움푹 들어감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류부와 상기 제2 공간부의 상류부가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의 내면에는 연마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 장치.
KR1020210018084A 2021-02-09 2021-02-09 도공 장치 KR10245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84A KR102459881B1 (ko) 2021-02-09 2021-02-09 도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84A KR102459881B1 (ko) 2021-02-09 2021-02-09 도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33A KR20220114733A (ko) 2022-08-17
KR102459881B1 true KR102459881B1 (ko) 2022-10-27

Family

ID=8311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84A KR102459881B1 (ko) 2021-02-09 2021-02-09 도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997A (ja) * 2008-05-14 2009-11-26 Panasonic Corp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561A (ja) * 1994-01-19 1995-08-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リットノズル塗装装置
JP2981875B2 (ja) * 1997-03-14 1999-11-22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塗工装置
JP2981876B2 (ja) * 1998-01-12 1999-11-22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塗工装置
JP2007044643A (ja) 2005-08-11 2007-02-22 Inoue Kinzoku Kogyo Co Ltd ダイ塗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997A (ja) * 2008-05-14 2009-11-26 Panasonic Corp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33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73997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2008178818A (ja) スリットダイ及びシム
EP2830852B1 (en) Varying transition zone manifold
US20130108727A1 (en) Extrusion die device
US20210402644A1 (en) Extrusion die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the same
KR102459881B1 (ko) 도공 장치
WO2021181968A1 (ja) スリットダイ
US20120204789A1 (en) Method for coating with coating liquid, coating apparatuses for use therein,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JP6986934B2 (ja) ノズルおよび塗布装置
JP2008043875A (ja) ダイヘッド
JP6886131B2 (ja) 塗工装置
CN115245889B (zh) 模头
JP7302240B2 (ja) 塗工ヘッド
CN115106247A (zh) 涂布装置
JPH08103711A (ja) ダイコータ
US6746537B2 (en) Coating apparatus
JP2002370057A (ja) エクストルージョン型ノズルおよび塗布装置
JP4606156B2 (ja) ダイヘッド
JP4606157B2 (ja) ダイヘッド
CN110624767A (zh) 涂敷喷嘴
WO2017221621A1 (ja) 塗布器及び塗布装置
JP2005523151A (ja) 帯状塗布用のダイリップ
JP2006142247A (ja) ダイヘッド
JP2547972B2 (ja) 2層ダイコータ
US20200086340A1 (en) Applicatio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