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270B1 - 보호 필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270B1
KR102449270B1 KR1020150077963A KR20150077963A KR102449270B1 KR 102449270 B1 KR102449270 B1 KR 102449270B1 KR 1020150077963 A KR1020150077963 A KR 1020150077963A KR 20150077963 A KR20150077963 A KR 20150077963A KR 102449270 B1 KR102449270 B1 KR 10244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tective film
unit
pressing memb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450A (ko
Inventor
김경동
김병기
유형근
최광식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7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2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1L51/5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는, 패널로부터 보호 필름을 분리하기 전에 패널의 회전 위치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하여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 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반송하는 반송 유닛과,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패널을 지지하여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과, 위치 조절 유닛에서 위치 조절된 패널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분리하는 보호 필름 분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 필름 제거 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표시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 등이 구비되는 표시 패널과, 강화 유리나 아크릴 판과 같은 커버 패널로 구성된다. 이러한 평판 표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또는 커버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표시 패널 또는 커버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예를 들면, 광학 탄성 수지와 같은 수지를 도포한 후, 표시 패널과 커버 패널을 서로 합착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표시 패널과 커버 패널 각각(이하, 패널이라 함)은 개별적인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며, 그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패널의 상면 및/또는 하면을 보호하기 위해 패널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된다.
그리고, 패널에 대한 세정, 합착 등의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로부터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되며,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78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보호 필름 제거 장치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패널이 복수의 공정 및 복수의 장치들 사이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패널의 회전 위치나 수평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로 인해 패널이 보호 필름 제거 장치 내에서 정 위치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이 보호 필름 제거 장치 내에서 정 위치에 위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의 후속 공정에서 패널의 위치가 계속적으로 틀어져 패널에 대한 후속 공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고 패널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78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로부터 보호 필름을 분리하기 이전에 패널의 회전 위치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보호 필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는, 보호 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반송하는 반송 유닛과,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패널을 지지하여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과, 위치 조절 유닛에서 위치 조절된 패널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분리하는 보호 필름 분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절 유닛은, 패널이 지지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지지된 패널의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 부재와, 가압 부재와 연결되어 가압 부재를 패널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부재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에는 부압원과 연결되어 부압이 작용되는 흡착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에 따르면, 패널로부터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이 구비되므로, 패널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 후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 유닛에 의하여 패널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되므로, 패널에 대한 후속적인 공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에 따르면, 패널의 위치 조절을 위해 패널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므로, 가압 부재가 패널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보호 필름이 패널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 필름의 분리에 따른 패널의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의 위치 조절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의 위치 조절 유닛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는, 보호 필름(10)이 부착된 패널(20)을 반송하는 반송 유닛(30)과, 반송 유닛(30)에 의하여 반송되는 패널(20)을 지지하여 패널(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40)과, 위치 조절 유닛(40)에서 위치 조절된 패널(20)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50)과, 이송 유닛(50)에 의하여 이송된 패널(20)에 부착된 보호 필름(10)을 패널(20)로부터 분리하는 보호 필름 분리 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에 의해 보호 필름(10)이 제거된 패널(20)에 대한 후속적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패널(20)을 반전시키는 반전 유닛(200)과, 반전 유닛(200)에 의해 반전된 패널(20)을 세정하는 세정 유닛(3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반송 유닛(30)은 패널(20)을 유지하여 위치 조절 유닛(40)으로 반송하는 역할을 한다. 반송 유닛(30)은 패널(20)을 유지하는 픽커(31)와, 픽커(3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커 이동 장치(32)와, 픽커(31)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커 승강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커(31)는 부압을 사용하여 패널(20)을 흡착하도록 구성되거나, 패널(20)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픽커 이동 장치(32) 및 픽커 승강 장치로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위치 조절 유닛(40)은, 보호 필름(10)을 제거하는 공정, 패널(20)을 반전시키는 공정 및 패널(20)을 세정하는 공정 등을 수행하기 전에, 이러한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패널(20)의 회전 위치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 유닛(40)은 패널(20)이 지지되는 지지 부재(41)와, 지지 부재(41)에 지지된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 부재(43)와, 가압 부재(43)와 연결되어 가압 부재(43)를 패널(2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방향 또는 패널(2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부재 이동 장치(4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41)는 패널(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 부재(41)에는 부압원과 공압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흡착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착홀(411)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패널(20)이 지지 부재(41)에 흡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20)이 지지 부재(41)로 반송 및 지지되는 과정에서 패널(20)이 지지 부재(41)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가압 부재(43)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부재(43)는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43)는 그 외주면에 예리한 부분을 갖지 않으므로,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할 때 패널(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부재(43)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유연한 소재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가압 부재(43)의 외주면에 유연한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소재는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패널(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부재 이동 장치(45)는, 가압 부재(43)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451)와, 연결 로드(451)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453)와, 연결 로드(451)를 가이드(45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기구(45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로드(451)에는 복수의 가압 부재(43)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가압 부재(43)가 함께 이동하여 패널(20)의 양측면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20)이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가압되어 회전되거나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직선 이동 기구(455)로서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 리니어 모터 또는 볼 스크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 이동 장치(45)에 의해 가압 부재들(43) 사이의 간격이 패널(20)의 폭에 대응되도록 가압 부재(43)가 이동하여,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패널(20)은 지지 부재(41) 상에서 회전되고/회전되거나 수평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패널(20)의 회전 위치 및 수평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43)에 의해 패널(20)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패널(20)이 보호 필름 분리 유닛(60)에서의 정확한 위치로 이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패널(20)로부터 보호 필름(10)을 제거하는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 부재(43)는, 하측 방향, 즉, 보호 필름(10)으로부터 패널(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 부재(43)의 형상에 의하여,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보호 필름(10)이 패널(20)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43)가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패널(20)의 양측면으로부터 약 1 mm 내지 약 2 mm 정도 돌출되는 보호 필름(10)의 일단이 가압 부재(43)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보호 필름(10)이 상측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보호 필름(10)이 가압 부재(43)에 의해 계속 밀리면서 보호 필름(10)의 일부가 패널(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필름(10)의 일부가 분리된 패널(20)의 일부분이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10)의 일부가 패널(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가압 부재(43)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패널(20)의 양측면이 가압 부재(43)에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 부재(43)와 패널(20)의 양측면 사이의 충격 또는 마찰에 의해 패널(20)의 양측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호 필름(10)이 가압 부재(43)에 상측으로 절곡되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10)과 패널(20) 사이의 접착력에 의해 패널(20)이 지지 부재(41)로부터 분리되어 상측으로 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패널(20)이 비정상적으로 회전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패널(20)의 위치 조절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43)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즉, 원추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보호 필름(10)이 가압 부재(43)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구부러지므로, 보호 필름(10)이 상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 필름(10)의 일부가 패널(20)로부터 분리되거나 패널(20)이 보호 필름(10)과 함께 상측으로 들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보호 필름(10)이 가압 부재(43)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절곡되어, 가압 부재(43)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패널(20)의 양측면이 보호 필름(10)에 의해 보호되므로, 가압 부재(43)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패널(20)의 양측면이 가압 부재(43)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 부재(43)와 패널(20)의 양측면 사이의 충격 또는 마찰로 인해 패널(20)이 양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송 유닛(50)으로는, 반송 유닛(30)과 마찬가지로, 패널(20)을 흡착하거나 파지하여 이송하는 로봇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 분리 유닛(60)으로는 전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롤러에 보호 필름(10)을 부착시킨 후 롤러를 회전시켜 보호 필름(10)을 패널(20)로 분리하는 장치 또는 패널(20)로부터 돌출된 보호 필름(10)의 일부를 클램프로 파지하여 보호 필름(10)을 패널(20)로부터 분리시키는 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호 필름(10)이 부착된 패널(20)이 반송 유닛(30)에 의하여 반송되어 위치 조절 유닛(40)의 지지 부재(41) 상에 탑재된다. 이때, 지지 부재(41)의 흡착홀(411)에는 부압이 작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20)이 지지 부재(41) 상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면, 패널(20)이 지지 부재(41) 상에서 회전되고/회전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패널(20)의 회전 위치 및 수평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가압 부재(43)가 이동하여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과정에서는, 흡착홀(411)에 부압이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패널(20)이 가압 부재(43)에 의해 밀리면서 회전되거나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2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는,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흡착홀(411)에는 다시 부압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위치 조절된 패널(20)이 지지 부재(41) 상에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조절이 완료된 패널(20)은 이송 유닛(50)에 의하여 보호 필름 분리 유닛(60)으로 이송되며, 보호 필름 분리 유닛(60)에서 패널(20)로부터 보호 필름(10)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에 따르면, 패널(20)로부터 보호 필름(10)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패널(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40)이 구비되므로, 패널(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 후 보호 필름(10)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보호 필름(10)을 제거하는 공정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 유닛(40)에 의하여 패널(20)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되므로, 패널(20)에 대한 후속적인 공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에 따르면, 패널(20)의 위치 조절을 위해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43)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므로, 가압 부재(43)가 패널(2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보호 필름(10)이 패널(20)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 필름(10)의 분리에 따른 패널(20)의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보호 필름 20: 패널
30: 반송 유닛 40: 위치 조절 유닛
41: 지지 부재 43: 가압 부재

Claims (4)

  1. 보호 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반송하는 반송 유닛;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패널을 지지하여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유닛;
    상기 위치 조절 유닛에서 위치 조절된 패널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하여 이송된 패널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패널로부터 분리하는 보호 필름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 유닛은,
    상기 패널이 지지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기 패널의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패널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는 각각 상기 보호 필름으로부터 상기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가 상기 패널을 가압할 때,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구부러져 상기 패널의 양측면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유닛은, 상기 가압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 부재를 패널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부재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제거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부압원과 연결되어 부압이 작용되는 흡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필름 제거 장치.
KR1020150077963A 2015-06-02 2015-06-02 보호 필름 제거 장치 KR10244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63A KR102449270B1 (ko) 2015-06-02 2015-06-02 보호 필름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63A KR102449270B1 (ko) 2015-06-02 2015-06-02 보호 필름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50A KR20160142450A (ko) 2016-12-13
KR102449270B1 true KR102449270B1 (ko) 2022-10-04

Family

ID=5757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63A KR102449270B1 (ko) 2015-06-02 2015-06-02 보호 필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506B1 (ko) 2023-06-27 2023-10-23 주식회사 별랑 피가공물의 보호비닐 끝단부 트림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71B1 (ko) * 2011-09-19 2012-03-06 주식회사 코엠에스 반도체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자동박리기 및 필름 박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78B1 (ko) * 2000-12-29 2007-03-1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 제거장치
KR20070117185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 검사 장치
KR20120137868A (ko) 2011-06-13 2012-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패널용 보호 필름 제거 장치 및 보호 필름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71B1 (ko) * 2011-09-19 2012-03-06 주식회사 코엠에스 반도체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자동박리기 및 필름 박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506B1 (ko) 2023-06-27 2023-10-23 주식회사 별랑 피가공물의 보호비닐 끝단부 트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50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5257B (zh) 板玻璃的製造方法及板玻璃的折斷裝置
KR100811781B1 (ko) 렌즈센터링장치, 이를 구비한 렌즈조립장치 및렌즈조립방법
KR20150144713A (ko) 반송 장치
KR20180020898A (ko) 박리 방법 및 박리 장치
CN110248903B (zh) 板状玻璃的制造方法及板状玻璃的折断装置
KR20160026731A (ko) 워크 흡착 방법 및 장치
KR101765297B1 (ko) 보호필름 박리 장치
JP2010142941A (ja) 電子部品取り付け用グリッパー装置
KR20180127400A (ko) 기판 반송 핸드 및 로봇
TW201431763A (zh) 片材操作方法及片材操作裝置
US117454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unvulcanized ring-shaped rubber member
KR102593614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449270B1 (ko) 보호 필름 제거 장치
CN113667959A (zh) 一种自动上镀膜夹具设备
KR102593615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90070832A (ko) 패널부재 홀딩장치
KR102067983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020820B1 (ko)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리퍼장치
WO2018139241A1 (ja) パネル搬送ロボット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KR102498189B1 (ko) 보호 필름 제거 장치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70104033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833482B1 (ko) 기판 척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척킹 방법
KR10235320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20190014262A (ko) 유연기판 벤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