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358B1 -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 Google Patents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358B1
KR102455358B1 KR1020220055693A KR20220055693A KR102455358B1 KR 102455358 B1 KR102455358 B1 KR 102455358B1 KR 1020220055693 A KR1020220055693 A KR 1020220055693A KR 20220055693 A KR20220055693 A KR 20220055693A KR 102455358 B1 KR102455358 B1 KR 10245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ollow
guide plate
air guid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천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천기화 filed Critical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05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식탁(7-1)에 설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위에 안치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 수직 상부로 중공돔(4)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중공돔(4)에는, 상기 화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중공돔(4) 중공부(4-1) 내부(4-11) 유입되어, 상기 중공돔(4) 외부로 직접 열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돔(4) 내부와 외부간을 관통하는 열기유동구멍(5)이 중공돔(4)에 하나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탁(7-1) 중앙 부위에 형성된 식탁 프레임(7)에는 복수의 석쇠지지대(8)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석쇠지지대(8)에 의해 석쇠(9)가 지지되어, 상기 열기 가이드판(3) 위에 석쇠(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Roaster with hot air guide plate}
본 발명은 고기 채소 야채 등을 효율적으로 직화 구이할 수 있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기를 구을 때 고기가 타지 않고, 또한 고기에서 낙하된 고기 국물이 화로 등에 담겨진 숯불 등에 떨어짐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문헌(도 8)에는 숯불(43)로 고기 등을 직화구이 할 수 있는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는 고기(44)에서 흘러내린 육수 등이 숯에 떨어져 벤조피렌 등 발암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석쇠(42)위에 고기가 숯불과 직접 접촉하면서 고기에 불이 붙어서 고기가 쉽게 타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3121892 (2006.6.1. 공고)
숯불에 직화로 구운 불고기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요리중 하나다.
그러나, 고기를 직화로 구을 때, 고기에서 낙하되는 기름과 숯불이 만나 연소되어 발생되는 벤조피렌 등 1급 발암물질은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사람의 건강에도 아주 좋지 않음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고기를 직화 구이 하면서도, 고기에서 낙하되는 기름이 숯불에 바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여, 고기 기름과 숯불이 직접 만나서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혁신적인 구이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고기를 직화 구이하면 화염 조절이 원활히 되지 않아서 고기에 화염이 직접 닿아서 고기가 타고, 불에 많이 탄 고기는 건강에도 매우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적용을 통하여 직화구이의 효과를 달성하면서, 상기와 같이 고기가 타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고기기름이 숯불에 떨어져 발생되는 발암물질의 생성이 방지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는,
식탁(7-1)에 설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위에 안치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 수직 상부로 중공돔(4)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중공돔(4)에는, 상기 화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중공돔(4) 중공부(4-1) 내부(4-11)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돔(4) 외부(4-22)로 직접 열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돔(4) 내부와 외부간을 관통하는 열기유동구멍(5)이 중공돔(4)에 하나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탁(7-1) 중앙 부위에 형성된 식탁 프레임(7)에는 복수의 석쇠지지대(8)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석쇠지지대(8)에 의해 석쇠(9)가 지지되어, 상기 열기 가이드판(3) 위에 석쇠(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기유동구멍(5)은, 중공돔의 구심점(O)를 기준으로, 중공돔 좌우측면에 각각 1개씩 천공하고, 중공돔의 전후측면에도 각각 1개씩 천공되며,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에도 1개 천공되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배치된 모든 중공돔(4)마다 5개의 열기유동구멍(5)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기유동구멍의 직경(d)과 중공돔 직경(D)의 직경비율(d/D)은 0.1 ~ 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형성된 반원형 중공돔의 직경(D)은, 열기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간에 서로 차이가 있고,
상기 다수의 중공돔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 직경(d)도 열기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간에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화로 하부에 배치된 송풍팬(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화로(1)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고온화되고, 상기 고온의 유동 공기는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다수의 열기유동구멍(5)으로 고속 배출되므로, 석쇠에서 낙하되는 고기기름이 상기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들의 입구로 진입이 곤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는,
식탁(7-1)에 설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위에 안치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 수직 상부로 중공원기둥(11)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중공원기둥(11)에는, 상기 화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중공원기둥(11) 중공부(5-1) 내부(5-11) 유입되어, 상기 중공원기둥(11) 외부(5-22)로 직접 열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원기둥(11) 내부와 외부(5-22)간을 관통하는 열기유동구멍(5)이 중공원기둥(11)에 하나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탁(7-1) 중앙 부위에 형성된 식탁 프레임(7)에는 복수의 석쇠지지대(8)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석쇠지지대(8)에 의해 석쇠(9)가 지지되어, 상기 열기 가이드판(3) 위에 석쇠(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기유동구멍(5)은 중공원기둥(11)의 중심점(OP)를 기준으로 중공원기둥의 좌우측면에 각각 1개씩 천공하고, 중공원기둥(11)의 전후측면에 각각 1개씩 천공되어,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배치된 모든 중공원기둥(11)마다 4개의 열기유동구멍(5)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원기둥(11)의 열기유동구멍 직경(d')과, 중공원기둥 직경(D')의 직경비율(d'/D')은 0.1 ~ 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이기를 통하여, 고기를 숯불 등 직화로 구을 때 고기에서 낙하되는 기름과 숯불이 만나 연소되어 발생되는 벤조피렌 등 1급 발암물질의 생성이 방지된다.
또한, 고기를 직화구이하여 직화구이의 고기맛을 유지하면서도, 고기가 숯불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고기가 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도 2a에 개시된 구이기에서 A-A'선을 따라서 연직으로 절단하여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열기유동구멍이 복수 구비된 중공돔이 다수 형성된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도 2a에 개시된 B-B'선을 따라서 연직으로 절단하여 취한 열기가이드판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도 2a에서 중공돔을 중공원기둥으로 대체한 후, 도 2a의 B-B선을 따라서 연직으로 절단하여 취한 열기가이드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본 발명의 도 1에서 석쇠를 안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중공원기둥의 주요부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공돔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중공원기둥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열기가이드판의 주요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 열기가이드판의 주요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행기술문헌인 종래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에 열이 가해지면 열을 받은 공기는 밀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가벼워진다. 가벼워진 공기는 위로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열기구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열기구의 공기주머니 속의 공기에 열을 가해주면, 공기 주머니 속의 공기는 밀도가 작아지고 가벼워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주머니의 뜨거워진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가벼워져 열기구는 하늘로 날아가는 것이다.
화로내의 숯불에 의해 열을 받은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 가벼워지게 되고, 고온의 열기는 화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화로 상부에 도착한 고온의 공기는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각 열기유동구멍(5)을 지나면서 그 가열된 공기의 속도도 유체흐름 방정식에 의해 가속된다.
즉, 동일한 유량(Q)의 공기가 중공돔의 직경(D)보다 작은 열기유동구멍의 직경(d)를 통과할 때는, 그 공기의 유속(V)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도 1, 도 2a, 도 2b,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식탁(7-1)에 설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위에 안치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 수직 상부로 중공돔(4)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공돔(4)에는, 상기 화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중공돔(4) 중공부(4-1) 내부(4-11)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돔(4) 외부(4-22)로 직접 열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돔(4) 내부와 외부간을 관통하는 열기유동구멍(5)이 중공돔(4)에 하나이상 형성된다.
상기 식탁(7-1) 중앙 부위에 형성된 식탁 프레임(7)에는 복수의 석쇠지지대(8)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석쇠지지대(8)에 의해 석쇠(9)가 지지되어, 상기 열기 가이드판(3) 위에 석쇠(9)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기유동구멍(5)은, 중공돔의 구심점(O)를 기준으로, 중공돔 좌우측면에 각각 1개씩 천공하고, 중공돔의 전후측면에도 각각 1개씩 천공되며,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에도 1개 천공되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배치된 모든 중공돔(4)마다 5개의 열기유동구멍(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발명의 구체적 적용과정에서,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에 천공되는 열기유동구멍(5)은 천공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는 석쇠에서 낙하되는 육수가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의 열기유동구멍(5)으로 진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1개의 중공돔(4)에 형성되는 5개의 열기유동구멍(5)중에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은 최소화하여 그 열기유동구멍의 직경이 작게 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은 최소화하여 그 지름을 작게 하고, 중공돔의 측면에 천공되는 열기유동구멍(5)은 상기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에 비해 그 지름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석쇠에서 낙하되는 육수가 중공돔의 연직방향 중앙 상부의 열기유동구멍(5)으로 진입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하나의 중공돔 측면에 천공되는 열기유동구멍(5)의 지름 크기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열기가이드판(3)이 화로 위에 안치되는 구체적 구조 예를 살펴본다.
식탁(7-1)에 설치되는 안치대(2-1); 상기 안치대 내부에 안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가 안치되는 안치대 상부(2) 외주(外周)에, 열기가이드판(3)의 테두리 하부가 안착·밀착될 수 있다.
즉, 사각형 형상의 열기가이드판(3)의 외곽 테두리가, 화로가 안치된 안치대 상부에 밀착되어, 숯불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화로 외부에 누설되지 않고, 열기가이드판의 열기유동구멍(5)을 통과하여 석쇠로 전달된다.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을 드로잉 가공하여 상기 금속판 수직 상부로 반원형의 중공돔(4, 中空dome)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중공돔(4)의 열기유동구멍(5)은 피어싱 가공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는 열기유동구멍(5)이 하나이상 복수 구비된 상기 중공돔(4)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면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중공돔(4) 또는 중공원기둥(11)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의 배치 위치는, 바로 이웃되는 중공돔(4) 또는 중공원기둥(11)간에는 서로 차이가 있게 비대칭적(非對稱的)으로 배치된다.
만약, 중공돔(4)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이 바로 이웃되는 중공돔과 서로 동일한 곳에 대응·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중공돔간에 열기유동구멍(5)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면,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서로 마주보면서 배출되어 가열 공기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2b에 개시된, 상기 열기유동구멍의 직경(d)과 중공돔 직경(D)의 직경비율(d/D)은 0.1 ~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로, 상기 직경비율(d/D)은 발명의 구체적 적용관계에서 구이기의 크기, 구워지는 고기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비율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을 벗어나서, 상기 열기유동구멍(5)을 너무 크게 하면, 상기 열기유동구멍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 가속도가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고기에서 낙하하는 육수 방울이 열기유동구멍(5)내로 진입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형성된 반원형 중공돔의 직경(D)은, 열기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간에 서로 차이가 있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중공돔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 직경(d)도 열기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간에 서로 차이가 있게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열기 가이드판에 형성되는 중공돔의 직경(D)과 중공돔에 형성된 원형구멍 직경(d)을,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와 가장자리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열기가이드판(3) 외곽부위 표면과 중앙부위 표면간에 그 가열온도의 차이가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열가가이드판 상부에 배치되는 석쇠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위의 그 가열온도가 차이가 있게 되므로, 석쇠 사용자는 다 익은 고기는 석쇠 표면온도가 비교적 낮은 곳에 고기를 올려두고, 덜 익은 고기는 석쇠에서 그 표면온도가 비교적 높은 곳에 고기를 두어서 고기를 더 굽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 하부에 배치된 송풍팬(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화로(1)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고온화되고, 상기 고온의 유동 공기는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하나이상 또는 다수의 열기유동구멍(5)으로 고속 배출되므로, 석쇠에서 낙하되는 고기기름이 상기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들의 입구로 진입 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열기가이드판의 재질은 열전달성이 좋은 금속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열기가이드판(3)의 금속재질은 알루미늄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알루미늄 평판에 다수의 중공돔(4)과 열기유동구멍(5)을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쇠(9)는 굵은 쇠테에 가는 철사로 그물처럼 엮어 만든 것으로, 상기 화로 또는 가스레인지에서 발산하는 열을 효율적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석쇠지지대(8)는 안테나식 또는 나사식으로 구성하여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기가이드판(3)과 석쇠(9)에는 열기가이드판과 석쇠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로 하부에는 모터(32)와 송풍팬(31)이 구비되어 화로의 화력을 송풍팬의 속도 조절에 의해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면 2c, 도면 4, 도 5b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면 2c 및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의 반원형 중공돔(4)을 중공원기둥(11)으로 대체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중공원기둥(11)이 열기가이드판(3) 상부에 빼곡히 들어서지 않고, 중공원기둥(11)과 중공원기둥(11) 사이는 중공원기둥의 지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성형된다.
이는 중공 원기둥(11)사이의 세척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체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식탁(7-1)에 설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위에 안치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 수직 상부로 중공원기둥(11)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원기둥(11)에는, 상기 화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중공원기둥(11) 중공부(5-1) 내부(5-11) 유입되어, 상기 중공원기둥(11) 외부(5-22)로 직접 열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원기둥(11) 내부와 외부(5-22)간을 관통하는 열기유동구멍(5)이 중공원기둥(11)에 하나이상 형성된다.
상기 식탁(7-1) 중앙 부위에 형성된 식탁 프레임(7)에는 복수의 석쇠지지대(8)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석쇠지지대(8)에 의해 석쇠(9)가 지지되어, 상기 열기 가이드판(3) 위에 석쇠(9)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중공원기둥(11)에 천공되는 열기유동구멍(5)을 중공원기둥(11)의 연직방향 상부 지붕에는 형성하지 않는다.
만약, 중공원기둥의 연직방향의 상부 지붕에 열기유동구멍(5)을 형성하면, 석쇠에서 낙하되는 육수가 낙하되어 열기유동구멍(5)속으로 들어갈 수 있고, 이로 인해 낙하된 육수가 숯불에 타서 연기가 발생되고, 벤조피렌 등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는 열기유동구멍(5)이 하나이상 구비된 상기 중공원기둥(11)이 다수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유동구멍(5)은 중공원기둥(11)의 중심점(OP)를 기준으로 중공원기둥의 좌우측면에 각각 1개씩 천공하고, 중공원기둥(11)의 전후측면에 각각 1개씩 천공되어,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배치된 모든 중공원기둥(11)마다 4개의 열기유동구멍(5)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면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중공원기둥(11)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의 배치 위치는, 바로 이웃되는 중공원기둥(11)간에는 서로 차이가 있게 비대칭적(非對稱的)으로 배치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열기유동구멍(5)의 천공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만약, 중공원기둥(11)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이 바로 이웃되는 중공원기둥(11)과 서로 동일한 곳에 대응·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중공원기둥(11)간에 열기유동구멍(5)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면,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서로 마주보면서 배출되어 가열 공기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그리고, 도 2C에 개시된, 상기 중공원기둥(11)의 열기유동구멍 직경(d')과, 중공원기둥직경(D')의 직경비율(d'/D')은 0.1 ~ 0.4로 하는 것이 좋다.
직경비율(d'/D')은 발명의 구체적 적용관계에서 구이기의 크기, 구워지는 고기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비율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을 벗어나서, 상기 열기유동구멍(5)을 너무 크게 하면, 열기유동구멍으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 가속도가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고기에서 낙하하는 육수 방울이 열기유동 구멍내로 진입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도 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열기가이드판(3)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열기가이드판(3)은, 정사각형의 금속평판을 드로잉 가공하여 상기 금속평판에 연직방향으로 ㄷ자형의 산과 골을 형성하고, ㄷ자형의 산과 골의 측면을 따라 다수의 열기유동구멍(5)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ㄷ자형의 산의 측면과 이웃하는 산의 측면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이 서로 마주보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도, 산의 측면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이웃하는 산의 측면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는 ㄷ자형의 산의 측면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의 배치 위치는 비대칭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도 6과 동일하게, ㄷ자형의 산의 측면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이, 바로 이웃되는 ㄷ자형의 산의 측면에 형성되는 열기유동구멍(5)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대칭적으로 형성되면,
열기유동구멍(5)에서 가열된 공기가 서로 마주보면서 배출되어, 가열 공기 흐름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3 실시예에 관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그 구성이 사실상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도 7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열기가이드판(3)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의 열기가이드판(3)은, 정사각형의 금속평판을 드로잉 가공하여 상기 금속평판에 연직방향으로 U자형의 산과 골을 형성하고, U자형의 산의 정상을 따라 열기유동구멍(5)을 다수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4 실시예에 관한 상기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그 구성이 사실상 동일하다.
1: 화로, 2: 안치대 상부, 2-1: 안치대, 3: 열기가이드판, 4: 중공돔,
4-11: 중공돔 내부, 4-22: 중공돔 외부, 5: 열기유동구멍, 5-1: 중공부,
5-11: 중공부 내부, 5-22: 중공부 외부, 6: 열기 유동 방향, 7: 식탁 프레임, 7-1: 식탁, 8: 석쇠지지대, 9: 석쇠, 11: 중공원기둥, 31: 송풍팬, 32: 모터,
D: 중공돔 직경, d: 중공돔 상부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 직경
D': 중공원기둥의 직경, d': 중공 원기둥의 열기유동구멍 직경,
O: 중공돔의 구심점, OP: 중공원기둥의 중심점

Claims (8)

  1. 식탁(7-1)에 설치되는 화로(1)와;
    상기 화로(1)위에 안치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기가이드판(3)은, 금속판 수직 상부로 중공돔(4)을 다수 돌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중공돔(4)에는, 상기 화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중공돔(4) 중공부(4-1) 내부(4-11)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돔(4) 외부(4-22)로 직접 열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돔(4) 내부와 외부간을 관통하는 열기유동구멍(5)이 중공돔(4)에 하나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탁(7-1) 중앙 부위에 형성된 식탁 프레임(7)에는 복수의 석쇠지지대(8)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석쇠지지대(8)에 의해 석쇠(9)가 지지되어, 상기 열기 가이드판(3) 위에 석쇠(9)가 배치되며;
    상기 열기가이드판(3)에 다수 형성된 반원형 중공돔의 직경(D)은, 열기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간에 서로 차이가 있고,
    상기 다수의 중공돔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 직경(d)도 열기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열기가이드판의 중앙 부위간에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 하부에 배치된 송풍팬(3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화로(1)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고온화되고, 상기 고온의 유동 공기는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다수의 열기유동구멍(5)으로 고속 배출되므로, 석쇠에서 낙하되는 고기기름이 상기 다수의 중공돔(4)에 형성된 열기유동구멍(5)들의 입구로 진입이 곤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가이드판(3)이 구비된 구이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55693A 2022-05-04 2022-05-04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KR10245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93A KR102455358B1 (ko) 2022-05-04 2022-05-04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93A KR102455358B1 (ko) 2022-05-04 2022-05-04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358B1 true KR102455358B1 (ko) 2022-10-17

Family

ID=8381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93A KR102455358B1 (ko) 2022-05-04 2022-05-04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35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892B2 (ja) 1990-11-27 2001-01-09 ヴァレオ エキプマン エレクトリク モトゥール 交流発電機による充電調節装置
KR20020082177A (ko) * 2002-09-19 2002-10-30 (주)윤창 전기구이기
KR200330969Y1 (ko) * 2003-07-19 2003-10-22 한영기 원적외선 구이기
KR101819384B1 (ko) * 2016-11-18 2018-01-17 조용연 석쇠받침 보조불판
KR20180043949A (ko) * 2016-10-21 2018-05-02 이준용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US20190053666A1 (en) * 2017-08-17 2019-02-21 Greg Jones Hofer Portable fire pit system
KR20200125101A (ko) * 2019-04-26 2020-11-04 천봉우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892B2 (ja) 1990-11-27 2001-01-09 ヴァレオ エキプマン エレクトリク モトゥール 交流発電機による充電調節装置
KR20020082177A (ko) * 2002-09-19 2002-10-30 (주)윤창 전기구이기
KR200330969Y1 (ko) * 2003-07-19 2003-10-22 한영기 원적외선 구이기
KR20180043949A (ko) * 2016-10-21 2018-05-02 이준용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101819384B1 (ko) * 2016-11-18 2018-01-17 조용연 석쇠받침 보조불판
US20190053666A1 (en) * 2017-08-17 2019-02-21 Greg Jones Hofer Portable fire pit system
KR20200125101A (ko) * 2019-04-26 2020-11-04 천봉우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3009B (zh) 具有凹形放射器的烹饪装置
CN110753507A (zh) 直接和间接加热颗粒烧烤系统
EP2986130B1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US8381638B1 (en) Grill configuration having a forced air curtain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KR102455358B1 (ko) 열기가이드판이 구비된 구이기
CN110139588A (zh) 具有传递设置的分区烧烤烤架
JP2007301327A (ja) 焼き物調理器
US4850335A (en) Vented gas range top burner
JPS63297952A (ja) 焜炉の排煙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127729A (ko) 가열 조리기
JP3351513B2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輻射加熱器具
KR102342253B1 (ko) 구이용 타공 불판
JP3351514B2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均一加熱器具
KR200239785Y1 (ko) 고기구이판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CN206018741U (zh) 空气炸锅微波炉
JPS6143060Y2 (ko)
CN207084507U (zh) 一种用于铁锅炖的餐桌
CN1082338C (zh) 木炭无油烟烤炉及其方法
JPH0248034U (ko)
JP2003047563A (ja) ガス調理器
CN208524637U (zh) 一种气、炭、电三合一烧烤炉
KR200389589Y1 (ko) 숯불구이 로스터
JP3111522U (ja) 焼物装置における側壁冷却機構
CN2535666Y (zh) 燃气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