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984B1 - 실링 구멍 마개 - Google Patents

실링 구멍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984B1
KR102445984B1 KR1020197019501A KR20197019501A KR102445984B1 KR 102445984 B1 KR102445984 B1 KR 102445984B1 KR 1020197019501 A KR1020197019501 A KR 1020197019501A KR 20197019501 A KR20197019501 A KR 20197019501A KR 102445984 B1 KR102445984 B1 KR 10244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component
orifice
delete delete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331A (ko
Inventor
미쉘 쿰
스테판 도스너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Gasket Se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구멍을 폐색하도록 구성된다.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제1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칼라(collar)와, 칼라로부터 연장되는 폐색 융기부를 포함한다. 폐색 융기부는 제1 립(lip)과 제2 립을 포함한다. 제1 립은 구멍을 획정하는 구성요소의 내부 에지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2 립은 제1 표면과 반대되는, 구성요소의 제2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실링 구멍 마개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6년 12월 14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실링 구멍 마개”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2/434,079호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은 참조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구멍 마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기가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구멍 마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조립체는 서로 연결되는 패널, 블럭 또는 다른 그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자동차 조립체는, 예컨대 다양한 다른 패널이나 구조체에 또는 자동차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양한 패널 또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블럭 및 패널과 같은 특정 구성요소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다. 조립 프로세스 동안, 구멍은 파스너를 수용 및 유지할 수도 있고, 배관, 배선 등이 통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구멍은 활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구멍은, 예컨대 향후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남겨둘 수도 있다.
구멍 마개는 통상 디바이스의 패널 내에 형성된 구멍을 확실하게 커버하고 폐쇄하는 데 사용된다. 통상적인 구멍 마개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어 구멍 마개가 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유체 밀봉 배리어를 제공한다.
EP 3061675, DE 10303366 및 EP 0911132에는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9,676,425호에는 팽창형 구멍 마개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양 측면에서 풀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구멍 주위에서 구성요소에 실링된다. 다른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일측면에 실링식으로 맞물리도록 사용되는 별개의 특유한 실링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요소에 대해 구멍 마개를 실링하기 위해, 별개의 시일 및/또는 재료가 사용되는데, 이는 노동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별개의 특유한 구조체 또는 접착제 없이 구성요소에 고착될 수 있는 구멍 마개가 필요하다. 더욱이, 구성요소에 효율적으로 실링식으로 고착될 수 있는 구멍 마개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구성요소의 구멍을 폐색하도록 구성된 구멍 마개를 제공한다.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제1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칼라(collar)를 포함한다. 폐색 융기부가 칼라로부터 연장된다. 폐색 융기부는 제1 립(lip)과 제2 립을 포함한다. 제1 립은 구멍을 획정하는 구성요소의 내부 에지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2 립은 제1 표면과 반대되는, 구성요소의 제2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구멍 마개는 가열 시에 용융 및/또는 팽창하여, 구성요소에 실링식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립은 칼라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연장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립은 제1 립에 연결된다. 제1 립은 칼라와 제2 립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제1 립과 제2 립 각각은 램프형 세미 원추부에 연결되는 렛지(ledge)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폐색 융기부는 제2 립에 연결된 노우즈(nose)를 포함한다. 노우즈는 돔 형상일 수 있다. 노우즈는 구멍 마개의 측벽의 제2 두께와 상이한 제1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폐색 융기부는 제1 립과 노우즈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각진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구멍 마개의 균일한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폐색 융기부는 노우즈의 팁에 형성된 주입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게이트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재료의 원활한 흐름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 구성된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는 제1 표면과, 이 제1 표면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멍은 구성요소를 관통하여 제1 표면에서부터 제2 표면으로 연장된다. 구멍은 구성요소의 내부 에지에 의해 획정된다.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구멍을 폐색한다.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의 제1 표면에 맞닿는 칼라와, 칼라로부터 연장되는 폐색 융기부를 포함한다. 폐색 융기부는 제1 립과 제2 립을 포함하고, 제1 립은 구멍을 획정하는 구성요소의 내부 에지에 맞닿는다. 제2 립은 제1 표면과 반대되는, 구성요소의 제2 표면에 맞닿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멍 마개의 저부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멍 마개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멍 마개의 상부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멍 마개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멍 마개의 저부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선 6-6을 따른 구멍 마개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고착된 구멍 마개의 일부에 관한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 프로세스 이전의 구성요소에 고착된 구멍 마개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 프로세스 이후의 구성요소에 고착된 구멍 마개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의 구멍 내에 구멍 마개를 실링식으로 고착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아래의 설명에 기술되고 도면에 예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치의 상세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시행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구문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포함하는” 및 “...으로 구성되는” 및 이들 용어의 파생어의 사용은 후속하여 열거되는 항목과 그 등가물 및 추가의 항목과 그 등가물을 망라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구성요소의 부분에 실링식으로 맞물리도록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팽창 및/또는 용융하도록 구성되는 구멍 마개를 제공한다. 구멍 마개는 단일의 일체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멍 마개는 가열 프로세스 이전에 구멍 마개를 구성요소에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실링 및 유지 립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프로세스 동안, 립은 구성요소의 영역으로 팽창, 용융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유동하여, 유지력을 증가시키고 구성요소와의 강건한 실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멍 마개(100)의 저부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는 구멍 마개(100)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구멍 마개(100)의 상부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구멍 마개(100)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구멍 마개(100)의 저부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도 5의 선 6-6을 따른 구멍 마개(10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구멍 마개(100)는 평면형 제1 환형면(104)이 외측 환형 에지(108)를 통해 반대측의 평면형 제2 환형면(106)에 연결되는 환형 칼라(102)를 포함한다. 폐색 융기부(110)가 제2 환형면(106)으로부터 (도 1 내지 도 6의 배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연장된다. 내부 공동(112)이 칼라(102)를 관통하여 그리고 폐색 융기부(110) 내로 획정된다. 내부 공동(112)은 칼라(102)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방 단부(114)에서부터 칼라(102)의 내면(116)과 폐색 융기부(110) 내로 연장된다. 내부 공동(112)은 폐색 융기부(110)를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폐색 융기부(110)는 이 폐색 융기부(110)의 네크(120) 주위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제1 립(118)을 포함한다. 제1 립(118)은 칼라(10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관형 연장부(1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립(118)은 연장부(122)에 의해 칼라(102)의 제2 환형면(106)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립(118)은 칼라(110)로부터 폐색 융기부(100)의 원위 노우즈(124) 측으로 이격된다. 제1 립(118)은 램프형 세미 원추부(128)에 연결되고, 렛지(126)에서부터 노우즈(124) 측으로 내측 하향으로 각진 렛지(126)를 포함한다.
폐색 융기부(110)는 제1 둘레방향 립(118) 아래에 환형 제2 립(130)도 또한 포함한다. 제2 립(130)은 제1 립 (118) 아래의 플러깅 융기부(110)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립(130)은 제1 립(118)보다 노우즈(124)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제2 립(130)은 램프형 세미 원추부(134)에 연결되고, 노우즈(124) 측으로 내측 하향으로 각진 렛지(132)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립(118)은 칼라(102)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연장부(1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립(130)은 제1 립(118)에 연결된다. 제1 립(118)은 칼라(102)와 제2 립(130)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노우즈(124)의 두께(t1)는 제1 립(118)과 제2 립(130)에 근접한 측벽(127)에서의 폐색 융기부(110)의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폐색 융기부(110)는 노우즈(124) 위에 있는 측벽(127)에서 더 두꺼울 수 있다. 즉, 구멍 마개(100)의 원위 노우즈(124)는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구멍 마개(100)가 팽창되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재료가 흘러나가는 것을 줄이기 위해 두께(t1)는 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요악하자면, 노우즈(124)의 두께는 측벽(127)과 상이하다.
도 7은 구성요소(200)에 고착된 구멍 마개(100)의 일부에 관한 단면도를 예시한다. 립(118, 130)은 구멍 마개(110)를 팽창시키는 가열 프로세스 이전에 구멍 마개(100)를 구성요소(200)에 확실하게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구멍 마개(100)는 가열될 때에 용융 및 팽창한다. 이 프로세스 동안, 립(118, 130)이 용융 및 팽창하여 구성요소와 실링식으로 맞물린다.
구멍 마개(100)는 제2 립(130)과 노우즈(124)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환형 힌지(170)를 더 포함한다. 힌지(170)는 구멍 마개(100)의 내면 상에 형성된다. 힌지(170)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폐색 융기부(110)의 압박 및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폐색 융기부(110)는 힌지(170) 주위에서 원호방향(A)으로, 반경방향 그리고 하향으로 팽창한다.
더욱이, 주입 게이트(180)가 노우즈(124)의 팁(182)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 게이트(180)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재료의 안정된 팽창을 위한 재료의 원활한 흐름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보장한다. 주입 게이트(180)는 팁(18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직선 원통형 통로일 수 있다. 가열 프로세스 동안, 구멍 마개(100)의 용융은 주입 게이트(18)를 실링식으로 충전할 수 있다.
주입 게이트(180)는 구멍 마개(100)의 종방향 중심축(183)과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이것은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안정한 팽창을 위한 재료에서의 균일한 응력 분포를 보장한다. 가열 프로세스 후, 구멍 마개(100)는 탄성을 갖고 유연하며, 이에 따라 구성요소(100)의 에지 아래의 압력 및 연결력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구멍 마개(100)를 구성요소(200)의 구멍(202)에 고착시킨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 프로세스 이전의 구성요소(200)에 고착된 구멍 마개(100)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예시한다. 폐색 시스템(201)은 구성요소(200)에 고착되는 구멍 마개(100)에 의해 형성된다. 구성요소(200)는 제1 표면(204)과, 이 제1 표면(204) 반대측의 제2 표면(210)을 갖는 평면형 시트 또는 패널일 수 있다. 구멍(202)은 구성요소(200)를 관통하여 제1 표면(204)에서부터 제2 표면(210)으로 연장된다. 구멍은 구성요소(200)의 내부 에지(206)에 의해 획정된다.
폐색 융기부(110)가 구성요소(200)의 구멍(202) 내에 위치 설정된다. 칼라(102)가 구성요소(200)이 제1 표면 또는 상부면(204)과 중첩된다. 제1 립(118)은 구멍(202)을 획정하는 구성요소(200)의 내부 에지(206)에 맞닿는다. 예컨대, 제1 립(118)의 렛지(126)가 내부 에지(206) 내로 그리고 내부 에지에 대하여 압박된다.
제2 립(130)은 구멍(202) 아래에 위치 설정된다. 제2 립(130)의 렛지(132)는 구성요소(200)의 제2 표면 또는 하부면(210)에 대하여 맞닿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202)을 에워싸는 구성요소(200)의 부분은 [하부면(210)이 렛지(132)와 중첩되도록] [제2 환형면(106)이 상부면(204)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는] 칼라(102)와 제2 립(130) 사이에 포획된다. 더욱이, 제1 립(118)은 구멍(202) 내에 위치 설정된다. 특히, 제1 립(118)은 구멍(202)을 획정하는 내부 에지(206)에 맞닿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동(112)은 칼라(102)의 내면(114)과 폐색 융기부(110) 사이에 획정된다. 노우즈(124)는 돔(125)을 제공한다. 즉, 노우즈(124)는 돔 형상이다. 노우즈(124)의 돔(125)과 측벽(127)에 대한 노우즈(124)의 두께차는 F1 방향으로 인가된 힘이 F2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달되게 하여, 가열 프로세스 이전에 구성요소(200)에 대한 안정한 연결을 보장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 프로세스 이후의 구성요소(200)에 고착된 구멍 마개(100)의 부분 사시 단면도를 예시한다. 가열 프로세스에 반응하여, 구멍 마개(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한다. 구멍 마개(100)는 가열 프로세스 중에 용융 및/또는 팽창한다. 예컨대, 구멍 마개(100)는 가열될 때에 구멍(202) 내에서 그리고 주위에서 용융 및 팽창하여, 구멍(202) 주위에서 그리고 내에서 구성요소(200)와 실링식으로 맞물린다. 가열 프로세스 동안 그리고 가열 프로세스 후, 힘(F1, F2)은 구멍 마개(100)와 구성요소(200) 간의 증가된 유지력을 보장한다.
제1 립(118)은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용융 및 팽창하여, 구성요소의 실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제1 립(118)이 용융 및 팽창할 때, 용융하는 제1 립(118)은 제1 립(118)과 구성요소(200) 사이의 갭을 충전하여, 구성요소(200)와 실링식으로 맞물린다. 이와 같이, 제1 립(118)은 실링 및 유지 립을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립(130)은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용융 및 팽창하여, [구성요소(200)와의 실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구성요소(200)에 대한 증가된 유지 강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립(130)은 실링 및 유지 립을 제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구멍 마개(100)는 용융 및 팽창한다. 이와 같이, 제2 립(130)은 팽창하여, 구성요소(200)와의 증가된 유지 맞물림을 제공한다. 더욱이, 구멍 마개(100)의 팽창은 내부 공동(112)의 크기를 줄인다. 예컨대, 폐색 융기부(110)는 외측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팽창하여, 내부 공동(112)의 일부를 충전할뿐만 아니라 구성요소(200)와의 증가된 유지 맞물림을 제공한다. 추가로, 칼라(102)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팽창한다. 이와 같이, 팽창된 칼라는 구성요소(200)와의 증가된 유지 맞물림을 제공한다. 구멍 마개(100)의 용융 및 팽창은 구멍 마개(100)와 구성요소(200) 사이의 임의의 갭 또는 개구를 실링식으로 충전하여, 구멍 마개와 구성요소 사이의 유체 누설을 방지하는 강건한 실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멍(202) 부근의 폐색 융기부(110)와 구성요소(200) 사이의 임의의 갭은 구멍 마개의 용융 및 팽창 중에 충전된다. 제1 립(118)(도 7에 도시함)은 구멍(202) 주위에서 그리고 내부 공동(112) 내로 용융 및 팽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성요소(200)와 확실히 실링식으로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구멍 마개(100)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개방 공간 내로 팽창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멍 마개(100)는 가교 결합형 팽창성 EVA 또는 TPS-SEBS 개질 PET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127)에 대한 원위 노우즈(124)의 두께 변화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재료가 구성요소(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 프로세스 전후에 노우즈(124)의 돔 형상을 제공한다. 더욱이, 두께 변화는 가열 프로세스 이전에는, 구멍 마개(100)의 저부에 대한 압력이 측벽(127)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강력한 유지력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예가열된 구멍 마개(100)를 구성요소(200)에 로킹한다. 노우즈(124)의 돔 형상은 구멍 마개(100)에, 구성요소(200)에 대한 비교적 강력한 유지력을 제공한다.
구멍 마개(100)는 오븐에서, 예컨대 130 ℃ 내지 180 ℃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멍 마개(100)는 160 ℃의 온도에서 효율적으로 팽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TPS-SEBS 개질 PET로 형성된 구멍 마개(100)는 140 ℃ 내지 180 ℃에서 팽창하지 않고 용융되고, 구성요소(200)의 구멍(202) 주위 영역에서 용융하는 립(118, 130)을 통해 구성요소와 실링식으로 확실하게 맞물린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200)의 구멍(202) 내에 구멍 마개(100)를 실링식으로 고착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방법은, 구성 플러그(100)의 폐색 융기부(110)를 구성요소(202)의 구멍(202)에 삽입하는 300에서 시작한다. 302에서, 구멍(202)을 에워싸는 구성요소(200)의 일부가 구멍 마개(100)의 칼라(102)와 제2 립(130) 사이에 포획된다. 304에서, 제1 립(118)은 구멍(200)을 획정하는 구성요소(200)의 내부 에지(206) 내로 압박된다. 306에서, 구멍 마개(100)는 가열되어 용융 및/또는 팽창한다. 308에서, 구멍 마개(100)는 구멍 마개(100)의 용융 및/또는 팽창을 통해 구성요소(200)에 실링식으로 견고하게 커플링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용융 및/또는 팽창하여, 구성요소와의 증가된 유지력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일부와 실링식으로 맞물리는 구멍 마개를 제공한다. 가열 프로세스 동안, 립은 구성요소의 영역으로 팽창, 용융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유동하여, 유지력을 증가시키고 구성요소와의 강건한 실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별개의 특유한 실링 구조체 또는 접착제 없이 구성요소에 고착될 수 있는 구멍 마개를 제공한다. 더욱이, 구멍 마개는 구성요소에 효율적으로 실링식으로 고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저부, 하부, 중간, 측방, 수평방향, 수직방향, 전방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간성 및 방향성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한 용어들은 단지 도면에 도시한 방위에 대해서만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배향은 역전, 회전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부 부분은 하부 부분이고, 그 반대도 되며, 수평방향은 수직방향이 된다.
전술한 사항의 변형 및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여기에 개시되고 정의된 실시예들은 본문 및/또는 도면으로부터 언급되거나 자명한 개별 피쳐들의 2개 이상의 모든 대안의 조합으로 확장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상이한 조합들 모두는 본 개시의 다양한 대안의 양태를 구성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해 알려진 최상의 모드를 설명하며, 다른 당업자가 본 개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까지의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첨부된 청구범에서 사용되는 한, “including” 및 “in which”는 “comprising” 및 “wherein”의 각각의 용어의 평이한 영어 균등어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라벨로서 사용되는 것이지, 대상 물체에 대한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아래의 청구범위의 한정은 기능적 형식(means-plus-function format)으로 기재되지 않으며, 상기한 청구범위의 한정이 다른 구조 없이 기능에 관한 기재가 함께 하는“...를 위한 수단”이라는 구문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그리고 상기 구문을 명시적으로 사용하기 전에는, 35 U.S.C. § 112(f)에 기초하여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피쳐는 후속하는 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Claims (20)

  1. 구성요소(200)의 구멍(202)을 폐색하도록 구성된 구멍 마개(100)로서,
    구성요소(200)의 제1 표면(204)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칼라(collar)(102); 및
    칼라(102)로부터 연장되는 폐색 융기부(110)
    를 포함하고, 폐색 융기부(110)는 제1 립(lip)(118) 및 제2 립(130)을 포함하고, 제1 립(118)은 구멍(202)을 획정하는 구성요소(200)의 내부 에지(206)에 맞닿도록 구성되며, 제2 립(130)은 제1 표면(204)과 반대되는, 구성요소(200)의 제2 표면(210)에 맞닿도록 구성되고,
    제1 립(118)과 제2 립(130) 각각은 램프형 세미 원추부(128, 134)에 연결되는 렛지(ledge)(126, 132)를 포함하고,
    폐색 융기부는 제2 립에 연결되는 돔(dome) 형상의 노우즈(nos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멍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구멍 마개(100)는 가열 시에 용융 또는 팽창 또는 용융 및 팽창하여, 구성요소(200)에 실링식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멍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립(118)은 칼라(102)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연장부(1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립(130)은 제1 립(118)에 연결되며, 제1 립(118)은 칼라(102)와 제2 립(130)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구멍 마개.
  4. 제1항에 있어서, 노우즈는 구멍 마개(100)의 측벽(127)의 제2 두께와 상이한 제1 두께를 갖는 것인 구멍 마개.
  5. 제1항에 있어서, 폐색 융기부(110)는 제2 립(130)과 노우즈(124)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환형 힌지(170)를 더 포함하고,
    환형 힌지(170)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구멍 마개(100)의 균일한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멍 마개.
  6. 제1항에 있어서, 폐색 융기부(110)는 노우즈(124)의 팁(182)에 형성된 주입 게이트(180)를 더 포함하고, 주입 게이트(180)는 가열 프로세스 동안에 재료의 원활한 흐름과 균일한 응력 분포를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구멍 마개.
  7. 실링 시스템(201)으로서,
    제1 표면(204)과, 이 제1 표면(204) 반대측의 제2 표면(210)을 갖는 구성요소(200)로서, 구성요소(200)를 관통하여 제1 표면(204)으로부터 제2 표면(210)으로 구멍(202)이 연장되며, 구멍(202)은 구성요소(200)의 내부 에지(206)에 의해 획정되는 것인 구성요소; 및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멍 마개(100)로서, 구성요소(200)의 구멍(202)을 폐색하는 것인 구멍 마개
    를 포함하는 실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7019501A 2016-12-14 2017-11-20 실링 구멍 마개 KR102445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4079P 2016-12-14 2016-12-14
US62/434,079 2016-12-14
PCT/US2017/062530 WO2018111505A1 (en) 2016-12-14 2017-11-20 Sealing hole pl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331A KR20190095331A (ko) 2019-08-14
KR102445984B1 true KR102445984B1 (ko) 2022-09-21

Family

ID=6070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501A KR102445984B1 (ko) 2016-12-14 2017-11-20 실링 구멍 마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54925B1 (ko)
KR (1) KR102445984B1 (ko)
CN (1) CN110062729B (ko)
BR (1) BR112019012013A2 (ko)
WO (1) WO2018111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3762B2 (ja) * 2017-02-01 2020-12-23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ルプラグ
DK4001639T3 (da) 2020-11-12 2023-11-20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Koblingsanordning
EP4047203A1 (en) 2021-02-19 2022-08-24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Plug for flange ho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6289A1 (de) * 2004-11-26 2006-06-01 A. Raymond Et Cie Anordnung zum dichten abdecken eines trägerteiles im bereich einer ausnehm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1629A (en) * 1979-06-27 1981-11-24 James Cooksey Hole sealing water-tight plug
DE19640835A1 (de) * 1996-10-02 1998-04-09 United Carr Gmbh Trw Verschlußelement aus Kunststoff
US6319436B1 (en) 1997-10-27 2001-11-20 Trw Inc. Method for making floor fan seal plug with thermoexpanding seal ring and axial guide members
CN2345518Y (zh) * 1998-10-22 1999-10-27 三一重工业集团有限公司 混凝土泵输送缸活塞密封体
DE10303366B4 (de) 2003-01-29 2010-12-02 Itw Fastener Products Gmbh Stopfen zum dichtenden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im Karosserieblech von Automobilen
GB201018816D0 (en) * 2010-11-08 2010-12-22 Zephyros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ugs
JP6122336B2 (ja) * 2013-04-22 2017-04-26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ホールプラグ
WO2015012937A1 (en) 2013-07-25 2015-01-29 Illinois Tool Works Inc. Expanadable hole plug assembly
DE102013112629A1 (de) * 2013-11-15 2015-05-21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schlussstopfen
FR3032947B1 (fr) * 2015-02-24 2020-02-21 Itw Fastener Products Gmbh Bouchons d'etancheite , assemblage et methode pour etancheifier une ouver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6289A1 (de) * 2004-11-26 2006-06-01 A. Raymond Et Cie Anordnung zum dichten abdecken eines trägerteiles im bereich einer ausnehm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4925B1 (en) 2021-04-28
CN110062729B (zh) 2022-08-23
EP3554925A1 (en) 2019-10-23
BR112019012013A2 (pt) 2019-10-29
WO2018111505A1 (en) 2018-06-21
KR20190095331A (ko) 2019-08-14
CN110062729A (zh)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984B1 (ko) 실링 구멍 마개
CN101187424B (zh) 孔塞
US9742171B2 (en) Electrical cord connection covering techniques
US10451100B2 (en) Reusable fastening clip assembly
US20040239148A1 (en) Sound insulating device designed to be mounted in a tubular part,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body part
US6315510B1 (en) Screw grommet
CN108602420A (zh) 制造用于车辆的密封组件的方法
CN104653774A (zh) 封闭塞
US20180186305A1 (en) Service hole fastening clip assembly
CN104875794A (zh) 用于插入到汽车部件的开口中的装置
EP2922076B1 (en) Protector with sensor and method of molding end part of the same
CN106314353A (zh) 具有胶粘的气囊装置的设备部件
KR102430132B1 (ko) 적응형 밀봉 구멍 플러그
CN106715993A (zh) 管连接器
US10702726B2 (en) Fire-protection element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re-protection element
EP3193027B1 (en) Wall plug-like insert and fastening method
US9221323B2 (en)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an opening in the shell of a flap, in particular a tailgate of a motor vehicle
CN107061451A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卡接件
JP3618402B2 (ja) 配管とマンホ−ルとの接続部におけるシ−ル材
CN116198428A (zh) 一种用于管路过孔的密封结构
KR20190034712A (ko) 입상관용 내화충전재 설치구조
JPH0326647B2 (ko)
JPS5929117A (ja) ホ−ル管の通孔閉塞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