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228B1 -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228B1
KR101728228B1 KR1020150092135A KR20150092135A KR101728228B1 KR 101728228 B1 KR101728228 B1 KR 101728228B1 KR 1020150092135 A KR1020150092135 A KR 1020150092135A KR 20150092135 A KR20150092135 A KR 20150092135A KR 101728228 B1 KR101728228 B1 KR 101728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mpressed air
line
dry ai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122A (ko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2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제를 이용하여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압축 건조공기를 생산하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제 재생공정에서 제습제를 가열하는 히터 없이 제습제를 재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조공기를 생산하기 위한 전력소비량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압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소실되는 압축공기가 없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Heaterless non-purge type compressed air dryer that recycling tank using dried and compressed air in recyling process and compressed air drying method}
본 발명은 제습제를 이용하여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압축 건조공기를 생산하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제 재생공정에서 제습제를 가열하는 히터 없이 제습제를 재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조공기를 생산하기 위한 전력소비량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압축공기를 대기로 배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소실되는 압축공기가 없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각종 자동화 설비, 반도체 제조라인, 도장라인, 수분과 접촉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화학공정 등 넓은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냉동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압축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린 다음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제습시키는 냉동식과, 제습제가 충전된 탱크에 수분이 포함된 습공기를 통과시켜 습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이 제습제에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식으로 구분된다.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제습제의 재생방법에 따라 열원이 필요 없는 비가열식과 열원이 필요한 가열식으로 분류된다. 비가열식은 열원이 필요 없는 만큼 재생공정에 필요한 압축공기의 소모가 많아 에너지 소모가 큰 단점이 있고, 가열식은 열원(히터)에 의해 제습제를 재생하는 만큼 비가열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은 장점이 있다.
상기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제습제가 충전된 두 개의 탱크를 구성하여 한 개의 탱크가 습공기의 제습공정(건조공기 생산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탱크는 재생공정을 거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습공기 제습공정이던 탱크는 재생공정으로 전환되고, 재생공정이던 탱크는 제습공정(건조공기 생산공정)으로 전환된다.
상기 가열에 의한 재생방법으로 구성된 흡착식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제가 충전된 제1탱크(10) 및 제2탱크(20),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여러 밸브, 유로에 설치되어 건조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0), 유로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냉각하는 쿨러(70)로 구성된다.
도 1은 제1탱크(10)가 압축공기 제습공정을 수행하고, 제2탱크(20)는 제습제 재생공정을 거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 굵은 실선은 제1탱크(10)의 압축공기 제습공정에서 공기 흐름을 표시한 것이고, 굵은 점선은 제2탱크(20)의 제습제 재생공정에서 공기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습한 압축공기(WA)가 밸브의 제어(21,24 밸브는 닫힘, 23 밸브는 열림)에 의해 제1탱크(10)의 하부로 공급되면 습한 압축공기(WA)가 제1탱크(10)를 거치며 건조되고, 건조된 압축공기(DA)가 제1탱크(10)의 상부로 배출되어 밸브의 제어(32,33 밸브는 닫힘, 31 밸브는 열림)에 의해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제1탱크(10)가 압축공기 제습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2탱크(20)는 제습제 재생공정을 수행한다. 제습제 재생공정은 가열과정과 냉각과정으로 구분되는데, 도 1은 제2탱크(20)가 가열과정인 상태이고 도 2는 제2탱크(20)가 냉각과정인 상태이다.
블로우어(40)가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고, 히터(50)로 공기를 200~230℃까지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를 밸브의 제어(33,35 밸브는 닫힘, 34 밸브는 열림)에 의해 제2탱크(20)의 상부로 공급한다.
가열된 공기가 제2탱크(20)를 통과하면서 제2탱크(20) 내부의 제습제를 가열하여 재생시킨 후 밸브의 제어(21,24 밸브는 닫힘, 22,37 밸브는 열림)에 의해서 머플러(60)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2탱크(20)의 가열과정이 끝나면 히터(50)가 동작이 멈추고 도 2와 같이, 밸브제어(35 밸브 열림, 36 밸브 닫힘)에 의해 블로우어(4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쿨러(70)로 이송하고, 쿨러(70)에 의해 온도가 내려간 찬 공기가 제2탱크(20)의 하부로 공급되어 제2탱크(20) 상부로 배출되면서 제2탱크(20) 내부의 제습제를 냉각시킨 후 머플러(60)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제2탱크(20)의 제습제 재생공정이 마무리되면 밸브 제어를 통해 제1탱크(10)는 압축공기 제습공정에서 제습제 재생공정으로 전환되고, 제2탱크(20)는 제습제 재생공정에서 압축공기 제습공정으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는 제습제 재생공정에서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한다.
장마철의 대기는 높은 습도를 갖는데 이러한 높은 습도인 공기는 건조한 상태의 공기보다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더욱 많은 열량이 필요하므로 전력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공정 내내 제습제를 가열하고 냉각한 공기를 머플러(60)를 통해 대기로 배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큰 소음이 장시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18297호, "압축 건조공기를 이용한 재생탱크 쿨링형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153호,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일부로 냉각후 쿨러를 거쳐 합류토록 한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152호,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냉각 후 제습탱크로 순환시키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히터 없이 제습제 재생공정을 구성함으로써 전력이 적게 소비되고,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에서 생산된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고, 사용된 건조공기를 압축공기 건조장치로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합류시켜 다시 제습공정을 거쳐 건조공기를 생산함으로써 소실되는 압축공기가 없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방법은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어 유입라인(103)을 유동하는 습공기가 두 개의 탱크 중 어느 한 탱크를 통과하며 건조된 후 배출라인(104)을 유동하여 토출구(102)로 배출되는 제습공정; 상기 제습공정을 통해 생산되어 배출라인(104)을 유동하는 건조공기 중 일부가 블로우어(130)로 흡입 승압되어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을 따라 제습제가 충전된 다른 탱크로 공급되어 다른 탱크 내부의 제습제를 재생시킨 후, 습공기 리턴라인(106)을 따라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습공기와 합류되어 재차 상기 제습공정을 거치도록 구성된 재생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는 제1쿨러(140)가 설치됨으로써, 블로우어(130)의 건조공기 승압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축열을 상기 제1쿨러(140)가 냉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2쿨러(150)가 설치됨으로써, 재생공정에 사용된 습공기를 냉각시켜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2쿨러(150)를 통해 응축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세퍼레이터(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느 한 탱크와 다른 탱크는 3~10분을 주기로 제습공정에서 재생공정으로, 재생공정에서 제습공정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유입구(101)를 통해 압축공기 건조장치로 흡입된 습공기가 유동하는 유입라인(103);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습공기가 건조된 건조공기가 토출구(102)로 유동하는 배출라인(104); 상기 유입라인(103)과 배출라인(104)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제1탱크(110) 및 제2탱크(120); 일 측단은 상기 배출라인(104)과 연결되고, 타 측단은 밸브의 제어에 의해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와 연통되는 건조공기 흡입라인(105); 상기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설치되어 배출라인(104)을 유동하는 건조공기를 흡입 승압시켜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로 공급하는 블로우어(130); 일 측단은 벨브의 제어에 의해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와 연통되고 타 측단은 상기 유입라인(103)과 연결됨으로써,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을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로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의 제습제를 건조시킨 압축공기를 유입라인(103)으로 리턴시키는 습공기 리턴라인(106); 압축공기의 유동을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로 방향 전환시키는 밸브(201 내지 20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는 블로우어(130)의 승압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공기의 압축열을 냉각하는 제1쿨러(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습제의 수분을 흡착한 습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시키는 제2쿨러(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2쿨러(150)를 통해 응축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세퍼레이터(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는 히터 구성없이 재생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공기를 생산하는 전력이 적게 소비되고,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에서 생산되어 토출구로 배출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고, 재생공정에서 사용된 압축공기를 다시 유입구로부터 압축공기 건조장치로 흡입된 습공기에 합류시켜 재차 건조시켜 사용하므로 압축공기의 소실이 없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으므로 배출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압축공기 유동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압축공기 유동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함,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히터리스(Heaterless) 논퍼징(Non-purging)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습공기를 압축공기 건조장치로 흡입하는 유입구(101)와, 압축공기 건조장치에서 생산된 건조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102)와, 내부에 제습제가 충전되어 상기 유입구(101)와 토출구(102)를 연결하는 라인에 병렬로 설치된 제1탱크(110) 및 제2탱크(120)와, 압축공기의 유동을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로 방향전환하는 밸브(201 내지 208)와, 토출구(102)로 배출되는 건조공기 일부를 흡입 승압하여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로 공급하는 블로우어(130)와, 상기 블로우어(130)에서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제1쿨러(140)와, 재생공정에 사용된 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응축시키는 제2쿨러(150) 및 응축되어 압축공기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세퍼레이터(160)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201 내지 208)들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개폐가 자동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제습제가 충전된 제1탱크(110)와 제2탱크(120) 중 어느 한 탱크가 습공기를 건조하는 제습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탱크는 습기를 머금은 제습제를 건조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수행한다.
도 4는 제1탱크(110)가 제습공정을 수행하고, 제2탱크(120)가 재생공정을 수행하는 상태에서의 압축공기 건조장치 내부의 압축공기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굵은 실선은 제습공정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표시한 선이고, 굵은 점선은 재생공정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표시한 선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탱크(110)가 제습공정이고, 제2탱크(120)가 재생공정인 상태에서는 외부의 습공기가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라인(103)을 따라 압축공기 건조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 밸브의 제어(201 밸브 열림, 202,203 밸브는 닫힘)에 의해 제1탱크(110) 하부로 공급되어 제1탱크(110) 내부에 충전된 제습제를 지나 상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1탱크(110)의 제습제에 흡착되어 건조공기가 된다.
제1탱크(110) 상부로 배출된 건조공기는 밸브의 제어(207 밸브 열림, 205,208 밸브 닫힘)에 의해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배출라인(104)을 통해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토출구(10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104)에서 분기된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설치된 블로우어(130)가 배출라인(104)을 따라 토출구(102)로 유동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흡입 승압하여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을 따라 건조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때, 블로우어(130)에서 건조공기를 흡입하여 승압시키는 과정에서 건조공기에서 압축열이 발생하는데, 블로우어(130) 이후에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제1쿨러(140)를 설치하여 건조공기의 압축열을 냉각시켜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유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쿨러(140)에 의해 냉각된 건조공기는 밸브의 제어(206 밸브 열림, 205,208 밸브 닫힘)에 의해 재생공정 중인 제2탱크(120) 상부로 공급되어 제2탱크(120) 하부로 유동한다.
건조공기가 제2탱크(120)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건조공기가 제2탱크(120) 내부의 제습제를 건조 재생시킨다.
제2탱크(120) 하부로 배출된 습공기(제2탱크의 제습제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건조공기가 습공기로 바뀜)는 밸브의 제어(204 밸브 열림, 202,203 밸브 닫힘)에 의해 습공기 리턴라인(106)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은 압축공기 건조장치 내부로 외부의 습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라인(103)과 합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습공기 리턴라인(106)을 유동한 습공기가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라인(103)을 유동하는 외부 습공기와 합류된다.
이때,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 제2쿨러(150)와 세퍼레이터(160)를 설치함으로써 제2쿨러(150)가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고, 응축된 수분을 세퍼레이터(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탱크(110)의 제습공정 러닝타임과, 제2탱크(120)의 재생공정 러닝타임을 3~10분으로 설정하여 제1탱크(110)의 제습공정과 제2탱크(120)의 재생공정을 3~10분간 운용한 후에 제1탱크(110)는 제습공정에서 재생공정으로 전환되고, 제2탱크(120)는 재생공정에서 제습공정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히터리스 타입(Heaterless type)으로서, 재생공정일 때 제습제를 히터로 가열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러닝타임을 10분 이상으로 운용하면 재생공정인 탱크의 제습제 내부에 수분이 깊숙하게 흡착되고 수분이 내부 깊숙하게 흡착된 제습제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제습제를 가열하여야 하므로 러닝타임을 3~10분으로 설정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10분 동안 제습공정을 운용하면 습공기의 수분이 제습제 알갱이의 내부 깊숙한 지점까지 흡착되지 않고 제습제 알갱이의 표면에만 수분이 흡착된다. 이 상태에서 제습제 주변환경을 건조공기로 채우면 건조공기가 제습제 표면의 수분을 어려움 없이 빠르게 흡착하여 제습제를 건조 재생시킬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제1탱크(110)의 3~10분간 제습공정과 제2탱크(120)의 3~10분간 재생공정이 끝나면 도 5와 같이 제1탱크(110)는 제습공정에서 재생공정으로 전환되고, 제2탱크(120)는 재생공정에서 제습공정으로 전환된다.
도 5는 제1탱크(110)가 재생공정을 수행하고, 제2탱크(120)가 제습공정을 수행하는 상태에서의 압축공기 건조장치 내부의 압축공기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굵은 실선은 제습공정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표시한 선이고, 굵은 점선은 재생공정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표시한 선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탱크(110)가 재생공정이고, 제2탱크(120)가 제습공정인 상태에서는 외부의 습공기가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라인(103)을 따라 압축공기 건조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 밸브의 제어(202 밸브 열림, 201,204 밸브 닫힘)에 의해 제2탱크(120) 하부로 습공기가 공급되어 제2탱크(120) 내부에 충전된 제습제를 지나 상부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2탱크(120)의 제습제에 흡착되어 건조공기가 된다.
제2탱크(120) 상부로 배출된 건조공기는 밸브의 제어(208 밸브 열림, 206,207 밸브 닫힘)에 의해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배출라인(104)을 통해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토출구(10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104)에서 분기된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설치된 블로우어(130)가 배출라인(104)을 따라 토출구(102)로 유동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흡입 승압하여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을 따라 건조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때, 블로우어(130)에서 건조공기를 승압하는 과정에서 압축열이 발생하는데, 제1쿨러(1400가 건조공기를 냉각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쿨러(140)에 의해 냉각된 건조공기는 밸브의 제어(205 밸브 열림, 206,207 밸브 닫힘)에 의해 재생공정 중인 제1탱크(110) 상부로 공급되어 제1탱크(110) 하부로 유동한다.
건조공기가 제1탱크(110)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건조공기가 제1탱크(110) 내부의 제습제를 건조 재생시킨다.
제1탱크(110) 하부로 배출된 습공기는 밸브의 제어(203 밸브 열림, 201,204 밸브 닫힘)에 의해 습공기 리턴라인(106)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은 압축공기 건조장치 내부로 외부의 습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라인(103)과 합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습공기 리턴라인(106)을 유동한 습공기가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라인(103)을 유동하는 외부 습공기와 합류된다.
이때, 습공기 리턴라인(106)의 제2쿨러(150)가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고, 세퍼레이터(160)를 통해 응축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제1탱크(110)의 재생공정 러닝타임과, 제2탱크(120)의 제습공정 러닝타임이 3~10분에 이르면 밸브 개폐를 제어하여 도 4와 같이 제1탱크(110)는 재생공정에서 다시 제습공정으로 전환하고, 제2탱크(120)는 제습공정에서 다시 재생공정으로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는 히터 구성없이 재생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공기를 생산하는 전력이 적게 소비되고,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에서 생산되어 토출구로 배출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고, 재생공정에서 사용된 압축공기를 다시 유입구로부터 압축공기 건조장치로 흡입된 습공기에 합류시켜 재차 건조시켜 사용하므로 압축공기의 소실이 없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으므로 배출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한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우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1 : 유입구
102 : 토출구
103 : 유입라인
104 : 배출라인
105 : 건조공기 흡입라인
106 : 습공기 리턴라인
110 : 제1탱크
120 : 제2탱크
130 : 블로우어
140 : 제1쿨러
150 : 제2쿨러
160 : 세퍼레이터
201,202,203,204,205,206,207,208 : 밸브

Claims (9)

  1.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어 유입라인(103)을 유동하는 습공기가 두 개의 탱크 중 어느 한 탱크를 통과하며 건조된 후 배출라인(104)을 유동하여 토출구(102)로 배출되는 제습공정;
    상기 제습공정을 통해 생산되어 배출라인(104)을 유동하는 건조공기 중 일부가 블로우어(130)로 흡입 승압되고, 제1쿨러(140)로 냉각되어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을 따라 제습제가 충전된 다른 탱크로 공급되어 다른 탱크 내부의 제습제를 재생시킨 후,
    습공기 리턴라인(106)을 따라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습공기와 합류되어 재차 상기 제습공정을 거치도록 구성된 재생공정;으로 구성됨으로써,
    어느 한 탱크와 다른 탱크는 3~10분을 주기로 제습공정에서 재생공정으로, 재생공정에서 제습공정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2쿨러(150)가 설치됨으로써, 재생공정에 사용된 습공기를 냉각시켜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2쿨러(150)를 통해 응축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세퍼레이터(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5. 삭제
  6. 유입구(101)를 통해 압축공기 건조장치로 흡입된 습공기가 유동하는 유입라인(103);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습공기가 건조된 건조공기가 토출구(102)로 유동하는 배출라인(104);
    상기 유입라인(103)과 배출라인(104)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는 제1탱크(110) 및 제2탱크(120);
    일 측단은 상기 배출라인(104)과 연결되고, 타 측단은 밸브의 제어에 의해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와 연통되는 건조공기 흡입라인(105);
    상기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설치되어 배출라인(104)을 유동하는 건조공기를 흡입 승압시켜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로 공급하는 블로우어(130);
    일 측단은 벨브의 제어에 의해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와 연통되고 타 측단은 상기 유입라인(103)과 연결됨으로써,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을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로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의 제습제를 건조시킨 압축공기를 유입라인(103)으로 리턴시키는 습공기 리턴라인(106);
    상기 건조공기 흡입라인(105)에 설치되어 블로우어(130)의 승압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공기의 압축열을 냉각하는 제1쿨러(140); 및
    압축공기의 유동을 제1탱크(110) 또는 제2탱크(120)로 방향 전환시키는 밸브(201 내지 20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습제의 수분을 흡착한 습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시키는 제2쿨러(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습공기 리턴라인(106)에는 제2쿨러(150)를 통해 응축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세퍼레이터(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장치.
KR1020150092135A 2015-06-29 2015-06-29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KR10172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35A KR101728228B1 (ko) 2015-06-29 2015-06-29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35A KR101728228B1 (ko) 2015-06-29 2015-06-29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22A KR20170002122A (ko) 2017-01-06
KR101728228B1 true KR101728228B1 (ko) 2017-05-02

Family

ID=5783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135A KR101728228B1 (ko) 2015-06-29 2015-06-29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258B1 (ko) * 2017-12-07 2020-01-09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식물 재배용 온습도 조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34B1 (ko) 1999-08-12 2001-11-23 박흥석 에어 드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2008296106A (ja) 2007-05-30 2008-12-11 Sumitomo Seika Chem Co Ltd 混合ガスの精製方法、および混合ガス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9090266A (ja) * 2007-10-09 2009-04-30 Inter Works:Kk 吸着剤の自己再生機能を有した吸着式除湿型の乾燥空気発生装置
KR101357728B1 (ko) * 2012-11-19 2014-02-04 황철용 승압 블로워를 사용한 넌 퍼지 운전방식의 흡착식 공기 건조 시스템
KR101509152B1 (ko) 2013-02-28 2015-04-07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냉각 후 제습탱크로 순환시키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153B1 (ko) 2013-02-28 2015-04-07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일부로 냉각후 쿨러를 거쳐 합류토록 한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518297B1 (ko) 2013-02-28 2015-05-08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압축 건조공기를 이용한 재생탱크 쿨링형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34B1 (ko) 1999-08-12 2001-11-23 박흥석 에어 드라이어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2008296106A (ja) 2007-05-30 2008-12-11 Sumitomo Seika Chem Co Ltd 混合ガスの精製方法、および混合ガス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2009090266A (ja) * 2007-10-09 2009-04-30 Inter Works:Kk 吸着剤の自己再生機能を有した吸着式除湿型の乾燥空気発生装置
KR101357728B1 (ko) * 2012-11-19 2014-02-04 황철용 승압 블로워를 사용한 넌 퍼지 운전방식의 흡착식 공기 건조 시스템
KR101509152B1 (ko) 2013-02-28 2015-04-07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냉각 후 제습탱크로 순환시키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22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152B1 (ko)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냉각 후 제습탱크로 순환시키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0609840B1 (ko) 블로워를 이용한 재생공기 순환 압축공기 건조장치
KR101805252B1 (ko)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퍼지 및 논퍼지 겸용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0701218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제습공정 절환장치
JP5401121B2 (ja) 粉粒体材料の除湿乾燥装置
JP2004531377A (ja) 水分を負荷されたプロセス空気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01509153B1 (ko) 냉각단계 중 압축습공기 일부로 냉각후 쿨러를 거쳐 합류토록 한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518297B1 (ko) 압축 건조공기를 이용한 재생탱크 쿨링형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1728228B1 (ko)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KR101295750B1 (ko) 습공기를 건조 및 재생하는 건조장치의 재생 공정시 가열된 재생공기가 냉각기를 통과토록 하여 냉각하는 공기건조장치
KR101728229B1 (ko) 건조공기 일부를 재생공정에 사용하는 히터리스 논퍼징 타입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KR101728241B1 (ko) 재생공정 중 냉각과정에 사용된 건조공기를 회수하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2242809B1 (ko) 압축공기 건조장치,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건조 방법
KR101838367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퍼지 및 논퍼지 겸용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CN109654867A (zh) 一种烘干方法及烘干机
KR20160149519A (ko) 압축 건조공기 일부를 제습제 재생공정에 사용 후 생산된 압축공기에 합류하는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KR100976553B1 (ko) 압축열을 이용한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가열재생방법
JP2001190925A (ja) 除湿乾燥装置、除湿乾燥方法
KR200405286Y1 (ko) 블로워를 이용한 재생공기 순환 압축공기 건조장치
KR200250719Y1 (ko) 블로워를 채용한 순환가열 재생식 공기 건조장치
KR100437273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노점조절장치
KR100753190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의 재생용 방향절환 밸브
KR100421716B1 (ko) 블로워를 채용한 순환가열 재생식 공기 건조장치
KR100467425B1 (ko) 흡착식 제습시스템
KR101728279B1 (ko) 압축공기 건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