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19B1 -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19B1
KR102451819B1 KR1020150169448A KR20150169448A KR102451819B1 KR 102451819 B1 KR102451819 B1 KR 102451819B1 KR 1020150169448 A KR1020150169448 A KR 1020150169448A KR 20150169448 A KR20150169448 A KR 20150169448A KR 102451819 B1 KR102451819 B1 KR 10245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link
link
speed
traffic informatio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269A (ko
Inventor
정현도
김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통정보 수집 단위가 되는 가상링크를 정의하는 가상링크 정의부,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GPS 궤적을 수신하는 GPS 궤적 수신부, 상기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을 맵에 매칭 시키는 GPS 궤적 맵 매칭부,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에 정의된 가상링크의 실제 링크들을 조합하는 제어부,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을 이동한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에서의 속도를 산출하는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 및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속도가 포함된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교통정보 송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VIRTUAL LIN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맵에 구축되지 않은 가상링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집 사양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도 또는 맵을 표시하거나, 그 지도 또는 맵에서 지름길(즉, 경로)을 찾아 안내함으로써 자동차 운전을 도와주는 경로 제공 장치를 부착한 차량이 많다. 상기와 같은 경로 제공 장치의 제조사는 좀 더 좋은 경로(또는 최적 경로)를 찾아 안내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상기 좀 더 좋은 경로란, 사용자(즉, 운전자)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경로가 있을 수 있지만, 특히 막힘없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즉, 사용자들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해 좀 더 빠르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받거나, 실시간 교통정보가 지도 또는 맵에 반영되어 표시되기를 원한다.
따라서 근래의 경로 제공 장치는 도로정체상황을 지도나 맵에 적용하여 교통이 원활한 도로에서는 파란색, 지체(또는 서행) 도로에서는 노란색, 정체 도로에서는 빨간색 정보를 지도나 맵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도로를 이동하다 보면, 실제 도로상황은 원활하게 소통되는데 맵에는 지체 상황으로 표시되고 있거나, 그 반대로 실제 도로상황은 정체 상황인데 맵에는 원활한 상황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실제의 도로상황과 지도나 맵의 표시가 다른 경우는 교통정보가 부정확하게 수집되어 발생하는 이유도 있지만, 각 링크별 실제 거리가 다른 경우, 도로(즉, 일정 구간) 전체적으로는 원활한 소통을 보이는 지역이라도 링크별 신호대기에 자주 걸리는 경우, 우회전이나 좌회전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경우, 일정 구간의 거리를 통과하는 평균 속도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즉, 단순히 링크들의 평균 속도를 기준으로 도로정체상황을 표시하는 지도나 맵은 사용자가 체감하는 실제 교통상황과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기존에 설정된 링크별 교통정보의 수집이 정확할지라도, 기존에는 설정되지 않은 링크별 교통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임의의 링크별 교통정보를 단순 가공하거나 조합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교통상황과 지도나 맵에 표시되는 교통상황(즉, 도로정체상황)이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3468호(2009.11.02. 공개, 발명의 명칭 : 교통정보 수집방법 및 단말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맵에 구축되지 않은 가상링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집 사양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는, 교통정보 수집 단위가 되는 가상링크를 정의하는 가상링크 정의부;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GPS 궤적을 수신하는 GPS 궤적 수신부; 상기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을 맵에 매칭 시키는 GPS 궤적 맵 매칭부;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에 정의된 가상링크의 실제 링크들을 조합하는 제어부;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을 이동한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에서의 속도를 산출하는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 및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속도가 포함된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교통정보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는, 도로의 명칭이나 링크와 링크 사이의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가상링크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는, 직선도로의 링크들이 조합되어 설정되거나, 서로 방향이 다른 이종 도로에 설정된 링크들이 조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은, GPS 궤적 수신부가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GPS 궤적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GPS 궤적의 링크가 가상링크로 정의된 링크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GPS 궤적의 링크가 가상링크로 정의된 링크이면, 상기 제어부가 각 링크별 속도를 공유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가 상기 공유 메모리에 적재된 각 링크별 속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링크 속도 정보가 생성되면, 교통정보 송출부가 상기 생성된 속도가 포함된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는,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가상링크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미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는, 직선도로의 링크들이 조합되어 설정되거나, 서로 방향이 다른 이종 도로에 설정된 링크들이 조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는,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지정된 시간마다 체크하여, 기 설정된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지정된 시간마다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는,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을 이동한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에서의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맵에 구축되지 않은 가상링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집 사양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정확한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가상링크를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가상링크를 정의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는, 가상링크 정의부(110), 단말 GPS 궤적 수신부(120), GPS 궤적 맵 매칭부(130), 가상링크 정의 제어부(140),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150), 및 교통정보 송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110)는 가상링크가 필요한 구간을 정의한다. 즉, 교통정보 수집 단위가 되는 가상링크를 정의한다.
이때 상기 가상링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령, 도로 명칭으로 정의할 수도 있고, 링크와 링크 사이의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상링크의 정의를 위해 사용되는 도로의 명칭이나 안내 정보는 미리 구축된 맵(MAP)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정의된 가상링크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는, 동일한 도로를 일정한 거리별(단, 링크별 거리(또는 길이)가 동일한 것은 아님)로 구분한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로별 표준 ID를 부여하여 단일화된 형식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체계다. 따라서 상기 링크(또는 링크 구간)는 도로의 종류(예 : 시내도로, 외곽도로, 고속도로 등)에 따라 각 링크의 길이나 개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시내도로는 링크의 길이가 짧고 개수도 많으며, 외곽도로나 고속도로는 상대적으로 각 링크의 길이가 더 길고 개수는 더 적을 수 있다.
즉, 텔레메틱스 서비스와 위치기반 서비스, 지능형교통시스템(ITS) 구축 등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인프라 사업들의 사업자간 상이한 정보형식과 체계 등으로 인한 정보 호환의 필요성에 의해 국가차원에서 진행된 표준화 정보(예 : 국가표준노드/링크 정보)이다. 따라서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국가표준노드/링크에 의해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그 교통정보를 이용하는 사업자나 장치에 제공하게 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링크는 단지 용어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된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의 가상링크가 반드시 국가 표준링크 단위로만 정의 가능하다는 의미가 아님에 유의한다. 가령, 사업자(예 : 현대엠엔소프트)의 베이스맵 기준 링크 단위로도 정의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가상링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도로의 링크들만 조합되어 가상링크(B)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방향이 다른 도로(또는 이종 도로)에 설정된 링크들이 조합되어 가상링크(A)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목적(즉,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싶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링크들을 조합(또는 매칭)하여 가상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링크별로 조합(또는 매칭)되는 링크들의 개수, 및 각 링크의 거리(또는 길이)와 방향은 각기 다를 수 있다.
상기 단말 GPS 궤적 수신부(120)는 미리 지정된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GPS 궤적을 수신한다.
이때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프로브 차량 정보(즉, GPS 궤적)를 활용하여 링크별 속도 정보를 공유메모리(미도시)에 적재한다.
상기 GPS 궤적 맵 매칭부(130)는 상기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을 맵(MAP)에 매칭 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 궤적 정보가 맵(MAP)에 매칭되면(S201), 링크별 GPS 궤적 정보는 공유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고(S202), 상기 공유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링크별 GPS 궤적 정보는 미리 정의된 가상링크에 포함되는 링크들이 조합되어(S203) 그 가상링크에 해당하는 속도를 생성한다(S204).
상기 가상링크 정의 제어부(140)는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110)에 정의된 가상링크별로 실제 링크들을 조합(또는 매칭)한다.
가령,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110)에 정의된 임의의 가상링크(예 : 강변북로A)가 도로명칭(예 : 강변북로)에 의해 정의된 가상링크라고 가정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링크 정의 제어부(140)는 도로명칭이 같은 링크들(예 : 강변북로a, 강변북로b, 강변북로c, 강변북로d)을 선별하여 조합(또는 매칭)한다.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150)는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전체 구간을 이동한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을 매칭시킨 맵(MAP)에 기초하여 해당 구간(즉, 가상링크로 정의된 전체 구간)에서의 속도(즉, 거리와 시간 정보를 이용한 속도)를 산출한다.
예컨대 상기 GPS 궤적 맵 매칭부(130)는 상기 프로브 차량(즉, 단말)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을 맵(MAP)에 매칭 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링크들(예 : 가상링크로 조합된 링크들)의 속도 평균을 산출하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링크들은 그 링크 구간 내의 차량들의 속도 평균인데, 그 차량들에는 좌회전, 직진, 우회전, 및 유턴 차량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교통정보(예 : 속도)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이다(즉, 직진 방향에 대한 속도인지, 우회전 방향에 대한 속도인지, 좌회전 방향에 대한 속도인지 정확히 알 수 없음).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식은 가상링크로 정의된(또는 설정된) 모든 구간을 이동한 차량의 GPS 궤적(예 : 우회전을 위해 최우측 차선에서 진행하는 프로브 차량이 우회전을 완료할 때까지의 전체 구간에 대한 GPS 궤적)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므로 각 방향별(즉, 가상링크로 설정된 구간별) 정확한 교통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교통정보 송출부(160)는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150)에서 생성된(또는 산출된) 속도 정보(즉, 교통정보)를 단말(예 : 내비게이션 장치)에 송출한다. 이때 상기 송출되는 교통정보는 단지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150)에서 생성된(또는 산출된) 교통정보만 송출할 수도 있고, 외부 CP(Contents Provider)의 교통정보를 추가로 조합하거나 연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CP(Contents Provider)의 교통정보를 추가로 조합하거나 연계하여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가상링크가 미리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S101).
상기 가상링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링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도로의 링크들만 조합되어 가상링크(B)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서로 방향이 다른 도로(또는 이종 도로)에 설정된 링크들이 조합되어 가상링크(A)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 GPS 궤적 수신부(120)를 통해 미리 지정된 프로브 차량(즉, 단말)으로부터 GPS 궤적(또는 GPS 궤적 열)을 수신하고(S102), 가상링크 정의 제어부(또는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GPS 궤적의 링크가 가상링크로 정의된 링크인가 체크한다(S103).
상기 체크(S103)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GPS 궤적의 링크가 가상링크로 정의된 링크이면(S103의 예), 각 링크별(또는 링크 아이디별) 속도를 공유 메모리(또는 속도정보 공유 메모리)(미도시)에 적재한다(S104).
그리고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150)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150)는 기 설정된 시간(즉,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가공할 시간)이 되었는지 체크하고(S105), 기 설정된 시간(즉,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가공할 시간)이 되면(S105의 예),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한다(S106).
이때 본 실시예는 종래와 달리 가상링크로 정의된(또는 설정된) 모든 구간을 이동한 차량(프로브 차량)의 GPS 궤적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므로 각 방향별(즉, 가상링크로 설정된 구간별) 정확한 교통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상링크 속도 정보가 생성(또는 산출)되면, 교통정보 송출부(160)는 상기 생성된(또는 산출된) 속도 정보(즉, 교통정보)를 단말(예 : 내비게이션 장치)에 송출한다(S107).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맵에 구축되지 않은 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자 할 때 가상링크를 정의하고 그 정의된 가상링크 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정확한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가상링크 정의부
120 : 단말 GPS 궤적 수신부
130 : GPS 궤적 맵 매칭부
140 : 가상링크 정의 제어부
150 :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
160 : 교통정보 송출부

Claims (8)

  1. 교통정보 수집 단위가 되는 가상링크를 정의하는 가상링크 정의부;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GPS 궤적을 수신하는 GPS 궤적 수신부;
    상기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을 맵에 매칭 시키는 GPS 궤적 맵 매칭부;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에 정의된 가상링크의 실제 링크들을 조합하는 제어부;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을 이동한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GPS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링크로 정의된 구간에서의 속도를 산출하는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 및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속도가 포함된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교통정보 송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는,
    가상링크로 정의된 전체 구간을 이동한 차량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GPS 궤적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가상링크는,
    직선도로의 링크들이나 서로 방향이 다른 이종 도로에 설정된 링크들이 조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 정의부는,
    도로의 명칭이나 링크와 링크 사이의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가상링크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3. 삭제
  4. GPS 궤적 수신부가 프로브 차량으로부터 GPS 궤적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GPS 궤적의 링크가 가상링크로 정의된 링크인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GPS 궤적의 링크가 가상링크로 정의된 링크이면, 상기 제어부가 각 링크별 속도를 공유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가 상기 공유 메모리에 적재된 각 링크별 속도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일정 시간마다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링크 속도 정보가 생성되면, 교통정보 송출부가 상기 생성된 속도가 포함된 교통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는,
    가상링크로 정의된 전체 구간을 이동한 차량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GPS 궤적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가상링크는,
    직선도로의 링크들이나 서로 방향이 다른 이종 도로에 설정된 링크들이 조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는,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가상링크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미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링크 속도 생성부는,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지정된 시간마다 체크하여,
    기 설정된 가상링크 속도 정보를 지정된 시간마다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
  8. 삭제
KR1020150169448A 2015-11-30 2015-11-30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245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48A KR102451819B1 (ko) 2015-11-30 2015-11-30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48A KR102451819B1 (ko) 2015-11-30 2015-11-30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69A KR20170063269A (ko) 2017-06-08
KR102451819B1 true KR102451819B1 (ko) 2022-10-06

Family

ID=5922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448A KR102451819B1 (ko) 2015-11-30 2015-11-30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65B1 (ko) * 2005-10-19 2007-08-3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JP2009140007A (ja) 2007-12-03 2009-06-25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量算出装置、交通量算出プログラム及び交通量算出方法
KR101043981B1 (ko) 2009-02-09 2011-06-24 이나루티앤티(주) 세그먼트 단위에 의한 차량단말의 차량 주행정보 수집방법 및 그 차량단말과 교통정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84B1 (ko) * 2009-09-01 2011-05-17 주식회사 한국정보기술단 카메라 촬영정보 공유가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65B1 (ko) * 2005-10-19 2007-08-3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교통 정보 수집 단말기,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JP2009140007A (ja) 2007-12-03 2009-06-25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量算出装置、交通量算出プログラム及び交通量算出方法
KR101043981B1 (ko) 2009-02-09 2011-06-24 이나루티앤티(주) 세그먼트 단위에 의한 차량단말의 차량 주행정보 수집방법 및 그 차량단말과 교통정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69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470B2 (en)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with respect to an imminent overtaking maneuver, and motor vehicle
US8335641B2 (en) Route guidance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JP6819788B2 (ja) 走行支援方法及び走行支援装置
US20100020169A1 (en)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US20060009904A1 (en) Vehicular navigation system
JP6920984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5283480A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JP5545109B2 (ja) 運転支援装置、情報配信装置、運転支援方法、情報配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61140B1 (ko) 차선별 신호세기를 이용한 운행차량 차선인지 및 차선변경 안내 시스템과 그 방법
EP3627110B1 (en) Method for planning trajectory of vehicle
KR102196681B1 (ko) 차선 표시 장치 및 차선 표시 방법
JP201417813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交差点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交差点案内方法
KR102518620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경로 안내 방법
US20200284610A1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JPWO2020116264A1 (ja) 車両の走行支援方法、車両走行支援装置及び自動運転システム
KR20240014555A (ko) 커브 안내 방법, 커브 안내 장치,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JP2008020414A (ja) 経路探索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3576070A1 (en) Drive assistance system
JP2011215049A (ja) 駐車場情報取得装置、駐車場情報取得方法、及び駐車場情報取得システム
JP2009009219A (ja) 移動体情報装置および移動体情報プログラム
KR20200081570A (ko) 교통 상황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4434031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2043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70046929A (ko)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451819B1 (ko) 가상링크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