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60B1 - 스풀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풀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60B1
KR102449060B1 KR1020170109082A KR20170109082A KR102449060B1 KR 102449060 B1 KR102449060 B1 KR 102449060B1 KR 1020170109082 A KR1020170109082 A KR 1020170109082A KR 20170109082 A KR20170109082 A KR 20170109082A KR 102449060 B1 KR102449060 B1 KR 10244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orce
spool
unit
braking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661A (ko
Inventor
히로키 오고세
아키라 니이츠마
유이치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08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6Radially engag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과제]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면서, 루어(lure)의 비거리를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스풀 제동 장치(4)는, 제동부(41)와, 증감(增減) 검출부(42)와, 제어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3)는, 증감 검출부(42)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제어부(43)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을 때, 통상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43)는,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변화시킨다. 또한, 제어부(43)는,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 소정 시간의 동안, 제1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43)는,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도 작게 한다.

Description

스풀 제동 장치{SPOOL BRAKING DEVICE}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은,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스풀 제동 장치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양 베어링 릴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122273호
캐스팅 시에 있어서, 루어(lure)의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면서, 루어의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측면에 관련되는 스풀 제동 장치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풀 제동 장치는, 제동부와, 증감(增減) 검출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는, 스풀을 제동한다. 증감 검출부는,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을 검출한다. 제어부는, 증감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을 때, 통상(通常) 제동력 모드로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변화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 소정 시간의 동안, 제1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도 작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풀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을 때는, 통상 제동력 모드로 스풀을 제동하기 때문에,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에, 통상 제동력 모드로부터 제1 제동력 모드로 바뀌고,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루어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캐스팅 시의 줄 끊김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감 검출부는, 속도 검출부와, 속도 비교부와, 증감 판단부를 가진다. 속도 검출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스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속도 비교부는,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스풀의 회전 속도와, 속도 검출부에서 직전에 검출된 스풀의 회전 속도와 비교한다. 증감 판단부는, 속도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을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소정 시간의 동안 제1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 후에는, 제2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은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일정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백래시를 방지하면서 루어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동부의 단면도.
도 4는 증감 검출부가 장착된 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5는 스풀 제동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회전 속도 및 제동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스풀 제동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flow char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제동 장치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3)과, 스풀 제동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제1 릴 본체부(11)와, 제2 릴 본체부(12)를 가지고 있다. 제1 릴 본체부(11)와 제2 릴 본체부(1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릴 본체부(11)는, 핸들(2)의 회전을 스풀(3)로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도시 생략)를 수용하고 있다.
[핸들]
핸들(2)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핸들(2)은, 제1 릴 본체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2)의 회전은,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스풀(3)에 전달된다.
[스풀]
스풀(3)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3)은 제1 릴 본체부(11)와 제2 릴 본체부(1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3)은, 스풀축(31)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31)은, 제1 릴 본체부(11)와 제2 릴 본체부(12)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31)은, 제1 릴 본체부(11) 및 제2 릴 본체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제동 장치(4)는, 스풀(3)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풀 제동 장치(4)는, 제동부(41), 증감 검출부(42), 및 제어부(43)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증감 검출부(42)의 일부의 구성, 및 제어부(4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하여 구성된다. 즉, 제어부(43)는,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 기능 구성이다. 덧붙여, 제어부(43)는, 전자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실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와의 협동에 의하여 실현되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제동부]
제동부(41)는, 스풀(3)을 전기적으로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동부(41)는, 자석(411), 복수의 코일(412), 및 스위치 소자(413)를 가진다.
자석(411)은, 스풀(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자석(411)은, 예를 들어, 스풀축(31)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자석(411)은, 스풀(3)에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자석(411)은, 원통형이다. 자석(411)은, 극이방성(極異方性) 착자(着磁)된 복수의 자극(磁極)을 가진다. 자석(411)의 각 자극은,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각 코일(412)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412)은 통상(筒狀)이다. 코일(412)은, 자석(411)의 경(徑)방향 외측(外側)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412)과 자석(411)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코일(412)은, 자석(411)과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 코일(412)은, 회로 기판(36)에 장착된다. 덧붙여, 코일(412)은, 코깅(cogging)을 방지하여 스풀(3)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코어리스(coreless) 타입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412)의 양단은, 회로 기판(36)에 탑재된 스위치 소자(4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코일(412)은 각각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코일(412)은, 둘레 방향으로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대체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스위치 소자(413)는, 예를 들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동부(41)는, 자석(411)과 코일(412)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 소자(413)에 의하여 온 오프(on-off)하는 것에 의하여, 듀티비를 변경하여 스풀(3)을 제동한다. 제동부(41)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 소자(413)의 온 시간이 길수록(듀티비 D가 클수록) 강해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소자(413)는, 정류 회로(414)를 통하여 코일(412)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 소자(413)는, 축전 소자(415)에 접속된다. 축전 소자(415)는, 캐스팅 시에 코일(412)로부터 발생한 전력을 모은다. 축전 소자(415)는, 증감 검출부(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축전 소자(415)는, 제어부(43)를 구성하는 CPU 등에도 전력을 공급한다. 축전 소자(415)는,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에 의하여 구성된다.
[증감 검출부]
증감 검출부(42)는,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감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증감 검출부(42)는, 스풀(3)의 회전 속도의 가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증감 검출부(42)는, 속도 검출부(421)와, 속도 비교부(422)와, 증감 판단부(423)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증감 검출부(42) 중, 속도 비교부(422), 및 증감 판단부(423)는, 상술한 CPU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속도 검출부(421)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스풀(3)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상세하게는, 속도 검출부(421)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스풀(3)의 회전 속도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속도 검출부(421)는, 홀 소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속도 검출부(421)는, 회로 기판(36)에 장착되어 있다. 속도 검출부(421)는, 각 코일(412)의 간극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속도 검출부(421)는, 자석(411)의 소정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온 오프한다. 속도 검출부(421)는, 그 출력 신호를 속도 비교부(422)로 출력한다.
속도 비교부(422)는, 속도 검출부(421)에서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와, 그 직전에 있어서 속도 검출부(421)에서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비교한다. 즉, 속도 비교부(422)는, 속도 검출부(42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스풀(3)의 회전 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속도 비교부(422)는, 어느 시각에 있어서의 스풀(3)의 회전 속도와, 어느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기 전의 시각에 있어서의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비교한다. 덧붙여, 증감 검출부(42)는, 기억부를 더 가지고 있고, 직전의 회전 속도를 기억하고 있다.
증감 판단부(423)는, 속도 비교부(422)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감을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증감 판단부(423)는,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증감 검출부(42)는, 캐스팅 판단부(424)를 더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캐스팅 판단부(424)는, 속도 검출부(421)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양 베어링 릴(100)이 캐스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스풀(3)이 줄 방출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회전한 경우, 양 베어링 릴(100)이 캐스팅되었다고 캐스팅 판단부(424)는 판단한다. 캐스팅 판단부(424)는, 상기 CPU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43)는, 증감 검출부(42)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3)는,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을 때,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통상 제동력 모드로 제어한다. 통상 제동력 모드에서는, 제어부(43)는, 스풀(3)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변화시킨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제동력 모드에서는, 회전 속도가 커지는 것에 따라 제동력도 커지도록, 제어부(43)는 제동력을 제어한다. 덧붙여,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와 제동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동력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있고, 기억부(도시 생략) 등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43)는, 그 제동력 정보에 기초하여, 스풀(3)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변화시킨다.
제어부(43)는,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 소정 시간 T1의 동안,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1 제동력 모드로 제어한다. 제어부(43)는,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도 작게 한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동력 모드에서는, 제어부(43)는,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소정의 제동력 B까지 낮춘다. 예를 들어, 제어부(43)는,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제동력 Bmax로부터 30 ~ 40% 정도 감소시켜, 제동력 B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소정의 제동력 B까지 제동력을 낮춘 후, 서서히 제동력을 감소시킨다. 덧붙여, 도 6 중의 점선은, 통상 제동력 모드로 제어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43)는, 소정 시간 T1의 동안만 제1 제동력 모드로 제동력을 제어하고, 소정 시간 T1이 경과하면, 제2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 제어부(43)는, 제2 제동력 모드에서는,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도 작게 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3)는,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일정하게 제어한다. 덧붙여, 제어부(43)는, 제2 제동력 모드에서의 제동력으로서, 제1 제동력 모드에서의 제동력 B로부터 50 ~ 60% 정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최대 제동력은, 8 ~ 10밀리Nm 정도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제동력 Bmax가 8 ~ 10밀리Nm인 경우, 제1 제동력 모드에서의 제동력 B는, 예를 들어,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최대 제동력 Bmax로부터 30 ~ 40% 정도 감소한, 5 ~ 7밀리Nm 정도가 된다. 또한, 제2 제동력 모드에서의 제동력은, 제1 제동력 모드에서의 제동력 B로부터 나아가, 예를 들어, 50 ~ 60% 정도 감소한, 2 ~ 3밀리Nm 정도의 제동력이 된다.
제동력 B의 제어는,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43)나 그 외의 기억부(도시 생략) 등으로 기억되고 있다. 또한,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제동력 B에 달한 후의 제동력의 감소량도,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43)나 그 외의 기억부(도시 생략) 등으로 기억되고 있다.
제어부(43)는, 예를 들어, 스위치 소자(413)를 듀티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부(41)의 제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동작]
다음으로, 스풀 제동 장치(4)에 의한 동작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속도 검출부(421)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스풀(3)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스텝 S1).
캐스팅 판단부(424)는, 속도 검출부(421)에 의하여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양 베어링 릴(100)이 캐스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양 베어링 릴(100)이 캐스팅되어 있지 않으면 캐스팅 판단부(424)가 판단하면(스텝 S2의 No), 재차 스텝 S1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양 베어링 릴(100)이 캐스팅되었다고 캐스팅 판단부(424)가 판단하면(스텝 S2의 Yes), 속도 비교부(422)는, 속도 검출부(421)에서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와, 그 직전에 있어서 속도 검출부(421)에서 검출된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비교한다(스텝 S3). 상세하게는, 속도 비교부(422)는, 속도 검출부(42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스풀(3)의 회전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속도 비교부(422)는, 어느 시각에 있어서의 스풀(3)의 회전 속도와, 어느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기 전의 시각에 있어서의 스풀(3)의 회전 속도를 비교한다.
다음으로, 증감 판단부(423)는, 속도 비교부(422)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
스텝 S4에 있어서,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증감 판단부(423)가 판정하였을 때(스텝 S4의 Yes), 제어부(43)는 통상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스텝 S5). 즉, 제어부(43)는,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력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재차 스텝 S3의 처리부터 반복한다.
한편, 스텝 S4에 있어서,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다고 증감 판단부(423)가 판단하였을 때(스텝 S4의 No), 즉, 캐스팅된 채비나 루어가 중력이나 공기 저항 등의 영향으로 최고 속도로부터 감속하기 시작하였다고 판단하면, 제어부(43)는 제1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스텝 S6). 상세하게는, 제어부(43)는, 스풀(3)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동력 B까지 낮추고, 그 후, 서서히 제동력을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43)는, 제1 제동력 모드를 개시하여 소정의 시간 T1이 경과한 후, 제1 제동력 모드를 종료하고, 제2 제동력 모드로 제동부(41)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다(스텝 S7). 덧붙여,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은,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은 일정값이다.
다음으로, 캐스팅 판단부(424)는, 캐스팅이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 캐스팅이 종료하였다고 캐스팅 판단부(424)가 판단하면(스텝 S8의 Yes), 스풀 제동 장치(4)는, 스풀(3)의 제동을 종료한다. 덧붙여, 캐스팅 판단부(424)는, 예를 들어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회전 속도 미만으로 되었을 때, 캐스팅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풀(3)을 제동하는 제동부(41)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3: 스풀
4: 스풀 제동 장치
41: 제동부
42: 증감 검출부
43: 제어부
100: 양 베어링 릴

Claims (4)

  1.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제동부와,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增減)을 검출하는 증감 검출부와,
    상기 증감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있을 때,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통상(通常) 제동력 모드로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하고,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멈추었을 때, 소정 시간의 동안,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상기 통상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도 작게 하는 제1 제동력 모드로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하는,
    스풀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감 검출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와,
      상기 속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와, 상기 속도 검출부에서 직전에 검출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와 비교하는 속도 비교부와,
      상기 속도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의 증감을 판단하는 증감 판단부
    를 가지는,
    스풀 제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의 동안 상기 제1 제동력 모드로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한 후에는, 제2 제동력 모드로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은 상기 제1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의 제동력보다 작은,
    스풀 제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동력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스풀 제동 장치.
KR1020170109082A 2017-01-19 2017-08-29 스풀 제동 장치 KR102449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7312 2017-01-19
JP2017007312A JP6836404B2 (ja) 2017-01-19 2017-01-19 スプール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661A KR20180085661A (ko) 2018-07-27
KR102449060B1 true KR102449060B1 (ko) 2022-09-30

Family

ID=6283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082A KR102449060B1 (ko) 2017-01-19 2017-08-29 스풀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7848B2 (ko)
JP (1) JP6836404B2 (ko)
KR (1) KR102449060B1 (ko)
CN (1) CN108323486B (ko)
TW (1) TWI744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5990B2 (ja) * 2017-01-19 2020-12-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KR102280541B1 (ko) * 2019-03-28 2021-07-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이동식 관성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JP7481958B2 (ja) * 2020-08-27 2024-05-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JP2022038629A (ja) * 2020-08-27 2022-03-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その制動装置及び制動システム
US11864543B2 (en) 2021-01-25 2024-01-09 Cary Hogan JONES Fly fishing reel with brake assembly and methods
JP2023032403A (ja) * 2021-08-27 2023-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を制動する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847A (ja) 2007-12-28 2009-07-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6136893A (ja)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5220A (en) 1972-05-30 1975-02-11 Jr William A Thompson Bicycle hub
JPH0310867Y2 (ko) * 1985-06-21 1991-03-18
JP3100216B2 (ja) * 1991-07-18 2000-10-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US6086005A (en) * 1997-03-11 2000-07-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magnetic force spool rotational-speed control during spool free rotational state
JPH10262521A (ja) * 1997-03-28 1998-10-0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3481097B2 (ja) * 1997-10-08 2003-12-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6168106B1 (en) * 1998-08-28 2001-01-02 Brunswick Corporation Remotely operable centrifugal brake
SE0300372L (sv) * 2003-02-12 2003-11-25 Pure Fishing Inc Fiskerulle av multiplikatortyp
JP4362384B2 (ja) * 2004-02-02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JP4785499B2 (ja) *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TW200930289A (en) * 2008-01-08 2009-07-16 wen-xiang Li Fishing reel with second brake device
US7712695B2 (en) * 2008-07-10 2010-05-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fishing reel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7011945B2 (ja) * 2018-01-23 2022-0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847A (ja) 2007-12-28 2009-07-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6136893A (ja) 2015-01-28 2016-08-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23486B (zh) 2021-09-07
TWI744381B (zh) 2021-11-01
CN108323486A (zh) 2018-07-27
KR20180085661A (ko) 2018-07-27
US20180199554A1 (en) 2018-07-19
US10477848B2 (en) 2019-11-19
JP2018113921A (ja) 2018-07-26
JP6836404B2 (ja) 2021-03-03
TW201826929A (zh)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060B1 (ko) 스풀 제동 장치
TWI684407B (zh) 釣魚用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
US10575508B2 (en) Braking apparatus for dual-bearing reel
CN106993587B (zh) 钓鱼用绕线轮
US10130085B2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2006197810A5 (ko)
JP200619781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571548B2 (ja) 釣り用リール
KR102449059B1 (ko) 스풀 제동 장치
JP2017127284A5 (ko)
JP2017127285A5 (ko)
KR20160123007A (ko)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147978A1 (en) Fishing reel motor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