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937B1 -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 Google Patents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937B1
KR102451937B1 KR1020200131709A KR20200131709A KR102451937B1 KR 102451937 B1 KR102451937 B1 KR 102451937B1 KR 1020200131709 A KR1020200131709 A KR 1020200131709A KR 20200131709 A KR20200131709 A KR 20200131709A KR 102451937 B1 KR102451937 B1 KR 10245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gbari
tunnel
lining
storey
intermedia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620A (ko
Inventor
임철수
Original Assignee
(주)선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선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3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터널에서 라이닝과 중간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한 터널폼에 있어서, 복층터널의 라이닝을 위한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동바리 시스템은, 나란히 배치되고, 하부에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 및 한 쌍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에 지지되고 상기 거푸집을 직접 지지하는 제2 동바리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닝 타설 후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상기 동바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 상부에 중간슬래브가 타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TUNNELFOAM THAT CAN BE USED BOTH FOR LINING AND INTERMEDIATE SLAB FOR DOUBLE-LEVEL TUNNEL}
본 발명은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철도 또는 지하철에서의 지하 정거장은, 종래에는 낮은 심도에서 개착공법(cut and cover)으로 건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선로를 대심도 지하 공간에 건설하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이에 따라 지하 정거장도 깊은 심도에서 NATM 터널로 건설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때 이 터널 정거장은 본선 터널보다 매우 큰 대단면으로, 터널 단면이 상하 구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중간슬래브를 타설하는 복층 터널로서 건설된다. 이로써 복층 터널 상부에는 대합실 및 기능실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선로와 승강장이 설치되는 일반적인 정거장 구조가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복층터널의 라이닝을 위한 터널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터널폼(10) 및 거푸집(F)을 이용하여 터널 내의 라이닝(C)을 타설한 것으로서, 터널폼의 하부에 지반 고정용 잭(G) 및 이동가능한 바퀴(W)를 구비하여 일부구간에서 라이닝(W) 설치 후 이동해가면서 터널 전체의 라이닝을 타설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터널폼(10) 복층터널의 라이닝을 위한 터널폼(10)은 라이닝(C)을 위해서는 사용될 수 있지만, 중간슬래브에는 사용될 수 없어, 중간슬래브를 위한 별도의 구조체가 필요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라이닝을 타설한 이후, 터널폼을 해체한 다음, 다시 별도의 중간슬래브용 터널폼을 제작, 사용해야만 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복층터널의 라이닝과 중간슬래브를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하나의 터널폼을 이용하여 복층터널의 라이닝과 중간슬래브를 타설할 수 있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복층터널에서 라이닝과 중간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한 터널폼에 있어서,
복층터널의 라이닝을 위한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동바리 시스템은,
나란히 배치되고, 하부에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 및
한 쌍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에 지지되고 상기 거푸집을 직접 지지하는 제2 동바리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닝 타설 후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상기 동바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 상부에 중간슬래브가 타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 상부 및 상기 중간슬래브 사이에는 상기 중간슬래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슬래브를 지지하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상기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jack)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하부에 지면 고정용 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중앙에서 서로 인접한 단부가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타설되는 슬래브가 중앙 하부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해체된 이후, 상기 라이닝까지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사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보강재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동바리 구조체는,
라이닝용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해체된 이후, 상기 라이닝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을 이용하면 하나의 터널폼으로 복층터널의 라이닝과 중간슬래브를 타설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 복층터널의 라이닝을 위한 터널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동바리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바리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 시스템 및 거푸집이 라이닝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간슬래브 타설을 위하여 동바리 시스템에서 제2 동바리 구조체가 분리되어 제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 동바리 구조체 상에 중간슬래브가 타설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동바리 구조체의 이동을 위하여 제1 동바리 구조체와 중간슬래브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및 중간슬래브가 모두 타설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제1 동바리 구조체에 있어서, 사보강재가 없는 제1 동바리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동바리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바리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터널의 라이닝(L) 타설과 중간슬래브(S)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은 분리가능한 제1 동바리 구조체(100) 및 제2 동바리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우선 제1 동바리 구조체(100) 및 제2 동바리 구조체(200)가 결합된 상태로 복층터널의 라이닝(L)을 타설하게 된다. 모든 라이닝(L) 타설이 완료된 다음, 제1 동바리 구조체(100) 및 제2 동바리 구조체(200)를 분리하여 중간슬래브(S)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떼 제1 동바리 구조체(100)만 중간슬래브용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2개 동바리 구조체가 결합된 하나의 터널폼으로 복층터널의 라이닝(L) 및 중간슬래브(S)를 모두 타설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보면, 복층터널의 라이닝(L) 및 중간슬래브(S)(점선으로 표시)가 표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터널폼을 이용하여 라이닝(L) 및 중간슬래브(S) 모두를 타설할 수 있고, 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폼은 거푸집(F), 및 동바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동바리 시스템은 제1 동바리 구조체(100) 및 제2 동바리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도 3은 제2 동바리 구조체(200)가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제2 동바리 구조체(200)는 거푸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층터널의 라이닝(L)이 타설되어 굳을 때까지 거푸집(F)이라이닝(L)을 직접 접촉하면서 지지하고, 이러한 거푸집(F)을 동바리 시스템이 지지하게 된다.
동바리 시스템은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 및 제2 동바리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터널 내에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하부에 이동수단(130)을 포함한다. 제1 동바리 구조체(100)가 한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라이닝(L) 타설 이후 중간슬래브(S) 및 중간슬래브(S)를 지지하는 기둥을 타설할 수 있게 된다. 즉, 터널 중간에 중간슬래브(S)가 타설되고, 이러한 중간슬래브(S)를 중앙의 기둥이 지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중앙의 기둥 양측으로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가 각각 위치하면서 중간슬래브(S)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동바리 구조체(100)의 하부에 이동수단(130)이 형성됨으로써 터널 내에서 전체 터널폼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긴 터널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나누어진 구간의 크기에 맞추어 터널폼을 형성한 다음, 터널 내에서 터널폼을 이동해가면서 순차적으로 라이닝(L)을 타설하게 된다. 나아가 중간슬래브(S)의 타설 작업도 라이닝(L) 타설 작업과 마찬가지로 터널 전체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타설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동바리 구조체(100) 하부에 이동수단(130)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각각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중간슬래브(S)를 지지하는 기둥 양쪽에서 각각 이동학에 되는데,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하부에 한 쌍의 이동수단(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수단(130)에 의하여 터널폼이 이동한 다음, 터널 내 라이닝(L) 작업시에는 터널폼이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하부에 지면 고정용 잭(140)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중간슬래브(S) 작업시에도 각각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가 고정된 상태로 중간슬래브(S) 타설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지면 고정용 잭(140)이 요구된다.
중간슬래브(S) 타설시 중앙의 기둥 때문에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분리되어야 하지만, 터널의 라이닝(L) 작업시에는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C)를 포함한다.
라이팅 타설시에는 이러한 연결부(C)에 의하여 각각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거동하게 되고, 이후 중간슬래브 타설시에는 연결부(C)가 분리 제거되어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각각 거동하게 된다.
즉, 분리 가능한 연결부(C)는 라이닝(L) 타설시에는 제1 동바리 구조체(100) 각각을 서로 연결하게 되고, 중간슬래브(S) 타설시에는 분리 제거되어 제1 동바리 구조체(100)를 서로 분리시킨다.
제2 동바리 구조체(200)는 제1 동바리 구조체(100)의 상부 및 양 측부에 결합되어 거푸집(F)을 직접 지지하게 된다. 제2 동바리 구조체(200)는 복수의 라이닝용 잭을 포함한다.
라이닝용 잭은 제2 동바리 구조체(200)의 측부 및 중앙부에 형성되어 수축과 연장되면서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200) 또는 제2 동바리 구조체(200)에 직접 지지되는 거푸집(F)이 라이닝(L)과 분리 또는 접촉가능하게 한다.
즉, 라이닝(L)용 잭이 연장되어 거푸집(F)을 라이닝(L)에 접촉시킬 수도 있고, 라이닝(L)용 잭이 수축되어 거푸집(F)을 라이닝(L)으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구간별로 터널폼을 이동시켜가면서 복층터널의 라이닝(L) 타설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 시스템 및 거푸집(F)이 라이닝(L)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바리 시스템 및 거푸집(F)이 라이닝(L)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 라이닝용 잭(210, 200)이 수축할 수 있다. 즉, 라이닝용 잭(210, 200)이 수축하여 동바리 시스템 및 거푸집(F)을 라이닝(L)으로부터 떨어지게 한 다음, 하부에 형성된 이동수단(130)을 이용하여 터널내의 다음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하나의 동바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터널 전구간의 라이닝(L)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라이닝(L) 타설시에는 동바리 시스템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동바리 시스템의 하부에 지면 고정용 잭(140)이 필요하다. 즉, 라이닝(L) 타설시에는 지면 고정용 잭(140)이 길어져서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지동바리 시스템을 고정하게 되고, 이후 이동시에는 지면 고정용 잭(140)이 짧아지고 이동수단(130)이 지면에 닿게 되어 동바리 시스템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거푸집(F) 또는 동바리 시스템을 라이닝(L)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다시 결합시키기 위하여, 동바리 시스템의 수축 및 확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복수의 라이닝용 잭(210, 200)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5에는 동바리 시스템 및 동바리 시스템에 결합된 거푸집(F)이 모두 라이닝(L)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거푸집(F)을 라이닝(L)에 붙여두고, 동바리 시스템만 분리되어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켜 터널의 라이닝(L)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간슬래브(S) 타설을 위하여 동바리 시스템에서 제2 동바리 구조체(200)가 분리되어 제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라이닝(L)이 순차적으로 모두 타설된 다음, 터널의 라이닝(L)을 위한 제2 동바리 구조체(200)는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동바리 시스템에서 제2 동바리 구조체(200)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이후 중간슬래브(S) 타설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동바리 구조체(200)가 분리된 다음, 남은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의 상부에 중간슬래브(S)가 타설되어 복층터널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중간슬래브(S)는 중앙에서 기둥이 지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를 연결하던 연결부(C)는 해제해서 분리해야 한다.
또한, 상부에서의 중간슬래브(S) 타설이 중앙의 기둥으로 연속되어 타설되도록 각각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중앙에서 서로 인접한 단부(G)가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상부에서 타설되는 슬래브가 이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중앙 기둥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중앙 기둥의 양측으로 중앙기둥용 거푸집(F)(112)이 마련되어 있어 일정한 모양의 기둥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중간슬래브(S)의 타설을 위하여 제1 동바리 구조체(100)의 상부 및 중간슬래브(S) 사이에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을 더 포함한다.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은 제1 동바리 구조체(100)의 상부 그리고 중간슬래브(S) 하부에 배치되어 중간슬래브(S)와 접촉하면서 중간슬래브(S)를 지지하게 된다.
도 7은 제1 동바리 구조체(100) 상에 중간슬래브(S)가 타설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동바리 구조체(100) 상에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이 형성되고,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 상부에 중간슬래브(S)가 타설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동바리 구조체(100)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10) 및 지지대(110)를 지지하면서 인장 및 수축되어 지지대(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120)을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지지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판형상이어도 좋고, 판형상이 아니더라도 전후로 마주보는 바 및 좌우로 마주보는 바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120)은 지지대(110)에 결합되어 지지대(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중간슬래브(S)를 순차적으로 타설할 수 있게 된다.
즉, 터널 내를 구간별로 나누고,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를 이동시켜가면서 순차적으로 중간슬래브(S)를 타설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100)로 터널 전구간의 중간슬래브(S)를 타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을 지지하는 지지대(110)는 제2 동바리 구조체(200)가 해체된 이후 터널의 라이닝(L)까지 연장되는 연장부(150)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중간슬래브(S)를 터널의 라이닝(L)까지 연장되어 결합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대(110)는 이러한 연장부(15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사보강재(160)를 더 포함한다. 사보강재(160)는 제1 동바리 구조체(100)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부(15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사보강재(160)에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120)이 형성되어 인장과 수축될 수 있다. 즉, 중간슬래브(S) 타설시에는 인장되어 연장부(150)(정확하게는 연장부(150) 상의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가 중간슬래브(S)를 지지할 수 있게 되고, 타설을 멈추고 이동시에는 연장부(150)(정확하게는 연장부(150) 상의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를 중간슬래브(S)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연장부를 지지하는 사보강재의 구성이 없을 수도 있다. 즉, 연장부(150)가 사보강재 없이 지지대(110)와 고정결합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이러한 사보강재의 구성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부재 및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제1 동바리 구조체(100)의 이동을 위하여 제1 동바리 구조체(100)와 중간슬래브(S)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111) 및 지지대(110)가 중간슬래브(S)로부터 분리되어 제1 동바리 구조체(100)를 터널 내의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중간슬래브 타설 및 제1 동바리 구조체의 이동을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터널 내의 모든 구간에 중간슬래브(S)를 타설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복층터널의 라이닝(L) 및 중간슬래브(S)가 모두 타설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복층터널의 라이닝(L) 및 중간슬래브(S)를 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터널폼을 이용하여 라이닝(L) 및 중간슬래브(S) 모두를 타설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 매우 경제적으로 복층터널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100: 제1 동바리 구조체
110: 지지대
111: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
120: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
130: 이동수단
140: 지면 고정용 잭
150: 연장부
160: 사보강재
161: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
112: 중앙기둥용 거푸집
200: 제2 동바리 구조체
210, 220: 라이닝용 잭
S: 중간슬래브
L: 라이닝
F: 거푸집
C: 연결부
K: 중앙기둥

Claims (11)

  1. 복층터널에서 라이닝과 중간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한 터널폼에 있어서,
    복층터널의 라이닝을 위한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동바리 시스템은,
    나란히 배치되고, 하부에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동바리 구조체; 및
    한 쌍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에 지지되고 상기 거푸집을 직접 지지하는 제2 동바리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닝 타설 후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상기 동바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 상부에 중간슬래브가 타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 상부 및 상기 중간슬래브 사이에는 상기 중간슬래브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슬래브를 지지하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상기 중간슬래브 타설용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j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한 쌍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하부에 지면 고정용 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6.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중앙에서 서로 인접한 단부가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타설되는 슬래브가 중앙 하부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동바리 구조체는,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해체된 이후, 상기 라이닝까지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사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보강재는,
    중간슬래브 타설용 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10. 제1항에 있어서,
    제2 동바리 구조체는,
    라이닝용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동바리 구조체가 해체된 이후, 상기 라이닝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KR1020200131709A 2020-10-13 2020-10-13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KR10245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09A KR102451937B1 (ko) 2020-10-13 2020-10-13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09A KR102451937B1 (ko) 2020-10-13 2020-10-13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20A KR20220048620A (ko) 2022-04-20
KR102451937B1 true KR102451937B1 (ko) 2022-10-07

Family

ID=8139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709A KR102451937B1 (ko) 2020-10-13 2020-10-13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9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20B1 (ko) * 2016-08-08 2018-11-13 삼성물산 주식회사 분리 구조를 갖는 라이닝 폼 시스템 폼을 이용한 라이닝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CN108035747B (zh) * 2017-12-19 2019-03-12 厦门雅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钢模板衬砌台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372Y1 (ko) * 1997-01-14 1999-06-15 남호정 좌우 미세이동이 가능한 터널공사용 중간천정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220B1 (ko) * 2016-08-08 2018-11-13 삼성물산 주식회사 분리 구조를 갖는 라이닝 폼 시스템 폼을 이용한 라이닝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CN108035747B (zh) * 2017-12-19 2019-03-12 厦门雅众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钢模板衬砌台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620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0072B2 (ja) 移動式型枠装置
JP5059491B2 (ja) 移動吊支保工の組立て方法
KR101632922B1 (ko) 비자주식 빔 런처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210054303A (ko) 경사구간 시공이 가능한 터널용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장치
JP2008274637A (ja) 連続高架橋の施工方法
EP3018255B1 (en) Cart for building a bridge board forward progressive
KR100989892B1 (ko) 교량 설치용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설치방법
CN109629439B (zh) 一种独塔斜拉桥施工方法
JP2023105253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JP701861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誘発目地の形成方法
CN109139049A (zh) 一种地铁暗挖车站二衬扣拱施工方法
KR102451937B1 (ko) 복층터널의 라이닝 타설과 중간슬래브 타설이 가능한 터널폼
JP2010031607A (ja) 立体交差の施工方法
KR100928063B1 (ko) 셀프 런칭 이동식 거푸집
CN107100648B (zh) 隧道素混凝土衬砌施工用辅助设施及方法
CN108625883A (zh) 一种用于隧道二次砌衬施工的锚段台车及施工方法
RU2625064C1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двухпутного тоннеля
KR20190066754A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JP7466368B2 (ja) 床版架け替え方法
CN209011843U (zh) 一种用于隧道二次砌衬施工的锚段台车
JP6200703B2 (ja) トンネル工事用ベルトコンベア架台およびトンネル施工方法
JPS604116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または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製橋架構造を区分毎に片持張出架設するための装置
CN112610014A (zh) 一种用于铁路客站改扩建工程的滑移结构及其施工方法
JP4037855B2 (ja) 道路橋の架設工法
KR102459140B1 (ko)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