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378B1 -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378B1
KR102501378B1 KR1020200122090A KR20200122090A KR102501378B1 KR 102501378 B1 KR102501378 B1 KR 102501378B1 KR 1020200122090 A KR1020200122090 A KR 1020200122090A KR 20200122090 A KR20200122090 A KR 20200122090A KR 102501378 B1 KR102501378 B1 KR 10250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aging container
fusion
punch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945A (ko
Inventor
송재학
박상현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팩앤팩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팩앤팩, 주식회사 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팩앤팩
Priority to KR102020012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378B1/ko
Priority to PCT/KR2020/018545 priority patent/WO2022065599A1/ko
Publication of KR2022003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컵, 음식물 식기 등의 포장용기 상단을 필름으로 봉하는 실링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필름에 미세공을 형성시킨 후 필름을 포장용기 상단에 열 융착시키고, 커팅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 실링기(1)에 구비된 장치로서,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순차 배치되어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해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 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전기 공급에 의한 발열부(1321), 상기 발열부(1321) 하면에 구비되며,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2) 및 상기 가열판(1322)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3); 을 포함하여,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된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Film punching-heat bonding-cutting device of packaging container sealing machine}
본 발명은 음료컵, 음식물 식기 등의 포장용기 상단을 필름으로 봉하는 실링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필름에 미세공을 형성시킨 후 필름을 포장용기 상단에 열 융착시키고, 커팅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크 아웃, 배달 등의 수요 증가로 음료, 음식물 등에 대한 일회용 포장용기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포장용기 상단을 봉하여 음료 등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서비스 품질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뚜껑으로 포장용기를 덮는 경우 배달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져 나오는 경우가 많았고, 포장용기 상단을 랩으로 감싸는 등의 방법의 경우 소비자가 랩을 풀어내면서 손에 음식물이 묻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참고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W M564009 U "封口機封膜機構(Film sealing mechanism of sealing machine)" 등을 통해 필름으로 포장용기 상단을 실링하는 포장용기 실링기가 실용화되어 있다.
[참고도 1]
Figure 112020100558746-pat00001
다만, 종래의 포장용기 실링기는,
1) 포장용기 상단에 필름을 열 융착시켜 밀봉하는 것인데, 포장용기 내용물의 탄산이나 열기 등에 의해 내부압이 높아져, 필름 실링 부분이 부풀어 터지는 문제,
2) 포장용기 실링 후 마이크로핀의 펀칭으로 필름에 미세공을 형성시키는 경우, 마이크로핀이 포장용기 내용물에 닿는 위생 문제,
3)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져 장력이 약해진 상태의 필름에 마이크로핀 펀칭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되는 미세공의 직경이 계획보다 커져, 배달이나 테이크 아웃 시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문제 등이 지적되어 왔다.
1. 등록특허 10-2090396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기" 2. 공개실용신안 20-2010-0000520 "데스크탑형 자동 필링 포장기" 3. 등록실용신안 20-0491764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4. TW M564009 U "封口機封膜機構(Film sealing mechanism of sealing machine)"
본 발명은 필름에 미세공 선 가공 후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이크로핀이 포장용기 내용물에 닿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필름이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공을 형성시킴으로 미세공을 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포장용기 실링기(1)에 구비된 장치로서,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순차 배치되도록 탑플레이트(134)에 함께 결합되고,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한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으로 함께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 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전기 공급에 의한 발열부(1321), 상기 발열부(1321) 하면에 구비되며,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2) 및 상기 가열판(1322)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3); 을 포함하여,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상기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상부에 배치되어 양단이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 고정된 센터브릿지(1331); 및 상기 센터브릿지(1331) 하면에 설치되어, 전동모터(112b)의 구동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승강시키는 전동실린더(1332);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결봉(1333)을 매개로 상기 탑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함께 승강하는 서브플레이트(1334);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부에 배치되어 양단이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 고정된 서브브릿지(1335); 하단이 상기 서브브릿지(1335)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세워져 설치된 가이드봉(1336); 및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1336) 외측에 끼워져, 상기 탑플레이트(134)가 승강함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봉(1336)을 경로 삼아 승강하는 단관(1337);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펀칭모듈(131)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상기 서브플레이트(1334)에 탈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핀(13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함입홀(13131)이 형성된 받침대(1313)가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필름(22)이 상기 받침대(13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하강하여, 상기 함입홀(13131) 형성부위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이 상기 필름(22)을 뚫어 미세공(22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펀칭모듈(131)의 상기 수직바디부(1311)는, 상면에 유격홈(131111)이 인입·형성되고,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서 하면까지 통공(13111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1112)의 하단 둘레에 부싱(13113)이 결합된 상부파트(13111); 상기 통공(131112)을 통해 돌출된 상단부에 와셔(131121)가 결합되어, 상기 와셔(131121)가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 걸쳐져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중단봉(13112); 상기 중단봉(13112)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부싱(13113)에 접하는 수직 스프링(13113); 및 상기 중단봉(13112)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을 지지하며, 하면 중앙부에 마이크로핀(1312)이 결합된 하부파트(13114);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펀칭모듈(131)의 하강 과정에서, 상기 하부파트(13114)의 하면이 상기 받침대(1313)의 상면에 접한 이후에는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에 압축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핀(1312)은 복수개가 十자로 배열되거나, O자 형태 범위 내에 조밀하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융착-커팅모듈(132) 설치 구간 후에 설치된 리텐션바(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리텐션바(135)는 상기 필름(22)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1351)의 복원력으로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중앙부가 컷아웃된 필름(22)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는 필름에 미세공 선 가공 후 포장용기 상단에 열 융착 및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이크로핀이 포장용기 내용물에 닿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필름이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공을 형성시킴으로 미세공을 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실시예이다.
[도 2]는 포장용기 실링기의 하우징 일측 외피를 제거하여 측면 지지판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포장용기 실링기의 측면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펀칭모듈 실시예의 외형 및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전동 승강수단에 결합된 융착-커팅모듈의 실시예이다.
[도 7]은 전동 승강수단과 펀칭모듈 및 융착-커팅모듈의 결합 구조 실시예이다.
[도 8]은 리텐션바 설치 구조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포장용기(3)는 음식 그릇, 음료 컵 등이며, 상기 필름(22)은 상기 포장용기 상단을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실시예로서, 하우징(11) 상부에는 상단커버(1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 외피 내측에는 측면 지지판(116)과 바닥면 보강판(117)이 구비되어 각종 장치들의 지지틀이 되도록 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측면 지지판(116) 안쪽에는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12),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포장용기 인-아웃 이동장치(14), 제어장치(15), 마커센서(16), 전력공급부(17) 등을 배치,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의 상부 일측에 필름롤(2)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3]).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는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순차 배치되어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해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름(22)의 이동 경로가 밀폐 공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포장용기 실링기(1) 내부에 구비된 순환궤도(121)를 따라 이동하는 필름(22)을 대상으로 펀칭-융착-커팅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궤도(121)는 이격된 좌·우 한 쌍의 벨트(1211)와, 상기 벨트(1211)의 변곡점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 벽면에 결합된 회전축(1213)에 장착된 풀리(1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궤도(121)는 상부 2지점 및 하부 2지점에서 변곡점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부 2지점의 간격이 하부 2지점의 간격보다 좁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순환궤도(121) 상부 2지점의 좁은 간격에 의해 확보되는 상기 하우징(11) 내 여유공간(111)에 상기 필름롤(2)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은 상기 순환궤도(121)가 점유하는 공간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궤도(121) 하부를 지나는 필름에 대해 펀칭-융착-커팅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핀(1312)은 미세공 형성 계획에 따라 복수개를 十자로 배열하거나, O자 형태 범위 내에 조밀하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함입홀(13131)이 형성된 받침대(1313)를 상기 마이크로핀(1312)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필름(22)이 상기 받침대(13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하강하여, 상기 함입홀(13131) 형성부위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이 상기 필름(22)을 뚫어 미세공(2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입홀(13131)은 원형, 좁은 띠 형태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바디부(131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트(13111), 중단봉(13112), 수직 스프링(13113) 및 하부파트(1311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파트(13111)는 상면에 유격홈(131111)이 인입·형성되고,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서 하면까지 통공(13111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1112)의 하단 둘레에 부싱(13111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단봉(13112)은 상기 통공(131112)을 통해 돌출된 상단부에 와셔(131121)가 결합되어, 상기 와셔(131121)가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 걸쳐져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직 수프링(13113)은 상기 중단봉(13112)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부싱(13113)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파트(13114)는 상기 중단봉(13112)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을 지지하며, 하면 중앙부에 마이크로핀(1312)이 결합된다.
위의 구성에 의해 상기 펀칭모듈(131)의 하강 과정에서 상기 하부파트(13114)의 하면이 상기 받침대(1313)의 상면에 접한 이후에는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에 압축저항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마이크로핀(1312)의 오버 펀칭을 방지한다.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에 의한 발열부(1321), 상기 발열부(1321) 하면에 구비되며,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2) 및 상기 가열판(1322)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3)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이 함께 결합된 탑플레이트(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으로 상기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이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센터브릿지(1331) 및 상기 센터브릿지(1331) 하면에 설치되어, 전동모터(112b)의 구동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승강시키는 전동실린더(13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터브릿지(1331)의 양단은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탑플레이트(134)는 상기 전동실린더(1332)에서 수직으로 인출되거나 인입하는 피스톤에 결합시켜,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서브플레이트(1334), 서브브릿지(1335), 가이드봉(1336) 및 단관(1337)이 함께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플레이트는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결봉(1333)을 매개로 상기 탑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함께 승강하는 판재이다.
상기 서브브릿지(1335)는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서, 양단을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1336)은 하단이 상기 서브브릿지(1335)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봉 부재이고, 상기 단관(1337)은 상기 가이드봉(1336)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결합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1336)을 따라 승강한다. 상기 단관(1337)이 고정된 가이드봉(1336)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탑플레이트(134) 이하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봉(1336)과 단관(1337)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양측 하부에 각각 1세트씩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세트를 분산 배치하여 승강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펀칭모듈(131)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상기 서브플레이트(1334)에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플레이트(1334) 하부 양측을 따라 라인홈(13341)을 형성시키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1)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13)의 양측에 끼움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슬라이딩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융착-커팅모듈(1321)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융착-커팅모듈(132) 설치 구간 후에 설치된 리텐션바(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텐션바(135)는 상기 필름(22)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1351)의 복원력으로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중앙부가 컷아웃된 필름(22)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텐션바(13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기 포장용기 실링기(1) 하우징(11)의 측면 지지판(116)에 형성된 장홈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텐션 스프링(1351)이 상기 장홈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리텐션바(135)를 타측으로 밀어주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2 : 필름롤 21 : 파이프형 속지 22 : 필름
221 : 미세공 222 : 포장도안
223 : 마커
3 : 포장용기
11 : 하우징 111 : 여유공간 112a,112b : 전동모터
113 : 상단커버 114 : 전면하부 115 : 전면상부
116 : 측면 지지판 117 : 바닥면 보강판
12 : 필름 피딩-와인딩 장치
121 : 순환궤도 1211 : 벨트 1212 : 풀리
13 :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131 : 펀칭모듈 1311 : 수직바디부 13111 : 상부파트
131111 : 유격홈 131112 : 통공 131113 : 부싱 13112 : 중단봉
131121 : 와셔 13113 : 수직 스프링
13114 : 하부파트 1312 : 마이크로핀
1313 : 받침대 13131 : 함입홈
132 : 융착-커팅모듈 1321 : 발열부 1322 : 가열판
1323 : 커팅날
133 : 전동 승강수단 1331 : 센터브릿지 1332 : 전동실린더
1333 : 연결봉 1334 : 서브플레이트
1335 : 서브브릿지 1336 : 가이드봉
1337 : 단관
134 : 탑플레이트
135 : 리텐션바 1351 : 텐션 스프링
136 : 센터브릿지
14 : 포장용기 인-아웃 이동장치
146 : 도어
15 : 제어장치
16 : 마커센서
17 : 전력공급부

Claims (9)

  1. 포장용기 실링기(1)에 구비된 장치로서,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순차 배치되도록 탑플레이트(134)에 함께 결합되고, 전동 승강수단(133)에 의한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승강으로 함께 승강하는 펀칭모듈(131) 및 융착-커팅모듈(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펀칭모듈(131)은, 수직바디부(1311) 및 상기 수직바디부(1311) 하단 중앙부에 결합된 마이크로핀(1312); 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전기 공급에 의한 발열부(1321), 상기 발열부(1321) 하면에 구비되며, 포장용기(3) 상단 외곽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가열판(1322) 및 상기 가열판(1322) 둘레에 설치된 커팅날(1323); 을 포함하여,
    상기 펀칭모듈(131)에 의해 미세공(221)이 선 가공된 필름(22)이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포장용기(3) 상단에 열융착된 후 커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동 승강수단(133)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상부에 배치되어 양단이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 고정된 센터브릿지(1331); 및
    상기 센터브릿지(1331) 하면에 설치되어, 전동모터(112b)의 구동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승강시키는 전동실린더(1332);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방에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결봉(1333)을 매개로 상기 탑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함께 승강하는 서브플레이트(1334);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부에 배치되어 양단이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하우징(11) 측면 지지판(116)에 결합 고정된 서브브릿지(1335);
    하단이 상기 서브브릿지(1335)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탑플레이트(134)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세워져 설치된 가이드봉(1336); 및
    상기 탑플레이트(134)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1336) 외측에 끼워져, 상기 탑플레이트(134)가 승강함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봉(1336)을 경로 삼아 승강하는 단관(1337);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펀칭모듈(131)은 상기 탑플레이트(134)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은 상기 서브플레이트(1334)에 탈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2. 제1항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에 함입홀(13131)이 형성된 받침대(1313); 가 더 포함되며,
    필름(22)이 상기 받침대(13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펀칭모듈(131)이 하강하여, 상기 함입홀(13131) 형성부위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이 상기 필름(22)을 뚫어 미세공(22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3. 제2항에서,
    상기 수직바디부(1311)는,
    상면에 유격홈(131111)이 인입·형성되고,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서 하면까지 통공(13111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31112)의 하단 둘레에 부싱(13113)이 결합된 상부파트(13111);
    상기 통공(131112)을 통해 돌출된 상단부에 와셔(131121)가 결합되어, 상기 와셔(131121)가 상기 유격홈(131111) 바닥면에 걸쳐져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중단봉(13112);
    상기 중단봉(13112) 외측으로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부싱(13113)에 접하는 수직 스프링(13113); 및
    상기 중단봉(13112)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을 지지하며, 하면 중앙부에 마이크로핀(1312)이 결합된 하부파트(13114); 를 포함하며,
    상기 펀칭모듈(131)의 하강 과정에서, 상기 하부파트(13114)의 하면이 상기 받침대(1313)의 상면에 접한 이후에는 상기 수직 스프링(13113)에 압축저항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4. 제2항에서,
    상기 마이크로핀(1312)은 복수개가 十자로 배열되거나, O자 형태 범위 내에 조밀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5. 제1항에서,
    상기 필름롤(2)에서 인출된 필름(22)이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융착-커팅모듈(132) 설치 구간 후에 설치된 리텐션바(13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바(135)는 상기 필름(22)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어, 텐션 스프링(1351)의 복원력으로 상기 융착-커팅모듈(132)에 의해 중앙부가 컷아웃된 필름(22)을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실링기(1)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13).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22090A 2020-09-22 2020-09-22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KR10250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90A KR102501378B1 (ko) 2020-09-22 2020-09-22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PCT/KR2020/018545 WO2022065599A1 (ko) 2020-09-22 2020-12-17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90A KR102501378B1 (ko) 2020-09-22 2020-09-22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45A KR20220039945A (ko) 2022-03-30
KR102501378B1 true KR102501378B1 (ko) 2023-02-22

Family

ID=8084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90A KR102501378B1 (ko) 2020-09-22 2020-09-22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1378B1 (ko)
WO (1) WO2022065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898B1 (ko) 2022-06-15 2023-06-08 김영산 야구공 낙하개수 선택형 자동 포장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501A (ja) * 2002-02-05 2003-08-19 Ishida Co Ltd トップシール式包装装置
KR101919126B1 (ko) * 2018-01-17 2018-11-15 (주)포스텍 용기 자동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16A (ja) * 1993-06-23 1995-01-13 Musashi Eng Co Ltd 硬貨計数包装機
JPH07187145A (ja) * 1993-12-24 1995-07-25 Terumo Corp シール装置
CN2406921Y (zh) * 1999-12-01 2000-11-22 王荣南 塑胶杯自动封盖机
KR20090114257A (ko) * 2008-04-29 2009-11-03 김형훈 자동 용기 실링 장치
KR20100000520U (ko) 2008-07-08 2010-01-18 와이-팡 실링 머신 리미티드 데스크탑형 자동 필링 포장기
JP3152023U (ja) * 2009-04-03 2009-07-16 益芳封口機有限公司 シール装置
KR101140410B1 (ko) * 2009-05-11 2012-05-03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장용기 밀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471526U (zh) * 2009-07-21 2010-05-19 萌胜热熔有限公司 塑料薄膜冲孔制具
US20110083810A1 (en) * 2009-10-13 2011-04-14 David Lin Container Sealing Machine for Food Packaging
KR200491764Y1 (ko) 2017-04-12 2020-06-01 김민덕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KR102090396B1 (ko) 2018-09-13 2020-03-17 (주) 세창실업 일회용 포장용기 자동실링기
KR102192180B1 (ko) * 2019-04-16 2020-12-16 주식회사 씨앤제이글로벌 종이용기 씰링포장장치
TWI699311B (zh) * 2019-05-23 2020-07-21 林淑玲 封口膜打孔裝置及具有打孔裝置的封口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501A (ja) * 2002-02-05 2003-08-19 Ishida Co Ltd トップシール式包装装置
KR101919126B1 (ko) * 2018-01-17 2018-11-15 (주)포스텍 용기 자동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99A1 (ko) 2022-03-31
KR20220039945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072B1 (ko)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KR102501378B1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JP5433777B2 (ja) 蓋整形装置
KR20200121685A (ko) 종이용기 씰링포장장치
CN210340944U (zh) 一种糖浆配液罐
CN108711640A (zh) 锂电池自动封装工艺及方法
CN113044783A (zh) 一种灌装封盖机
KR1021283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101516959B1 (ko) 이동식 액상 원료 공급장치
KR102400407B1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포장용기 인-아웃 이동장치
CN218320674U (zh) 一种香兰素包装的密封结构
CN207434113U (zh) 一种可拆卸食品瓶盖
CN212719178U (zh) 一种液氮生产用加注装置
CN212797589U (zh) 一种纽扣电池热封机
CN220518632U (zh) 一种茶叶包装封装机构
CN216377423U (zh) 一种灌装封盖机
CN210364658U (zh) 一种蛋制品包装机的纵封装置
CN215555648U (zh) 新型瓶盖
CN210340310U (zh) 一种使用方便的穿刺取液机构
CN220924592U (zh) 自动压盖装置
CN212891065U (zh) 一种奶茶包装装置
CN215287914U (zh) 一种用于加工山茶籽油的精准压盖装置
CN216472157U (zh) 一种次氯酸钙自动灌装装置
CN216887508U (zh) 一种全自动泡罩灌装封膜机
CN218507069U (zh) 一种基于慧鱼模型的红酒开瓶倾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