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249B1 -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249B1
KR102445249B1 KR1020207027556A KR20207027556A KR102445249B1 KR 102445249 B1 KR102445249 B1 KR 102445249B1 KR 1020207027556 A KR1020207027556 A KR 1020207027556A KR 20207027556 A KR20207027556 A KR 20207027556A KR 102445249 B1 KR102445249 B1 KR 10244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ipt
project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224A (ko
Inventor
류 고바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34)와,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함께,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25)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 중 특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와,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관리부인 대응 관리부(22)를 구비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한다.

Description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의 작성을 위한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접속된 외부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 화면에서 표시하여, 입력 조작에 따라서 외부 기기를 조작한다. 작화 장치는, 작화 장치에서 표시되는 편집 화면에서의 오브젝트의 배치에 의해,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오브젝트는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이다. 또한, 작화 장치는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로서 오브젝트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인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을 단위로 하는 처리가 기술되는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특허문헌 1에는, 작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임의의 표시 화면의 조작 패널을 작성 가능한 그래픽 조작 패널에 관한 것으로, 표시 화면의 표시를 위한 표시 화면 데이터에, 화면에 부수되는 동작 프로그램인 화면 스크립트를 등록 가능하게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2-268737호 공보
작화 장치에서는, 어느 편집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다른 편집 화면으로의 카피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편집 화면마다 같은 오브젝트를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오브젝트 스크립트에 대해서도, 오브젝트에 부수되어 있음으로써, 오브젝트의 카피와 함께 자동적으로 카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집 화면마다 같은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화면 스크립트는 오브젝트에 부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의 카피와는 별도로, 카피원인 편집 화면에 대해서 생성된 화면 스크립트와 동일한 화면 스크립트를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도 생성하기 위한 작업이 유저에 의해서 행해진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association)이 관리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면 스크립트를 오브젝트와 함께 카피하는 경우에, 편집 화면마다 같은 화면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이 관리되고 있지 않음으로써,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에 대해서, 화면 작성을 위한 작업의 효율화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작업의 효율화를 가능하게 하는 작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작화 장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함께,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 중 특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와,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화면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와,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화 장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작업의 효율화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작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가 구비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에 의한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작화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인 버튼에 대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에 의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인 버튼에 대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에 의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작화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작화 장치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작화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작화 장치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작화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시스템은, 작화 장치(100)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 외부 기기(300)를 가진다. 외부 기기(300)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 외부 기기(300)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 외부 기기(300)는, 예를 들면, Ethernet(등록상표)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 외부 기기(300)는, Ethernet 이외의 무선 통신에 의한 네트워크, 혹은 RS-232,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통한 유선 통신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는, 임의의 수의 외부 기기(300)가 접속 가능한 것으로 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모니터 화면(201)에서, 외부 기기(30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입력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300)를 제어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외부 기기(300)의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작화 장치(100)는 작화 프로그램인 작화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된 컴퓨터이다.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프로젝트 데이터를 작성한다. 프로젝트 데이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가 기술되어 있다. 프로젝트 데이터는 후술하는 화면 데이터와,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기술된 처리에 따라서,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화면의 전환 등의 제어를 실행한다. 작화 소프트웨어는 프로젝트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서 실행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유저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작성하여, 작성된 프로젝트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 보낸다. 또한,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 읽어내진 프로젝트 데이터를 변경하여, 변경된 프로젝트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 보낸다.
작화 장치(100)는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부인 기억부(10)와, 작화 장치(100)의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부인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작화 장치(100)는 유저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부인 입력부(31)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부인 통신부(32)와, 제어부(20)가 연산 처리를 실행할 때에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휘발성 메모리인 메모리부(33)와,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부인 표시부(34)를 구비한다. 기억부(10)와, 제어부(20)와, 입력부(31)와, 통신부(32)와, 메모리부(33)와, 표시부(34)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10)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프로젝트 데이터 격납부(11)와, 관리 정보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관리 정보 격납부(12)와, 작화 소프트웨어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작화 소프트웨어 격납부(13)를 가진다. 관리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젝트 데이터 격납부(11)는 화면 데이터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화면 데이터 격납부(14)와,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오브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5)와, 화면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16)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기능부인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를 가진다.
화면 데이터는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된 데이터로서,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는 작화 장치(100)의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표시 요소이다. 오브젝트의 일례로서는, 아날로그 미터, 램프, 버튼 등의 표시 요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었을 경우에,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도 있는가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화면 상에는 표시되지 않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도 있다. 오브젝트 스크립트는 오브젝트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이다. 각 오브젝트에는, 오브젝트의 타입에 따라서, 표시, 동작 혹은 조작에 관한 기능이 각각 대응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에 의해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가 버튼인 경우, 그 오브젝트에는, 버튼의 조작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인 오브젝트 스크립트가 설정된다. 특정 오브젝트에 설정된 오브젝트 스크립트는, 다른 오브젝트의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오브젝트에만 영향을 준다.
화면 스크립트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표시 가능한 복수의 화면 중 특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이다. 복수의 화면 스크립트는 복수의 화면에 각각 대응하도록 기술된다. 화면 스크립트는, 작화 장치(100)에 의해서 작성된 복수의 편집 화면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도입했을 때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특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서 해당 특정 화면의 화면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지어진 처리 프로그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면 스크립트는,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하나의 화면 상에 복수의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이다.
프로젝트 데이터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포함되어 있다. 프로젝트 스크립트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화면과는 무관하게 상시 유효하게 되는 처리 프로그램이다.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일례로서는, 외부 기기(300)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사이의 통신 상황의 확인에 의해서 통신 불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다른 외부 기기인 경고등을 점등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경고등의 도시는 생략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화면 스크립트 또는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에 의해, 오브젝트 스크립트만으로는 표현 할 수 없는 처리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20)는 프로젝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부인 프로젝트 데이터 생성부(21)와,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의 기능부인 대응 관리부(22)를 가진다. 대응 관리부(22)는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한다. 제어부(20)는 표시부(34)에 있어서의 표시를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부인 표시 처리부(23)와, 통신부(32)에 있어서의 통신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부인 통신 처리부(24)를 가진다.
프로젝트 데이터 생성부(21)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부인 화면 데이터 생성부(25)와,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기능부인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와,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기능부인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기능부인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를 가진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화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된 컴퓨터인 작화 장치(100)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41)와, 프로그램 격납 영역 및 데이터 격납 영역을 포함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42)과, 불휘발성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43)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외부 기억 장치(44)를 구비한다. 또한,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의 접속 인터페이스인 통신 인터페이스(I/F)(45)와,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디바이스(46)와, 각종 화면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7)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100)의 각 부는, 버스(4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 디바이스(46)는 포인팅 디바이스 및 키보드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입력부(31)의 기능은, 입력 디바이스(46)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디스플레이(47)의 하나의 예는,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표시부(34)의 기능은, 디스플레이(47)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도 1에 나타내는 통신부(32)의 기능은, 통신 I/F(45)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CPU(41)는 ROM(43) 및 외부 기억 장치(44)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제어부(20)의 기능은, CPU(41)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외부 기억 장치(44)는 SSD(Solid State Drive) 혹은 HDD(Hard Disk Drive)이다. 외부 기억 장치(44)에는, 작화 소프트웨어와, 프로젝트 데이터와, 관리 정보가 격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기억부(10)의 기능은, 외부 기억 장치(44) 및 ROM(43)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ROM(43)에는, 작화 장치(100)인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인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혹은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가 격납되어 있다.
ROM(43) 및 외부 기억 장치(4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부(33)인 RAM(42)에 로드된다. CPU(41)는 RAM(42) 내의 프로그램 격납 영역에서 프로그램을 전개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작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 의한 판독이 가능하게 된 기억 매체에 기록된 것이어도 된다. 작화 장치(100)는 기억 매체에 기록된 작화 소프트웨어를 외부 기억 장치(44)에 격납해도 된다. 기억 매체는 플렉서블 디스크인 휴대형 기억 매체, 혹은 반도체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여도 된다. 작화 소프트웨어는 다른 컴퓨터 혹은 서버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작화 장치(100)에 인스톨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작화 장치(100)에 의한 프로젝트 데이터의 작성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는, 입력부(31)로의 조작에 의해, 편집 화면에서, 오브젝트의 선택과, 선택된 오브젝트의 배치를 행한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선택된 오브젝트와 오브젝트가 배치된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면 데이터 격납부(14)는 모니터 화면(201)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격납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편집 화면에서 배치된 오브젝트에 설정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표시부(34)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을 위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입력부(31)의 조작에 의해,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에서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입력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에서 문자열이 입력됨으로써, 처리 프로그램으로서의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5)는 모니터 화면(201)에서 표시되는 화면마다 통합된 복수의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격납한다. 또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화면에 설정되는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표시부(34)는 화면 스크립트의 설정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에 사용되는 공통 스크립트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입력부(31)로의 조작에 의해, 공통 스크립트 화면에서 화면 스크립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입력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공통 스크립트 화면에서 문자열이 입력됨으로써, 처리 프로그램으로서의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프로젝트 데이터에 설정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유저는, 입력부(31)로의 조작에 의해, 공통 스크립트 화면에서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입력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공통 스크립트 화면에서 문자열이 입력됨으로써, 처리 프로그램으로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공통 스크립트 화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공통 스크립트 화면은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과 마찬가지이다. 작화 장치(100)는 화면 스크립트의 설정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을 공통 스크립트 화면에서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면 스크립트의 설정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을 다른 스크립트 작성 화면에서 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대응 관리부(22)의 기능과 관리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대응 관리부(22)는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에서 생성된 화면 스크립트에 대한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관리 정보는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생성된 관리 정보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의 격납에 의해, 작화 장치(100)에 등록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100)가 구비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25)에 의한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작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편집 화면(51)은 모니터 화면(201)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하나인 「화면 1」에 대응하는 편집 화면으로 한다. 편집 화면(51)에는, 아날로그 미터(53)와, 램프(54)와, 버튼(55)의 3개의 오브젝트가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인 버튼(55)에 대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은, 입력부(31)의 조작에 의해, 편집 화면(51) 상에서 버튼(55)에 커서를 맞추어 클릭이 행해짐으로써, 표시부(34)에 표시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은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작성을 위한 입력란을 가지는 작성 화면(61)을 포함한다. 작성 화면(61)에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과,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문자열이 입력되는 입력란이 마련되어 있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에는, 작성 화면(61) 외에,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의 명칭이 표시되는 표시란(62)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란(62)에는,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2개의 화면 스크립트의 명칭인 「화면 스크립트 1」과「화면 스크립트 2」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 스크립트 1」과「화면 스크립트 2」는, 「화면 1」에 설정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로서,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에 의해 생성되어 있다. 표시 처리부(23)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의 표시란(62)에 「화면 스크립트 1」 및 「화면 스크립트 2」의 명칭을 표시시킨다.
표시란(62)에는, 표시란(62)에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각 화면 스크립트에 대한 선택 및 비선택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63)이 마련되어 있다. 대응 관리부(22)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화면 스크립트의 선택을, 입력란(63)으로 접수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34)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에, 카피 대상으로 되는 화면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란인 입력란(63)을 표시한다.
유저는, 입력부(31)의 조작에 의해, 입력란(63)에 커서를 맞추어 클릭을 행함으로써, 각 화면 스크립트에 대한 선택 및 비선택을 전환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화면 스크립트 1」의 명칭 옆에 있어서의 입력란(63) 내의 검은 색 원의 표시는 「선택」을 나타낸다. 「화면 스크립트 2」의 명칭 옆에 있어서의 입력란(63)은 공란으로 되어 있고, 「비선택」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입력란(63)의 표시는, 「화면 스크립트 1」은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고, 「화면 스크립트 2」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화면 데이터 생성부(25)가, 유저의 조작에 의해,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버튼(55)의 카피를 행한 것으로 한다. 편집 화면(52)은 「화면 2」에 대응하는 편집 화면이다. 「화면 2」는 모니터 화면(201)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하나로서, 「화면 1」 이외의 화면이다. 「화면 1」과「화면 2」는, 같은 프로젝트 데이터의 화면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의 화면이어도 되는 것으로 한다.
대응 관리부(22)는, 「화면 1」과「화면 2」의 사이에서 버튼(55)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관리 정보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 1」에 대해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인식한다. 대응 관리부(22)는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 1」을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16)로부터 검색하고, 「화면 스크립트 1」을 읽어낸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검색되어 읽어내진 「화면 스크립트 1」을 「화면 2」에도 설정함으로써,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화면 스크립트 1」의 등록을 행한다.
이와 같이, 대응 관리부(22)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25)에 의해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16)로부터 검색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를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등록한다.
작화 장치(100)는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버튼(55)의 카피에 수반하여, 「화면 1」에 설정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1」을 「화면 2」에 등록한다. 작화 장치(100)는 「화면 1」에서의 버튼(55)의 기능에 기초한 동작에 연동하는 「화면 스크립트 1」에 의한 동작 절차도, 버튼(55)과 함께 「화면 2」에 카피해서 등록할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화면 1」과「화면 2」에 대해서 같은 「화면 스크립트 1」을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대응 관리부(22)에 의한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의 관리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수동에 의하지 않고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화면 스크립트를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중 임의의 화면 스크립트를 카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유저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에서 카피 대상으로 하는 화면 스크립트를 미리 선택해 둠으로써, 오브젝트의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대한 화면 스크립트의 설정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작화 장치(100)에 의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1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화면 사이에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 즉,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이 없는 경우(스텝 S1, No),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절차를 스텝 S1으로 되돌린다.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스텝 S1, Yes), 스텝 S2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스텝 S2, Yes), 스텝 S3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에,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피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스텝 S3, Yes), 스텝 S4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해당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를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16)로부터 검색하여 읽어낸다. 스텝 S5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오브젝트를 등록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해당 오브젝트에 부수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등록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스텝 S5에서 읽어내진 화면 스크립트를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설정함으로써,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화면 스크립트의 등록을 행한다.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가 없는 경우(스텝 S2, No), 및 카피 대상으로서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가 없는 경우(스텝 S3, No), 스텝 S6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오브젝트를 등록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해당 오브젝트에 부수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등록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화면 스크립트의 카피를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관리함으로써,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화면 스크립트의 카피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편집 화면마다 같은 화면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것과 함께, 오브젝트의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대한 화면 스크립트의 설정을 수동에 의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의 작성을 위한 작업의 효율화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과, 오브젝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100)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작화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상기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실시 형태 1과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대응 관리부(22)는 오브젝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한다. 관리 정보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나타내는 것과 함께, 오브젝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생성된 관리 정보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의 격납에 의해, 작화 장치(100)에 등록된다.
도 7에서는,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에 있어서의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 1」은 임의의 프로젝트 데이터인 「프로젝트 데이터 1」에 의한 처리에 있어서 모니터 화면(201)에서 표시되는 화면 중 하나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오브젝트 중 하나인 버튼(55)에 대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란(62)에는,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2개의 화면 스크립트의 명칭인 「화면 스크립트 1」과「화면 스크립트 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란(62)에는,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2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명칭인 「프로젝트 스크립트 1」과「프로젝트 스크립트 2」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1」과「프로젝트 스크립트 2」는, 「프로젝트 데이터 1」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로서,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에 의해 생성되어 있다. 표시 처리부(23)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의 표시란(62)에 「화면 스크립트 1」, 「화면 스크립트 2」, 「프로젝트 스크립트 1」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 2」의 명칭을 표시시킨다.
표시란(62)에는, 표시란(62)에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각 화면 스크립트 및 각 프로젝트 스크립트에 대한 선택 및 비선택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63)이 마련되어 있다. 대응 관리부(22)는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입력란(63)으로 접수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34)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에, 카피 대상으로 되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란인 입력란(63)을 표시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입력란(63)의 표시는, 「화면 스크립트 1」과「프로젝트 스크립트 1」은,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고, 「화면 스크립트 2」와「프로젝트 스크립트 2」는,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응 관리부(22)는,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 버튼(55)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관리 정보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 1」에 대해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인식한다. 대응 관리부(22)는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화면 스크립트 1」을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16)로부터 검색하고, 「화면 스크립트 1」을 읽어낸다. 또한, 대응 관리부(22)는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을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로부터 검색하고,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을 읽어낸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검색되어 읽어내진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을 「화면 2」에도 설정함으로써,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의 등록을 행한다.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화면 스크립트 1」의 등록을 행한다.
이와 같이, 대응 관리부(22)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25)에 의해서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를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16)로부터 검색한다. 또한, 대응 관리부(22)는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로부터 검색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편집 화면(51)으로부터 카피함으로써, 편집 화면(51)과는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의 편집 화면(52)에 해당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등록한다.
대응 관리부(22)에 의한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과 오브젝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의 관리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수동에 의하지 않고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한쪽의 프로젝트 데이터의 편집 화면(51)으로부터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임의의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다른 쪽의 프로젝트 데이터의 편집 화면(52)으로의 카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유저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60)에서 카피 대상으로 하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미리 선택해 둠으로써, 오브젝트의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대한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100)에 의한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작화 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 절차와 함께, 도 9에 나타내는 동작 절차를 행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의 화면 사이에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 즉 한쪽의 프로젝트 데이터의 편집 화면(51)으로부터 다른 쪽의 프로젝트 데이터의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이 없는 경우(스텝 S11, No),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절차를 스텝 S11로 되돌린다.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스텝 S11, Yes), 스텝 S12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스텝 S12, Yes), 스텝 S13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에,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카피 대상으로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스텝 S13, Yes), 스텝 S14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해당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로부터 검색하여 읽어낸다. 스텝 S15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오브젝트를 등록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해당 오브젝트에 부수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등록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스텝 S14에서 읽어내진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카피처인 화면에 설정함으로써,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으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등록을 행한다.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없는 경우(스텝 S12, No), 및 카피 대상으로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가 없는 경우(스텝 S13, No), 스텝 S16에 있어서, 화면 데이터 생성부(25)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오브젝트를 등록한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해당 오브젝트에 부수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카피에 의해서, 카피처인 편집 화면(52)에 등록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카피를 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도 9에 나타내는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과 오브젝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관리 함으로써,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화면 스크립트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카피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화면마다 같은 화면 스크립트 및 같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것과 함께, 오브젝트의 카피처에서의 화면 스크립트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을 수동에 의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의 작성을 위한 작업의 효율화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작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대응 관리부(22)는 화면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한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작화 장치(100)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작화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상기의 실시 형태 1 및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실시 형태 1 및 2와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대응 관리부(22)는 화면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한다. 관리 정보는 편집 화면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생성된 관리 정보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의 격납에 의해, 작화 장치(100)에 등록된다.
도 10에서는,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인 「프로젝트 데이터 1」로부터 「프로젝트 데이터 2」로의 편집 화면의 카피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편집 화면(56)은 「프로젝트 데이터 1」에 포함되는 화면에 대해서 열려 있는 편집 화면으로 한다. 편집 화면의 카피시에, 표시부(34)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34)는 「프로젝트 데이터 1」에 대한 편집 화면(56)에 있어서의 조작에 의해서 스크립트 관리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작화 장치(100)의 표시부(34)에서 표시되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6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화 장치(100)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65)에서, 대응 관리부(22)에 의한 편집 화면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에 대한 표시를 행한다.
스크립트 관리 화면(65)에는, 편집 화면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명칭이 표시되는 표시란(66)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란(66)에는, 편집 화면(56)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2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명칭인 「프로젝트 스크립트 1」과「프로젝트 스크립트 2」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1」과「프로젝트 스크립트 2」는, 「프로젝트 데이터 1」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로서,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에 의해 생성되어 있다. 표시 처리부(23)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스크립트 관리 화면(65)의 표시란(66)에 「프로젝트 스크립트 1」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 2」의 명칭을 표시시킨다.
표시란(66)에는, 표시란(66)에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각 프로젝트 스크립트에 대한 선택 및 비선택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67)이 마련되어 있다. 대응 관리부(22)는 프로젝트 데이터 사이에서의 편집 화면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입력란(67)으로 접수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34)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65)에, 카피 대상으로 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란인 입력란(67)을 표시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입력란(67)의 표시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은 「프로젝트 데이터 1」로부터 「프로젝트 데이터 2」로의 편집 화면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고, 「프로젝트 스크립트 2」는 「프로젝트 데이터 1」로부터 「프로젝트 데이터 2」로의 편집 화면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응 관리부(22)는 관리 정보 격납부(1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젝트 데이터 1」의 편집 화면(56)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인식한다. 대응 관리부(22)는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을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로부터 검색하고,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을 읽어낸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검색되어 읽어내진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을 「프로젝트 데이터 2」에도 설정함으로써, 「프로젝트 데이터 1」로부터 「프로젝트 데이터 2」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의 카피를 행한다.
이와 같이, 대응 관리부(22)는 프로젝트 데이터 사이에서의 편집 화면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편집 화면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17)로부터 검색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카피 대상으로 된 편집 화면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카피를,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 사이에 있어서 행한다.
대응 관리부(22)에 의한 편집 화면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의 관리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카피 대상으로 된 편집 화면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수동에 의하지 않고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에서의 편집 화면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대응 관리부(22)에서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임의의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카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유저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65)에서 카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미리 선택해 둠으로써, 편집 화면의 카피처인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작화 장치(100)는, 편집 화면과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대응 관리부(22)에 의해 관리함으로써, 카피 대상으로 된 편집 화면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검색하여 읽어낼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편집 화면의 카피에 수반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카피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서 같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것과 함께, 편집 화면의 카피처에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설정을 수동에 의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의 작성을 위한 작업의 효율화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 형태 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작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일괄 관리가 가능하게 된 스크립트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상기의 실시 형태 1 내지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실시 형태 1 내지 3과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관리 정보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오브젝트와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과, 오브젝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2에서는, 서로 다른 프로젝트 데이터인 편집 화면(51)으로부터 편집 화면(52)으로의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34)는, 편집 화면(51)에서,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를 표시한다.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버튼(55) 등의 기능을 가지는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의 존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는, 버튼(55)에 부착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와 버튼(55)을 접촉시킴으로써 관련짓기를 행하고 있지만,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와 버튼(55)을 중첩시킴으로써 관련짓기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편집 화면(51) 상에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가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와 편집 화면(51)이 관련지어진다.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는 버튼(55)과 화면 스크립트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된다. 또한,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는 작화 장치(100)의 표시부(34)에는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된다. 작화 장치(100)로부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 프로젝트 데이터가 도입되어, 그 프로젝트 데이터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가 실행했을 때에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서는 비표시로 된다. 편집 화면(51)과 모니터 화면(201)을 비교하면,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는 모니터 화면(201)에서는 마치 투명하게 되어 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작화 장치(100)의 표시부(34)로 표시되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은 편집 화면(51) 상에서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에 커서를 맞추어 클릭이 행해짐으로써, 표시부(34)에 표시된다. 작화 장치(100)는 편집 화면(51)에 표시되어 있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로의 조작에 의해서, 용이하게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가 버튼(55)에 부착되어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해당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로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된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이 해당 버튼(55)에 대한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에는, 「화면 1」에 있어서의 버튼(55)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명칭과, 버튼(55)에 부수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명칭이 표시되는 표시란(7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란(71)에는, 「화면 1」에 있어서의 버튼(55)에 관한 모든 스크립트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란(71)에는, 실시 형태 2의 표시란(62)과 마찬가지의 「화면 스크립트 1」, 「화면 스크립트 2」, 「프로젝트 스크립트 1」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 2」와,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명칭인 「오브젝트 스크립트 1」 및 「오브젝트 스크립트 2」가 표시되어 있다.
표시란(71)에는, 표시란(71)에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각 오브젝트 스크립트, 각 화면 스크립트 및 각 프로젝트 스크립트에 대한 선택 및 비선택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72)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34)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에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관리 정보를 기초로, 카피 대상으로 되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란(72)을 포함하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을 표시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입력란(72)의 표시는, 「오브젝트 스크립트 1」, 「화면 스크립트 1」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은,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고, 「오브젝트 스크립트 2」, 「화면 스크립트 2」 및 「프로젝트 스크립트 2」는,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오브젝트의 카피에 수반하는 카피 대상으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에서는, 「화면 1」에 있어서의 버튼(55)에 관한 모든 스크립트에 대해서 카피 대상으로 할지 여부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해당 모든 스크립트의 일괄 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6)는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오브젝트 스크립트 1」의 카피를 행하는 것과 함께,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오브젝트 스크립트 2」의 카피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27)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화면 스크립트 1」의 카피를 행한다.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28)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의 「프로젝트 스크립트 1」의 카피를 행한다.
작화 장치(100)는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임의의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카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에 대해서도, 임의의 오브젝트 스크립트를 카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작화 장치(100)는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에 대해서, 카피 대상으로 할지 여부의 선택을, 공통의 스크립트 관리 화면(70)에 있어서 일괄하여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도, 작화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모니터 화면(201)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의 작성을 위한 작업의 효율화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와 버튼(55)을 접촉시켜 관련짓기를 행하여, 편집 화면(51) 상에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가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와 편집 화면(51)이 관련지어져 있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와 버튼(55)을 접촉시키지 않음으로써 관련짓기를 행하지 않고, 편집 화면(51) 상에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가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가 편집 화면(51)에만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에는, 편집 화면(51)에 관련지어진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하나 혹은 양쪽이 등록된다. 그리고,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를 「화면 1」로부터 「화면 2」로 카피하면,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57)에 등록된 편집 화면(51)에 관련지어진 화면 스크립트와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하나 혹은 양쪽이 「화면 2」에 카피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된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기억부 11 : 프로젝트 데이터 격납부
12 : 관리 정보 격납부 13 : 작화 소프트웨어 격납부
14 : 화면 데이터 격납부 15 : 오브젝트 스크립트 격납부
16 :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 17 :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
20 : 제어부 21 : 프로젝트 데이터 생성부
22 : 대응 관리부 23 : 표시 처리부
24 : 통신 처리부 25 : 화면 데이터 생성부
26 : 오브젝트 스크립트 생성부 27 :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
28 :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 31 : 입력부
32 : 통신부 33 : 메모리부
34 : 표시부 41 : CPU
42 : RAM 43 : ROM
44 : 외부 기억 장치 45 : 통신 I/F
46 : 입력 디바이스 47 : 디스플레이
51, 52, 56 : 편집 화면 53 : 아날로그 미터
54 : 램프 55 : 버튼
57 :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 60 : 오브젝트 스크립트 화면
61 : 작성 화면 62, 66, 71 : 표시란
63, 67, 72 : 입력란 65, 70 : 스크립트 관리 화면
100 : 작화 장치 200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201 : 모니터 화면 300 : 외부 기기.

Claims (14)

  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화면 중 특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과는 무관하게 유효하게 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와,
    상기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화면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화면 스크립트 격납부와,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화면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있는 상기 화면 스크립트를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하고,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는, 상기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있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상기 화면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고,
    상기 화면 스크립트 생성부는 카피 대상으로 된 상기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상기 화면 스크립트 중 상기 관리부에서 선택된 상기 화면 스크립트의 카피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화면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상기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상기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고,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는 카피 대상으로 된 상기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상기 관리부에서 선택된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카피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오브젝트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인 오브젝트 스크립트의 작성을 위한 오브젝트 스크립트 작성 화면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오브젝트 스크립트 작성 화면에, 상기 카피 대상으로 되는 상기 화면 스크립트 및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오브젝트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인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상기 오브젝트와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상기 화면 스크립트 및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표시하는 스크립트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스크립트 관리 화면은 상기 카피 대상으로 되는 상기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상기 화면 스크립트와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기 위한 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오브젝트 스크립트와 상기 화면 스크립트와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기 위한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된 상기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에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스크립트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 관리용 오브젝트는 상기 편집 화면에서는 표시되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에서는 비표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1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과는 무관하게 유효하게 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와,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격납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격납부와,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는,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있는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1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과는 무관하게 유효하게 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와,
    상기 편집 화면과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연관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가 기술된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서, 카피원인 프로젝트 데이터로부터 카피처인 프로젝트 데이터로의 상기 편집 화면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편집 화면에 연관지어져 있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상기 카피처인 프로젝트 데이터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카피 대상으로 되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선택을 접수하고,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생성부는 카피 대상으로 된 상기 편집 화면과의 연관이 등록되어 있는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상기 관리부에서 선택된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의 카피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화 장치.
  13. 컴퓨터를 작화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저장된 작화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을 작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편집 화면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화면 중 특정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화면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전원이 온인 동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과는 무관하게 유효하게 되는 처리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화면 스크립트와 상기 프로젝트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오브젝트의 연관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스텝과,
    카피원인 편집 화면으로부터 카피처인 편집 화면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카피가 행해지는 때에, 카피 대상으로 된 오브젝트에 연관지어져 있는 상기 화면 스크립트를 상기 카피처인 편집 화면에 등록하는 스텝
    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저장된 작화 프로그램.
  14. 청구항 13에 기재된 작화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컴퓨터에 의한 판독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207027556A 2018-03-30 2018-03-30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445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3843 WO2019187087A1 (ja) 2018-03-30 2018-03-30 作画装置、作画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224A KR20200123224A (ko) 2020-10-28
KR102445249B1 true KR102445249B1 (ko) 2022-09-21

Family

ID=6693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556A KR102445249B1 (ko) 2018-03-30 2018-03-30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76374B2 (ko)
JP (1) JP6532629B1 (ko)
KR (1) KR102445249B1 (ko)
CN (1) CN111971650A (ko)
WO (1) WO2019187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5212B2 (en) * 2019-01-31 2023-04-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creen creation assistance devic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7290095B2 (ja) * 2019-09-30 2023-06-13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2779A1 (en) * 2004-05-04 2007-06-14 Stephen Gilbert Graphic element with multiple visualizations in a process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141A (en) * 1994-01-21 1996-01-23 Borland International, Inc. Development system with methods for visual inheritance and improved object reusability
JP3283225B2 (ja) * 1997-12-09 2002-05-20 株式会社デジタル エディタ装置及びエディ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1075614A (ja) * 1999-08-31 2001-03-23 Digital Electronics Corp エディタ装置およびエディ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816531A3 (en) * 1999-08-31 2007-12-26 Digital Electronics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editing program is recorded
JP2002268737A (ja) 2001-12-21 2002-09-20 Komatsu Ltd インテリジェント型グラフィック操作パネル及び部品表示方法。
US7146231B2 (en) * 2002-10-22 2006-12-0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mart process modules and objects in process plants
US9589381B2 (en) * 2008-06-12 2017-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ing of animation effects from a source object to at least one target object
US8881039B2 (en) * 2009-03-13 2014-11-04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caling composite shapes for a graphical human-machine interface
JP5047401B1 (ja) * 2011-11-30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トデータ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6129457B2 (ja) * 2015-02-27 2017-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編集装置、データ編集方法及び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US11243677B2 (en) * 2017-10-02 2022-02-08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ase of graphical display configuration design in a process control 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2779A1 (en) * 2004-05-04 2007-06-14 Stephen Gilbert Graphic element with multiple visualizations in a process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224A (ko) 2020-10-28
US11276374B2 (en) 2022-03-15
US20210043168A1 (en) 2021-02-11
JP6532629B1 (ja) 2019-06-19
CN111971650A (zh) 2020-11-20
WO2019187087A1 (ja) 2019-10-03
JPWO2019187087A1 (ja)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298B2 (en) Creating documentation screenshots on demand
Matejka et al. Patina: Dynamic heatmaps for visualizing application usage
US8838557B2 (en) Automated viewable selectable change history manipulation
US9811071B2 (en) System construction support apparatus
KR102445249B1 (ko) 작화 장치, 작화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JP2006344076A (ja) プログラム生成装置、プログラム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885444B (zh) 信息管理装置、信息管理方法及信息管理系统
JPWO2015170408A1 (ja) 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端末及び監視プログラム
CN115917500A (zh) 更新管理程序、信息处理装置及更新管理方法
US9830168B2 (en) Dynamic creation of job control language cards
JP2009223471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106489110B (zh) 用于非分层文件系统的图形化用户界面控制方法
JP7092992B2 (ja) 文書管理プログラム、文書管理装置および文書管理方法
JP2018128919A (ja) 作業計画作成システム、作業計画作成方法および作業計画作成プログラム
US119214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WO2014091623A1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支援装置、プログラム
JP7086873B2 (ja)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84100A (ja) 部品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部品管理装置
JP2012108740A (ja) 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954688A (ja) Gui設計支援方法
US9514158B1 (en) Methods, devices, and mediums associated with generating a change history listing associated with a value of information
JPH11203031A (ja) データ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20004128A (ja) 表示方法、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4691173A (zh) 一种工程组件管理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10264365A1 (en) Customer Interaction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