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698B1 -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 Google Patents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698B1
KR102449698B1 KR1020200101543A KR20200101543A KR102449698B1 KR 102449698 B1 KR102449698 B1 KR 102449698B1 KR 1020200101543 A KR1020200101543 A KR 1020200101543A KR 20200101543 A KR20200101543 A KR 20200101543A KR 102449698 B1 KR102449698 B1 KR 102449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green
coloring
persimmon
persimm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931A (ko
Inventor
이진영
유광준
Original Assignee
리빙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빙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빙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6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9/00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
    • B27K9/002Cane, bambo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을 수확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착즙하는 방식으로 얻어진 원액을 숙성 및 발효시킨 후 가구에 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가구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착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은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을 음력으로 7월 1일부터 15일 사이에 수확하는 수확 단계, 수확한 풋감을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식 드럼에 넣고 세정수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 세척된 풋감을 다수의 테이퍼 스크류가 구비되는 착즙 장치에 넣어 지름 0.5 내지 1㎜의 크기로 파쇄하고 가압하여 착즙하는 착즙 단계, 착즙에 의하여 얻어진 풋감 원액을 3 내지 4℃의 온도에서 1 내지 5년동안 숙성 및 발효시키는 숙성 및 발효 단계, 붓 또는 분무기를 이용하여 발효 원액을 가구의 표면에 칠하고 건조시키는 착색 단계 및, 착색된 가구의 표면에 발효 원액을 덧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3 또는 4회 반복하는 발색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Furniture Colouring Method of using kaki-shibu}
본 발명은 감물을 이용하여 가구를 착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을 수확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착즙하는 방식으로 얻어진 원액을 숙성 및 발효시킨 후 가구에 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가구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착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잎과 뿌리 그리고 미성숙한 열매 등에는 떫은 맛과 쓴맛을 내어 초식동물이나 곤충으로부터 식물 자신이나 열매 등을 보호하는 페놀 화합물인 탄닌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탄닌은 소염, 지혈 및 지사 등의 작용을 하여 장염, 염증, 화상, 궤양 및 중독 등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복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어 염료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특히, 탄닌의 함유량이 우수한 풋감의 즙을 이용하여 염색한 의복을 갈옷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갈옷은 통기성, 방수성, 내구성 및 강연성 등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방충과 항균 등 위생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등 기능적으로 매우 뛰어나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주도의 민속의상으로만 이용되던 갈옷이 상기와 같은 뛰어난 효과들로 인해 최근에는 이용 인구가 점차 확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갈옷의 제조에 사용되는 염료의 제조 방법 또한 발전되어 다양화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529호의 “감물염료와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9726호의 “감(잎) 탄닌을 함유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328호의 “축합형탄닌을 함유하는 천염염료 제조방법”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529호의 “감물염료와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에는 감으로부터 추출한 감물과 천연염재로부터 추출한 염료를 혼합하여 제조된 천연염액을 이용하여 의류를 염색함으로써 발색 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곰팡이균의 번식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9726호의 “감(잎) 탄닌을 함유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는 산화염료 전구체 및 커플러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 열탕추출법, 오코니기법 또는 용매추출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감 또는 감잎으로부터 추출, 용해 또는 분리한 감잎 탄닌을 전체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으로 함유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328호의 “축합형탄닌을 함유하는 천염염료 제조방법”에는 미숙감 또는 녹차 성엽을 압착기를 착즙하고 아밀라아제 또는 포르테아제를 혼합하며, 지방산 에스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텔, 프로필렌 지방산 글리콜 에스텔 유화제 또는 올레인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첨가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물에 쉽게 용해되고, 화장품용 색소나 천염섬유에 쉽게 염착이 되며, 인체에 안전한 고품위의 제품 생산에 효과적인 천연염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풋감을 원료로 하는 천염염료에 다른 염료를 혼합하도록 구성되어 제조 방법이 복잡화됨과 동시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의류나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소재의 특성이 다른 가구 등의 착색이나 염색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여 다른 염료의 첨가없이 풋감을 착즙하여 얻어진 풋감 원액만을 이용하여 천염염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조된 천염염료의 이용범위를 확장하여, 최근 자연 친화적인 인테리어를 위한 용도로 주목 받고 있는 라탄 소재의 가구를 착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529호(2006. 04. 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9726호(2013. 07. 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328호(2014. 12. 16.)
본 발명에 의한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풋감을 원료로 하는 천염염료에 다른 염료를 혼합하도록 구성되어 제조 방법이 복잡화됨과 동시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의류나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소재의 특성이 다른 가구 등의 착색이나 염색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을 음력으로 7월 1일부터 15일 사이에 수확하는 수확 단계; 수확한 풋감을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식 드럼에 넣고 세정수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 세척된 풋감을 다수의 테이퍼 스크류가 구비되는 착즙 장치에 넣어 지름 0.5 내지 1㎜의 크기로 파쇄하고 가압하여 착즙하는 착즙 단계; 착즙에 의하여 얻어진 풋감 원액을 3 내지 4℃의 온도에서 1 내지 5년동안 숙성 및 발효시키는 숙성 및 발효 단계; 붓 또는 분무기를 이용하여 발효 원액을 가구의 표면에 칠하고 건조시키는 착색 단계; 및, 착색된 가구의 표면에 상기 발효 원액을 덧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3 또는 4회 반복하는 발색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은,
풋감을 착즙하여 얻어진 풋감 원액만을 숙성 및 발효시킨 후 착색 및 발색에 이용하도록 구성되므로, 풋감을 원료로 하는 천염염료에 다른 염료를 혼합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발명들에 비해 제조 방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나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는 종래의 발명들과는 다르게 가구의 표면에 착색 및 발색하기 위한 상세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감물의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에 선별 단계가 부가된 상태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선별 단계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감물을 이용하여 가구를 착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을 음력으로 7월 1일부터 15일 사이에 수확하는 수확 단계(S100); 수확한 풋감을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식 드럼에 넣고 세정수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S110); 세척된 풋감을 다수의 테이퍼 스크류가 구비되는 착즙 장치에 넣어 지름 0.5 내지 1㎜의 크기로 파쇄하고 가압하여 착즙하는 착즙 단계(S120); 착즙에 의하여 얻어진 풋감 원액을 3 내지 4℃의 온도에서 1 내지 5년동안 숙성 및 발효시키는 숙성 및 발효 단계(S130); 붓 또는 분무기를 이용하여 발효 원액을 가구의 표면에 칠하고 건조시키는 착색 단계(S140); 및, 착색된 가구의 표면에 상기 발효 원액을 덧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3 또는 4회 반복하는 발색 단계(S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확 단계(S100), 세척 단계(S110), 착즙 단계(S120), 숙성 및 발효 단계(S130), 착색 단계(S140) 및 발색 단계(S150) 등 총 여섯 가지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가구를 친환경적으로 착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에서 숙성 및 발효 중인 발효 원액을 선별하여 상기 착색 단계(S140)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선별 단계(S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한 각 단계들 중 첫 번째 단계인 상기 수확 단계(S100)는 가구의 착색을 위한 원료인 감을 감나무로부터 수확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확 단계(S100)에서 수확되는 감은 탄닌 성분의 함유량이 가장 높은 상태인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이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수확 시기는 음력으로 7월 1일부터 15일까지이다.
아울러, 감나무로부터 풋감을 수확하는 시간은 일출 직후부터 일출 후 약 2시간까지인 아침 시간대가 가장 좋으나, 그 다음으로는 일몰전 약 2시간 전부터 일몰시까지인 저녁 시간대가 좋고, 상기한 아침 시간대 또는 저녁 시간대에의 수확이 어려운 상태라면, 다음날로 수확을 미루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세척 단계(S110)는 상기 수확 단계(S100)에서 수확된 다수의 풋감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깨끗히 세척하는 단계이며, 풋감의 세척에는 표면이 타공되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식 드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씨줄과 날줄이 교차되는 형태로 표면이 구성되어 그 형태에 따라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인 회전식 드럼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수확 단계(S100)에서 수학된 다수의 풋감은 상기 회전식 드럼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로 회전하며 다른 풋감 그리고 회전식 드럼의 내부면과 마찰됨과 동시에 그 내부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표면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으며, 세척된 후에는 외부로 배출되어 착즙을 위해 이송된다.
이때, 세척되기 전 상태인 풋감은 상기 회전식 드럼의 내부에 투입되기 전 꼭지와 잎이 제거되는 것이 좋고, 꼭지와 잎이 제거된 후에는 회전식 드럼의 내부의 용량을 60 내지 80% 정도로 채울 수 있는 양이 투입되는 것이 세척 효과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즙 단계(S120)는 세척된 상태인 풋감을 지름 0.5 내지 1㎜의 크기로 파쇄하고 가압하여 착즙하는 단계이며, 풋감의 파쇄 및 착즙에는 다수의 테이퍼 스크류를 이용하여 풋감을 파쇄 및 착즙하되 착즙에 의하여 생성된 원액과 풋감 찌꺼기를 별개의 라인으로 구분하여 배출하는 구성의 착즙 장치가 이용된다.
즉, 상기 착즙 단계(S120)에 의한 결과물로써, 풋감의 원액과 풋감 찌꺼기가 생성되나 본 발명은 발효 원액의 생성에 풋감의 원액만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므로 원액을 제외한 풋감 찌꺼기는 동물의 사료 또는 비료의 용도 등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는 착즙에 의하여 얻어진 원액을 3 내지 4℃의 온도에서 1 내지 5년동안 숙성 및 발효시키는 단계이며, 그 장소로는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온도 측정 및 조절 장치가 설치되고, 빛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거나 차광막 등에 의하여 임의로 차단 가능한 암실 구조의 저장고가 권장된다.
이때,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에서 숙성 및 발효되는 풋감의 원액이 보관되는 용기는 고무나 나무 재질 등으로 구성 가능하여 그 종류나 용량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용기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이용되는 풋감은 상기 수확 단계(S100)에 따라 수확된 풋감인 경우에도 각기 다른 지역에서 수확된 것일 수 있고, 수확 시기에 최대로 약 2주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지역에서 동일한 날에 수확된 풋감의 경우에도 탄닌 성분의 함유량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풋감의 원액은 동일한 암실 구조의 저장고에서 보관되는 경우에도 숙성 및 발효의 정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암실 구조의 저장고에서 숙성 및 발효 중인 풋감의 원액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충분히 숙성 및 발효된 풋감의 원액인 발효 원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선별 단계(S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 단계(S131)에서는 숙성 및 발효 중인 풋감 원액의 pH 농도를 보관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으로부터 6개월마다 측정하여 pH 농도가 3.5 내지 4인 발효 원액이 선별될 수 있도록 하며, 선별된 발효 원액은 저장고로부터 외부로 이송되어 가구의 착색에 즉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 단계(S131)는 숙성 및 발효 중인 풋감 원액에 함유된 탄닌의 분자량을 보관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6개월마다 측정하여 분자량이 12,000 이상인 발효 원액을 선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풋감에 함유된 탄닌의 분자량은 500 내지 3,000 정도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숙성 및 발효를 통해 분자량이 증가하게 되면 옷감이나 머리카락 그리고 기타 재료에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그에 따른 염색이나 착색의 결과가 기존 분자량의 상태에 비해 더 좋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선별 단계(S131)에서는 pH 농도가 3.5 내지 4인 조건을 충족함과 동시에 분자량이 12,000 이상인 조건을 충족하는 발효 원액을 조기에 선별함으로써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에서 요구하는 최대 5년인 물리적인 시간을 경우에 따라 대폭 또는 소폭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하되, 가구에 대한 착색 및 발색의 효과는 항상 동일한 정도의 수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선별 단계(S131)에서의 pH 농도의 측정은 일반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pH 농도 측정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선별 단계(S131)에서의 분자량의 측정은 공지의 분자량 측정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공지의 분자량 측정 방식에 이용되는 기기들은 고가이므로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점도 측정기를 이용한 점도 측정법이 이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에 의하여 숙성 및 발효된 발효 원액 중 일부는 다시 암실 구조의 저장고에 보관될 수 있으며, 보관되며 지속적으로 숙성 및 발효된 발효 원액은 상기 착즙 단계(S120) 이후 숙성 및 발효를 위한 보관을 시작한 풋감의 원액에 투입되어 혼합됨으로써, 풋감 원액의 숙성 및 발효, 특히 발효되는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착즙 단계(S120)와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의 사이에 풋감의 원액과 발효 원액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효 원액이 풋감 원액에 혼합되는 양의 비율은 부피비로 50:1 내지 100:1의 범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 단계(S140)는 상기 숙성 및 발효 단계(S130)에 의하여 숙성 및 발효된 발효 원액을 가구의 표면에 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단계이며, 발효 원액을 가구의 모든 표면에 골고루 착색할 수 있도록 붓 또는 분무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색 단계(S140)에서는 착색 후의 빠른 건조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발효 원액이 가구의 모든 표면에 얇게 착색될 수 있을 정도로만 칠하며, 그 과정에 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가구의 모든 표면이 골고루 착색될 수 있도록 발효 원액을 분사 후 붓을 이용하여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착색 단계(S140)에서는 발효 원액을 칠한 가구가 18 내지 20℃의 온도인 그늘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건조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자연적으로는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겨울 등의 시기에는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온도 측정 및 조절 장치가 설치되고, 빛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거나 차광막 등에 의하여 임의로 차단 가능한 암실 구조인 건조실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상기 발색 단계(S150)는 상기 착색 단계(S140)에 의하여 착색된 가구의 표면에 상기 발효 원액을 덧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3 또는 4회 반복하는 단계이며, 발효 원액을 가구의 모든 표면에 골고루 덧칠할 수 있도록 착색 단계(S140)와 동일하게 붓 또는 분무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색 단계(S150)에서 사용되는 발효 원액의 양은 상기 착색 단계(S140)에서 사용되는 발효 원액의 양을 1.3배 이상 초과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과정에 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가구의 모든 표면을 골고루 덧칠할 수 있도록 발효 원액을 분사 후 붓을 이용하여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발색 단계(S150)에서는 발효 원액을 덧칠한 가구가 16 내지 18℃의 온도인 그늘에서 5 내지 7시간 건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건조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자연적으로는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겨울 등의 시기에는 상기 착색 단계(S140)와 동일하게 건조실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천연감물로 착색된 가구는 심미성의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착색전보다 방수성, 강연성이 우수해지고 방충과 항균 등 위생적으로도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되며, 특히, 보다 단단해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 기능적으로도 우수해진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S100 : 수확 단계
S110 : 세척 단계
S120 : 착즙 단계
S130 : 숙성 및 발효 단계
S131 : 선별 단계
S140 : 착색 단계
S150 : 발색 단계

Claims (4)

  1. 빛깔이 푸르고 덜 익은 상태인 풋감을 음력으로 7월 1일부터 15일 사이에 수확하는 수확 단계(S100);
    수확한 풋감을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식 드럼에 넣고 세정수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S110);
    세척된 풋감을 다수의 테이퍼 스크류가 구비되는 착즙 장치에 넣어 지름 0.5 내지 1㎜의 크기로 파쇄하고 가압하여 착즙하는 착즙 단계(S120);
    착즙에 의하여 얻어진 풋감 원액을 3 내지 4℃의 온도에서 1 내지 5년동안 숙성 및 발효시키는 숙성 및 발효 단계(S130);
    숙성 및 발효 중인 풋감 원액의 pH 농도를 보관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6개월마다 측정하고 pH 농도가 3.5 내지 4인 발효 원액을 선별하여 착색 단계(S140)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선별 단계(S131);
    붓 또는 분무기를 이용하여 발효 원액을 가구의 표면에 칠하고 건조시키는 착색 단계(S140); 및,
    착색된 가구의 표면에 상기 발효 원액을 덧칠하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3 또는 4회 반복하는 발색 단계(S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단계(S131)는,
    숙성 및 발효 중인 풋감 원액에 함유된 탄닌의 분자량을 보관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6개월마다 측정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12,000 이상인 발효 원액을 선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단계(S140)는,
    발효 원액을 칠한 가구를 18 내지 20℃의 온도인 그늘에서 3 내지 5시간 건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색 단계(S150)는,
    발효 원액을 덧칠한 가구를 16 내지 18℃의 온도인 그늘에서 5 내지 7시간 건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KR1020200101543A 2020-08-13 2020-08-13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KR102449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43A KR102449698B1 (ko) 2020-08-13 2020-08-13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43A KR102449698B1 (ko) 2020-08-13 2020-08-13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31A KR20220021931A (ko) 2022-02-23
KR102449698B1 true KR102449698B1 (ko) 2022-10-04

Family

ID=8049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43A KR102449698B1 (ko) 2020-08-13 2020-08-13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6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726B1 (ko) 2007-01-25 2013-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감(잎) 탄닌을 함유하는 산화 염모제 조성물
KR101475328B1 (ko) 2013-04-30 2014-12-23 주식회사 화수목 축합형탄닌을 함유하는 천연염료 제조방법
KR20150105529A (ko) 2014-03-06 2015-09-17 (재)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감물염료와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감물염색 | 땡감 주워서 감물 들이기 | 화공약품 매염제 no!, [online], 2019.8.3. , [2021.11.10. 검색], 인터넷 : <URL: https://www.youtube.com/watch?v=e6s_wpTfaMk&t=96s>*
감물염색하는법 - 감물원액 만들기 02. 감즙짜기/감물원액 발효하기, [online], 2014.8.14., [2021.11.10. 검색],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qoomza/220092452440>*
천연염색 지끈공예, [online], 2018.7.10., [2021.11.10. 검색],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thrive2018/2213164481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31A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4084B (zh) 花香白琳工夫红茶加工工艺
CN104186738B (zh) 一种提高湖南中小叶种工夫红茶品质的加工方法
CN105831300B (zh) 一种九华钵茶的制作方法
CN106221281A (zh) 一种天然植物苦蒿浓缩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124007A (zh) 花香红茶的加工方法
CN109287779A (zh) 圣种六堡茶的加工方法
CN103213448A (zh) 一种叶脉干花玫瑰的制作方法
KR102449698B1 (ko) 감물을 이용한 가구의 착색 방법
KR101658484B1 (ko)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CN103891928A (zh) 一种绿茶的机械化制备方法
KR101074159B1 (ko) 솔잎과 매실을 이용한 곶감 제조방법
CN105410205A (zh) 茶叶制作方法
CN106857816A (zh) 一种瓜蒌子的加工方法
CN105614301A (zh) 一种柿饼加工方法
CN112841365A (zh) 一种茶花茶的制作方法
CN113424876A (zh) 一种乌龙茶的制备方法
CN106720720A (zh) 阳荷茶的制作工艺
KR20220005284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형광 염색 방법
Harper Universal Recipe Book
JP4088673B2 (ja) 藺草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81406B1 (ko) 버블티용 타피오카 펄의 제조방법
KR102344174B1 (ko) 색조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niagua-Zambrana et al. Acer campestre L. Acer platanoides L. Acer pseudoplatanus L. Sapindaceae
Gupta et al. Indian jasmine
Krohn-Ching Hawaii dye plants and dye rec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