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72B1 -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72B1
KR102449072B1 KR1020200122086A KR20200122086A KR102449072B1 KR 102449072 B1 KR102449072 B1 KR 102449072B1 KR 1020200122086 A KR1020200122086 A KR 1020200122086A KR 20200122086 A KR20200122086 A KR 20200122086A KR 102449072 B1 KR102449072 B1 KR 10244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aging container
fusion
coupled
sea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944A (ko
Inventor
송재학
박상현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 세창실업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창실업, 주식회사 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 세창실업
Priority to KR102020012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072B1/ko
Priority to PCT/KR2020/018541 priority patent/WO2022065597A1/ko
Publication of KR2022003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08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8Supporting web roll parallel roller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50Gripping means
    • B65H2405/55Rail guided gripping means running in closed loop, e.g. without permanent inter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컵, 음식물 식기 등의 포장용기 상단을 필름으로 봉하는 실링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실링기에 필름을 설치하는 과정의 수작업을 최소화시키고, 필름롤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포장용기 실링에 관한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1) 내에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및 포장용기 이동장치(14)가 구비되되,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는, 이격된 좌·우 한 쌍의 타이밍 벨트(1211)와, 상기 타이밍 벨트(1211)의 변곡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 벽면에 결합된 회전축(1213)에 장착된 타이밍 풀리(1212)로 이루어진 순환궤도(121) 외부에 필름롤(2)에서 풀려 인출된 필름(22)이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순환궤도(121) 일 변곡점에 배치된 타이밍 풀리(122) 사이의 축에 감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는, 상기 순환궤도(121)의 하부에 순차 배치되어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해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는, 상기 순환궤도(121) 하부구간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포장용기(3)를 받치는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와 판면에 형성된 홀더공(1441)에 포장용기(3)가 끼워지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연동하여 전진·후퇴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Closed-type automatic packaging container sealing machine}
본 발명은 음료컵, 음식물 식기 등의 포장용기 상단을 필름으로 봉하는 실링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실링기에 필름을 설치하는 과정의 수작업을 최소화시키고, 필름롤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포장용기 실링에 관한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에 관한 것이다.
테이크 아웃, 배달 등의 수요 증가로 음료, 음식물 등에 대한 일회용 포장용기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포장용기 상단을 봉하여 음료 등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서비스 품질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뚜껑으로 포장용기를 덮는 경우 배달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져 나오는 경우가 많았고, 포장용기 상단을 랩으로 감싸는 등의 방법의 경우 소비자가 랩을 풀어내면서 손에 음식물이 묻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참고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W M564009 U "封口機封膜機構(Film sealing mechanism of sealing machine)" 등을 통해 필름으로 포장용기 상단을 실링하는 포장용기 실링기가 실용화되어 있다.
[참고도 1]
Figure 112020100555305-pat00001
다만, 종래의 포장용기 실링기는 필름 피딩과 관련하여,
1) 필름을 설치하는 작업 전체를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었고,
2) 필름이 외기에 노출되어 있어, 음식물 조리에 따른 먼지와 열기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환경에서 필름에 먼지가 달라붙는 등의 위생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름 열융착 및 커팅 작업과 관련하여,
1) 포장용기 상단에 필름을 열 융착시켜 밀봉하는 것인데, 포장용기 내용물의 탄산이나 열기 등에 의해 내부압이 높아져, 필름 실링 부분이 부풀어 터지는 문제,
2) 포장용기 실링 후 마이크로핀의 펀칭으로 필름에 미세공을 형성시키는 경우, 마이크로핀이 포장용기 내용물에 닿는 위생 문제,
3)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져 장력이 약해진 상태의 필름에 마이크로핀 펀칭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되는 미세공의 직경이 계획보다 커져, 배달이나 테이크 아웃 시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문제 등이 있었다.
또한, 포장용기의 이동과 관련하여,
1) 포장용기를 밑에서 받치는 판과 포장용기 상부를 잡아주는 판의 이동 메커니즘이 일원화되어 있지 않아, 이동시 떨림이 발생하고,
2) 포장용기 실링기의 전면 하부를 커버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3) 포장용기 실링기의 전면 하부를 커버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포장용기의 이동과 별개로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외에도,
포장용기의 이동과 실링에 필요한 일련의 공정들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하기 위한 기술은 확보되어 있지 않았다.
1. 등록특허 10-2090396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기" 2. 공개실용신안 20-2010-0000520 "데스크탑형 자동 필링 포장기" 3. 등록실용신안 20-0491764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4. TW M564009 U "封口機封膜機構(Film sealing mechanism of sealing machi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필름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포장용기 실링기 내에 필름을 피딩 및 교체 작업시 수작업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포장용기 실링기를 제공함.
2. 미세공 선 가공 후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이크로핀이 포장용기 내용물에 닿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필름이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공을 형성시킴으로 미세공을 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
3. 포장용기를 받치는 하부 수평 플레이트와 포장용기 상부를 잡아주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가 연동하는 하나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인-아웃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인-아웃 이동과 함께 포장용기 실링기 하부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
4. 포장용기의 이동과 실링에 관한 일련의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1) 내에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및 포장용기 이동장치(14)가 구비되되,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는, 이격된 좌·우 한 쌍의 타이밍 벨트(1211)와, 상기 타이밍 벨트(1211)의 변곡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 벽면에 결합된 회전축(1213)에 장착된 타이밍 풀리(1212)로 이루어진 순환궤도(121) 외부에 필름롤(2)에서 풀려 인출된 필름(22)이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순환궤도(121) 일 변곡점에 배치된 타이밍 풀리(122) 사이의 축에 감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는, 상기 순환궤도(121)의 하부에 순차 배치되어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해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는, 상기 순환궤도(121) 하부구간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포장용기(3)를 받치는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와 판면에 형성된 홀더공(1441)에 포장용기(3)가 끼워지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연동하여 전진·후퇴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1)은, 탈착되는 상단커버(113); 전면 상부(115)에 구비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18)가 탈착되는 마운팅부(118); 전면 하부(114)에 구비되고,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도어(146);
외피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와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를 측방에서 지지하는 측면 지지판(116); 및 상기 측면 지지판(116)의 하단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면 보강판(117);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부재로서, 일측 단부에서부터 타측 단부의 일정 간격 전 지점까지 갈라진 갭(1231)이 형성된 가이드바(12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123)가, 상기 필름롤(2)에서 풀어낸 필름(22)을 폭 방향으로 끼워 문 상태로 상기 순환궤도(121)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3)가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며 필름(22)을 피딩하고, 필름(22) 피딩 후 상기 필름(22)을 끼워 물고 있는 가이드바(123)가 상기 순환궤도(121) 외측에서 분리되어, 상기 순환궤도(121) 특정 변곡점의 좌우 타이밍 풀리(122) 내측에서 중심축이 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바(123)의 축회전으로 상기 필름(22)을 와인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궤도(121)는 상부 2지점 및 하부 2지점에서 변곡점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부 2지점의 간격이 하부 2지점의 간격보다 좁게 구성되고, 상기 순환궤도(121) 상부 2지점의 좁은 간격에 의해 확보되는 하우징(11) 내 여유공간(112)에 상기 하우징(11)을 가로질러 설치된 복수개의 환봉(12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필름롤(2)이 상기 복수개의 환봉(123) 위에 거치되되, 자중(自重)에 의한 가압 상태로 필름(22)이 풀려 인출되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궤도(121)는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둘레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 2지점 사이에서 필름(22)에 대한 펀칭 및 융착-커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 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1) 및 상기 가열판(1321)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2); 을 포함하여,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핀(131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 상면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함입홀(13131)이 형성된 받침대(1313); 가 더 포함되어, 필름(22)이 상기 받침대(13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하강하여, 상기 함입홀(13131) 형성부위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이 상기 필름(22)을 뚫어 미세공(221)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펀칭모듈(131)이 결합된 탑플레이트(13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 지지판(116)을 가로질러 설치 고정된 센터브릿지(1331); 및 상기 센터브릿지(1331) 하면에 설치되어, 전동모터(112b)의 구동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승강시키는 전동실린더(1332); 하면에 융착-커팅모듈(132)이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결봉(1333)을 매개로 상기 탑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함께 승강하는 서브플레이트(1334);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 지지판(116)을 가로질러 설치 고정된 서브브릿지(1335); 하단이 상기 서브브릿지(1335)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봉(1336); 및 상기 가이드봉(1336)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결합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1336)을 따라 승강하는 단관(1337);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으로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이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41)은 상기 하우징(11) 바닥면 보강판(117)에 이격하여 세워져 결합된 판재로서, 수평구간(1411)과 상향경사구간(1412)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따라 라인홈(14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인홈(141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롤(1421)이 양 측단에 구비되고, 종방향 통공(1422)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는 후단이 연결블록(142); 및 상단은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홀더공(1441) 후방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블록(142)의 종방향 통공(1422)에 삽입된 승강 가이드봉(145); 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직선으로 전진·후퇴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가 상기 라인홈(141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6)는, 양 측에서 후방으로 결합된 측판(1461); 하단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힌지축(1462); 배면 양 측에 결합된 제1고정편(1463); 상기 가이드 레일(141) 양 측에서, 상기 하우징(11) 바닥면 보강판(117)에 결합된 제2고정편(1464);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편(1463) 및 제2고정편(1464)에 각각 결합된 지지스프링(1465);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축(1462)을 중심으로 아크(arc) 궤적의 개폐가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전진 운동으로 밀려 개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의 후퇴 운동과 상기 지지스프링(1465)의 복원력으로 당겨져 패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융착-커팅모듈(132) 설치 구간 후에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 지지판(116)을 가로질러 설치된 리텐션바(13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바(135)는 상기 필름(22)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1351)의 복원력으로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중앙부가 컷아웃된 필름(22)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는 필름(22)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살균장치(미도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 및 상기 온도센서(미도시)에서 센싱된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미도시);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된 제어장치(1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및 포장용기 이동장치(14)의 구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146)의 양 측판(1461)에 각각 구비되어 직선경로의 상호 인지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치센서(1466a, 1466b);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지신호 차단시 상기 위치센서(1466a, 1466b)에서 상기 제어장치(15)로 신호차단 보고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신호차단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인(in)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22)의 가장자리에는 동일한 마커(22)가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펀칭모듈(131) 설치 구간 전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22)의 이동에 따라 지나가는 마커(22)를 감지한 센싱정보를 상기 제어장치(15)에 보고하는 마커센서(13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센싱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장치(13)를 하강 제어하여, 필름(22)의 후속 구간에서의 미세공(221) 선 가공 및 포장용기 배치 구간에서의 융착-커팅 가공을 진행시킨 후, 원위치로 상승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필름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상태에서도 필름을 피딩하고 교체하는 작업 수행 시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이 닿을 수 있는 필름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2. 필름에 미세공 선 가공 후 포장용기 상단에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이크로핀이 포장용기 내용물에 닿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필름이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공을 형성시킴으로 미세공을 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3. 포장용기를 받치는 하부 수평 플레이트와 포장용기 상부를 잡아주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가 하나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동하여 덜컹거림 없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의 인-아웃 이동과 함께 포장용기 실링기 하부 도어의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4. 포장용기를 이동시키고 실링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실시예이다.
[도 2]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하우징 일측 외피를 제거하여 측면 지지판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포장용기 실링기의 측면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필름롤 배치를 위한 환봉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이드바의 실시예이다.
[도 6]은 가이드바가 필름을 폭 방향으로 끼워 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포장용기 실링기 하우징 내부에 필름롤과 가이드바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순환궤도에 가이드바가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가이드바가 순환궤도 특정 변곡점의 좌·우 풀리 내측에서 중심축이 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풀리의 회전축에 도킹부와 스티어링 레버가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원통바 및 원통바에 가이드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원통바가 순환궤도 특정 변곡점의 좌·우 풀리 내측에서 중심축이 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는 펀칭모듈 실시예의 외형 및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전동 승강수단에 결합된 융착-커팅모듈의 실시예이다.
[도 16]은 전동 승강수단과 펀칭모듈 및 융착-커팅모듈의 결합 구조 실시예이다.
[도 17]은 리텐션바 설치 구조의 실시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포장용기 이동장치(14)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포장용기 이동장치(14)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포장용기 이동장치(14) 제1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포장용기 이동장치(14)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하우징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의 발췌도이다.
[도 23]은 위치센서의 배치와 작용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4]는 포장도안과 마커가 프린팅 되어 있는 필름의 실시예이다.
[도 25]는 필름 진행 방향에 따른 가공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제어장치를 통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1)이 밀폐된,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포장용기는 음식 그릇, 음료 컵 등이며, 상기 필름은 상기 포장용기 상단을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1) 내에는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포장용기 이동장치(14) 및 부속 장비들이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의 실시예로서, 하우징(11) 상부에는 상단커버(1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전면 상부(115)에는 마운팅부(118)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부(118)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18)가 탈착된다. 상기 단말기(18)는 후술할 제어장치(15)를 내장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제어장치(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 전면 하부(114)에는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도어(146)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146)에 관한 상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1) 외피 내측에는 측면 지지판(116)과 바닥면 보강판(117)이 구비되어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와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를 포함한 각종 장치들(제어장치(15), 마커센서(16), 전력공급부(17) 등)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지지틀 역할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측면 지지판(116)의 하단 사이에는 바닥면 보강판(117)을 구성하여,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하부에서 지지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는 상기 상단커버(113)를 개방한 후, 일측에 필름롤(2)을 설치하고, 타측에서는 상기 필름롤(2)에서 풀리는 필름이 감기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에 따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수작업을 최소화 하며 필름롤(2)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는 상기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내에 구비된 장치로서, 순환궤도(121) 및 가이드바(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름롤(2)를 거치하는 환봉(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롤(2)은 파이프형 속지(21)에 필름(22)이 감긴 것으로 상기 순환궤도(121) 외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환봉(123)이 상기 하우징(1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고, 상기 환봉(123) 위에 상기 필름롤(2)을 거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환봉(123)을 설치하고 2개의 환봉(123) 사이에 필름롤(2)이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환봉(123)에는 필름롤(2) 배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간격판(1231)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환봉(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축회전하도록 구성하여, 필름(22)의 인출에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봉(123) 위에 필름롤(2)을 거치해 두는 것은, 필름롤(2)을 축 상에 끼워 설치하는 것 보다 필름롤(2) 설치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된다. 다만 상기 필름롤(2)은 자중(自重)에 의한 가압 상태(즉, 필름이 하부에서 풀려 나오는 상태)로 필름(22)이 풀려 인출되도록 배치하여, 필름롤(2)이 필름(22) 인출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궤도(121)는 이격된 좌·우 한 쌍의 타이밍 벨트(1211)와, 상기 타이밍 벨트(1211)의 변곡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 벽면(측면 지지판(116))에 결합된 회전축(1213)에 장착된 타이밍 풀리(1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밍 풀리(1212)는 상기 타이밍 벨트(1211)와 맞물리며, 상기 타이밍 풀리(1212) 중 어느 하나는 전동모터(112a)에 의해 축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12a)의 회전수에 의해 상기 풀리(1212)의 회전수 및 상기 벨트(1211)의 이동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타이밍 벨트(1211)의 이격거리는 상기 필름(22)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궤도(121)는 상부 2지점 및 하부 2지점에서 변곡점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부 2지점의 간격이 하부 2지점의 간격보다 좁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순환궤도(121) 상부 2지점의 좁은 간격에 의해 확보되는 상기 하우징(11) 내 여유공간(111)에 상기 필름롤(2)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22)는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부재로서, 일측 단부에서부터 타측 단부의 일정 간격 전(前) 지점까지 갈라진 갭(1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122)는 필름(22)을 폭 방향으로 끼워 물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일측 단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쐐기홈(1222)을 형성시킴으로써 필름(22)을 끼워 물리는 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갭(1221) 형성 구간은 필름(22) 폭에 대응한다.
상기 가이드바(12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롤(2)에서 풀어낸 필름(22)을 폭 방향으로 끼워 문 상태로 상기 좌·우 한 쌍의 벨트(1211)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2)가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순환궤도(121) 상에 필름(22)을 피딩한다. 상기 필름(22)이 상기 가이드바(122)에 물린 상태로 상기 필름(22)을 상기 가이드바(122)에 수 바퀴 둘러 감아, 물린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22)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좌·우 한 쌍의 벨트(1211) 외측에는 그립(1214)을 나란히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립(1214)은 상기 가이드바(122)의 양단을 직접 잡아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재(1215)를 매개로 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측의 소켓부재(1215)에는 상기 쐐기홈(1222)에 맞물리는 끼움턱(12151)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타측의 소켓부재(1215)에는 상기 가이드바(12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홀(1223)에 맞물리는 삽입돌기(미도시)를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바(122)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에는 상기 전동모터(112a)의 회전수에 의해 상기 벨트(1211)의 이동거리를 파악하고, 상기 전동모터(112a)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이동거리, 상기 타이밍 풀리의 회전수 등을 파악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2)의 이동 상황을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바(122)가 상기 벨트(1211)를 따라 설정 지점까지 이동하면 상기 전동모터(122a)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지점"은 상기 가이드바(122)가 중심축이 되는 풀리(1212)가 배치된 변곡점으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22)가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면서 필름(22)이 상기 순환궤도(121) 둘레에 감김으로써 피딩 작업이 완료된다.
포장용기 실링기(1) 하우징(11)의 상단커버(113)를 열어, 필름롤(2)을 배치하고, 필름(22)을 풀어 상기 가이드바(122)에 끼워 물린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122)를 상기 좌·우 한 쌍의 벨트(1211)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결합시키는 과정까지는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지만, 상기 필름(22)을 상기 순환궤도(121) 둘레에 감는 과정은 상기 전동모터(122a)의 구동과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된다.
전술한 필름(22) 피딩 후, 상기 필름(22)을 끼워 물고 있는 가이드바(122)를 상기 순환궤도(121) 외측에서 분리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궤도(121) 특정 변곡점의 좌·우 풀리(1212) 내측에서 중심축이 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2)의 축회전으로 상기 필름(22)을 와인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112a)는 상기 가이드바(122)가 중심축이 되는 풀리(1212)와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22)를 특정 변곡점의 좌·우 풀리(1212) 내측에서 중심축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바(122)가 중심축이 되는 좌·우 풀리(1212)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1213)의 내측에 도킹부(1216)를 결합시키고, 상기 도킹부(1216)는 외곽에서 중심까지 도킹홈(12161)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도킹홈(12161)에 상기 가이드바(122)를 내려꽂음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2)가 상기 좌·우 풀리(1212)의 중심축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22)가 상기 좌·우 풀리(1212)의 중심축이 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동모터(112a)를 재구동시키면, 상기 필름롤(2)에서 풀려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던 필름(22)이 상기 가이드바(122)에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필름(22)이 풀리며 포장용기 상단 실링을 위한 펀칭, 융착, 커팅 등의 공정을 거친 필름이 상기 가이드바(122)에 감기고, 상기 필름롤(2)에 감겨 있던 필름(22)이 전부 풀려 상기 가이드바(122)에 감기면, 상기 도킹홈(12161)을 통해 필름(22)이 감긴 가이드바(122)를 통째로 빼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22)에 필름(22)이 감기는 부분 주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25)을 설치하여, 필름(22)이 감겨지는 영역과 하우징(11) 내부 타 장치들의 배치 영역을 분리시켜둘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122)에 감기는 필름(22)의 무게로 인해 와인딩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바(122)가 상기 도킹부(1216)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바(122)가 상기 도킹홈(12161)에서 빼내기 어려울 정도로 너무 강하게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티어링 레버(1217)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22)가 중심축이 되는 좌·우 풀리(121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도킹부(1216)의 도킹홈(12161)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홈(12162)을 형성시키고, 상기 연장홈(12162)이 형성된 도킹부(1216)가 결합된 회전축(1213)의 외측에 스티어링 레버(1217)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트어링 레버(1217)는 상기 하우징(11)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22)를 상기 도킹홈(12161)에 내려꽂은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레버(1217)를 특정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2)를 상기 연장홈(12162) 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홈(12162)이 형성된 도킹부(1216)의 반대편 도킹부(1216)에는 삽입돌기(12163)를 형성시켜, 상기 스티어링 레버(12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22)의 삽입홀(1223)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22)는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스티어링 레버(1217)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상기 밀착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가이드바(122)를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의 안착홈(1241)이 형성되고, 양 단부 중앙에 돌출턱(1242)이 형성된 원통바(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241)에 상기 가이드바(122)를 끼운 상태로, 상기 돌출턱(1242)이 상기 도킹홈(12161)에 끼워지도록 상기 원통바(124)를 내려꽂는 경우, 상기 원통바(124)가 상기 좌우 풀리(1212)의 중심축이 된다. 이에 따라 포장용기 상단 실링을 위한 펀칭, 융착, 커팅 등의 공정을 거친 필름이 상기 원통바(124)에 감기게 되고, 상기 도킹홈(12161)을 통해 필름(22)이 감긴 원통바(124)를 통째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는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순차 배치되어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해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은 상기 순환궤도(121)가 점유하는 공간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궤도(121) 하부를 지나는 필름에 대해 펀칭-융착-커팅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핀(1312)은 미세공 형성 계획에 따라 복수개를 十자로 배열하거나, O자 형태 범위 내에 조밀하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함입홀(13131)이 형성된 받침대(1313)를 상기 마이크로핀(1312)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필름(22)이 상기 받침대(13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하강하여, 상기 함입홀(13131) 형성부위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이 상기 필름(22)을 뚫어 미세공(2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입홀(13131)은 원형, 좁은 띠 형태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바디부(131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트(13111), 중단봉(13112), 수직 스프링(13113) 및 하부파트(1311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파트(13111)는 상면에 유격홈(131111)이 인입·형성되고,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서 하면까지 통공(13111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1112)의 하단 둘레에 부싱(13111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단봉(13112)은 상기 통공(131112)을 통해 돌출된 상단부에 와셔(131121)가 결합되어, 상기 와셔(131121)가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 걸쳐져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직 수프링(13113)은 상기 중단봉(13112)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부싱(13113)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파트(13114)는 상기 중단봉(13112)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을 지지하며, 하면 중앙부에 마이크로핀(1312)이 결합된다.
위의 구성에 의해 상기 펀칭모듈(131)의 하강 과정에서 상기 하부파트(13114)의 하면이 상기 받침대(1313)의 상면에 접한 이후에는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에 압축저항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마이크로핀(1312)의 오버 펀칭을 방지한다.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에 의한 발열부(1321), 상기 발열부(1321) 하면에 구비되며,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2) 및 상기 가열판(1322)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3)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이 직·간접적으로 함께 결합된 탑플레이트(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으로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이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센터브릿지(1331) 및 상기 센터브릿지(1331) 하면에 설치되어, 전동모터(112b)의 구동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승강시키는 전동실린더(13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터브릿지(1331)의 양단은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탑플레이트(134)는 상기 전동실린더(1332)에서 수직으로 인출되거나 인입하는 피스톤에 결합시켜,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서브플레이트(1334), 서브브릿지(1335), 가이드봉(1336) 및 단관(1337)이 함께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결봉(1333)을 매개로 상기 탑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함께 승강하는 판재이다.
상기 서브브릿지(1335)는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서, 양단을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1336)은 하단이 상기 서브브릿지(1335)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봉 부재이고, 상기 단관(1337)은 상기 가이드봉(1336)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결합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1336)을 따라 승강한다. 상기 단관(1337)이 고정된 가이드봉(1336)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탑플레이트(134) 이하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1336)과 단관(1337)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양측 하부에 각각 1세트씩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세트를 분산 배치하여 승강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펀칭모듈(131)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상기 서브플레이트(1334)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플레이트(1334) 하부 양측을 따라 라인홈(13341)을 형성시키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1)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13)의 양측에 끼움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슬라이딩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융착-커팅모듈(1321)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융착-커팅모듈(132) 설치 구간 후에 설치된 리텐션바(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텐션바(135)는 상기 필름(22)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1351)의 복원력으로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중앙부가 컷아웃된 필름(22)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텐션바(13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기 포장용기 실링기(1) 하우징(11)의 측면 지지판(116)에 형성된 장홈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텐션 스프링(1351)이 상기 장홈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리텐션바(135)를 타측으로 밀어주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포장용기 이동장치(14)는 상기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하부, 바닥면 보강판(117) 위에 배치된 장치로서, 상기 순환궤도(121) 하부를 지나는 필름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는 가이드 레일(141), 연결블록(142),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 승강 가이드봉(145) 및 도어(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1)은 상기 하우징(11) 바닥면에 이격하여 세워져 결합된 판재로서, 수평구간(1411)과 상향경사구간(1412)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따라 라인홈(14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블록(142)은 상기 라인홈(141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롤(1421)이 양 측단에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통공(14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는 후단이 상기 연결블록(142) 전면에 결합되어 포장용기(3)를 받치도록 구성된 판재이다.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는 판면에 포장용기(3)가 삽입되는 홀더공(1441)이 형성된 판재이다.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에는 상기 받침대(131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봉(145)은 상단이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홀더공(1441) 후방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블록(142)의 종방향 통공(1422)에 삽입된다.
상기 도어(146)는 상기 하우징(11)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직선으로 전진·후퇴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가 상기 라인홈(1413)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도어(146)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1471a), LM(Linear Motion) 가이드(1472) 및 링크부재(147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1471a)는 전동축(14711)이 종축이 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41)의 일측에 세워져 결합되어, 전기력에 의한 정·역 회전력을 제공한다.
LM 가이드(1472)는 후술할 링크부재(1473)의 아크 궤적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후방부 하면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LM 레일(14721)과, 상기 LM 레일(14721)에 맞물려 상기 LM 레일(14721)을 따라 이동하는 LM블록(1472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1473)는 일단을 상기 전동축(14711)과 결합시키고, 타단은 상기 LM블록(14722)에 힌지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전동축(14711)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면적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링크부재(1473)의 아크 궤적 회동이, 상기 LM 가이드(1472)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의 직선 전진·후퇴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궤도(1474), 전동모터(1471b) 및 주행자(147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궤도(1474)는 상기 가이드 레일(141) 양 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타이밍 벨트(14741)와, 상기 타이밍 벨트(14741)의 변곡점에 각각 배치되는 타이밍 풀리(14742)에 의해 형성되며, 상부 직선구간(1474-1)이 형성되어 있는 궤도이다.
상기 전동모터(1471b)는 상기 주행궤도(1474)의 타이밍 풀리(14742) 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 맞물린 타이밍 풀리(14742)에 전기력에 의한 정·역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주행자(1475)는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주행궤도(1474)의 상부 직선구간(1474-1)을 물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는 상기 주행궤도(147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 직선구간(1474-1) 내에서 전진·후퇴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146)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에서 후방으로 결합된 측판(1461), 하단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힌지축(1462), 배면 양 측에 결합된 제1고정편(1463), 상기 가이드 레일(141) 양 측에서, 상기 하우징(11) 바닥면에 결합된 제2고정편(1464)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편(1463) 및 제2고정편(1464)에 각각 결합된 지지스프링(14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축(1462)을 중심으로 아크(arc) 궤적의 개폐가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전진 운동으로 밀려 개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의 후퇴 운동과 상기 지지스프링(1465)의 복원력으로 당겨져 폐쇄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가 포장용기 실링기(1) 하우징(11)의 외부측으로 전방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에 결합된 승강 가이드봉(145)도 함께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봉(145)에 끼워진 연결블록(142) 양 측방의 주행롤(1421)이 상기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결블록(142)에 결합된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도 함께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주행롤(1421)이 상기 가이드 레일(141)의 상향경사구간(1412)으로 진입하여 주행이 진행되면, 상기 연결블록(142)은 상기 승강 가이드봉(145)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도 함께 상승하여, 포장용기(3)도 함께 올라와 포장용기 실링기(1)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가 전방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닫혀 있던 도어(146)의 배면 상부를 밀어, 상기 도어(146)가 상기 힌지축(1462)을 중심으로 아크(arc) 궤적으로 회동하며 개방된다. 위와 같이 하단의 힌지축(1462)을 중심으로 외부측으로 넘어가는 형태로 개방된 도어(146)는 상기 지지스프링(1465)에 의해 개방 범위가 제한된다.
반대로,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가 포장용기 실링기(1) 하우징(11)의 외부측에서 내측으로 후방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에 결합된 승강 가이드봉(145)도 함께 하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봉(145)에 끼워진 연결블록(142) 양 측방의 주행롤(1421)이 상기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결블록(142)에 결합된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도 함께 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주행롤(1421)이 상기 가이드 레일(141)의 상향경사구간(1412)에서 주행이 진행되면, 상기 연결블록(142)은 상기 승강 가이드봉(145)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도 함께 하강하여, 포장용기(3)도 함께 내려와 상기 가이드 레일(141)의 수평가간(1411)으로 진입하면서 포장용기 실링기(1)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44)가 후방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열려 있던 도어(146)의 배면 상부를 미는 압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스프링(1465)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도어(146)가 상기 힌지축(1462)을 중심으로 아크(arc) 궤적으로 회동하며 폐쇄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인-아웃 수평운동,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 업-다운 수직운동 및 상기 도어(146)의 아크 궤적 회동이 함께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전단에 절곡부(1442)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절곡부(1442)가 상기 도어(146)의 배면 상부를 밀어낼 때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1442)에는 연질범퍼(1443)를 부가하여,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 내부에는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는 필름(22)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살균장치(미도시)를 결합시킴으로써 음료나 음식물이 닿을 수 있는 필름면을 살균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는 내부에서 필름을 포장용기에 열 융착 시키기 위한 가열이 진행되고, 포장용기 내 음료가 차가운 경우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하우징(11)에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미도시)을 결합시킴으로써 내부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온도센서(미도시)에서 센싱된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상기 송풍팬(미도시)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소요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및 포장용기 이동장치(14)의 구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46)의 양 측판(1461)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직경로의 상호 인지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치센서(1466a, 1466b);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경우, 상기 위치센서(1466a, 1466b) 사이가 비어 있으면 상기 인지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하게 된다([도 23]의 (a) 참조).
상기 도어(146)가 개방되어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외부로 인출되면, 홀더공(1441)에 포장용기(3)를 삽입시킬 수 있는데, 포장용기(3)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지신호의 전달이 차단된다([도 23]의 (b) 참조). 이 경우 상기 위치센서(1466a, 1466b)에서 상기 제어장치(15)로 신호차단 보고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신호차단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인(in)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46)가 개방되어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홀더공(1441)을 통해 포장용기(3)를 올려 놓으면, 상기 포장용기(3)에 의해 위치센서(1466a, 1466b) 인지신호 전달 경로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제어장치(15)는 포장용기(3)를 올려 놓은 상태를 파악하고, 자동으로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인(in)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22)의 가장자리에 동일한 마커(223)를 일정 간격으로 표시하고,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펀칭모듈(131) 설치 구간 전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22)의 이동에 따라 지나가는 마커(223)를 감지한 센싱정보를 상기 제어장치(15)에 보고하는 마커센서(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센싱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장치(13)를 하강 제어하여, 필름(22)의 후속 구간에서의 미세공(221) 선 가공 및 포장용기 배치 구간에서의 융착-커팅 가공을 진행시킨 후, 원위치로 상승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중앙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포장도안(222)이 프린팅되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를 통해 상기 포장도안(222)의 가장자리 부분을 포장용기(3)에 열 융착시킨 후 컷팅 공정을 진행시킨다.
상기 마커(223)는 필름 중앙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포장도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마커센서(135)가 상기 마커(223)를 감지할 때마다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며, 상기 순환궤도(121)의 정지 상태에서 필름에 대한 펀칭 공정 및 융착-커팅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진행 방향 기준으로 볼 때 후속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펀칭에 의한 미세공(221) 선 가공과 포장용기(3) 배치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필름 융착-커팅 공정이 동시에 진행된 후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장치(13)가 원 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도 26]은 제어장치를 통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에 따라 포장용기(3)를 포장용기 실링기(1)에 넣어 상단 개구부를 실링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146)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홀더공(1441)에 포장용기(3)를 삽입하여,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 위에 포장용기(3)가 놓여지면, 상기 위치센서(1466a, 1466b)의 인지신호가 차단되면서 상기 제어장치(15)에 신호차단 보고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15)는 포장용기 이동장치(14)의 동력전달수단(147a, 147b)에 인(in) 방향 구동명령을 전달하여, 인(in) 방향 구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장치(15)에서 상기 순환궤도(121)의 전동모터(112a)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순환궤도(121)를 이동시켜, 상기 순환궤도(121)에 피딩된 필름(22)이 상기 가이드바(122)에 와인딩 된다.
상기 순환궤도(121)가 이동하는 중 상기 마커센서(135)로부터 센싱정보를 보고받으면, 곧바로 상기 순환궤도(121)의 전동모터(112a) 구동 정지 명령을 하달함으로써 상기 필름(22)의 포장도안(222)이 포장용기(3)의 상단을 커버하는 위치이자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후속 구간의 포장도안(22)은 상기 펀칭모듈(131)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의 전동 승강수단(133)에 대한 다운(dawn) 방향 제어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후속 구간의 포장도안(22) 중앙에 미세공(221)이 형성되면서, 상기 포장용기(3) 배치 구간에서는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미세공 형성 및 플름 융착-커팅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 완료 보고를 받은 제어장치(15)가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의 전동 승강수단(133)에 대한 업(up) 방향 제어명령을 전달한 후,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의 동력전달수단(147a, 147b)에 아웃(out) 방향 구동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146)가 개방되면서 상기 포장용기(3)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2 : 필름롤 21 : 파이프형 속지 22 : 필름
221 : 미세공 222 : 포장도안
223 : 마커
3 : 포장용기
11 : 하우징 111 : 여유공간 112a,112b : 전동모터
113 : 상단커버 114 : 전면하부
115 : 전면상부 116 : 측면 지지판
117 : 바닥면 보강판
12 :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
121 : 순환궤도 1211 : 벨트 1212 : 풀리
1213 : 회전축 1214 : 그립
1215 : 소켓부재 12151 : 끼움턱
1216 : 도킹부 12161 : 도킹홈
12162 : 연장홈 12163 : 삽입돌기
1217 : 스티어링 레버
122 : 가이드바 1221 : 갭 1222 : 쐐기홈
1223 : 삽입홀
123 : 환봉 1231 : 간격판
124 : 원통바 1241 : 안착홈 1242 : 돌출턱
125 : 적재함
13 :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131 : 펀칭모듈 1311 : 수직바디부 13111 : 상부파트
131111 : 유격홈 131112 : 통공 131113 : 부싱 13112 : 중단봉
131121 : 와셔 13113 : 수직 스프링
13114 : 하부파트 1312 : 마이크로핀
1313 : 받침대 13131 : 함입홈
132 : 융착-커팅모듈 1321 : 발열부 1322 : 가열판
1323 : 커팅날
133 : 전동 승강수단 1331 : 센터브릿지 1332 : 전동실린더
1333 : 연결봉 1334 : 서브플레이트
1335 : 서브브릿지 1336 : 가이드봉
1337 : 단관
134 : 탑플레이트
135 : 리텐션바 1351 : 텐션 스프링
136 : 센터브릿지
14 : 포장용기 이동장치
141 : 가이드 레일 1411 : 수평구간 1412 : 상향경사구간
1413 : 라인홈
142 : 연결블록 1421 : 주행롤 1422 : 통공
143 : 하부 수평 플레이트
144 : 상부 수평 플레이트 1441 : 홀더공 1442 : 절곡부
1443 : 연질범퍼
145 : 승강 가이드봉
146 : 도어 1461 : 측판 1462 : 힌지축
1463 : 제1고정편 1464 : 제2고정편 1465 : 지지스프링 1466a, 1466b : 위치센서
147a,147b : 동력전달수단 1471a,1471b : 전동모터 14711 : 전동축
1472 : LM 가이드 14721 : LM 레일 14722 : LM 블록 1473 : 링크부재 1474 : 순환궤도 1474-1 : 상부 직선구간
14741 : 타이밍 벨트 14742 : 타이밍 풀리 1475 : 주행자
15 : 제어장치 16 : 마커센서
17 : 전력공급부 18 : 단말기

Claims (16)

  1. 하우징(11) 내에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및 포장용기 이동장치(14)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11)은, 탈착되는 상단커버(113); 전면 상부(115)에 구비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18)가 탈착되는 마운팅부(118); 전면 하부(114)에 구비되고,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도어(146); 외피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와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를 측방에서 지지하는 측면 지지판(116); 및 상기 측면 지지판(116)의 하단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면 보강판(117);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는, 이격된 좌·우 한 쌍의 타이밍 벨트(1211)와, 상기 타이밍 벨트(1211)의 변곡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 벽면에 결합된 회전축(1213)에 장착된 타이밍 풀리(1212)로 이루어진 순환궤도(121) 외부에 필름롤(2)에서 풀려 인출된 필름(22)이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순환궤도(121) 일 변곡점에 배치된 타이밍 풀리(122) 사이의 축에 감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는, 상기 순환궤도(121)의 하부에 순차 배치되어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해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는, 상기 순환궤도(121) 하부구간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레일(141)을 따라 포장용기(3)를 받치는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와 판면에 형성된 홀더공(1441)에 포장용기(3)가 끼워지는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연동하여 전진·후퇴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막대부재로서, 일측 단부에서부터 타측 단부의 일정 간격 전 지점까지 갈라진 갭(1231)이 형성된 가이드바(123)가, 상기 필름롤(2)에서 풀어낸 필름(22)을 폭 방향으로 끼워 문 상태로 상기 순환궤도(121)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123)가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며 필름(22)을 피딩하고,
    필름(22) 피딩 후 상기 필름(22)을 끼워 물고 있는 가이드바(123)가 상기 순환궤도(121) 외측에서 분리되어, 상기 순환궤도(121) 특정 변곡점의 좌우 타이밍 풀리(122) 내측에서 중심축이 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바(123)의 축회전으로 상기 필름(22)을 와인딩하도록 구성된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순환궤도(121)는 상부 2지점 및 하부 2지점에서 변곡점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부 2지점의 간격이 하부 2지점의 간격보다 좁게 구성되고,
    상기 순환궤도(121) 상부 2지점의 좁은 간격에 의해 확보되는 하우징(11) 내 여유공간(112)에 상기 하우징(11)을 가로질러 설치된 복수개의 환봉(12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름롤(2)이 상기 복수개의 환봉(123) 위에 거치되되, 자중(自重)에 의한 가압 상태로 필름(22)이 풀려 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5. 제4항에서,
    상기 순환궤도(121)는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둘레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 2지점 사이에서 필름(22)에 대한 펀칭 및 융착-커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6. 제1항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 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1) 및 상기 가열판(1321)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2); 을 포함하여,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7. 제6항에서,
    마이크로핀(131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 상면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함입홀(13131)이 형성된 받침대(1313); 가 더 포함되며,
    필름(22)이 상기 받침대(13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하강하여, 상기 함입홀(13131) 형성부위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이 상기 필름(22)을 뚫어 미세공(22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8. 제7항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결합된 탑플레이트(13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 지지판(116)을 가로질러 설치 고정된 센터브릿지(1331); 및
    상기 센터브릿지(1331) 하면에 설치되어, 전동모터(112b)의 구동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승강시키는 전동실린더(1332);
    하면에 융착-커팅모듈(132)이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결봉(1333)을 매개로 상기 탑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함께 승강하는 서브플레이트(1334);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 지지판(116)을 가로질러 설치 고정된 서브브릿지(1335);
    하단이 상기 서브브릿지(1335)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봉(1336); 및
    상기 가이드봉(1336)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결합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1336)을 따라 승강하는 단관(1337);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으로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이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9.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41)은 상기 하우징(11) 바닥면 보강판(117)에 이격하여 세워져 결합된 판재로서, 수평구간(1411)과 상향경사구간(1412)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따라 라인홈(14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인홈(141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롤(1421)이 양 측단에 구비되고, 종방향 통공(1422)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는 후단이 연결블록(142); 및
    상단은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홀더공(1441) 후방 하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블록(142)의 종방향 통공(1422)에 삽입된 승강 가이드봉(145);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가 상기 동력전달수단(147)에 의해 직선으로 전진·후퇴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하부 수평 플레이트(143)가 상기 라인홈(141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0. 제9항에서,
    상기 도어(146)는,
    양 측에서 후방으로 결합된 측판(1461);
    하단에 횡방향으로 결합된 힌지축(1462);
    배면 양 측에 결합된 제1고정편(1463);
    상기 가이드 레일(141) 양 측에서, 상기 하우징(11) 바닥면 보강판(117)에 결합된 제2고정편(1464); 및
    양단이 상기 제1고정편(1463) 및 제2고정편(1464)에 각각 결합된 지지스프링(1465);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축(1462)을 중심으로 아크(arc) 궤적의 개폐가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전진 운동으로 밀려 개방되고, 상기 상부 수평 플레이트(144)의 후퇴 운동과 상기 지지스프링(1465)의 복원력으로 당겨져 패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1. 제1항에서,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융착-커팅모듈(132) 설치 구간 후에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면 지지판(116)을 가로질러 설치된 리텐션바(13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바(135)는 상기 필름(22)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1351)의 복원력으로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중앙부가 컷아웃된 필름(22)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2. 제1항에서,
    상기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는 필름(22)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살균장치(미도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3.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 및
    상기 온도센서(미도시)에서 센싱된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미도시);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4. 제1항,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된 제어장치(1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및 포장용기 이동장치(14)의 구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5. 제14항에서,
    상기 도어(146)의 양 측판(1461)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직선경로의 상호 인지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치센서(1466a, 1466b);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지신호 차단시 상기 위치센서(1466a, 1466b)에서 상기 제어장치(15)로 신호차단 보고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신호차단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포장용기 이동장치(14)를 인(in)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16. 제14항에서,
    상기 필름(22)의 가장자리에는 동일한 마커(223)가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펀칭모듈(131) 설치 구간 전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22)의 이동에 따라 지나가는 마커(223)를 감지한 센싱정보를 상기 제어장치(15)에 보고하는 마커센서(13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15)는 상기 센싱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순환궤도(121)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필름 펀칭-융착-커팅장치(13)를 하강 제어하여, 필름(22)의 후속 구간에서의 미세공(221) 선 가공 및 포장용기 배치 구간에서의 융착-커팅 가공을 진행시킨 후, 원위치로 상승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1).






KR1020200122086A 2020-09-22 2020-09-22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KR10244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86A KR102449072B1 (ko) 2020-09-22 2020-09-22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PCT/KR2020/018541 WO2022065597A1 (ko) 2020-09-22 2020-12-17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86A KR102449072B1 (ko) 2020-09-22 2020-09-22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44A KR20220039944A (ko) 2022-03-30
KR102449072B1 true KR102449072B1 (ko) 2022-09-30

Family

ID=8084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86A KR102449072B1 (ko) 2020-09-22 2020-09-22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9072B1 (ko)
WO (1) WO2022065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4371B (zh) * 2022-08-05 2023-04-25 深圳市俱进纸品包装有限公司 一种礼盒印刷的瑕疵视觉检测装置
KR200496610Y1 (ko) * 2022-09-30 2023-03-14 (주)진스랩 롤러를 이용한 마이크로 플레이트 실러
CN117208291B (zh) * 2023-11-09 2024-03-15 福建鑫骏晖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镜面卡纸生产用绕膜装置及操作方法
CN117533595B (zh) * 2024-01-08 2024-03-26 亨特酒店用品(汕头)有限公司 一种圆盘式灌装封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501A (ja) * 2002-02-05 2003-08-19 Ishida Co Ltd トップシール式包装装置
KR101919126B1 (ko) * 2018-01-17 2018-11-15 (주)포스텍 용기 자동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16A (ja) * 1993-06-23 1995-01-13 Musashi Eng Co Ltd 硬貨計数包装機
JPH07187145A (ja) * 1993-12-24 1995-07-25 Terumo Corp シール装置
EP1332086A1 (en) * 2000-06-30 2003-08-06 Incyte Genomics, Inc. Microplate sealer
US7089718B2 (en) * 2002-06-10 2006-08-15 Green-Line Products, Inc. Apparatus for heat-shrinking film onto an open-topped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90114257A (ko) * 2008-04-29 2009-11-03 김형훈 자동 용기 실링 장치
KR20100000520U (ko) 2008-07-08 2010-01-18 와이-팡 실링 머신 리미티드 데스크탑형 자동 필링 포장기
JP3152023U (ja) * 2009-04-03 2009-07-16 益芳封口機有限公司 シール装置
KR101140410B1 (ko) * 2009-05-11 2012-05-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91764Y1 (ko) 2017-04-12 2020-06-01 김민덕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KR102090396B1 (ko) 2018-09-13 2020-03-17 (주) 세창실업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기
TWI699311B (zh) * 2019-05-23 2020-07-21 林淑玲 封口膜打孔裝置及具有打孔裝置的封口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501A (ja) * 2002-02-05 2003-08-19 Ishida Co Ltd トップシール式包装装置
KR101919126B1 (ko) * 2018-01-17 2018-11-15 (주)포스텍 용기 자동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97A1 (ko) 2022-03-31
KR20220039944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072B1 (ko)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RU2435712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RU2435729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20090114257A (ko) 자동 용기 실링 장치
EP2208677A1 (en) Apparatus for the vacuum packaging of food products
CN211055423U (zh) 一种制药包装设备
KR20050081699A (ko)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KR102501378B1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JP2002104586A (ja) 容器液体定量充填用リフタ
CN214824505U (zh) 一种高耐热性环保纸杯输送打包装置
CN112249432B (zh) 一种开口装置、封膜包装机及封膜包装方法
CN209906315U (zh) 一种塑料包装瓶封装装置
KR102449074B1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
KR102400407B1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포장용기 인-아웃 이동장치
KR1021283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JP2538098B2 (ja) 野菜包装装置
CN220518632U (zh) 一种茶叶包装封装机构
CN116280528B (zh) 一种自动插管机
CN110254777B (zh) 盖封中药袋转动上盖式盖袋盖装置
CN110254776B (zh) 盖封中药袋转动上盖式盖袋盖方法及盖袋盖装置
KR102628337B1 (ko) 가구 포장 장치
CN214422238U (zh) 一种自动灌装装置
CN218086341U (zh) 具有高度可调功能的脚踏封口机
JP5567916B2 (ja) 包装装置
CN216702266U (zh) 一种落茶包机构及共享茶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