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140B1 -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140B1
KR102459140B1 KR1020220008908A KR20220008908A KR102459140B1 KR 102459140 B1 KR102459140 B1 KR 102459140B1 KR 1020220008908 A KR1020220008908 A KR 1020220008908A KR 20220008908 A KR20220008908 A KR 20220008908A KR 102459140 B1 KR102459140 B1 KR 10245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dy
clamp
support
constru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만
Original Assignee
최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만 filed Critical 최형만
Priority to KR102022000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바닥을 구성하는 슬래브의 하부에 보(천장보, 들보)를 연속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보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탈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을 동시에 분리하여 다음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패널을 구성하는 유로폼, 장선, 멍에 등의 분해 및 재조립과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해체 방식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공정의 효율적인 시공과 더불어 전체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동바리(수평연결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동바리)를 포함하는 거푸집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 분야 및 건축물 시공분야, 특히 연속시공분야, 유로폼 탈형 및 설치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Non dismantling beam formwork removal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본 발명은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바닥을 구성하는 슬래브의 하부에 보(천장보, 들보)를 연속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보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탈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을 동시에 분리하여 다음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패널을 구성하는 유로폼, 장선, 멍에 등의 분해 및 재조립 과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공정의 효율적인 시공과 더불어 전체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 빌딩 및 아파트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할 때, 기둥이나 바닥, 벽 등과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구조에 대하여 그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틀을 짠 후, 반죽된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틀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이러한 거푸집은 건설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종류와 높이, 형상 등에 따라 여러 형태와 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거푸집 중에서 일정하게 규격화된 것을 유로폼(Euroform)이라고 한다.
이러한 거푸집은 작업현장에서 조립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이후 분리하여 다음 장소로 운반한 후, 다시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구조물에 대하여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를 반복하게 되면, 그 작업 자체로도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전체 공기 또한 길어지게 되며 운용인력 및 시공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가 반복함에 따라, 거푸집의 해체 시 가해지는 힘, 예를 들어 작업자가 배척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해체할 경우, 배척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거푸집을 구성하는 유로폼 등의 패널에 손상이나 변형 및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021호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대차를 이용하여 천장보를 타설하는데 사용하는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 분리 및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이 완료되면 해당 거푸집을 하강하여 분리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생완료후의 거푸집은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배척과 같은 별도의 도구나 장비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임을 감안하면, 하부방향에서의 지지력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거푸집이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된다고 한 것은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현실성이 없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천장보의 측벽에 설치되는 보조거푸집에 대해서는 단순히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만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보조거푸집은 매번 분리해서 운반해야 한다는 점은 기존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021호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물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바닥을 구성하는 슬래브의 하부에 보(천장보, 들보)를 연속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보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탈형할 수 있는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을 동시에 분리하여 다음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패널을 구성하는 유로폼, 장선, 멍에 등의 분해 및 재조립 과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공정의 효율적인 시공과 더불어 전체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형시 클램프와 더불어 바닥패널과 수직방향으로 구성된 측면패널을 동시에 탈형함으로써, 클램프와 패널의 상호간 지지력에 의해 바닥패널 및 측면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시공을 위한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은, 슬래브(Slab) 하부의 보(Girder)를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보 거푸집의 바닥패널과 측면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클램프를 설치하는 클램프설치단계; 및 상기 슬래브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푸쉬(Push)수단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지면방향으로 푸쉬하여 보 거푸집의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을 동시에 해체하는 거푸집탈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설치단계는, 상기 클램프의 가이드몸체를 바닥패널의 저면에 배치하는 가이드몸체배치단계; 및 상기 가이드몸체에 구성된 지지후크를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지지후크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배치단계는, 상기 바닥패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지지후크 사이의 간격을 바닥패널의 폭보다 넓게 이격시키는 후크위치조정단계; 및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과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바닥패널의 저면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Positioning)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후크설치단계는, 두 개의 지지후크 중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를 슬라이드이동하여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1 후크설치단계; 및 두 개의 지지후크 중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를 슬라이드이동하여 다른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2 후크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배치단계는, 상기 바닥패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가이드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를 기준으로,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를 이동시켜, 두 지지후크 사이의 간격을 바닥패널의 폭보다 넓게 이격시키는 후크위치조정단계; 및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과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바닥패널의 저면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Positioning)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후크설치단계는,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를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1 후크설치단계; 및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를 슬라이드이동하여 다른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2 후크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수단은 길이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 및 유압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탈형단계는, 상기 클램프에 구성된 푸쉬수단의 길이를 조정하여 슬래브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푸쉬수단설치단계; 및 상기 푸쉬수단의 길이를 확장하여 슬래브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클램프를 푸쉬하는 클램프푸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배치단계 이전에,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부면에 푸쉬수단을 고정설치하여 구성하는 푸쉬수단구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수단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의 겉대를 지지하도록 이송장치를 배치하는 이송장치배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배치단계는, 이웃하는 두 개의 동바리를 연결하는 수평연결재를 지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푸쉬단계는, 상기 푸쉬수단과 이송장치를 연동하여, 푸쉬수단이 확장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이송장치의 높이를 낮추는 연동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제어단계 이전에, 상기 동바리의 속대를 겉대 내부로 인입하는 속대인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건물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바닥을 구성하는 슬래브의 하부에 보(천장보, 들보)를 연속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보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탈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보 거푸집을 구성하는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을 동시에 분리하여 다음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패널을 구성하는 유로폼, 장선, 멍에 등의 분해 및 재조립 과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무해체 방식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공정의 효율적인 시공과 더불어 전체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형시 클램프와 더불어 바닥패널과 수직방향으로 구성된 측면패널을 동시에 탈형함으로써, 클램프와 패널의 상호간 지지력에 의해 바닥패널 및 측면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패널의 경우 보의 저면에서 탈형되는 과정에서, 패널의 휨이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측면패널이 바닥패널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므로, 바닥패널의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면패널의 경우 설치면(보의 측면)에 수직방향인 측면방향으로 탈형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방향인 하부방향으로 탈형되므로, 패널의 수직방향으로 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바닥패널에 측면패널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바닥패널은 물론 측면패널에 휨현상이나 변형,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동바리(수평연결재를 포함하는 시스템 동바리)를 포함하는 거푸집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건설 분야 및 건축물 시공분야, 특히 연속시공분야, 유로폼 탈형 및 설치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110' 및 'S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계 'S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210' 및 'S2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1이 적용된 구체적인 시공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은 클램프설치단계(S100) 및 거푸집탈형단계(S2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천장보, 들보)는, 건물은 물론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슬래브(Slab, S)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슬래브(S) 하부에 형성되는 보(G)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므로,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200)은 바닥패널(210)과 두 개의 측면패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패널은 유로폼과 더불어 보강용 프레임(장선, 멍에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보 거푸집(200)은 다수의 동바리(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동바리(300)는 겉대(310)와, 겉대(310)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속대(3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클램프설치단계(S100)에서는, 슬래브(Slab) 하부의 보(Girder)를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보 거푸집의 바닥패널과 측면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클램프(100)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클램프(100)의 가이드몸체(110)를 도 7에 나타난 바닥패널(210)의 하부에 배치한 후, 지지후크(120)를 측면패널(220)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 및 도 9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바닥패널(210)과 측면패널(2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후 거푸집탈형단계(S200)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래브(S)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푸쉬(Push)수단을 이용하여 클램프(100)를 지면방향(하부방향)으로 푸쉬(Push)하여 보 거푸집(200)의 바닥패널(210)과 측면패널(220)을 동시에 해체한다. 여기서, 푸쉬수단은 양측 종단부 사이의 길이가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기구나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압실린더 및 유압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프설치단계(S100)는 가이드몸체배치단계(S110) 및 지지후크설치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이드몸체배치단계(S110)에서는 도 6에 나타난 클램프(100)의 가이드몸체(110)를 도 7에 나타난 보 거푸집(200)의 바닥패널(210) 저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몸체(110)는 바닥패널(2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닥패널(210)과 가이드몸체(11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지지후크설치단계(S120)에서는 가이드몸체(110)에 구성된 두 개의 지지후크(120)를 보 거푸집(200)의 측면패널(220)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클램프설치단계(S100)는 지지후크(120)를 이용하여 클램프(100)를 보 거푸집(200)에 걸어서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가이드몸체(110)가 바닥패널(21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지지후크(120)가 측면패널(22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두 패널을 상하부에서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보 거푸집(200)에 클램프(100)를 설치하는 방법은 클램프(100)의 구조에 따라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이하에서 각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110' 및 'S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몸체배치단계(S110)는 후크위치조정단계(S111) 및 포지셔닝(Positioning)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후크설치단계(S120)는 제1 후크설치단계(S121) 및 제2 후크설치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도 3을 살펴보면, 도 8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110)의 길이는 바닥패널(21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두 개의 지지후크(120) 사이의 간격이 바닥패널(210)의 폭보다 넓게 이격되도록, 지지후크(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111).
이 상태에서, 도 8의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110)를 바닥패널(210)과 직교하도록 하여, 바닥패널(210)의 저면에 가이드몸체(110)를 배치할 수 있다(S112).
이후 작업자는 도 8의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후크(1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8에서 좌측)를 슬라이드이동하여 일측의 측면패널(220, 도 8에서 좌측)에 해당 지지후크(1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S121).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도 8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후크(120) 중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8에서 우측)를 슬라이드이동하여 다른 일측의 측면패널(220, 도 8에서 우측)에 해당 지지후크(1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S122).
결과적으로, 도 8에 나타난 보 거푸집(200)은 클램프(100)의 가이드몸체(110)가 바닥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면패널(220)에 지지후크(1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를 참조하여 도 3을 살펴보면, 가이드몸체(110)에 구성된 두 개의 지지후크(1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9에서 좌측)는 가이드몸체(110)에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9에서 우측)는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9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가이드몸체(110)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9에서 좌측)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9에서 우측)를 이동시켜, 두 지지후크(120) 사이의 간격을 바닥패널(210)의 폭보다 넓게 이격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S111).
그리고, 도 9의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110)를 바닥패널(210)과 직교하도록 하여, 바닥패널(210)의 저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S112).
이후 도 9의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가이드몸체(110)를 이동시켜,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9에서 좌측)를 일측의 측면패널(220, 도 9에서 좌측)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S121).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도 9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120, 도 9에서 우측)를 슬라이드이동하여 다른 일측의 측면패널(220, 도 9에서 우측)에 해당 지지후크(120)를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S122).
이와 같이 측면패널(220)에 걸기 위해 위치가 이동된 지지후크(120)는, 해당 측면패널(220)에 걸려지는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이드몸체(110)의 특정 위치에 지지후크(120)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의 단계 'S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 거푸집(200)은 푸쉬수단에 의해 탈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푸쉬수단을 유압실린더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푸집탈형단계(S200)는 푸쉬수단설치단계(S210) 및 클램프푸쉬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수단설치단계(S210)에서는 도 10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램프(100)에 구성된 유압실린더(400)의 피스톤로드(420)를 인출하여, 피스톤로드(420)의 종단부로 슬래브(S)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400)는 실린더몸체(410)의 실린더헤드(미부호) 부분이 가이드몸체(11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린더몸체(410)가 가이드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420)를 인출함으로써, 유압실린더(400)가 가이드몸체(110)와 슬래브(S) 사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실린더(400)를 설치하는 과정은, 클램프(100)를 설치한 이후에 진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램프설치단계(S100) 이전,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몸체배치단계(S110) 이전에, 가이드몸체(110)의 상부면에 유압실린더(400)의 실린더헤드를 고정설치함으로써, 클램프(100)에 유압실린더(400)를 먼저 구성할 수 있다(S101).
클램프푸쉬단계(S220)에서는, 유압실린더(400)가 가이드몸체(110)와 슬래브(S)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10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400)의 피스톤로드(420)를 가압인출하여 클램프(100)를 하부방향으로 푸쉬함으로써(S220), 보 거푸집(200)을 보로부터 탈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형된 보 거푸집(200)은 다음의 보 타설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해야 하는 바, 탈형된 보 거푸집(200)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210' 및 'S2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푸쉬수단설치단계(S210)는 이송장치배치단계(S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램프푸쉬단계(S220)는 속대인입단계(S221) 및 연동제어단계(S22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 거푸집(200)에 클램프(100)와 유압실린더(400)가 설치되면, 거푸집(200)을 지지하는 동바리(300)의 겉대(310)를 지지하도록, 이송장치(500)를 배치할 수 있다(S211).
이때, 이송장치(500)는 동바리(30)의 겉대(310)를 각각 지지할 수 있으나,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연결재(330)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두 개의 겉대(310)를 연결한 후, 이송장치(500)가 수평연결재(330)를 지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장치(500)는 지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구성된 본체(미부호)와,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평연결재(330)를 지지하는 지지체(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 및 지지체의 구성과 각 구성의 결합관계 및 동작방법 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후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400)와 이송장치(500)를 연동하여, 유압실린더(400)의 피스톤로드(420)가 가압인출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이송장치(5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S222).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보 거푸집(200)이 보(G)로부터 탈형되면, 유압실린더(400)의 피스톤로드(420)를 인입한 후, 이송장치(500)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200)을 다음 시공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유압실린더(400)와 이송장치(500)를 연동시키기 이전에,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바리(300)의 속대(320)를 겉대(310) 내부로 인입함은 물론이다(S221).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클램프
110 : 가이드몸체 120 : 지지후크
200 : 보 거푸집
210 : 바닥패널 220 : 측면패널
300 : 동바리
310 : 겉대 320 : 속대
330 : 수평연결재
400 : 유압실린더
410 : 실린더몸체 420 : 피스톤로드
500 : 이송장치

Claims (10)

  1. 슬래브(Slab) 하부의 보(Girder)를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보 거푸집의 바닥패널과 측면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클램프를 설치하는 클램프설치단계; 및
    상기 슬래브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푸쉬(Push)수단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지면방향으로 푸쉬하여 보 거푸집의 바닥패널과 측면패널을 동시에 해체하는 거푸집탈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설치단계는, 상기 클램프의 가이드몸체를 바닥패널의 저면에 배치하는 가이드몸체배치단계; 및 상기 가이드몸체에 구성된 지지후크를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지지후크설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수단은 길이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 및 유압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탈형단계는, 상기 클램프에 구성된 푸쉬수단의 길이를 조정하여 슬래브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푸쉬수단설치단계; 및 상기 푸쉬수단의 길이를 확장하여 슬래브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클램프를 푸쉬하는 클램프푸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수단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의 겉대를 지지하도록 이송장치를 배치하는 이송장치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푸쉬단계는, 상기 푸쉬수단과 이송장치를 연동하여, 푸쉬수단이 확장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이송장치의 높이를 낮추는 연동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탈형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배치단계는,
    상기 바닥패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지지후크 사이의 간격을 바닥패널의 폭보다 넓게 이격시키는 후크위치조정단계; 및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과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바닥패널의 저면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Positioning)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후크설치단계는,
    두 개의 지지후크 중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를 슬라이드이동하여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1 후크설치단계; 및
    두 개의 지지후크 중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를 슬라이드이동하여 다른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2 후크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탈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배치단계는,
    상기 바닥패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가이드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를 기준으로,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를 이동시켜, 두 지지후크 사이의 간격을 바닥패널의 폭보다 넓게 이격시키는 후크위치조정단계; 및
    상기 가이드몸체를 상기 가이드몸체의 길이방향과 상기 바닥패널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바닥패널의 저면에 위치시키는 포지셔닝(Positioning)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후크설치단계는,
    어느 하나의 지지후크를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1 후크설치단계; 및
    다른 하나의 지지후크를 슬라이드이동하여 다른 일측의 측면패널에 걸어주는 제2 후크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탈형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배치단계 이전에,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부면에 푸쉬수단을 고정설치하여 구성하는 푸쉬수단구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탈형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배치단계는,
    이웃하는 두 개의 동바리를 연결하는 수평연결재를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탈형 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제어단계 이전에,
    상기 동바리의 속대를 겉대 내부로 인입하는 속대인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거푸집 탈형 방법.
KR1020220008908A 2022-01-21 2022-01-21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KR10245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08A KR102459140B1 (ko) 2022-01-21 2022-01-21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08A KR102459140B1 (ko) 2022-01-21 2022-01-21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140B1 true KR102459140B1 (ko) 2022-10-25

Family

ID=8380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08A KR102459140B1 (ko) 2022-01-21 2022-01-21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482A (ja) * 1991-07-26 1993-02-09 Nippon Kasetsu Kk 一体脱型による転用システム梁型枠とその脱型方法
KR200257236Y1 (ko) * 2001-09-12 2001-12-24 (주)상우정공 천정보 거푸집 고정장치
KR200475021Y1 (ko) 2013-07-16 2014-11-04 김종근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KR20220003755A (ko) *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서포트 일체형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482A (ja) * 1991-07-26 1993-02-09 Nippon Kasetsu Kk 一体脱型による転用システム梁型枠とその脱型方法
KR200257236Y1 (ko) * 2001-09-12 2001-12-24 (주)상우정공 천정보 거푸집 고정장치
KR200475021Y1 (ko) 2013-07-16 2014-11-04 김종근 이동식 거푸집 조립체
KR20220003755A (ko) *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서포트 일체형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09536A (zh) 一种整体移动式箱涵模板及其施工方法
KR101437842B1 (ko) 가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저심도 터널 구조물 시공방법
CN104153579B (zh) 一种非标准层结构的浇筑模板结构及施工方法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102459140B1 (ko) 연속시공을 위한 무해체 보 거푸집 탈형 방법
KR20020089689A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CN115418983B (zh) 公铁合建大断面盾构隧道内预制箱涵施工方法
KR20180075178A (ko) 시스템 동바리 및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 이동장치
CN108005684B (zh) 分离式钢模台车及其施工方法
JP2000087316A (ja) 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950568B1 (ko) 천장 슬래브거푸집 시스템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KR102094279B1 (ko) 이동형 강재 거푸집
JPH07279417A (ja) 梁型枠装置および梁の施工方法
CN112140290B (zh) 一种预制桥面板浇筑方法
CN114986666A (zh) 基于榫卯结构组合预制台座的箱梁制作系统
CN114481873A (zh) 一种雨水方涵工程模板分段拼装整体滑移施工方法
KR102086134B1 (ko)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JP4080070B2 (ja) 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80020727A (ko) 철근 조립대
KR100307914B1 (ko) 수직터널의복공벽성형을위한슬립폼용요오크장치
JP2620687B2 (ja) 移動式型枠によるカルバートの施工法
KR200151563Y1 (ko) 슬라브용 패널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