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386B1 - 점착 시트 및 표시체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및 표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386B1
KR102458386B1 KR1020160037376A KR20160037376A KR102458386B1 KR 102458386 B1 KR102458386 B1 KR 102458386B1 KR 1020160037376 A KR1020160037376 A KR 1020160037376A KR 20160037376 A KR20160037376 A KR 20160037376A KR 102458386 B1 KR102458386 B1 KR 10245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isplay body
meth
pressure
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273A (ko
Inventor
요이치 다카하시
다카유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0820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583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tamper-evident tape or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으며, 또한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 및 표시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적어도 접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 (21) 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 (22) 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 (11) 을 갖는 점착 시트 (1) 로서, 점착제층 (11)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열가교제 (B) 와,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점착제층 (11) 의 헤이즈치가 2 % 이하이고, 점착제층 (11) 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이 1 % 이하인 점착 시트 (1).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표시체{ADHESIVE SHEET AND DISPLAY}
본 발명은,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 시트, 그리고 당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표시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태블릿 단말 등의 각종 모바일 전자 기기는, 액정 소자, 발광 다이오드 (LED 소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소자 등을 갖는 표시체 모듈을 사용한 표시체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체 모듈의 표면측에 보호 패널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에는, 외력에 의해 보호 패널이 변형되었을 때에도, 변형된 보호 패널이 표시체 모듈에 부딪치지 않도록,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극, 즉 공기층이 존재하면, 보호 패널과 공기층의 굴절률차, 및 공기층과 표시체 모듈의 굴절률차에서 기인하는 광의 반사 손실이 크고,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층으로 매립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는,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매립하는 점착제층의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1개 함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성의 수지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시킨 점착제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227399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227436호
그런데,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전자 기기는,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태양광으로부터의 자외선을 받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의 점착제층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열화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점착제층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부재도, 자외선의 악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보다 깊은 위치에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당해 하드 코트층이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자외선 경화성의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당해 자외선은 자외선 흡수제에 흡수되어 버린다. 그에 따라, 자외선 경화성의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이 저해되어,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필요한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가 습열 조건하에 놓여, 보호 패널인 플라스틱판으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 점착제층과의 계면에서 기포, 들뜸, 벗겨짐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으며, 또한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 및 표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로 본 발명은, 적어도 접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열가교제 (B) 와,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치가 2 %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이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발명 1).
상기 발명 (발명 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성 조성물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져, 경화를 위해 자외선 조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고 있어도, 당해 자외선 흡수제 (C) 에 의한 경화 저해의 문제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은 충분히 경화 (가교) 할 수 있고,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점착제층은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며, 또한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이 상기와 같이 낮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은, 매우 우수한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다. 따라서, 당해 점착제층은,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부재도, 상기 점착제층의 우수한 자외선 흡수 작용에 의해, 자외선의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상기 발명 (발명 1) 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 (C) 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2).
상기 발명 (발명 1, 2) 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50 ∼ 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3).
상기 발명 (발명 1 ∼ 3) 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 (C) 의 함유량을 X 질량%,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Y ㎛ 로 했을 때에, 이하의 식 (I) 이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4).
50 ≤ X × Y ≤ 500 … (I)
상기 발명 (발명 1 ∼ 4) 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CIE1976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투과 색상 b* 는, -2.0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5).
상기 발명 (발명 1 ∼ 5) 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차 추종률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6).
상기 발명 (발명 1 ∼ 6) 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2장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2장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7).
둘째로 본 발명은, 적어도 접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 시트 (발명 1 ∼ 7) 의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를 제공한다 (발명 8).
본 발명에 관련된 점착 시트 및 표시체는,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으며, 또한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착 시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적어도 접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갖는다. 점착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 표시체 및 표시체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열가교제 (B) 와,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 (이하 「점착성 조성물 (P)」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또, 당해 점착제층의 헤이즈치는 2 % 이하이고, 당해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은 1 %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양쪽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또, 「중합체」에는 「공중합체」의 개념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열가교제 (B) 와,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 (P) 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져, 경화를 위해 자외선 조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고 있어도, 당해 자외선 흡수제 (C) 에 의한 경화 저해의 문제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은 충분히 경화 (가교) 할 수 있고,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얻은 디스플레이가 습열 조건하 (예를 들어, 80 ℃, 85 % RH) 에 놓여, 플라스틱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체 구성 부재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도, 점착제층과 표시체 구성 부재의 계면에 있어서 기포, 들뜸, 벗겨짐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은 1 % 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은, 매우 우수한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부재도, 상기 점착제층의 우수한 자외선 흡수 작용에 의해, 자외선의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보다 깊은 위치에, 하드 코트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측으로부터 자외선을 다량으로 조사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점착제층의 우수한 자외선 흡수 작용에 의해, 하드 코트층이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하드 코트층은 일례로서, 그 밖에도 투명 도전막이나 액정 등 여러가지 광학 재료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의 억제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헤이즈치는 2 % 이하이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성이 매우 높고, 광학 용도 (디스플레이용) 로서 바람직하다.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접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는 것이다. 만일 점착제층이 그 단차에 추종하지 않으면, 단차 근방에서 점착제층이 들뜨게 되고, 그에 따라 광의 반사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은, 단차 추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블리스터성 및 단차 추종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50 ∼ 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5 ∼ -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40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점착제층은 내블리스터성 및 단차 추종성의 양쪽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각 모노머의 호모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 (Tg) 에 기초하여, FOX 의 식에 의해 산출한 것으로 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써,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50 ∼ 9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 9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0 ∼ 8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50 질량% 이상 함유하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95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중에 다른 모노머 성분을 적당량 도입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n-펜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n-데실, (메트)아크릴산n-도데실, (메트)아크릴산미리스틸, (메트)아크릴산팔미틸,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산아다만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8 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전술한 범위가 되도록,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호모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0 ℃ 를 초과하는 모노머 (하드 모노머) 와, 호모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0 ℃ 이하인 모노머 (소프트 모노머) 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소프트 모노머에 의해 점착성 및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하드 모노머로 응집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내블리스터성 및 단차 추종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드 모노머와 소프트 모노머의 질량비는, 5 : 95 ∼ 40 : 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 80 ∼ 30 : 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Tg 10 ℃), 메타크릴산메틸 (Tg 105 ℃), 아크릴산이소보르닐 (Tg 94 ℃),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Tg 180 ℃), 아크릴산아다만틸 (Tg 115 ℃), 메타크릴산아다만틸 (Tg 141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하드 모노머 중에서도, 점착성이나 투명성 등의 다른 특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하면서 하드 모노머의 성능을 보다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및 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다. 점착성도 고려하면, 아크릴산메틸 및 메타크릴산메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소프트 모노머로는, 탄소수가 2 ∼ 12 인 직쇄형 또는 분기쇄형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2-에틸헥실 (Tg -70 ℃), 아크릴산n-부틸 (Tg -54 ℃)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반응성 관능기가 열가교제 (B) 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 (3차원 메시 구조) 가 형성되고, 원하는 응집력을 갖는 점착제가 얻어진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또는 에폭시계 가교제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투명 도전막 등에 대한 첩부도 고려하면,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열가교제 (B) 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면에서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또는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의 열가교제 (B) 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면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3차원 메시 구조를 양호하게 형성하고, 내블리스터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습열 조건하에 노출한 후, 상온 상습하에 꺼내었을 때에 보이는 백화 현상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15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적절한 점착성이 얻어지기 쉽다는 관점에서,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4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원하는 바에 따라,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는, 반응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도,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비가교성의 3급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합 양태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만 ∼ 10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만 ∼ 9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40만 ∼ 7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와 같이 비교적 낮은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점착제가 얻어진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을 초과하면, 단차 추종성이 열등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이상이면, 점착제가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 열가교제 (B)
열가교제 (B)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 (P) 을 가열하면, 열가교제 (B) 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가교하여, 3차원 메시 구조를 형성한다. 이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향상되고, 당해 점착제에 내블리스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열가교제 (B) 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갖는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갖는 반응성 관능기가 수산기인 경우,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갖는 반응성 관능기가 카르복실기인 경우,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교제 (B) 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이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나아가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열가교제 (B) 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1 ∼ 2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 ∼ 1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2 ∼ 0.3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교제 (B) 의 함유량이 0.001 질량부 이상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에 내구성 향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열가교제 (B) 의 함유량이 2 질량부 이하이면, 가교의 정도를 적당한 것으로 하고, 얻어지는 점착제의 단차 추종성을 양호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자외선 흡수제 (C)
자외선 흡수제 (C) 로는,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 및 점착제층의 헤이즈치를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의 착색이 적고, 점착제층이 무색 투명에 가까워지는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의 CIE1976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투과 색상 b* 가, 후술하는 범위가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C) 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옥사지논계, 트리아진계, 페닐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니켈 착염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C) 중에서도,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또는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헤이즈치를 원하는 값으로 하기 쉽고, 또, 상기 투과 색상 b* 를 후술하는 범위로 하기 쉽다.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수화물,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옥틸-3-[3-t-부틸-4-하이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2-에틸헥실-3-[3-t-부틸-4-하이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비스[2-하이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6-디(2,4-자일릴)-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 (C) 의 함유량은,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 (C) 의 함유량을 X 질량%, 점착제층의 두께를 Y ㎛ 로 했을 때에, 이하의 식 (I) 이 성립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 X × Y ≤ 500 … (I)
자외선 흡수제 (C) 의 함유량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양인 것에 의해, 전술한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치가 보다 효과적으로 만족되기 쉬워진다.
상기의 관점에서, 상기 식 (I) 에 있어서의 X × Y 의 하한치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 (I) 에 있어서의 X × Y 의 상한치는,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각종 첨가제
점착성 조성물 (P) 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대전 방지제,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5)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
점착성 조성물 (P)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제조하고,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열가교제 (B) 와, 자외선 흡수제 (C) 를 혼합함과 함께, 원하는 바에 따라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통상적인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합은, 원하는 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연쇄 이동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얻어졌으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용액에, 열가교제 (B), 자외선 흡수제 (C),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희석 용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용제로 희석된 점착성 조성물 (P) (도포 용액) 을 얻는다. 또한, 상기 각 성분의 어느 것에 있어서, 고체형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혹은, 희석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성분과 혼합했을 때에 석출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그 성분을 단독으로 미리 희석 용매에 용해 혹은 희석하고 나서, 그 밖의 성분과 혼합해도 된다.
상기 희석 용제로는, 예를 들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타논,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성 조성물 (P) 의 농도가 10 ∼ 60 질량% 가 되도록 희석한다. 또한, 도포 용액을 얻을 때에, 희석 용제 등의 첨가는 필요 조건이 아니고, 점착성 조성물 (P) 이 코팅 가능한 점도 등이면, 희석 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점착성 조성물 (P) 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중합 용매를 그대로 희석 용제로 하는 도포 용액이 된다.
(6) 점착제의 제조
이상의 점착성 조성물 (P) 을, 원하는 대상물에 도포한 후, 열가교함으로써, 점착제 (점착제층) 가 얻어진다.
점착성 조성물 (P) 의 열가교는, 가열 처리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가열 처리는,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 후의 건조 처리에서 겸할 수도 있다. 가열 처리의 가열 온도는, 5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열 시간은, 10 초 ∼ 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초 ∼ 2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필요에 따라, 상온 (예를 들어, 23 ℃, 50 % RH) 에서 1 ∼ 2 주간 정도의 양생 기간을 형성해도 된다. 이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 경과 후,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열 처리 종료 후, 점착제가 형성된다.
상기의 가열 처리 (및 양생) 에 의해, 열가교제 (B) 를 통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가 충분히 가교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경화 저해의 문제가 없고,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7) 점착제층의 두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두께 (JIS K7130 에 준하여 측정한 값) 는, 10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4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5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은 단층으로 형성해도 좋고, 복수층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 이상이면, 원하는 점착력을 발휘하기 쉽고, 또, 표시체 구성 부재의 통상적인 단차에 대하여 충분한 단차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점착제층의 두께가 1000 ㎛ 이하이면, 가공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8) 점착제층의 물성
(8-1) 헤이즈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헤이즈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2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점착제층의 헤이즈치가 2 % 이하이면, 투명성이 매우 높고, 광학 용도 (표시체용) 로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이즈치는, 자외선 흡수제 (C) 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헤이즈치는, JIS K7136 : 2000 에 준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8-2) 광선 투과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1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의 하한치는, 0 %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학 용도로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는 0.01 % 정도이다.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이 1 % 이하이면, 자외선의 투과율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은,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는 내부 부재도, 자외선의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은, 적분구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한 값으로 하고, 측정 기구로는 분광 광도계를 사용한다.
(8-3) 투과 색상 b*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의 CIE1976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투과 색상 b* 는, -2.0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 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투과 색상 b* 가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당해 점착제층은 착색이 적은 것이 되고,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러한 투과 색상 b* 는, 자외선 흡수제 (C) 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투과 색상 b* 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8-4) 단차 추종률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하기의 식으로 나타내는 단차 추종률 (%) 이,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 8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0 ∼ 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 추종률 (%) ={(소정 내구 시험 후, 간극이나 기포 없이 매립된 상태가 유지된 단차의 높이 (㎛))/(점착제층의 두께)}× 100
또한, 단차 추종률의 시험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접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는 것이다. 점착제층의 단차 추종률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당해 점착제층은 표시체 구성 부재의 단차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단차 근방에서 점착제층이 들뜨는 것이 억제되고, 그에 따라 광의 반사 손실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범위의 단차 추종률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9) 점착 시트의 구체적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일례로서의 구체적 구성을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는, 2장의 박리 시트 (12a, 12b) 와, 이들 2장의 박리 시트 (12a, 12b) 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당해 2장의 박리 시트 (12a, 12b) 에 협지된 점착제층 (11) 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이란, 박리 시트에 있어서 박리성을 갖는 면을 말하며, 박리 처리를 실시한 면 및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박리성을 나타내는 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박리 시트 (12a, 12b) 는, 점착 시트의 사용시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는 것으로, 점착 시트 (점착제층) 를 사용할 때에 박리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 (1) 에 있어서, 박리 시트 (12a, 12b) 의 한쪽 또는 양쪽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박리 시트 (12a, 12b) 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 이들의 가교 필름도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박리 시트 (12a, 12b) 의 박리면 (특히 점착제층 (11) 과 접하는 면) 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는, 예를 들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왁스계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 (12a, 12b) 중, 한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큰 중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고, 다른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작은 경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 (12a, 12b) 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 ∼ 150 ㎛ 정도이다.
(10) 점착 시트의 제조
점착 시트 (1) 의 하나의 제조예로는, 한쪽의 박리 시트 (12a) (또는 12b) 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을 열가교하고, 도포층을 형성한 후, 그 도포층에 다른쪽의 박리 시트 (12b) (또는 12a) 의 박리면을 중첩시킨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도포층이 점착제층 (11) 이 된다. 이로써, 상기 점착 시트 (1) 가 얻어진다. 가열 처리 및 양생의 조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점착 시트 (1) 의 다른 제조예로는, 한쪽의 박리 시트 (12a) 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을 열가교하고, 도포층을 형성하여, 도포층 부착 박리 시트 (12a) 를 얻는다. 또, 다른쪽의 박리 시트 (12b) 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점착성 조성물 (P) 을 열가교하고, 도포층을 형성하여, 도포층 부착 박리 시트 (12b) 를 얻는다. 그리고, 도포층 부착 박리 시트 (12a) 와 도포층 부착 박리 시트 (12b) 를, 양도포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한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의 적층된 도포층이 점착제층 (11) 이 된다. 이로써, 상기 점착 시트 (1) 가 얻어진다. 이 제조예에 의하면, 점착제층 (11) 이 두꺼운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 (P) 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2) 는, 적어도 첩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 와,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 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및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 (11)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체 (2) 에서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는, 점착제층 (11) 측의 면에 단차를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쇄층 (3) 에 의한 단차를 갖고 있다.
상기 표시체 (2)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11) 은, 전술한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11) 이다.
표시체 (2) 로는, 예를 들어, 액정 (LCD)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고,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또, 표시체 (2) 로는, 이들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여도 된다.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는, 유리판, 플라스틱판 등 외에, 이들을 포함하는 적층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쇄층 (3) 은,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11) 측에, 액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유리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학 강화 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소다 라임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납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붕규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1 ∼ 5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0.2 ∼ 2 mm 이다.
상기 플라스틱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2 ∼ 5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0.4 ∼ 3 mm 이다.
또한, 상기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각종 기능층 (투명 도전막, 금속층, 실리카층, 하드 코트층, 방현층 등)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광학 부재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 투명 도전막 및 금속층은,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에 첩부되어야 할 광학 부재, 표시체 모듈 (예를 들어, 액정 (LCD) 모듈, 발광 다이오드 (LED) 모듈,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모듈 등), 표시체 모듈의 일부로서의 광학 부재, 또는 표시체 모듈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부재로는, 예를 들어, 비산 방지 필름, 편광판 (편광 필름), 편광자, 위상차판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콘트라스트 향상 필름, 액정 폴리머 필름, 확산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비산 방지 필름으로는, 기재 필름의 편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 등이 예시된다.
인쇄층 (3) 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쇄용의 공지된 재료가 사용된다. 인쇄층 (3) 의 두께, 즉 단차의 높이는, 3 ∼ 4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 3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 ∼ 2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20 ㎛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체 (2) 를 제조하려면, 일례로서, 점착 시트 (1) 의 한쪽의 박리 시트 (12a) 를 박리하고, 점착 시트 (1) 의 노출된 점착제층 (11) 을,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의 인쇄층 (3) 이 존재하는 쪽의 면에 첩합한다. 그 후, 점착 시트 (1) 의 점착제층 (11) 으로부터 다른쪽의 박리 시트 (12b) 를 박리하고, 점착 시트 (1) 의 노출된 점착제층 (11) 과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를 첩합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및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의 첩합 순서를 바꿔도 된다.
이상의 표시체 (2) 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습열 조건하 (예를 들어, 80 ℃, 85 % RH) 에 놓여,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및/또는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점착제층 (11) 이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이기 때문에, 점착제층 (11) 과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및/또는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의 계면에 있어서 기포, 들뜸, 벗겨짐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표시체 (2) 의 점착제층 (11) 은, 매우 우수한 자외선 흡수능을 갖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한, 표시체 (2) 에 대하여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측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 당해 자외선은 점착제층 (11) 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도 자외선의 악영향을 잘 받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가, 기재 필름의 편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인 경우, 자외선에 의해 하드 코트층이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 (11) 은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시체 (2) 가, 예를 들어 습열 조건하 (예를 들어, 80 ℃, 85 % RH) 에 놓인 경우에도, 단차 근방에 기포, 들뜸, 벗겨짐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 (1) 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 (12a, 12b) 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생략되어도 되고, 또, 박리 시트 (12a 및/또는 12b) 대신에 원하는 광학 부재가 적층되어도 된다. 또,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는, 인쇄층 (3) 이외의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1) 뿐만 아니라,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22) 도 점착제층 (11) 측에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의 조제
아크릴산n-부틸 60 질량부, 아크릴산메틸 20 질량부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20 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60만이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상기 공정 1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100 질량부 (고형분 환산치; 이하 동일) 와, 열가교제 (B) 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토요켐사 제조, 제품명 「BHS8515」) 0.23 질량부와, 자외선 흡수제 (C) (벤조페논계) 로서의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니혼 사이테크 인더스트리즈사 제조, 제품명 「사이아소브 UV24」) 1.7 질량부 (1.7 질량%) 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5 질량% 의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3. 점착 시트의 제조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중박리형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제품명 「SP-PET752150」) 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도포층에 대하여, 90 ℃ 에서 1 분간 가열 처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어진 중박리형 박리 시트 상의 도포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경박리형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제품명 「SP-PET382120」) 를, 당해 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에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23 ℃, 50 % RH 의 조건하에서 7 일간 양생함으로써, 중박리형 박리 시트/점착제층 (두께 : 50 ㎛)/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는, JIS K7130 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 (테클록사 제조, 제품명 「PG-02」) 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2]
아크릴산2-에틸헥실 60 질량부, 메타크릴산메틸 20 질량부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20 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70만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사용하고, 고형분 농도를 4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 흡수제 (C) 의 배합량을 3.1 질량부 (3.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자외선 흡수제 (C) (벤조트리아졸계 (1)) 로서, 옥틸-3-[3-t-부틸-4-하이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2-에틸헥실-3-[3-t-부틸-4-하이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혼합물 (EVERLIGHT CHEMICAL INDUSTRIAL CORP. 사 제조, 제품명 「EVERSORB 109」) 을 사용하고, 그 배합량을 2.0 질량부 (2.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자외선 흡수제 (C) 의 배합량을 7.5 질량부 (7.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자외선 흡수제 (C) 의 배합량을 0.6 질량부 (0.6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였다. 또,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175 ㎛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당해 점착제층은,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점착제층을 3층 적층한 것이다.
[실시예 7]
자외선 흡수제 (C) (트리아진계) 로서 2,4-비스[2-하이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BASF 사 제조, 제품명 「TINUBIN 460」) 을 사용하고, 그 배합량을 3.1 질량부 (3.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자외선 흡수제 (C) 의 배합량을 6.4 질량부 (6.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자외선 흡수제 (C) (벤조트리아졸계 (2)) 로서 2-(2-하이드록시-5-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BASF 사 제조, 제품명 「TINUVIN PS」) 을 사용하고, 그 배합량을 3.1 질량부 (3.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자외선 흡수제 (C) 를 배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 (열가교 타입) 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1.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의 조제
아크릴산2-에틸헥실 60 질량부, 아크릴산이소보르닐 30 질량부 및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10 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조제하였다. 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 (Mw) 3만이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상기 공정 1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100 질량부와, 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의 아크릴산이소보르닐 60 질량부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 60 질량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BASF 사 제조, 제품명 「루시린 TPO」) 0.88 질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고형분 농도 100 질량% 의 점착성 조성물 (자외선 경화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3. 점착 시트의 제조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중박리형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제품명 「SP-PET752150」) 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도포층측으로부터 조도 100 mW/cm2, 광량 50 mJ/c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어진 중박리형 박리 시트 상의 도포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경박리형 박리 시트 (린텍사 제조, 제품명 「SP-PET382120」) 를, 당해 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에 접촉하도록 첩합하였다. 그 후, 경박리형 박리 시트측으로부터 조도 300 mW/cm2, 광량 1000 mJ/cm2 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중박리형 박리 시트/점착제층 (두께 : 175 ㎛)/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 에 있어서의 점착성 조성물에 실시예 4 와 동일한 자외선 흡수제 (C) (벤조트리아졸계 (1)) 를 0.6 질량부 (0.6 질량%) 배합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자외선 경화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자외선 흡수제 (C) 의 배합량을 6.4 질량부 (6.0 질량%)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성 조성물 (열가교 타입) 의 도포 용액을 조제하고,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전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 (GPC 측정) 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GPC 측정 장치 : 토소사 제조, HLC-8020
·GPC 칼럼 (이하의 순으로 통과) : 토소사 제조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 (×2)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측정 온도 : 40 ℃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 를,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호모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 (Tg) 에 기초하여, FOX 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시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한 점착제층 (점착성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 (C) 의 함유량을 X 질량%, 점착제층의 두께를 Y ㎛ 로 했을 때의, X × Y 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시험예 3] (헤이즈치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JIS K7361-1 : 1997 에 준하여, 헤이즈미터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2000」) 를 사용하여 헤이즈치 (%) 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시험예 4] (투과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분광 광도계 (SHIMADZU 사 제조, 제품명 「UV-VIS-NIR SPECTROPHOTOMETER UV-3600」) 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고,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 (%) 을 추출하였다. 측정에는, 부속된 대형 시료실 MPC-3100 을 사용하고, 내장된 적분구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시험예 5] (투과 색상 b* 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동시 측광 분광식 색도계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 제품명 「SQ2000」) 를 사용하여, CIE1976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투과 색상 b* 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시험예 6] (내후성의 평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00 질량부에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ASF 사 제조, 상품명 「Irgacure 184」) 3 질량부를 첨가하고, 톨루엔에 의해 고형분 농도 30 질량% 로 희석함으로써,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포액을, 기재 필름으로서의, 편면에 용이 접착제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토요 방적사 제조, 상품명 「A4300」, 두께 100 ㎛) 의 용이 접착층 상에 도포하고, 70 ℃ 의 오븐에서 1 분간 건조시킨 후, 고압 수은 램프로 광량 300 mJ/cm2 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이로써, 기재 필름 상에 두께 5 ㎛ 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상기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측에 첩부하였다. 계속해서, 그 점착제층으로부터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유리판 (NSG 프레시전사 제조, 제품명 「코닝 유리 이글 XG」, 두께 0.7 mm) 에 첩부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리판/점착제층/기재 필름/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평가용 샘플로 하였다.
상기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자외선 페이드미터 (스가 시험기사 제조, 제품명 「자외선 페이드미터 U48」) 를 사용하여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유리판측으로부터 자외선을 200 시간 조사하였다. 조사한 자외선의 조도는 500 W/m2 (300 ∼ 700 nm) 이고, 광량은 360 MJ/m2 였다.
내후성 시험 종료 후, 평가용 샘플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점착제층의 외관 변화 및 하드 코트층의 벗겨짐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 육안 관찰 후,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드 코트층에 가로세로 5 칸이 되도록 1 cm2 의 크로스컷을 형성한 후, 당해 하드 코트층에 니치반사 제조의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고, 당해 테이프를 박리했을 때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의 기재 필름으로부터의 벗겨짐을 확인하였다. 1 개소라도 벗겨짐이 확인된 경우에는, 밀착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상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 … 육안 관찰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외관 변화 및 하드 코트층의 벗겨짐이 전혀 없고, 밀착성 시험에서도 문제 없었다.
○ … 육안 관찰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외관 변화는 없지만, 밀착성 시험에서 하드 코트층의 밀착 불량이 확인되었다.
× … 육안 관찰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외관 변화 또는 하드 코트층의 벗겨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4 의 점착 시트에 대해서는, 헤이즈가 현저하게 상승하여, 광학 용도에는 부적격한 것이었기 때문에, 내후성의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시험예 7] (내블리스터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편면에 주석 도프 산화인듐 (ITO) 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오이케 공업사 제조, ITO 필름, 두께 : 125 ㎛) 의 투명 도전막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로 이루어지는 아크릴판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 제품명 「유피론·시트 MR200」, 두께 : 1 mm) 사이에 끼워,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50 ℃, 0.5 MPa 의 조건하에서 30 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후, 상압, 23 ℃, 50 % RH 에서 24 시간 방치하였다. 계속해서, 85 ℃, 85 % RH 의 습열 조건하에서 72 시간 보관하였다. 그 후, 점착제층과 피착체의 계면에 기포, 들뜸 또는 벗겨짐이 없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 내블리스터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 … 기포, 들뜸 및 벗겨짐이 전혀 없었다.
○ … 직경 0.1 mm 이하의 기포만이 발생하였다.
× … 직경 0.1 mm 초과의 기포, 들뜸 또는 벗겨짐이 발생하였다.
[시험예 8] (단차 추종률의 측정)
유리판 (NSG 프레시전사 제조, 제품명 「코닝 유리 이글 XG」, 세로 90 mm × 가로 50 mm × 두께 0.5 mm) 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 (테이코쿠 잉크사 제조, 제품명 「POS-911 묵(墨)」) 를 도포 두께가 5 ㎛, 10 ㎛, 15 ㎛ 및 20 ㎛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액자형 (외형 : 세로 90 mm × 가로 50 mm, 폭 5 mm) 으로 스크린 인쇄하였다. 계속해서, 자외선을 조사 (80 W/cm2, 메탈 할라이드 램프 2등(燈), 램프 높이 15 cm, 벨트 스피드 10 ∼ 15 m/분) 하여, 인쇄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켜, 인쇄에 의한 단차 (단차의 높이 : 5 ㎛, 10 ㎛, 15 ㎛ 및 20 ㎛ 중 어느 하나) 를 갖는 단차 형성 유리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경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을, 용이 접착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토요보사 제조, 제품명 「PET A4300」, 두께 : 100 ㎛) 의 용이 접착층에 첩합하였다. 계속해서, 중박리형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표출시켰다. 그리고, 라미네이터 (후지플라사 제조, 제품명 「LPD3214」) 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이 액자형의 인쇄 전체면을 덮도록 상기 적층체를 각 단차 형성 유리판에 라미네이트하고, 이것을 평가용 샘플로 하였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50 ℃, 0.5 MPa 의 조건하에서 30 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후, 상압, 23 ℃, 50 % RH 에서 24 시간 방치하였다. 계속해서, 85 ℃, 85 % RH 의 습열 조건하에서 72 시간 보관하고 (내구 시험), 그 후, 단차 추종성을 평가하였다. 단차 추종성은, 점착제층에 의해 인쇄 단차가 완전하게 매립되어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고, 인쇄 단차와 점착제층의 계면에서 간극이나 기포 등이 관찰된 경우에는, 인쇄 단차에 추종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는, 단차 추종성은, 하기의 식으로 나타내는 단차 추종률 (%) 로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단차 추종률 (%) ={(내구 시험 후, 간극이나 기포 없이 매립된 상태가 유지된 단차의 높이 (㎛))/(점착제층의 두께 : 50 ㎛)}× 100
Figure 112016029915546-pat00001
표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은, 헤이즈치 및 투과 색상 b* 가 표시체 용도로서 바람직한 것이고, 또, 자외선에 대한 내후성, 내블리스터성 및 단차 추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단차를 갖는 보호판과, 원하는 표시체 구성 부재 (예를 들어, 하드 코트 필름) 의 첩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점착 시트
11 : 점착제층
12a, 12b : 박리 시트
2 : 표시체
21 :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2 :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3 : 인쇄층

Claims (8)

  1. 적어도 첩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와,
    열가교제 (B) 와,
    자외선 흡수제 (C)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 (C) 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헤이즈치가, 2 %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파장 360 nm 의 광선 투과율이,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 (A)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50 ∼ 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 (C) 의 함유량을 X 질량%,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Y ㎛ 로 했을 때에, 이하의 식 (I) 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0 ≤ X × Y ≤ 500 … (I)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CIE1976L*a*b* 표색계에 의해 규정되는 투과 색상 b* 는, -2.0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단차 추종률은, 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2장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2장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8. 적어도 첩합되는 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점착제층
    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KR1020160037376A 2015-03-31 2016-03-29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458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2293A JP6498991B2 (ja) 2015-03-31 2015-03-31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JP-P-2015-072293 201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273A KR20160117273A (ko) 2016-10-10
KR102458386B1 true KR102458386B1 (ko) 2022-10-24

Family

ID=5708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76A KR102458386B1 (ko) 2015-03-31 2016-03-29 점착 시트 및 표시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98991B2 (ko)
KR (1) KR102458386B1 (ko)
CN (1) CN106010326A (ko)
TW (1) TWI6682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2246B2 (ja) * 2017-06-22 2021-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WO2019004764A1 (ko) * 2017-06-30 2019-01-03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92802B1 (ko) * 2017-06-30 2022-05-03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744850B2 (ja) * 2017-08-30 2020-08-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体、ならびに光学用粘着シート
KR102009148B1 (ko) * 2017-09-01 2019-08-12 주식회사 엘엠에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점착 시트,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076217B2 (ja) * 2018-01-30 2022-05-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166762B2 (ja) * 2018-01-30 2022-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7184528B2 (ja) * 2018-03-22 2022-12-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JP7198009B2 (ja) * 2018-07-11 2022-12-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KR102188402B1 (ko) * 2018-11-23 2020-12-08 주식회사 엘엠에스 접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소재
CN116355548A (zh) * 2019-03-29 2023-06-30 琳得科株式会社 着色粘着片及显示体
JP6906560B2 (ja) * 2019-04-03 2021-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6937338B2 (ja) * 2019-05-27 2021-09-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粘着シート
CN113322028B (zh) * 2021-06-10 2022-11-29 太湖金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uv的oca光学胶及其制备方法
JP2023152161A (ja) * 2022-04-01 2023-10-16 株式会社ダイセル 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調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8073A (ja) 2008-10-15 2010-04-30 Gunze Ltd 電磁波シ−ルド材及びそれを装着してな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12207055A (ja) * 2011-03-29 2012-10-25 Lintec Corp 光学用箔状粘着剤および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3256559A (ja) 2012-06-11 2013-12-26 Soken Chem & Eng Co Ltd 粘着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2895B2 (ja) * 2002-12-05 2010-02-10 株式会社日本触媒 感圧接着剤組成物
KR101177912B1 (ko) * 2005-11-03 2012-08-2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신뢰성과 자외선 흡수성을 구비한 감압성 접착제조성물
US20090155601A1 (en) * 2007-12-12 2009-06-18 Lavature Adalbert E Ultraviolet protective material
CN102667895A (zh) * 2010-09-06 2012-09-12 三菱树脂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构成用叠层体的制造方法、以及使用该叠层体构成的图像显示装置
JP5952013B2 (ja) * 2011-03-23 2016-07-13 三菱樹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45393B2 (ja) * 2011-09-30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071231B2 (ja) * 2012-03-30 2017-02-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955076B2 (ja) * 2012-04-25 2016-07-20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5904860B2 (ja) * 2012-04-26 2016-04-20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6301123B2 (ja) * 2012-12-14 2018-03-28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6230256B2 (ja) * 2013-04-09 2017-11-1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6325778B2 (ja) * 2013-06-28 2018-05-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325777B2 (ja) * 2013-06-28 2018-05-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8073A (ja) 2008-10-15 2010-04-30 Gunze Ltd 電磁波シ−ルド材及びそれを装着してな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12207055A (ja) * 2011-03-29 2012-10-25 Lintec Corp 光学用箔状粘着剤および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3256559A (ja) 2012-06-11 2013-12-26 Soken Chem & Eng Co Ltd 粘着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10326A (zh) 2016-10-12
TW201700672A (zh) 2017-01-01
TWI668292B (zh) 2019-08-11
JP6498991B2 (ja) 2019-04-10
JP2016190972A (ja) 2016-11-10
KR20160117273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386B1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6389198B2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789350B1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102534514B1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표시체의 제조 방법
WO2015132888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7132702B2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CN108690519B (zh) 压敏粘合性组合物、压敏粘合剂、压敏粘合片及显示体
JP717038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734099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積層体
KR102215672B1 (ko) 양면 점착 시트
WO2015155844A1 (ja)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2020007500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CN110295013B (zh) 直接接合膜、显示体及显示体的制造方法
CN109971411B (zh) 粘着剂、粘着片及显示体
KR102427087B1 (ko)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102593547B1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6145568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8172536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6500077B2 (ja) 積層体
JP2019010885A (ja) 表示体
KR20230158465A (ko) 점착 시트 및 구성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