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956B1 - 제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956B1
KR102456956B1 KR1020200184909A KR20200184909A KR102456956B1 KR 102456956 B1 KR102456956 B1 KR 102456956B1 KR 1020200184909 A KR1020200184909 A KR 1020200184909A KR 20200184909 A KR20200184909 A KR 20200184909A KR 102456956 B1 KR102456956 B1 KR 10245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regeneration
reaction unit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818A (ko
Inventor
이현욱
김일호
조남웅
정민화
조병철
한영규
박상준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0018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9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은 내부에 제습공간을 포함하는 제습 하우징, 상기 제습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제습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흡습하는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기 반응부에 흡입된 습기를 탈습하여 상기 반응부를 재생시키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반응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 및 상기 급기부에 의해 상기 반응부에 공급되어 상기 반응부와 반응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 시스템{DEHUMIDIFICATION SYSTEM}
아래의 설명은 제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장 작업, 전지 제조, 반도체 제조 및 석유 화학 공정 등의 공정은 습도 및 오염물질에 대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공정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공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기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최적의 공정 환경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공정 공간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습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제습 시스템은 제습방식에 따라 냉각식, 압축식 및 흡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이때, 냉각식 제습방식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에 의해 비용이 증가하며, 소음 및 공간소모가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압축식 제습방식은 과도한 동력이 요구되어 특수한 용도에만 사용된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냉각식 및 압축식 제습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흡착식 제습방식이 다양하게 사용되는 실정이다.
흡착식 제습방식이란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제습제가 충진된 제습로터의 회전에 의해,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기가 제습제에 흡착됨으로써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통상적인 흡착식 제습방식은 건조대상인 처리 공기의 습기를 제습로터가 흡입하는 제습과정과, 제습과정을 통해 흡습된 제습제를 건조 및 탈습하여 제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과정을 포함한다. 제습로터는 재생과정을 통해 제습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된 재생공기를 제습로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제습로터를 재생시키는 방법이 활용된다.
다만, 제습로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공기의 가열온도는 통상 140도 이상까지 가열되어야 하므로, 재생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당히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재생공기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여 제습 시스템에 공급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습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목적은, 공기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제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목적은, 재생된 반응부의 열을 회수하여 반응부의 재생 과정에 재사용하는 제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목적은, 제습공정과 재생공정을 일체의 배관과 장치로 통해 수행되는 제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은, 내부에 제습공간을 포함하는 제습 하우징, 상기 제습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제습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흡습하는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기 반응부에 흡입된 습기를 탈습하여 상기 반응부를 재생시키는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는, 상기 반응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 및 상기 급기부에 의해 상기 반응부에 공급되어 상기 반응부와 반응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부는 상기 반응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반응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판과 상기 급기판에 공기를 주입하는 급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반응부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반응부에 공급된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판과 상기 배기판이 흡입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판이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배출관 및 상기 배기판이 흡입한 공기를 상기 급기부로 재유동시키는 재생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부는, 상기 제습 하우징 내부 공기의 습기를 흡입하는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배출관은 상기 제습제에 공급되어 상기 제습제를 탈습 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재생관은 상기 냉각부의 냉각과정에서 회수한 열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부로 재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배출관 및 재생관은 서로 공간이 분리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생관은 상기 재생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의 회전 운동 및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에 따르면, 재생된 반응부의 열을 회수하여 반응부의 재생 과정에 재사용함으로써 재생공기의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에 따르면, 제습공정과 재생공정을 일체의 배관과 장치로 통해 수행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공급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공정배관계장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공정배관계장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습 시스템(1)은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습시스템은 제습 및 재생 공정을 반복하여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습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습 시스템(1)은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공정 공간에 제공함으로써, 공정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은 건조한 환경이 요구되는 도장 작업, 전지 제조, 반도체, LCD제조 및 석유 화학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 시스템(1)은 흡기덕트(10), 제습 하우징(11), 반응부(12), 재생부(13), 배기덕트(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덕트(10)는 제습 시스템(1)의 전단에 구비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흡기덕트(10)는 흡기팬으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제습 하우징(11) 내부로 유동시키는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습 하우징(11)은 내부에 제습공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 하우징(11)은 흡기덕트(10)와 연결되어, 흡기덕트(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습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습공간(110)으로 유입된 공기의 습기는 제거될 수 있다.
반응부(12)는 제습공간(110) 내부에 위치하여 제습공간(110)에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흡습할 수 있다. 공기의 습기를 흡습한 반응부(12)는 후술하는 재생부(13)에 의해 탈습되어, 다시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응부(12)는 흡습 및 탈습 과정을 반복하여 제습공간(110)에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반응부(12)는 몸체(120), 복수의 격벽(121), 제습제(122) 및 냉각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20)는 각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 및 각기둥 형상의 몸체(120)의 상면 및 하면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몸체는 제습공간(1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1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습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수용공간을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격벽(121)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복수의 격벽(121)에 의해 분할된 영역은 각각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복수의 격벽(121)은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제(122)는 복수의 분할영역 내부에 위치하여 제습 하우징(11) 내부 공기의 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제습제(122)는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습제(122)는 하니컴 구조(honeycomb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습제(122)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습기를 흡습하는 모든 재료가 가능할 수 있다.
냉각부는 제습제(1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냉각부는 열교환 현상을 통해 고온의 제습제(1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재생부(13)는 공기의 습기를 흡습한 제습제(122)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고, 고온 건조한 공기와 접촉한 제습제(122)는 탈습되어 고온 건조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냉각부는 재생과정을 마친 제습제(122)의 열을 회수하여 제습제(122)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재생부(13)는 반응부(12)에 흡입된 습기를 탈습하여 반응부(12)를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13)는 복수의 분할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도록 반응부(12)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재생부(13)는 일정각도 회전한 후 복수의 분할영역의 상면 및 하면을 밀폐하고, 밀폐된 분할영역의 내부에 위치한 제습제(122)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제습제(122)를 재생시킬 수 있다.
재생부(13)는 급기부(130), 배기부(131) 및 재생덕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부(130)는 반응부(12)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급기부(130)는 반응부(12)의 일측에 위치하여 반응부(12)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판(1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판(1300)은 복수의 분할영역 중 일부 분할영역을 밀폐하도록 일부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판(1300)은 병진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고 회전할 수 있다. 급기판(13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상의 일정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기판(13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급기판(13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의 급기판(1300)이 120도 각도를 이루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급기부(130)는 급기판(1300)과 연결되어 급기판(1300)에 공기를 주입하는 급기관(1301)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판(1300)의 일면에 반응부(12)가 접촉하고, 급기판(1300)의 타면에 급기관(1301)이 연결될 수 있다. 급기관(1301)은 급기판(1300)과 같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배기부(131)는 급기부(130)에 의해 반응부(12)에 공급되어 반응부(12)와 반응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배기부(131)는 반응부(12)의 타측에 위치하여 반응부(12)에 공급된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판(13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판(1310)은 급기판(1300)과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를 가지며 반응부(12)를 중심으로 급기판(1300)에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배기판(1310)은 복수의 분할영역 중 일부영역을 밀폐하도록 일부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판(1310)은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배기부(131)는 배기판(1310)이 흡입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관(1311)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1311)은 외부배출관(1311a) 및 재생관(1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배출관(1311a)은 배기판(1310)이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배출관(1311a)은 제습 시스템(1)의 외부와 연통되어 배기판(1310)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배출관(1311a)은 제습제(122)에 공급되어 제습제(122)를 탈습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제(122)가 제습 하우징(11) 내부 공기의 습기를 흡습하고, 급기부(130)에 의해 주입된 공기는 흡습한 제습제(122)를 거치면서 다습한 공기로 변환될 수 있다. 제습제(122)를 거친 다습한 공기는 외부배출관(1311a)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재생관(1311b)은 배기판(1310)이 흡입한 공기를 급기부(130)로 재유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관(1311b)은 냉각부의 냉각과정에서 회수한 열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급기부(130)로 재유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부(130)에 의해 주입된 공기로 인해 탈습된 제습제(122)는 고온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냉각부는 열교환 현상을 이용하여 탈습된 제습제(122)의 열을 회수할 수 있고, 냉각부에 의해 회수한 열을 포함한 공기는 재생관(1311b)을 따라 후술하는 재생덕트(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재생덕트(미도시)는 급기부(130)와 연결되므로, 열을 포함한 공기는 재생덕트(미도시)를 지나 급기부(130)로 재유동될 수 있다.
또한, 재생관(1311b)은 제습공간(110)에서 제습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회수하여 급기부(130)로 재유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습공간(110)에 유입되어 반응부(12)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고온 상태이고, 재생관(1311b)은 고온 상태의 제습된 공기 중 일부를 회수하여 급기부(130)로 재유동시킬 수 있다.
재생관(1311b)은 재생부(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재생관(1311b)은 고정 또는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 환경 및 설치 구조적 조건에 따라 재생관(1311b)을 회전시킴으로써,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외부배출관(1311a) 및 재생관(1311b)은 서로 공간이 분리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외부배출관(1311a)과 재생관(1311b) 내부의 유로는 서로 연통되지 않은 별개의 공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재생 공정과 냉각 공정은 별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재생 공정이 수행되면서 외부배출관(1311a)을 통해 고온 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냉각 공정이 수행되면서 재생관(1311b)을 통해 고온 건조한 공기가 재생덕트(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재생덕트(미도시)는 급기부(13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덕트(미도시)는 공기를 가열하여 제습 공정을 위한 공기를 급기부(130)에 주입할 수 있다. 재생덕트(미도시)는 재생관(1311b)과 연결되어 재생관(1311b)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재생덕트(미도시)는 제습 하우징(11)에서 제습 공정을 거쳐 건조해진 공기를 활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재생덕트(미도시)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 공정을 위한 공기로 활용할 수 있다.
배기덕트(14)의 일측은 외부배출관(1311a)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습 시스템(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덕트(14)는 내부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고, 배기팬을 통해 배기덕트(14)는 제습 공정을 마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재생부(13)의 회전 운동 및 상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재생부(13)가 반응부(12)의 둘레를 따라 주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일부 분할영역에서 급기판(1300) 및 배기판(131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1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재생관(1311b)의 열 회수 정도에 따라 재생덕트(미도시)의 가열 공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5)의 기능에 따르면, 제습 시스템(1)은 제습을 위한 반응부(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량인 급기부(130) 및 배기부(131)를 회전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설비를 간소화시키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습 시스템(1)은 열 회수 정도에 따라 재생덕트(미도시)의 가열 공정을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한 가열공정을 줄여 시스템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5)는 재생부(13)를 고정한 상태에서, 재생부(13)의 둘레를 따라 반응부(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5)는 흡기덕트(10)의 흡기팬의 흡기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5)는 흡기팬의 회전 동작을 조절하여 흡기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배기덕트(14)의 배기팬의 배기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5)는 배기팬의 회전 동작을 조절하여 배기팬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재생덕트(미도시)의 가열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재생덕트(미도시)의 가열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반응부(12)를 재생시키는 재생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제습 시스템
10: 흡기덕트
11: 제습 하우징
12: 반응부
13: 재생부
14: 배기덕트
15: 제어부
110: 제습공간
120: 프레임
121: 격벽
122: 제습제
130: 급기부
131: 배기부
1300: 급기판
1301: 급기관
1310: 배기판
1311: 배기관
1311a: 외부배출관
1311b: 재생관

Claims (8)

  1. 내부에 제습공간을 포함하는 제습 하우징;
    상기 제습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제습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습기를 흡습하는 반응부; 및
    상기 반응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반응부와 반응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부에 흡입된 습기를 탈습하여 상기 반응부를 재생시키는 재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재생부가 상기 반응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회전하거나, 상기 재생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반응부가 상기 재생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기 급기부는,
    상기 반응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고 회전 가능한 급기판과,
    상기 급기판에 공기를 주입하는 급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반응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급기판과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를 갖고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 가능한 배기판과,
    상기 배기판에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배출관 및 상기 배기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급기관으로 재유동시키며 상기 재생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재생관으로 이루어지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제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상기 제습 하우징 내부 공기의 습기를 흡입하는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제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배출관은 상기 제습제에 공급되어 상기 제습제를 탈습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재생관은 상기 냉각부의 냉각과정에서 회수한 열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급기부로 재유동시키는, 제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배출관 및 상기 재생관은 서로 공간이 분리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제습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의 회전 운동 및 상하 운동 및 상기 반응부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 시스템.

KR1020200184909A 2020-12-28 2020-12-28 제습 시스템 KR10245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09A KR102456956B1 (ko) 2020-12-28 2020-12-28 제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09A KR102456956B1 (ko) 2020-12-28 2020-12-28 제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818A KR20220093818A (ko) 2022-07-05
KR102456956B1 true KR102456956B1 (ko) 2022-10-21

Family

ID=8240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909A KR102456956B1 (ko) 2020-12-28 2020-12-28 제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9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258B2 (ja) * 1995-06-23 2005-0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精製装置
JP2007029864A (ja) * 2005-07-27 2007-02-0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除湿装置及び除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23B1 (ko) * 2017-07-21 2022-06-09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가스 분배판을 이용한 VOCs 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258B2 (ja) * 1995-06-23 2005-0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精製装置
JP2007029864A (ja) * 2005-07-27 2007-02-0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除湿装置及び除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818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855B1 (en) Method of dehumidifying and dehumidifier with heat exchanger having first and second passages and moisture cooling in the second passages
JP2942932B2 (ja) 空気の乾燥方法および装置
KR101340208B1 (ko) 제습 방법 및 제습 장치
JPH01199621A (ja) 低濃度ガス収着機
CN104870907B (zh) 除湿系统
JP2009090979A (ja) 小型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5896429B2 (ja) 再生型圧縮空気乾燥装置及び除湿再生ユニット
KR102456956B1 (ko) 제습 시스템
JP6839235B2 (ja) 除湿システム
JPH05200233A (ja) 乾式除湿装置
KR100467424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
KR102580018B1 (ko) 제습 시스템
KR101672427B1 (ko)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기
KR102360332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제습시스템
JP2009083851A (ja) 小型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2253924A (ja) 除湿デバイスとこの除湿デバイスを使用する除湿装置
JP4565111B2 (ja) 流動層型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4329584B2 (ja) 除湿装置
JP4352139B2 (ja) 小型デシカント空調装置
KR20180032798A (ko) 데시칸트 제습 장치
JP4341410B2 (ja) 調湿装置
KR100467425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
JP2016084982A (ja) 除湿装置
KR101728228B1 (ko)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CN220861950U (zh) 一种烘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