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288B1 -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288B1
KR102443288B1 KR1020197005235A KR20197005235A KR102443288B1 KR 102443288 B1 KR102443288 B1 KR 102443288B1 KR 1020197005235 A KR1020197005235 A KR 1020197005235A KR 20197005235 A KR20197005235 A KR 20197005235A KR 102443288 B1 KR102443288 B1 KR 10244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lamping
axis
driv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727A (ko
Inventor
빌리 펠만
브루노 뤼셰르
안드레아스 추르브뤼크
알도 디 니코란토니오
브루노 진치히
라우런트 크베바테
마르쿠스 슐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3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6Hand-held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10Circular saw blades clamped between hubs; Clamping or align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0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for mounting or securing saw blades or saw spindles
    • B27B5/32Devices for securing circular saw blades to the saw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8Angle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공구 홀딩 장치(213)를 포함한 전동 공구(211), 특히 핸드헬드 전동 공구, 바람직하게는 앵글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출력 축(A)과 공구 회전 축(a)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공구 장치(11), 특히 인서트 공구를 상기 전동 공구(211) 상에 홀딩하기 위해 설계되고,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215) 및 상기 구동 장치(215)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21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215)는 상기 공구 장치(1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출력 축(A)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219)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215) 및 상기 클램핑 장치(217)는 상기 공구 장치(11)의 전체 재료 두께를 통해 연장되는 공구 장치(11)의 리세스(17)를 통해 도달하고, 상기 출력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클램핑 장치(217)에 의해 상기 공구 장치(11)를 클램핑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동 공구
본 발명은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공구 홀딩 장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특히 핸드헬드 전동 공구, 바람직하게는 앵글 그라인더로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는 출력 축과 공구 회전 축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공구 장치, 특히 인서트 공구를 전동 공구 상에 홀딩하기 위해 설계되고, 공구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장치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공구 장치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출력 축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2 007 926 A1에는 스핀들 헤드를 가진 하우징,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구동 가능한 공구 스핀들, 및 고정 요소를 가진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 동력 구동 핸드헬드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공구 스핀들은 구동될 공구용 홀딩 섹션을 가진 공구 측 단부를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는 공구가 고정 요소에 의해 공구 스핀들에 고정될 수 있는 클램핑 구성, 및 공구가 해제될 수 있는 해제 구성을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는 정류된 조정 운동에 의해 클램핑 구성과 해제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구조적 조치로 핸드헬드 전동 공구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공구 홀딩 장치를 포함한 전동 공구, 특히 핸드헬드 전동 공구, 바람직하게는 앵글 그라인더로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는 출력 축과 공구 회전 축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공구 장치, 특히 인서트 공구를 전동 공구 상에 홀딩하기 위해 설계되고, 공구 홀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장치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공구 장치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출력 축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을 포함하는 전동 공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동 장치 및 클램핑 장치는 특히 공구 장치의 전체 재료 두께를 통해 연장하는 공구 장치의 리세스를 통해 도달하고 실질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에 의해 공구 장치를 클램핑 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운동 축, 특히 선회 축은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공구 홀딩 장치를 포함하는 특히 핸드헬드 전동 공구의 예로 주로 설명된다. 설명의 이러한 제한이 상기 전동 공구의 가능한 적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공구 홀딩 장치"라는 용어 대신 이하에서 간단하게 "공구 홀더"라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이것 또한 제한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전동 공구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 모터들 및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 장치들 그리고 기하학적 의미에서의 출력 축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포함한 장치이다. 공구 홀딩 장치가 출력 샤프트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된다. 공구 홀딩 장치는 공구 장치로 토크를 제공하는 부재 또는 부재들이고, 공구 홀딩 장치는 공구 장치를 바람직하게는 특히 핸드헬드 전동 공구에서도 홀딩하므로, 공구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에 의해서만 홀딩되고 그 출력 토크를 제공받는다. 출력 토크라는 용어 및 출력을 포함하는 용어들은 전동 공구로부터 공구 장치로 전달되는 모멘트 또는 전동 공구의 상응하는 부재들을 의미하고, 구동 토크라는 용어는 공구 장치에 의해 흡수된 모멘트를 나타낸다. 공구 장치는 가공될 공작물의 연삭, 분리 또는 다른 가공을 위한 인서트 공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핸드헬드 전동 공구는 공구가 고정된 전동 공구를 작동력에 의해 안내하고 및/또는 홀딩할 수 있는 운반 장치, 특히 홀더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전동 공구들에는 전기 구동 모터가 제공되지만 다른 유형들, 예컨대 내연 기관에 의해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전동 공구도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범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출원서 DE 102010042016 또는 US 2062969 A에 따른 테이블 톱과 같은 고정식 전동 공구 및 출원서 DE 3740200 A1에 따른 핸드 원형 톱, 또는 예컨대 출원서 DE 102014210915 A1에 따른 앵글 그라인더, 또는 예컨대 출원서 DE 19616764 A1에 따른 후방 운반 가능한 브러시 커터와 같은 비고정식 전동 공구가 전동 공구로서 적합하다. 대안으로서, 핸드헬드 전기 톱도 적합하다. 비고정식 전동 공구는 핸드헬드 또는 또는 핸드 홀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앵글 그라인더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는 특히 고속 용도를 위한 공구 장치들을 공구 없이 수용하거나 또는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전동 공구의 공구 홀딩 장치 상에 공구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특히 분리 가능한 고정 요소, 예컨대 고정 나사가 필요 없다. 따라서, 전동 공구는 공구 장치를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공구 홀딩 장치와 연결하거나 또는 클램핑하기 위해 제공되므로, 조작자는 이러한 전동 공구에서 특히 빠른 공구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공구 장치를 전동 공구와 연결하거나 또는 전동 공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추가 공구, 예컨대 스패너 또는 스크루 드라이버의 사용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의 회전 속도 증가에 따라, 클램핑 장치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승된, 공구 장치에 대한 클램핑력을 생성하므로, 공구 장치에 작용하는 클램핑력은 회전 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이는 특히 고속 회전하는 회전 구동식 전동 공구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동 가능하게"이라는 용어는 특히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되게 지지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구 홀딩 장치는 전동 공구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구 홀딩 장치는 출력 샤프트, 출력 스핀들 등 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특히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장치는 클램핑 힘 작용을 공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용 면을 포함한 회전, 선회 또는 변위 가능한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 장치들은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고, 특히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들이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장치들이 공통 운동 축, 특히 공통 선회 축을 가진다. 그러나 후크 장치들이 상이한 운동 축들,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선회 축들을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 특히 후크 장치들의 운동 축, 특히 선회 축은 바람직하게는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인,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운동 축, 특히 선회 축은 클램핑 장치 회전 축을 형성한다.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은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특히 선회 축을 중심으로, 50°까지, 바람직하게는 40°까지, 바람직하게는 30°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20°까지의 각 범위에서 선회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 또는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은 특히 적어도 2 개의 상태들, 즉 고정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주어질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후크 장치들은 반경 방향으로 출력 축으로부터 멀리 배향되게 이동되므로, 특히 후크 장치들은 서로 멀리 이동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갖는다. 클램핑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를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으로 홀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후크 장치들은 특히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또는 클램핑 장치의 운동 축을 중심으로 후크 장치들의 이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와 결합, 특히 맞물린다. 공구 장치는 후크 장치들에 의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으로 전동 공구 상에 수용 가능하게 홀딩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공구 홀딩 장치와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구동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클램핑 장치, 특히 홀딩 장치들에 비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구동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해제 상태에서 클램핑 장치, 특히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은 출력 축에 대한 반경 방향으로 안으로 이동되므로, 특히 클램핑 장치, 특히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은 공구 장치의 리세스의 반경 방향 최소 길이보다 작은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는다. 클램핑 장치, 특히 후크 장치들은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에 비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클램핑 장치, 특히 후크 장치들은 해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의 리세스의 반경 방향 최소 길이보다 작은 클램핑 장치, 특히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는 공구 홀딩 장치의 영역에서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자유 돌출하고 공구 장치의 리세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된 클램핑 장치의 축 방향 섹션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가 배치되는 축 방향 섹션은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공구 장치 또는 전동 공구에 의해 평면에서 360°로 둘러싸지 않거나 또는 둘러쌀 수 없는 클램핑 장치의 축 방향 부분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클램핑 장치가 고정 상태 및/또는 해제 상태에서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공구 장치의 이동을 한정하는 공구 장치의 축 방향 부착을 위한 부착 영역에 비해 돌출하거나 또는 튀어나오면 클램핑 장치, 특히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이 "돌출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축 방향 섹션은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장치의 축 방향 숄더로서 간주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의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2 개의 단계에서 공구 홀딩 장치 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는 제 1 부착 영역 및 제 2 부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착 영역은 구동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제 1 부착 영역은 고정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제 2 부착 영역은 특히 360°의 평면에서 제 1 부착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부착 영역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방향 및 출력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부착 영역 또는 제 2 부착 영역은 제 1 또는 제 2, 특히 편평한 부착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착 면은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제 2 부착 면에 대해 이격되고 특히 평행하게 배치된다. 부착 면들은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을 한정한다. 부착 면들은 공구 홀딩 장치로부터 멀리 배향된다.
단일 단계로 공구 장치의 부착 과정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의 리세스가 클램핑 장치 및 구동 장치의 외부 윤곽과 정렬되는, 리세스를 한정하는 경계 윤곽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공구 장치의 부착이 특히 단일 단계에서 달성될 수 있다. 공구 장치는 클램핑 장치, 특히 후크 장치 상에 놓일 수 있다.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작동력을 공구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공구 장치는 클램핑 장치, 특히 후크 장치들을 해제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구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는 제 2 부착 영역 상에 놓일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공구 홀딩 장치, 특히 구동 장치 상에, 특히 공구 홀딩 장치의 제 2 지지 면 상에 놓인다.
적어도 2 개의 단계들로 공구 장치의 부착 과정에서, 제 1 부착 단계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의 리세스는 리세스를 한정하는 경계 윤곽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 윤곽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공구 장치의 제 1 부착시 경계 윤곽이 클램핑 장치 및 구동 장치의 외부 윤곽과 정렬되지 않도록 출력 축을 중심으로, 특히 회전되어 배향된다. 공구 장치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구동 장치 상에 놓이고 클램핑 장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사전 센터링 또는 대략적 센터링된다. 이때 공구 장치는 제 1 부착 영역 상에 놓인다. 연결 장치는 특히 토크 전달 영역이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맞물리때까지 바람직하게는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된다.
공구 장치는 리세스의 경계 윤곽이 클램핑 장치 및 구동 장치의 외부 윤곽과 정렬되도록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착 단계에 후속하는 제 2 부착 단계에서 공구 장치는 공구 장치의 리세스가 클램핑 장치 및 구동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도록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구동 장치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는 정밀 센터링될 수 있으므로,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특히 구동 장치 및/또는 클램핑 장치에 대해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고정식으로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구 장치는 클램핑 장치 상에 놓일 수 있다. 그 후, 제 1 부착 단계에 따라 클램핑 장치, 특히 후크 장치를 해제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공구 장치에 축 방향 작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공구 장치는 제 2 부착 영역 상에 놓이고 특히 고정 상태를 형성한다.
공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을 위해 클램핑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에서 특히 제 1 및/또는 제 2 부착 영역 상에 부착된다.
"출력 축" 및 "공구 회전 축"이라는 용어들은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특히 고정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 및/또는 전동 공구의 출력 샤프트의 가상의 기하학적 회전 축 또는 공구 장치의 가상의 회전 축을 나타낸다.
구동 장치의 토크 전달 영역은 다수의 면 점들을 각각 포함하는, 출력 축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면을 포함한다. "출력 면"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공구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출력 토크를 공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공구 장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을 나타낸다. "평면 점"이라는 용어는 특히 상기 출력 면의 표면 상의 점들을 정의하고 기하학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토크 전달 영역은 공구 장치가 클램핑 장치 상에 배치된, 특히 고정된 상태에서 전동 공구의 구동 토크를 공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반대로, 토크 전달 영역은 토크, 특히 공구 이동의 제동시 생성되는 제동 토크를 공구 장치로부터 전동 공구로 전달하기 위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공구 홀딩 장치는 클램핑 장치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축 방향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개구는 평면, 특히 반경 방향 평면에서 360°로 출력 축 및/또는 클래핑 장치를 둘러싼다. 반경 방향 평면은 출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는 전동 공구의 출력 샤프트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특히 전동 공구의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 출력 샤프트의 내부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개구는 전동 공구의 하우징 내에 리세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는 개구에 비해 축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개구는 제 2 부착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개구는 클램핑 장치를 출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고정식으로 수용 또는 지지할 수 있다. 개구는 반경 방향 평면에서 길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구 홀딩 장치는 특히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는 특히 가이드 조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장치는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한정하거나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가 특히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또는 반대로 이동시, 특히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인 이동시, 공구 홀딩 장치의 클램핑 장치를 안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동은 특히 상대 이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구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조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는 개구를 직사각형 개구의 주요 길이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한정한다. 개구는 출력 축을 평면에서 360°로 둘러쌀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가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구동 장치의 적어도 2 개의 구동 조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이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개구를 적어도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가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구동 장치의 적어도 2 개의 구동 조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구동 장치는 클램핑 장치를 안내하는 추가 기능을 취할 수 있으므로, 공구 홀딩 장치의 컴팩트한 구현이 달성될 수 있다.
"향하게/멀리 배향되는"은 문맥에서 예컨대 3 차원 좌표계와 같은 공간에서 기준 점, 기준 면, 기준 장치에 대한 접선 평면에서 수직으로 놓인 벡터를 나타내는 법선의 배향 또는 방향 설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구동 장치가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구동 조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이 출력 샤프트와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이 출력 축을 중심으로, 특히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구동 조들이 출력 축을 중심으로 균일하게 분배되게, 특히 대칭으로, 예컨대 회전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이 출력 축 상에 배치된 점에 대해 서로 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용하는 힘이 더 양호하게 분배될 수 있다. 하지만 구동 조들이 출력 축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구동 조들이 출력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 등도 고려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가 축 방향 힘 작용을 공구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면이 클램핑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적어도 축 방향으로 공구 장치를 공구 홀딩 장치 상에, 특히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면이 클램핑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고정력을 공구 장치로 가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 홀딩 장치는 공구 장치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특히 출력 축과 직교하는, 편평한 지지 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가 특히 공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면에 의해, 적어도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면 상에 접한다. 공구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지지 면 상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가 특히 클램핑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클램핑 장치에 의해 지지 면 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공구 홀딩 장치가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면에 대해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편평한 지지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지지 면은 출력 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지지 면은 제 2 부착 영역의 제 2 부착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 홀딩 장치 상에 공구 장치의 편평한 지지가 달성될 수 있으므로, 공구 홀더가 전동 공구와 함께 공구 장치의 요구되는 예상 공차를 지키면서 신뢰성 있게 작동될 수 있다. 이로써 공구 홀딩 장치에 대한 공구 장치의 특히 높은 각 정확도가 달성되므로 전동 공구와 함께 공구 장치의 작동시 공구 장치의 진동 및 허용 불가능한 텀블링이 감소될 수 있다.
지지 면은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공구 홀딩 장치의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 상에, 공구 홀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가 배치된다. 밀봉 요소는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 개구를 한정하는 출력 샤프트의 내벽 상에 밀봉식으로, 및 구동 장치 및/또는 클램핑 장치 상에 밀봉식으로 접하게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가 개구를 통해 공구 홀딩 장치, 특히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 출력 샤프트 내로 오염물의 침투를 가급적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 특히 구동 장치 및/또는 클램핑 장치를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싼다. 원주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또한, 구동 장치는 클램핑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르는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보다 큰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갖는다. 구동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가 특히 35mm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30mm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조 공차를 제외하고 정확히 약 29mm의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상태에서의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가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특히 34mm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29mm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조 공차를 제외하고 정확히 28.5mm의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의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가 구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28.5mm의 최대 직경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28.5mm의 값을 갖는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클램핑 장치, 특히 적어도 하나의 후크 장치를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원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의 원주 면은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에 비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의 원주 면은 해제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한 원주 면의 거리가 공구 홀딩 장치 또는 전동 공구에 향하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원추형으로 연장되도록 출력 축에 대해 경사진다. 이로써, 공구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 상으로의 부착 과정에서 공구 장치를 특히 바람직하게 전동 공구 상으로 부착하기 위해 사전 센터링된다. 클램핑 장치의 원주 면은 해제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해 5°보다 큰, 특히 10°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큰, 더 바람직하게는 20°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보다 크고 및/또는 60°보다 작은, 특히 5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더 바람직하게는 35°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보다 작은 각을 형성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의 원주 면은 고정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구동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는 출력 축에 대한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는 구동 경계 원에 의해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가 클램핑 경계 원에 의해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한정된다. 구동 경계 원은 클램핑 경계 원의 최대 직경보다 큰, 특히 5%이하, 바람직하게는 3%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이하만큼 더 큰 최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원들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특히 구동 축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구현된다. 이로써, 클램핑 장치는 공구 장치와 함께 전동 공구의 작동시 특히 바람직하게 예컨대 가공될 공작물과 공구 홀딩 장치의 충돌시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공구 장치는 공구 장치의 리세스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제조 공차를 제외하고 정확히, 29mm의 최대 직경에 대략 상응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29mm인 구동 장치의 최대 직경에 걸쳐 센터링되므로, 정확한 공차가 얻어지고 양호한 동심도가 보장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에 비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전동 공구로부터 멀리 배향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보다 공구 홀딩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에 비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전동 공구로부터 멀리 배향되는 방향으로 더 돌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해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클램핑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한정하는 원추형 엔벨로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공구 장치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의 부착 과정에서 클램핑 장치에 의해 우선 대략적 센터링되고 그 후 구동 장치에 의해 정밀 센터링된다. 해제 상태에서의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는 특히 축 방향을 따라 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22mm의 값에 상응하고, 특히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22mm의 직경에 상응하므로, 인서트 공구가 사전 센터링될 수 있다. 이로써 공구 장치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의 부착 과정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구동 장치 상에 놓이고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사전 센터링 또는 대략적 센터링될 수 있다. 센터링은 특히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의 센터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구동 장치의 토크 전달 영역은, 특히 직선의 또는 만곡된 출력 에지 및/또는, 특히 편평한 또는 만곡된 출력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써, 출력 면 및/또는 출력 에지는 특히 바람직하게 특히 점 접촉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선 접촉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면 접촉의 형태로 공구 장치의 토크 흡수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 특히 출력 면 및/또는 출력 에지는 전동 공구의 작동 동안 공구 홀딩 장치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면 및/또는 출력 에지가 특히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출력 축 및 출력 면 및/또는 출력 에지를 적어도 점으로 교차하는 직선과 특히 반경 방향으로 특히 8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60°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45°보다 작은 각을 형성한다. 이로써, 공작물과의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가 각각 출력 에지 및/또는 출력 면을 갖는 적어도 2 개의 토크 전달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 전달 영역들은 특히 출력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서로 멀리 배향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출력 에지 및/또는 출력 면을 갖는 토크 전달 영역들은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특히 토크 전달 영역들 간의, 특히 토크 전달 영역들의 출력 에지들 및/또는 출력 면들 간의 최소 간격이 원주 방향을 따라 특히 클램핑 경계 원의 전체 원주의 1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20%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보다 작다.
출력 에지 및/또는 출력 면은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축을 형성하는 출력 축의 반경 방향 둘레에 있는 출력 축의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에 대해 경사지고, 특히, 50°이하, 바람직하게는 4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이하만큼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에지 및/또는 출력 면이 출력 축 및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과 특히 5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30°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큰 각을 형성한다. 출력 축 및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에 대한 출력 면 및/또는 출력 에지의 경사진 배치에서 출력 면 및/또는 출력 에지의 최대 길이는 출력 면 자체의 횡 방향 최대 길이를 감소시키지 않고 축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출력 장치의 길이가 특히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반경 방향 축을 형성하는 출력 축의 반경 방향 둘레에 있는 출력 면이 경사지면, 공구 장치는 특히 간단하게 공구 홀딩 장치 상으로 축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출력 면의 최대 길이가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전동 공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구현된다.
출력 면들은 전동 공구의 작동시 공구 홀딩 장치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면들이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출력 면들이 각각 원주 방향과 90°이외의 각을 각각 형성한다.
공구 홀딩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는 작동 장치의 축 방향으로의 작동시 작동력에 의해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한 해제 상태로부터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와 고정되는 고정 상태로 클램핑 장치를 전환하기 위해 제공되는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를 해제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공구 장치가 작동력을 공구 축 또는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클램핑 장치에 가하도록 공구 장치에 작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작동 장치는 공구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가 클램핑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장치가 공구 장치를 고정 상태에서 적어도 구동 축의 축 방향으로 클램핑하고 해제 상태에서 해제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클램핑 리세스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리세스는 공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리세스는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리세스는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를 수용하고 공구 홀딩 장치 상에서 홀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리세스는 해제 상태에서 출력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구동 장치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튀어 나온다. 클램핑 리세스는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가 클램핑 리세스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동 장치에 비해 돌출된다. 클램핑 리세스는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가, 특히 출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형상 끼워 맞춤 방식으로, 클램핑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출력 축에 대해 경사진다. 클램핑 리세스는 원주 리세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리세스는 해제 상태에서 클램핑 리세스가 공구 장치, 특히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클램핑 리세스를 가진 적어도 2 개의 후크 장치들을 포함한다. 클램핑 리세스는 고정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구 장치는 클램핑 장치에 의해 적어도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핑 리세스 내로 맞물린다. 이로써 특히 간단하게 고정 상태에서 전동 공구와 공구 장치의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클램핑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축 방향 힘 작용을 공구 장치, 특히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 접촉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선 접촉의 형태, 특히 바람직하게는 면 접촉의 형태로 공구 장치에 접촉한다. 클램핑 면은 편평하거나 또는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굽을 수 있다.
점 접촉, 선 접촉 또는 면 접촉을 형성하는 접촉 영역은 토크 전달 영역들/토크 흡수 영역들의 형태와 방식 및 그들의 협동에 따라 상이하다. 점 형태의 접촉 영역에서 상기 접촉 영역은 둥근 원형 또는 타원형 연장부를 가진다. 점 형태의 접촉 영역은 공구 장치의 제조시 공차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전동 공구에 대한 공구 장치의 부정확한 위치 설정에 대해 특히 민감하지 않다.
선 형태의 접촉 영역에서 상기 접촉 영역은 접촉 선을 따라 큰 길이 및 상기 큰 길에에 대해 횡 방향으로 작은 길이를 갖는다. 선 형태의 접촉 영역은 점 형태의 접촉 영역에 비해 더 큰 접촉 영역을 제공하고 이는 더 큰 구동력을 전동 공구로부터 공구 장치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평면 접촉 영역은 선 형태의 접촉 영역에 비해 더 큰 접촉 영역, 특히 더 큰 접촉 평면을 제공하므로, 이는 더 큰 구동력을 전동 공구로부터 공구 장치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점 형태의 접촉에 비해 선 형태 및 면 형태의 접촉은 토크 전달 영역들/토크 흡수 영역들의 제조시 그리고 전동 공구 상에 공구 장치의 위치 설정시에 더 높은 정확도를 요구한다. 토크 전달 영역들/토크 흡수 영역들은 평면 또는 선 형태의 접촉이 상당한 구동력의 전달시, 예컨대 정격 전력으로 전동 공구를 작동시에야 비로소 설정되도록 서로 매칭될 수 있다.
클램핑 면은 편평하거나 또는 만곡될 수 있다. 클램핑 면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클램핑 리세스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리세스는 특히 클램핑 함몰부 또는 클램핑 오목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면은 실질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반향으로 연장한다. 클램핑 면은 전동 공구를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클램핑 면은 공구 홀딩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후크 장치가 특히 출력 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클램핑 장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클램핑 장치에 의해 출력 축에 대해 경사진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면의 선회 각에 따라 연결 장치들의 상이한 두께를 가진 공구 장치들이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써, 축 방향으로의 강도 또는 재료 강도가 사용 분야 및 공구 장치들에 대한 요구 사항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연결 장치들을 포함한 공구 장치들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 장치는 공구 장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와 협동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 특히 지지 면 상에 공구 장치의 배치 또는 부착을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 특히 지지 면 상에 공구 장치의 배치 또는 부착을 키-키홀 원리에 따라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구동 장치, 특히 구동 장치의 구동 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구동 장치, 특히 구동 조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결합에 의해 구동 장치, 특히 구동 조 상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립 코딩 요소가 기계식 조립 코딩 요소로서, 예컨대 리세스, 돌출부, 홈, 웨브 등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조립 코딩 요소가 전자식 조립 코딩 요소로서, 예컨대 RFID 칩, NFC 칩, 전파 평가 장치, 전자 판독 장치(바코드 판독기, 데이터 매트릭스 판독기 등) 등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 코딩 요소가 기계식과 전자식 조립 코딩 요소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공구 장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공구 코딩 요소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기계식 조립 코딩 요소로서 조립 코딩 요소가 형성되는 경우, 공구 조립 코딩 요소도 기계식 공구 조립 코딩 요소, 예컨대 리세스, 돌출부, 홈, 웨브 등으로서 형성된다. 전자식 조립 코딩 요소로서 조립 코딩 요소가 형성되는 경우, 공구 조립 코딩 요소도 전자식 공구 조립 코딩 요소, 예컨대 RFID 칩, NFC 칩, 전파 평가 장치, 전자 판독 장치(바코드 판독기, 데이터 매트릭스 판독기 등) 등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조립 코딩 요소 및 공구 조립 코딩 요소의 대응하는 형상들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가 다수의 조립 코딩 요소들, 특히 적어도 2 개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의,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을 포함한다. 공구 장치는 바람직하게 공구 홀딩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의 수에 따라 동일한 수를 포함한다. 그러나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의 수 이외의 수, 특히 더 큰 수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는 축 방향 요소, 특히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축 방향 코딩 요소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구동 장치 상으로 공구 장치의 축 방향 부착 가능성을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결함 있는 조립이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전동 공구의 확실한 작동에 적합하지 않은 공구 장치들을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적은 최대 회전수를 가진 전동 공구들을 위해 제공되는 공구 장치를 높은 최대 회전수를 가진 전동 공구 상에 배치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되는 조립 코딩 요소가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로서 형성된 구동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가 출력 축으로부터 먼 배향 갖는, 특히 출력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메인 배향을 갖는다. 그러나,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된 조립 코딩 요소가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된 조립 코딩 요소가 특히 출력 축에서 먼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의 외부 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된 조립 코딩 요소가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의 외부 면 상에 배치된다. 대안 또는 추가로, 공구 홀딩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의 지지 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의 지지 면 상에 배치되는 조립 코딩 요소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조립 코딩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공구 홀딩 장치 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공구 장치의 배치, 특히 부착이 신뢰성 있게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립 코딩의 구조적으로 간단한 형상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의 내주 면에 맞닿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되는 조립 코딩 요소가 내주 면에 바로 맞닿게 배치된다. 대안 또는 추가로,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된 조립 코딩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의 외주 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 상에 배치된 조립 코딩 요소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의 내주 면 또는 외주 면의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조립 코딩의 구조적으로 간단한 형상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공구 홀딩 장치 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공구 장치의 배치, 특히 부착이 신뢰성 있게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후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가 다수의 조립 코딩 요소들, 특히 적어도 2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가 후크 장치 상에 배치되는 1 또는 2 이외의 수의 조립 코딩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고정을 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고정 코딩 요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고정을 키-키홀 원리에 따라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는 바람직하게 공구 장치 상에 대응 조립 코딩 요소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 공구 홀딩 장치, 특히 지지 면 상에 공구 장치의 고정을 클램핑 장치에 의해 적어도 가급적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공구 장치 상에 대응 조립 코딩 요소가 주어지는 경우 공구 장치의 대응 조립 코딩 요소와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의 협동에 의한 코딩 해제에 의해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가 적어도 구동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만을 또는 적어도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는 구동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 또는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로,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배치를 코딩할 수 있는 다른 코딩 요소들, 예컨대 공구 장치의 배치를 해제하기 위해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배치로 인해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코딩 요소, 예컨대 공구 장치 상의 리세스 내로 맞물리는 공구 홀딩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정적 코딩 요소, 예컨대 전동 공구의 작동 개시를 해제(언록킹)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코딩 리세스 내로 적합한 공구 장치의 정확한 배치 이후에 이동 가능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코딩 소자, 또는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코딩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반경 방향 코딩 요소, 특히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에 따라 작용하는 반경 방향 코딩 요소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고정을 위한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고정을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고정이 클램핑 장치에 의해 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와 대응하는 요소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된 공구 장치가 적합하지 않게 형성되는 경우, 고정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공구 홀딩 장치 상에 적합하지 않은 공구 장치의 고정이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가 후크 조 상에, 특히 후크 조의 클램핑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후크 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후크 조와 별도로 형성되고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결합에 의해 후크 조 상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가 클램핑 리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면 상에, 특히 클램핑 면 상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가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는 후크 조의 중심 평면, 특히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후크 조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조의 중심 평면, 특히 대칭 평면은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및/또는 상기 출력 축을 포함한다. 후크 조 상에 후크 조의 중심 평면, 특히 대칭 평면에 대해 이격되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의 배치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컴팩트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의 클램핑 리세스 내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의 배치에 의한 손상들로부터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의 신뢰성 있는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동 공구, 및 공구 홀딩 장치 내에 수용 가능한 공구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이 제안되고, 공구 홀딩 장치는 전동 공구의 출력 축과 공구 회전 축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특히 동축이도록, 공구 장치를 전동 공구 상에 홀딩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는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의 토크를 구동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가 공구 회전 축, 및 리세스를 가진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핸드헬드 전동 공구의 공구 홀딩 장치를 출력 축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의 구동 장치 및/또는 클램핑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의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구동 장치는 특히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의 리세스를 한정하는 테두리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가 공구 회전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토크 흡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토크 흡수 영역이 리세스를 공구 회전 축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공구 장치의 토크 흡수 영역은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의 리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한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 및 클램핑 장치가 공구 장치의 리세스에 의해 둘러싸이고 실질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에 의해 공구 장치를 공구 홀딩 장치와 클램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가 클램핑 면의 영역에서 힘 작용을 공구 장치로 가할 수 있고, 이러한 힘 작용은 공구 회전 축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는 공구 홀딩 장치로부터 공구 장치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가 저지되고 공구 장치의 간단한 교체를 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가 제 1 연결 면과 상기 제 1 연결 면에 대해 대향하는 공구 장치의 제 2 연결 면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공구 장치의 연결 면들은 공구 회전 축과 직교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면들 사이에서 공구 회전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거리는 연결 장치의 재료 두께(t)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흡수 영역이 공구 장치의 연결 면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를 한정하는 토크 흡수 영역의 구동 면은 공구 장치의 연결 면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토크 흡수 영역의 구동 면은 공구 회전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그러나, 토크 전달 영역의 구동 면이 공구 회전 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제 1 연결 면은 전동 공구를 향하는 측면 상에서 연결 장치를 출력 축의 방향으로 한정한다. 연결 면들은 편평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축 방향으로의 공구 장치의 특히 컴팩트한 구현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는 공구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 적어도 2 개, 특히 적어도 4 개의 토크 흡수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구 홀딩 장치는 구동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 적어도 2 개, 특히 적어도 4 개의 토크 전달 영역들을 포함한다. 특히 토크 흡수 영역들은 토크 전달 영역들에 대해 대응하게, 특히 반대로 형성되므로, 특히 네거티브 형태가 형성된다.
토크 전달 영역들은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90°의 축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공구 장치는 구동 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4 개의 회전 위치들을 포함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토크 전달 영역들이 출력 축을 중심으로 n 배, 특히 적어도 4 배의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토크 전달 영역들이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n 배 회전 대칭, 예컨대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2 배, 3 배, 5 배 등의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토크 흡수 영역이 구동 축의 반경 방향으로 공구 회전 축에 대한 제 1 반경 방향 거리와 제 2 반경 방향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전동 공구로부터 공구 장치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설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특히 바람직하게 전동 공구로부터 제공되는 토크가 전동 공구 홀딩 장치를 통해 공구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는 공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면 및/또는 제 1 연결 면을 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편평한, 특히 원형 링형의 지지 면을 포함하므로, 지지 면은 공구 회전 축의 반경 방향으로 출력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거리와 반경 방향 외측 거리 사이에서 연장한다.
반경 방향 내측 거리는 지지 면을 한정하는 지지 면의 내경을 형성할 수 있다. 반경 방향 외측 거리는 지지 면을 한정하는 지지 면의 외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가 리세스를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윙은 공구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특히 최소 경계 원 상에 놓이는 제 1 경계 에지에 의해 공구 회전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클램핑 윙, 특히 클램핑 윙의 제 1 경계 에지는 전동 공구와 공구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지지 면의 반경 방향 내측 거리에 비해 출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특히 2mm이하, 바람직하게는 1mm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6mm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mm이하만큼, 및/또는 특히 0.5mm이상, 바람직하게는 0.9mm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mm이상만큼 돌출하므로, 상기 영역에서 클램핑 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재료가 주어지지 않는다.
클램핑 윙은 반경 방향으로 지지 면 상에 놓이지 않고, 특히 전체 면으로 지지 면 상에 놓이지 않아야 하므로, 클램핑 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탄성으로 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윙이 스프링률에 상응하는 400,000N/㎜보다 작은 최대 기준 값(D)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윙이 10,000N/㎜ 내지 350,000N/㎜ 값 범위의 값을 갖는, 스프링률에 상응하는 최대 기준 값(D)을 갖는다. 스프링률에 상응하는 클램핑 윙의 최대 기준 값(D)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관계 식으로부터 얻어진다.
F = Dz,
Figure 112019018604856-pct00001
L은 제 1 경계 원과 제 2 경계 원 사이의 클램핑 윙의, 특히 검출된, 최대 길이이고, b는 제 2 경계 원을 따른 클램핑 윙의 최대 접선 길이이고, h는 공구 회전 축(a)의 축 방향을 따른 클램핑 윙의 최대 재료 두께이다. 최대 재료 두께(h)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6mm 값 범위의 값에 상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윙은 특히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되고 클램핑 장치에 의해 아직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에 따라 지지 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전동 공구의 방향으로, 특히 축 방향으로 출력 축을 따라 클램핑 윙의 제 1 경계 원의 하부에는 지지 면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공구 장치가 전동 기계 상에 고정되면, 공구 홀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은, 특히 지지 면을 형성하는, 공구 홀딩 장치의 제 1 직교 평면 및 특히 구동 장치를 축 방향으로 한정하는 제 2 직교 평면 사이에 놓이고, 특히 배치된다.
공구 홀딩 장치의 개구는 개구를,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공구 장치의 클램핑 윙을,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특히 전동 공구의 방향으로 출력 축을 따르는 클램핑 윙의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의 탄성 변형이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전동 공구를 향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직교 평면들은 거리(T) 만큼 서로 이격된다. 토크 흡수 영역들의 축 방향 최대 길이에 의해 한정되는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의 재료 두께(t)에 대한 거리(T)는 500%까지, 특히 350%까지, 바람직하게는 200%까지, 바람직하게는 150%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까지의 비율로 주어진다. 이로써, 공구 장치가 구동 장치와 결합될 수 있고, 특히 구동 장치 상에서 센터링될 수 있다.
또한 공구 장치는 공작물 또는 공작물 장치에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작업 영역은 작업 영역이 고정 상태에서 연결 장치에 비해 전동 공구의 공구 홀딩 장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구 회전 축을 따라 돌출하도록 연결 장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영역이 공구 장치의 고정 상태에서 전동 공구의 지지 면과 함께 전동 공구에 대한 원주 방향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지지를 형성하는 접촉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이 탄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영역이 연결 장치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작업 영역의 재료는 연결 장치의 재료보다 더 탄성이다. 특히 공구 장치는 축 방향으로 작업 영역 상에 클램핑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 영역은 공구 장치의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는 공구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특히 최소 경계 원 상에 놓인, 공구 회전 축의 원주 방향으로의 클램핑 윙의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경계 에지에 의해 각각 공구 회전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한정되는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윙들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경계 에지는 다수의 경계 에지 섹션들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에지 섹션들은 실질적으로 제 1 경계 원 상에 놓이고, 클램핑 윙의 반경 방향 최소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경계 에지는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배치되는 경계 에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클램핑 윙은 제 1 경계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클램핑 장치, 특히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후크 장치는 클램핑 장치의 반경 방향 길이를 한정하는 원주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회전 축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2 개의 제 1 경계 에지들의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클램핑 장치의, 특히 최소 원주 면의 길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공구 장치가 부착 과정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대략적 센터링 또는 사전 센터링될 수 있다.
또한, 전동 공구의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토크 전달 영역들이 공구 장치의 토크 흡수 영역들에 점 접촉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선 접촉의 형태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면 접촉의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이 공구 장치에 특히 바람직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 또는 공작물 장치에 작용하도록 설계된 작업 영역, 구동력의 흡수를 위해 설계된 연결 장치, 및 전동 공구의 구동력을 결합 영역에 의해 연결 장치로부터 작업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작업 영역과 연결 장치를 결합하는 결합 영역을 포함한 공구 장치가 전동 공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다.
또한 공구 장치는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와 협동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를 포함하도록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공급 조립 코딩 요소가 기계식 공구 조립 코딩 요소, 예컨대 리세스, 돌출부, 홈, 웨브, 엠보싱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공구 장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전자식 공구 조립 코딩 요소, 예컨대 RFID 칩, NFC 칩, 전파 평가 장치, 전자 판독 장치(바코드 판독기, 데이터 매트릭스 판독기 등) 등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공구 장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기계식과 전자식 공구 조립 코딩 요소의 조합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는 특히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키-키홀 원리에 따라 구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 또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와 협동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가 다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 특히 적어도 2 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개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를 포함한다. 공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의 수에 따라 동일한 수를 포함한다. 그러나,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들의 수 이외의 수, 특히 더 큰 수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공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조립 코딩 기능에 추가로, 클램핑 릴리즈 노치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조립 및/또는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의 기계식 및/또는 전자식 평가가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조립 및/또는 고정을 위해, 특히 공구 홀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조립 및/또는 고정이 해제될 때 까지 클램핑 장치의 이동이 특히 기계식 및/또는 전자식으로 차단될 수 있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조립 및/또는 고정의 해제를 달성하기 위해, 공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공구 홀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의 작동, 특히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대안 또는 추가로, 공구 홀딩 장치 상의 공구 장치의 조립 및/또는 고정의 해제를 달성하기 위해, 공구 장치가 특히 지지 면 상에 특히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구 홀딩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조립 코딩 요소를 작동, 특히 이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 특히 엠보싱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 상에 공구 장치의 결함 있는 조립이 바람직하게는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전동 공구의 확실한 작동에 적합하지 않은 공구 장치들을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적은 최대 회전수를 가진 전동 공구들을 위해 제공되는 공구 장치를 높은 최대 회전수를 가진 전동 공구 상에 배치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조작 안정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연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클램핑 윙 상에 배치되는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리세스로서 형성되는 경우, 공구 조립 코딩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작동 하중으로 인한 소성 변형에 대한 클램핑 윙의 저항 특성이 클램핑 윙의 하중 경계에까지 최대로 감소될 수 있도록 클램핑 윙 내로 제공된다. 클램핑 윙 상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 예컨대 보강 리브 등이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클램핑 윙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가 공구 홀딩 장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크 조 상에 배치되는 클램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와 협동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키-키홀 원리에 따른 확실한 조립 또는 고정 코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연결 장치의 제 1 경계 원과 제 2 경계 원 사이의 최대 거리에 최대로 상응하는 최대 길이를 반경 방향 축을 따라 갖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윙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공구 장치의 제 1 경계 원과 제 2 경계 원 사이의 최대 거리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최대 길이를 공구 회전 축에 대해 횡 방향,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특히 공구 장치의 반경 방향 축의 방향에 따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신뢰성 있고 확실한 코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가 연결 장치의 구동 에지와 코딩 에지 사이의 각 범위에서 연결 장치의 클램핑 윙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각 범위는 9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60°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최대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고정 코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적합하지 않은 전동 공구 상에 공구 장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적합하지 않은 전동 공구 상의 공구 장치의 고정으로 인한 조작자의 부상에 대한 예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앵글 그라인더로서 구현된 전동 공구와 함께 공구 장치의 사용이 제안되므로, 공구 장치는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4,000rpm보다 많은, 또는 10,000rpm보다 많은, 또는 20,000rpm보다 많은 회전 속도로 작동 가능하다.
"작동 가능"은 문맥에서 신뢰성 있게 작동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므로,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와 함께 공구 장치의 사용은 공구 장치, 예컨대 앵글 그라인더와 함께 사용되는 열 그라인딩 디스크의 사용 시간 또는 수명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거의 유사하다. 특히 사용 시간 또는 수명은 그라인딩 공구의 분야에서 앵글 그라인더와 함께 구동되는 그라인딩 수단의 일반적인 수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구 장치가 공구 장치의 캐리어 플랜지와 특히 소재 결합 및/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작업 영역을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로써 특히 바람직한 기능의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 시스템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장치는 전술된 용도 및 실시예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 시스템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장치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여기에 언급된 수 이외의 수의 개별의 요소, 부재, 유닛 및 방법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공개 내용에 제시된 값 범위들에서, 명시된 한계치 내에 있는 값들도 공개되고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른 장점들은 아래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면들, 상세한 설명들 및 청구 범위는 다수의 특징들을 조합하여 포함한다.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을 유리하게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의미 있는 추가 조합으로 조합할 것이다.
도 1은 공구 장치를 포함한 핸드헬드 전동 공구의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를 포함한 공구 홀딩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해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다른 단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공구 홀딩 장치의 도면이고,
도 5a는 도 4의 공구 홀딩 장치의 일부의 도면이고,
도 5b는 제 1 대안의 공구 홀딩 장치의 일부의 도면이고,
도 5c는 제 2 대안의 공구 홀딩 장치의 일부의 도면이고,
도 5d는 제 3 대안의 공구 홀딩 장치의 일부의 도면이고,
도 5e는 제 4 대안의 공구 홀딩 장치의 일부의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공구 홀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공구 홀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공구 홀딩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9는 공구 장치를 포함한 공구 홀딩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10은 다른 공구 장치를 포함한 공구 홀딩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11은 예시적인 공구 장치의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공구 홀딩 장치 내에 수용된 도 11의 공구 장치의 도면이고,
도 13은 도 1의 제 1 직교 평면을 따른 공구 홀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공구 장치의 실시예의 캐리어 플랜지를 도시하고,
도 15는 도 11의 캐리어 플랜지의 클램핑 윙의 확대도이고,
도 16a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하식 고정 및/또는 위치 설정 요소를 포함한 공구 장치 및/또는 공구 홀딩 장치의 형상이고,
도 16b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하식 고정 및/또는 위치 설정 요소를 포함한 공구 장치 및/또는 공구 홀딩 장치의 도 16a의 대안적 형상이고,
도 17은 공구 홀딩 장치의 클램핑 장치의 조립 코딩 요소가 배치된 공구 홀딩 장치의 후크 조의 상세도이고, 및
도 18은 공구 장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의 가능한 배치 및 형상들의 표 형식 리스트이다.
이하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에는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공구 홀딩 장치(213) 및 공구 장치(11)을 포함한 전동 공구 시스템 또는 가공 시스템이 도시된다. 공구 홀딩 장치(213)는 출력 축(A)과 가상의 기하학적 공구 회전 축(a)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공구 장치(11)를 전동 공구(211) 상에 홀딩하게 설계된다.
공구 장치:
도 1, 도 2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공구 장치(11)는 편평하고 적어도 실질적으로 디스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구 장치(11)는 가상의 공구 회전 축(a) 및 전동 공구(211)의 공구 홀딩 장치(213)와 공구 장치(11)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 장치(113) 그리고 작업 영역(15)을 포함한다. 연결 장치(113)와 작업 영역(15)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특히 소재 결합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공구 회전 축(a)은 전동 공구(211)와 함께 작동시 공구 장치(11)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구 장치(11)의 중심점을 정의한다. 연결 장치(113)는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공구 장치(11)의 반경 방향 내측 영역 내에 배치된다.
연결 장치(113)는 연결 장치(113)의 전체 재료 두께(t)를 통해 공구 회전 축(a)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구 장치(11)를 통한 재료 관통구를 형성하는 리세스(17)를 포함한다. 리세스(17)는 공구 홀딩 장치(213)의 구동 장치(215) 및 클램핑 장치(217)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리세스(17)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예컨대 공구 회전 축(a)과 직교하는 직교 평면에서 공구 회전 축(a)을 완전히 둘러싼다.
연결 장치(113)는 구동 샤프트의 출력 축(A)과 공구 장치(11)의 공구 회전 축(a)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장치(113)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연결 장치(113)의 리세스(17)를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4 개의 클램핑 윙들(19)도 포함한다. 클램핑 윙들(19)은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특히 최소 경계 원(23) 상에 놓인 제 1 경계 에지(21)에 의해 각각 특히 공구 회전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한정된다. 대안으로 연결 장치(113)는 4 개의 클램핑 윙들(19)보다 적게, 예컨대 2 개의 클램핑 윙들(19)을 또는 4 개의 클램핑 윙들(19)보다 많이, 예컨대 6 개의 클램핑 윙들(19)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윙들(19)은 특히 실질적으로,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특히 최대 경계 원(27) 상에 놓인 제 2 경계 에지(25)에 의해 각각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 및/또는 원주 방향으로 한정된다. 특히, 제 1 경계 원(23)의 직경은 제 2 경계 원(27)의 직경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경계 에지들(25) 및 제 2 경계 에지들(25)은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으로 리세스(1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제 1 경계 원(23)이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경계 원(27)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 1 경계 에지(23)의 제 1 직경이 약 22㎜이고, 이로써 공구 장치(11)가 종래의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도에 적합하므로 역호환성이 보장된다. 대안으로, 제 1 경계 에지(23)의 제 1 직경이 22㎜보다 작을 수도 있고, 이로써 공구 장치가 더 작은 치수의 종래의 공작 기계, 특히 앵글 그라인더에도 적합하다.
제 2 경계 에지(25)는 공구 장치(11)를 반경 방향으로 센터링하고 지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 1 경계 에지(21)는 공구 회전 축(α)을 중심으로 하는 경계 원(23)의 원호 경로에 따라 만곡될 수 있다. 제 2 경계 에지(25)는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경계 원(27)의 원호 경로에 따라 만곡될 수 있다.
연결 장치(113)는 토크 흡수 영역(40)을 포함한다. 토크 흡수 영역(40)은 특히 직선 또는 만곡된 구동 에지(40a) 및/또는 특히 평면하거나 또는 만곡된 구동 면(40b)을 포함한다. 이로써, 공구 장치(11)의 토크 흡수 영역(40)이 바람직하게는 점 접촉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선 접촉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면 접촉의 형태로 공구 홀딩 장치(213)의 토크 전달 영역(219)에 접촉한다. 토크 전달 영역(219)은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 장치(113)의 토크 흡수 영역(40)은 구동력을 전동 공구(211)로부터 공구 장치(11)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토크 흡수 영역(40)은 공구 장치(11)의 전체 재료 두께를 통해 연장하는 공구 장치(211)의 리세스(17) 사이에 공구 회전 축(a)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리세스(17)는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대칭, 특히 n 배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4 개의 토크 흡수 영역들(40)을 포함한다. 그러나, 공구 장치가 4 이외의 수의 토크 흡수 영역들(40), 예컨대 2 개, 3 개 또는 4 개보다 많은 토크 흡수 영역들(40)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구동 면(40b), 특히 구동 면(40b)의 구동 면 영역은 전동 공구(211)의 공구 홀딩 장치(213)와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및/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특히 공구 장치(11)를 회전 작동 가능한 결합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구동 면(40b)은 적어도 구동 에지(40a)에 의해 공구 회전 축(a)의 축 방향으로 한정된다. 적어도 구동 면(40b)의 구동 면 영역은 편평하게 구현된다.
구동 면(40b)은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반경 방향 축(r)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 30°까지, 예컨대 25°까지의 각으로 경사진다.
연결 장치(113)는 제 1 연결 면(49) 및 제 1 연결 면(49)에 대해 대향하는 제 2 연결 면(5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면들(49, 50)은 공구 회전 축(a)과 직교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113)의 재료 두께(t)를 한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토크 흡수 영역(40)은 연결 면들(49, 50)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되듯이, 제 1 경계 에지(21)는 코딩 에지(35), 특히 코딩 에지(35)의 코딩 에지 영역, 및 구동 에지(40a), 특히 구동 에지(40a)의 구동 에지 영역에 의해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한정된다. 적어도 구동 에지(40a)의 구동 에지 영역은 직선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코딩 에지(35)는 실질적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코딩 에지(35)는 제 1 경계 에지(21)를 제 2 경계 에지(25)와 연결한다. 구동 에지(40a)는 제 1 경계 에지(21)를 인접한 제 2 경계 에지(25)와 연결한다. 코딩 에지(35) 및 구동 에지(40a)는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횡 방향인 직교 평면에서, 특히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특히 직교 평면은 공구 회전 축(a)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제 1 경계 원(23)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제 1 경계 에지들(21) 사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투영 에지(22)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투영 에지는 제 1 경계 원(23) 상에 놓이고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제 1 경계 원(23)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한다. 제 1 경계 원(23) 상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제 1 경계 에지(21)의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가 제 1 경계 원(23) 상에 놓인 인접한 가상의 투영 에지(22)의 길이보다 10%까지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각각의 투영 에지(22)가 투영 에지(22)에 인접한 제 1 경계 에지(21)보다 작다. 이로써 공구 장치(11)의 특히 바람직한 센터링, 특히 사전 센터링 또는 대략적 센터링이 달성된다.
클램핑 윙들(19)은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특히 최대 경계 원(27) 상에 놓인 제 2 경계 에지(25)에 의해 각각 특히 실질적으로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한정될 수 있다.
1 경계 에지들(21, 25), 코딩 에지들(35) 및 구동 에지들(40a)은 리세스(17)의 경계 윤곽을 형성한다. 특히, 제 1 경계 에지(21), 코딩 에지(35) 및 구동 에지(40a)는 클램핑 윙(19)의 윤곽을 형성한다. 구동 에지(40a) 및 코딩 에지(35)는 제 1 경계 에지(21)를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한정하고 제 1 경계 에지(21)로 이어진다.
클램핑 윙들(19)은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클램핑 윙들(19)은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90°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되므로,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공구 장치(11)가 360°만큼 완전히 회전하는 경우 4 개의 회전 위치들이 얻어진다. 대안으로, 클램프 윙들(19)이 공구 회전 축 (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180° 또는 60°만큼 오프셋되게 배치되므로,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공구 장치(11)가 360°만큼 완전히 회전하는 경우 2 개 또는 6 개의 회전 위치들이 얻어진다.
클램핑 윙들(19)은 공구 회전 축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교 평면을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특히, 직교 평면은 공구 회전 축(a)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특히, 리세스(17)의 경계 윤곽은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현되는 코딩 에지(35a)로서 구현된 코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는다. 경계 윤곽은 공구 회전 축을 중심으로 바람직하게는 비대칭, 특히 비 축대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계 윤곽은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특히 n 배 회전 대칭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핑 윙(19)은 공구 회전 축(a)에 대한 직교 평면을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의 반경 방향 축(r)을 형성하는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 특히 축 대칭이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클램핑 윙(19)은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에 의해 스팬된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 특히 거울 대칭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클램핑 윙(19)은 공구 회전 축(a)에 대한 직교 평면을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에 의해 스팬된 대칭 평면의 반경 방향 축(r)을 형성하는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에 대해 비대칭, 특히 비 축대칭이다.
공구 장치(11)는 공구 장치(11)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동 공구(211)를 향하게 배향되는 제 1 측면(45)을 포함한다. 공구 장치(11)는 제 1 측면(45)으로부터 먼 제 2 측면(47)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은 공구 장치(11)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서 전동 공구(211)와 고정된 고정 상태에서 전동 공구(211)로부터 멀리 배향된다. 제 1 측면(45) 및 제 2 측면(47)은 공구 장치(11)를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축 방향으로 한정한다.
공구 장치(11)의 제 1 측면(45)은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인 제 1 측면 영역(46)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영역은 전동 공구(211)의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서의 지지를 위한 접촉 면(61)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작업 영역(15)은 디스크 형이고 편평하게 구현된다. 작업 영역(15)은 반경 방향 외측에 있고 공구 장치(11)의 반경 방향 길이를 한정한다. 작업 영역(15)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입자 또는 그라인딩 에지로서 형성된 그라인딩 요소를 포함한 그라인딩 공구, 또는 커팅 에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팅 투스를 포함한 커팅 공구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당업자가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작업 영역들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구동력을 흡수하도록 설계된 연결 장치(113)는 전동 공구(211)의 구동력을 연결 장치(113)로부터 작업 영역(15)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결합 영역에 의해 작업 영역(15)과 결합, 특히 소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전동 공구 및 전동 공구 시스템:
공구 홀딩 장치(213)는 적어도 구동 장치(215) 및 구동 장치(215)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217)를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217)는 클램핑 장치(217)의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크 조들(218a, 218b)로서 구현된 2 개의 후크 장치들(217a, 217b)을 포함한다.
더 양호한 예시를 보여주기 위해, 도 1 의 후크 조들(218a, 218b)은 가상 상태, 즉 고정 상태(우측 후크 조(218a)) 및 해제 상태(좌측 후크 조 (218b))로 배치된다. 상기 2 개의 후크 조들(218a, 218b)은 고정 상태 또는 해제 상태 중 하나로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 조들(218a, 218b)의 이러한 가상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211)에서 달성될 수 없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좌측 후크 조(218a)에 대해 도시되듯이 클램핑 장치(217)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215)에 비해 출력 축(A)에 대해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고정 상태에서 보다 공구 홀딩 장치(213)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215)에 비해 출력 축(A)에 대해 축 방향으로 더 돌출한다.
전동 공구(211)는 상기 2 개의 후크 조들(218a, 218b)의 이동이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이루어지도록 후크 조들(218a, 218b)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후크 조들(218a, 218b)의 가상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공구(211)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달성될 수 없다.
"가이드 장치"라는 용어는 적어도 클램핑 장치의 출력 축(A)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및/또는 출력 축(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 방향을 따라 클램핑 장치(217)에 구속력을 가하므로 클램핑 방향을 따라 클램핑 장치(217)의 이동을 사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치를 정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장치는 클램핑 장치(217)가 그 상에 또는 그 둘레에 안내되는 가이드 볼트(285)로서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 및 후크 조들(218a, 218b)을 베어링 볼트(286)의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베어링 볼트(286)로서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요소를 포함한다.
가이드 장치는 후크 조들(218a, 218b)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트랙을 각각 형성하는 가이드 홈들(281a, 281b)로서 형성된 2 개의 가이드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2 개의 후크 조들(218a, 218b)은 가이드 볼트(285)에 의해 후크 조들 (218a, 218b)을 안내하도록 제공되는 가이드 홈(281a, 281b)을 각각 포함한다. 2 개의 후크 조들(218a, 218b)은 서로 대칭으로 구현된다. 후크 조들(218a, 218b)의 가이드 홈들(281a, 281b)은 서로 대칭으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후크 조들(218a, 218b)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대칭이므로, 2 개의 후크 조들(218a, 218b)은 고정 위치 또는 해제 위치로 배치된다.
예컨대 도 2에 또는 도 1의 좌측 후크 조(218a)에 도시되듯이, 후크 조들(218a, 218b)은 후크 조들(218a, 218b)이 해제 위치에 배치되는 클램핑 장치(217)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215)에 비해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의 우측 후크 조(218b)는 클랭핑 장치(217)의 고정 상태로 구현된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후크 조들이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상태에서보다 공구 홀딩 장치(213)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장치(215)에 비해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더 돌출한다.
가이드 볼트(285)는 출력 축(A)과 직교한다. 가이드 볼트(258)는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포함하고, 특히 가이드 볼트(285)는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형성한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후크 조들(218a, 218b)에 의해, 출력 축(A)에 대해 경사지는 클램핑 장치(217)의 클램핑 면(233)의 선회 각에 따라, 연결 장치들(113)의 상이한 재료 두께(t)를 가진 공구 장치들(11)이 공구 홀딩 장치(213) 내에 클램핑될 수 있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11)를 적어도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클램핑하고 해제 상태에서 해제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클램핑 리세스(231)를 각각 포함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적어도 축방향 힘 작용을 공구 장치(11)로 절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면(233)을 각각 포함한다. 클램핑 리세스(231)는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오목부로서 구현된다. 클램핑 면(233)은 고정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클램핑 면(233)은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전동 공구(211)를 향하게 배향된다. 클램핑 면(233)은 편평하게 구현된다. 클램핑 면(23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면(23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 접촉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선 접촉의 형태, 특히 바람직하게는 면 접촉의 형태로 공구 장치(11)의 연결 장치(113)에 접촉한다. 접촉의 형태는 공구 홀딩 장치(213) 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와 결합될 연결 장치(113)의 재료 두께(t)에 따라 상이하다. 특히 접촉의 형태는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공구 장치(11)의 클램핑 휠(19)의 탄성 편향에 따라 상이하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고정 상태에서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 윙(19)을 4mm이하, 특히 3mm이하만큼 덮는다.
클램핑 장치(217)의 후크 조들(218a, 218b)은 후코 조들(218a, 218b)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면(245)을 각각 포함한다. 후크 조들(218a, 218b)의 원주 면들(245)은 서로 멀리 배향된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클램핑 리세스들(231)에 의해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제 1 원주 면(245a) 및 제 2 원주 면(245b)을 각각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원주 면들(245a, 245b)은 원주 면들(245a, 245b)에 할당 배치된 클램핑 리세스(231)의 반경 방향 길이를 각각 한정한다. 제 1 원주 면(245a)은 적어도 출력 축(A)을 중심으로 만곡된다.
후크 조들(218a, 218b)의 원주 면들(245)은 해제 위치에서 구동 조들(216a, 216b)에 비해 출력 축(A)에 대해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후크 조들(218a, 218b)의 원주 면들(245)은 해제 상태에서 출력 축(A)에 대한 원주 면의 거리가 공구 홀딩 장치 또는 전동 공구를 향하는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출력 축에 대해 경사진다. 클램핑 장치(231)의 원주 면(245)은 해제 상태에서 출력 축(A)에 대해 20°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각(λ; 도 1)을 형성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공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를 수용하고 공구 홀딩 장치 상에 홀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해제 상태에서 구동 조들(216a, 216b)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의 연결 장치(113)가 클램핑 리세스(231)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동 조들(216a, 216b)에 비해 돌출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11)의 연결 장치(113)가 클램핑 리세스들(231)에 의해 수용되도록 출력 축(A)에 대해 경사진다. 클램핑 리세스들은 원주 리세스들로서 형성된다. 클램핑 리세스들(231)은 클램핑 리세스들(231)이 해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공구 장치(11)를 중심으로 개방되게, 특히 공구 장치(11)의 연결 장치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213)는 후크 조들(218a, 218b)을 수용하고 특히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개구(225)를 포함한다. 개구(225)는 직교 평면에서 360°까지 후크 조들(218a, 218b)을 둘러싼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개구에 비해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개구(22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부착 면에 의해 한정된다. 개구(225)는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고정식으로 후크 조들(218a, 218b)을 수용 또는 지지한다. 개구(225)는 반경 방향 평면에서 길게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장치(215) 및 클램핑 장치(217)는 공구 장치(11)의 전체 재료 두께(t)를 통해 연장하는 공구 장치(11)의 단일 리세스(17)를 통해 도달하고 출력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후크 조들(218a, 218b)에 의해 공구 장치(11)를 공구 홀딩 장치(213)와 클램핑 하도록 설계된다.
도 4에 도시되듯이, 구동 장치(215)는 구동력을 공구 장치(11)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출력 축(A)에 대해 이격되게 별 모양으로 배치된 4 개의 토크 전달 영역들(219)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219)은 직선의 출력 에지(219a), 특히 출력 에지 영역으로서, 또는 편평한 출력 면(219b), 특히 출력 면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출력 에지들(219a) 및 출력 면들(219b)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출력 축(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토크 전달 영역들(219)의 출력 면들(219b)은 전동 공구(211)의 작동시 공구 홀딩 장치(213)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진다.
2 개의 구동 조들(216a, 216b)의 출력 면(219b) 각각은 다른 구동 조들(216a, 216b)의 다른 출력 면(219b)에 대해 평행하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해제 상태에서 구동 조들(216a, 216b)에 비해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후크 조들(218a, 218b)은 해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고정 상태에서 후크 조들(218a, 218b)에 비해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고정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토크 전달 영역(213)으로서 형성된 2 개의 반경 방향 융기부들을 각각 포함한다.
공구 장치(11)가 전동 공구(211) 상에 고정되면, 공구 홀딩 장치(213)의 토크 전달 영역들(219)은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제 1 직교 평면(235)과 제 2 직교 평면(237) 사이에 놓인다.
제 1 직교 평면(235)은 공구 홀딩 장치(213)를 전동 공구(211)를 향하는 측면 상에서 출력 축(A)의 방향으로 한정하고, 제 2 직교 평면(213)은 공구 홀딩 장치(213)를 전동 공구(211)로부터 먼 측면 상에서 한정한다.
토크 흡수 영역들(21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구 회전 축(a)에 대한 제 1과 제 2 반경 방향 거리 사이에서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 공구(211)로부터 공구 장치(11)로의 토크 전달을 위해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동 공구(211)의 토크 전달 영역(219),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토크 전달 영역들(21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 접촉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선 접촉의 형태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면 접촉의 형태로 공구 장치(11)의 토크 흡수 영역들(40)에 접촉한다.
공구 홀딩 장치(213)는 구동 축(A)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대칭으로 배치되는 2 개의 토크 전달 영역들(219)을 각각 갖는 2 개의 구동 조들(216a, 216b)을 포함한다. 토크 전달 영역들(213)은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90°의 각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공구 장치는 4 개의 회전 위치들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와 결합될 수 있다.
출력 면들(219b) 및 출력 에지들(219a)은 전동 공구(211)의 구동시 공구 홀딩 장치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진다.
출력 면들(219b) 및 출력 에지들(219a)은 출력 축(A)의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에 대해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30°까지, 특히 25 °까지의 각(β)으로 경사진다.
구동 면들(219b)로 외주 면들(239)이 원주 방향으로 이어진다. 외주 면들(239)은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11)를 제 2 경계 에지들(25) 상에서 센터링 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외주 면들(239)은 출력 축(A)의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에 대해 출력 축(A)의 반경 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약 1°의 각으로 경사지므로, 공구 장치(11)를 공구 홀딩 장치(213) 상으로 축방향으로 부착할 때 반경 방향으로의 공차가 더 좁아지고 공구 장치(11)가 더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내주 원(243) 상의 적어도 제 1 직교 평면(235)에 놓인 내주 면(240)을 각각 포함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특히 원주 면(245)을 한정하는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외주 원(245c) 상에서 적어도 제 1 직교 평면에 놓이는 2 개의 외주 면들(239)을 각각 포함한다. 내주 원(243)은 외주 원(245c)에 대해 동심이다. 내주 원(243)은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22mm인 직경을 가지므로, 약 22.2mm인 연결 장치(113)의 리세스(17)의 최소 직경, 특히 클램핑 윙(19)의 제 1 경계 에지(21)가 종래의 전동 공구들(211)에 대한 역호환성을 달성시킨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10mm의 폭(b)을 갖는다.
구동 조들(216a, 216b)의 적어도 하나의 외주 면(239) 상으로 내부 면(240)과 외주 면(239)을 연결시키는 코딩 면(241)이 각각 이어진다.
적어도 내주 면들(240), 외주 면들(239), 코딩 면들(241) 및 구동 면들(219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동 조들(216a, 216b)을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한정한다.
구동 장치(215)는 특히 가이드 조들로서 작용하는 2 개의 구동 조들(216a, 216b)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구동 조들은 후크 조들(218a, 218b)을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므로, 후크 조들(218a, 218b)의 이동이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중심으로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달성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반경 방향 이동이 한정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개구(225)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개구(225)의 주요 길이를 따라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으로 한정한다.
특히 도 4에는 공구 장치(11), 특히 적어도 공구 장치(11)의 접촉 면(61)을 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편평한 링형 지지 면(261)을 포함한 공구 홀딩 장치(213)가 도시된다. 지지 면(261)은 후크 조들(218a, 218b)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후크 조들(218a, 218b)을 360°로 둘러싼다. 지지 면(261)은 출력 축(A)과 직교한다.
도 2에는 작업 영역(15)이 고정 상태에서 연결 장치(113)에 비해 전동 공구(211)의 공구 홀딩 장치(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구 회전 축(a)을 따라 돌출하도록 연결 장치(113) 상에 배치되는 공구 장치(11)의 작업 영역(15)이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작업 영역(15)의 접촉 면(61)은 공구 장치(11)의 고정 상태에서 전동 공구(211)의 지지 면(261)과 접할 수 있고 전동 공구(11)에 대해 공구 회전 축(a)의 원주 방향으로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결합을 형성한다.
접촉 면(61)은 공구 장치(11)의 고정 상태에서 전동 공구(211)의 지지 면(261)과 함께 전동 공구(1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지지를 형성한다. 이로써 탄성 작업 영역(61)의 경우 추가로 축 방향으로의 댐핑 작용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축 방향으로 클램핑 윙(19)의 예비 응력이 달성될 수 있다.
지지 면(261)은 출력 축(A)으로부터 제 1 반경 방향 내측 거리(Ri)와 제 2 반경 방향 외측 거리(Ra) 사이에서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 1 반경 방향 내측 거리(Ri)는 제 2 반경 방향 외측 거리(Ra)보다 작다. 제 1 반경 방향 내측 거리(Ri)는 지지 면(261)을 한정하는 지지 면(261)의 내경을 형성한다. 제 2 반경 방향 외측 거리(Ra)는 지지 면(261)을 한정하는 지지 면(261)의 외경을 형성한다.
고정 상태에서 공구 장치(11)의 클램핑 윙(19)의 제 1 경계 에지(21)는 지지 면(261)의 제 1 반경 방향 내측 거리(Ri)에 비해 반경 방향으로 출력 축(A)을 향해, 특히 2mm까지 돌출한다. 클램핑 윙(19)은 상기 영역, 특히 적어도 제 1 경계 에지(21)의 영역에서, 클램핑 윙(19)의 축 방향 지지를 위한 지지 면(261) 또는 지지 재료가 주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지지 면(261)으로부터 돌출한다.
클램핑 윙(19)은 반경 방향으로 지지 면(261) 상에 놓이지 않고, 특히 전체 면으로 놓이지 않으므로, 클램핑 윙(1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방향으로 탄성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특히, 지지 면(261)은 클램핑 윙(19)의 제 1 경계 에지(22) 바로 아래에서 축 방향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특히, 지지 면(261)은 클램핑 윙(19)의 제 2 경계 에지(24) 바로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로써, 공구 장치(11)의 제 1 경계 에지(22) 및/또는 제 2 경계 에지(24)는 고정 상태에서 지지 면(261)의 최소 길이 또는 제 1 반경 방향 내측 길이(Ri)보다 작은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갖는다.
구동 장치(215)는 보호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장치(215)는 고정 상태에서 클램핑 장치(217)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보다 더 큰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가지므로, 공구 홀딩 장치(213)의 회전식 구동시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구동 조들(216a, 216b)은 후크 조들(218a, 218b)의 보호를 보장하며, 이는 후크 조들(218a, 218b)이 전동 공구(211)의 작동에서 공작물과의 우발적 접촉시 구동 조들(216a, 216b)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후크 조들(218a, 218b)은 공구 홀딩 장치(213)의 해제 상태에서 구동 조들(216a, 216b)에 비해 공구 홀딩 장치(213)로부터 먼 방향으로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특히, 원주 방향으로의 공구 장치(11)의 연결 장치(113)의 투영 에지(22)가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의 원주 면(245)의, 특히 최소 길이보다 특히 70%까지, 바람직하게는 50%까지, 바람직하게는 30%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20%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10%까지 더 짧으므로, 공구 홀더 장치(213)는 해제 상태에서 공구 장치(11)의 부착 과정에서 후크 조들(218a, 218b)을 중심으로 사전 센터링 또는 대략적 센터링될 수 있다.
공구 홀딩 장치는 제 1 부착 영역 및 제 2 부착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부착 영역은 제 1 편평한 부착 면으로서 형성된다. 제 2 부착 영역은 제 2 편평한 부착 면으로서 형성된다. 제 1 부착 면은 구동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한다. 제 1 부착 면은 고정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의 축 방향 길이를 한정한다. 제 2 부착 면은 특히 360°의 평면에서 제 1 부착 영역을 둘러싼다. 부착 면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출력 축의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출력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부착 면은 출력 축의 축 방향으로 제 2 부착 면에 대해 이격되고 특히 평행하게 배치된다. 부착 면들은 출력 면들(219b) 및 출력 에지들(219a)을 한정한다. 부착 면들은 공구 홀딩 장치로부터 멀리 배향된다. 공구 장치는 고정 상태에서 제 2 부착 면 상에 놓인다. 공구 장치는 해제 상태에서 제 1 부착 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2 부착 면은 지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 장치(217)는 구동 장치(217)의, 특히 구동 조들(216a, 216b)의 반경 방향 길이를 한정하는 원주 경계 윤곽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217)의 원주 경계 윤곽은 출력 축(A)의 영역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상승된 섹션으로서 구현된 코딩 장치(251)를 형성한다.
상기 코딩 장치(251)는 도 12에 도시되듯이 공구 장치(11)의 리세스 (17) 내로 맞물리게 설계된다. 코딩 장치(251)는 실질적으로 연결 장치(113)의 리세스 (17)의 경계 윤곽의 네거티브 형태에 상응하고 이로써 공구 장치(11)와 공구 홀딩 장치(213) 사이의 형상 끼워 맞춤 결합을 달성시킨다.
구동 조들(16a, 16b)의 내주 원(243)보다 큰, 특히 외주 원(245c)보다 큰 반경 방향의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는, 네거티브 형태와 상이한 리세스(17)의 형태들도 가능하다.
코딩 장치(251)는 구동 조들(216a, 216b)의 원주 면들(내주 면(240), 외주 면(239), 코딩 면(241) 및 출력 면(219b)에 의해 형성된다.
코딩 장치(251)는 출력 축(A)에 대해 회전 대칭, 특히 n 배 회전 대칭에 따른다. 그러나 코딩 장치(251)는 회전 대칭 형상과 상이한 형상, 예컨대 비대칭 형상 등을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공구 장치(11)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 와셔 및 너트부를 포함하는 더 도시되지 않은 나사 장치에 의해, 전동 공구(211)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는 전동 공구(211), 특히 앵글 그라인더의 종래의 공구 홀딩 장치들(213)과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공구 장치(11)는 와셔에 의해 공구 장치(11)로 힘 작용을 미치는 고정 나사에 의해 전동 공구(211) 상에 홀딩된다. 전동 공구(211)로부터 공구 장치(11)로 구동력의 전달은 실질적으로 토크 전달 영역(219) 및 토크 흡수 영역(40)의 형상 끼워 맞춤 방식의 맞물림에 의해 달성된다. 공구 장치(11)는 공구 회전 축(a)과 출력 축(A)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전동 공구(211) 상에 홀딩된다. 공구 장치(11)는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에는 연결 장치(113)의 대칭적 형상을 가진 공구 장치들(11)의 수용을 위한 핸드헬드 전동 공구(211)의 공구 홀딩 장치(213)의 대안적 형상들이 도시된다.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들(213)은 이전의 도면들, 특히 도 5a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213)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전의 도면들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213)와는 달리,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들(213)은 출력 축(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는 구동 장치(215)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축(A)은 구동 장치(215)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대칭 평면에서 연장된다.
도 5b에 도시된 구동 장치(215)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구동 조들(216a, 216b)을 포함한다. 특히 구동 조들(216a, 216b)은 서로 거울 대칭으로, 특히 출력 축(A)을 포함하는 대칭 평면에 대해 서로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216a, 216b)은 대칭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 대해 각각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 리세스가 배치되고, 상기 삽입 리세스 내로 도 5b에 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고 도 5b의 공구 홀딩 장치(213)에 대해 대응하게 형성된 공구 장치(11)의 특히 직사각의,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클램핑 윙(19)이 삽입 및/또는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구동 조들(216a, 216b)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삽입 경사를 포함한다. 삽입 경사들은 각각의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서 삽입 리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각각의 구동 조들(216a, 216b)의 외주 면 상에 배치된다.
도 5c에 도시된 구동 장치(215)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구동 조들(216a, 216b)을 포함한다. 특히 구동 조들(216a, 216b)은 서로 거울 대칭으로, 특히 출력 축(A)을 포함하는 대칭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216a, 216b)이 각각 대칭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각각 적어도 2 개의 경사진 에지를 가진 직사각형 베이스 형태를 포함한다. 구동 조들(216a, 216b)은 2 개의 경사진 에지들을 서로 연결하는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의 외부 측면 상에 각각 돌출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의 돌출부는 예컨대 도 5c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조립 코딩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c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213)의 클램핑 장치(217)의 클램핑 면(233)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장치(217)의 내부 면은 원형 세그먼트형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217)의 돌출부는 예컨대 도 5c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213)의 고정 코딩 요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의 돌출부에 대해 대응하지 않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공구 장치(도 5c에 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의 고정이 도 5c에 도시된 공구 홀딩 장치(213)의 클램핑 장치(217)에 의해 가급적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216a, 216b)의 돌출부들 및 클램핑 장치(217)의 돌출부들이 출력 축(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의 4 개로 이루어진 원주 윤곽을 형성한다.
도 5d에 도시된 구동 장치(215)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구동 조들(216a, 216b)을 포함한다. 특히 구동 조들(216a, 216b)은 서로 거울 대칭으로, 특히 출력 축(A)을 포함하는 대칭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216a, 216b)이 각각 대칭 평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조들(216a, 216b)이 도 5d에 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공구 장치(11)의 클램핑 윙들(19)에 대응하게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구동 및/또는 코딩 윤곽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및/또는 코딩 윤곽들이, 특히 출력 축(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볼 때, 구동 장치(215)의 외부 윤곽 내의 오목부들로서 형성된다. 도 5d에 도시되지 않은 공구 홀딩 장치(213)의 클램핑 장치(217)는 클램핑 장치(217)의 클램핑 면(233)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장치(217)의 내부 면을 포함한다. 내부 면은 출력 축(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서 볼 때 구동 및/또는 코딩 윤곽들 중 하나와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216a, 216b)의 구동 및/또는 코딩 윤곽들 및 클램핑 장치(217)의 내부 면들이 출력 축(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의 6 개로 이루어진 원주 윤곽을 형성한다.
도 5e에 도시된 구동 장치(215)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구동 조들(216a, 216b), 특히 서로 점 대칭으로 형성된 구동 조들(216a, 216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216a, 216b) 당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2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 308, 310)이 구동 장치(215) 상에 배치된다. 대안 및 추가로 각각 공구 홀딩 장치(213)의 2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 308, 310)이 후크 장치(217a, 217b) 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 상에 배치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2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 308, 310)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17mm보다 작거나 또는 17mm와 같은 최대 원주 길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 상에 배치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2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 308, 310)이, 특히 함께, 10° 내지 40°값 범위의 값을 가진 각 범위에서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 상에 배치된다.
도 13 내지 18에는 이전 도면들, 도 1 내지 도 12에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던 전동 공구 시스템의 추가 세부 사항들이 도 1 내지 도 12의 용이한 가독성을 위해 도시된다. 도 13 내지 도 18에 개시된 특징들은 도 1 내지 도 12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공구 장치(11)는 공구 장치(11)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와 협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를 포함한다. 공구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와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는 특히 대응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특히 지지 면(261) 상에 공구 장치(11)의 배치, 고정 또는 부착을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특히 지지 면(261) 상에 공구 장치(11)의 배치, 고정 또는 부착을 키-키홀 원리에 따라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동 장치(215)는 공구 장치(11)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와 협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216a, 216b) 상에 배치된다(도 13 참조).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기계식 조립 코딩 요소로서 형성된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는 구동 조(216a, 216b)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가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상, 예컨대 리세스, 웨브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공구 장치(11)의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횡 방향,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216a, 216b)의 내주 면(24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2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216a, 216b)의 내주 면(240)으로부터 특히 공구 회전 축(a)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특히 외주 원(245c)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면(245)에까지 최대로 연장된다(도 12 및 도 13 참조).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볼 때 구동 조(216a, 216b)의 구동 에지(219a) 및/또는 구동 면(219b)과 상기 구동 에지(219a) 및/또는 상기 구동 면(219b)의 대향 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구동 조(216a, 216b)의 구동 에지(219a) 및/또는 구동 면(219b)과 상기 구동 에지(219a) 및/또는 상기 구동 면(219b)의 대향 측면 간의 최대 거리보다 작은 최대 길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구동 조(216a, 216b)의 구동 에지(219a) 및/또는 구동 면(219b)과 상기 구동 에지(219a) 및/또는 상기 구동 면(219b)의 대향 측면 사이에 60°보다 작은 각 범위로 배치된다.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각각의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서도 도출될 수 있듯이, 예컨대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가 특히 제 1 직교 평면(235)에서 볼 때, 다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n-팔각형 등) 또는 원형(반원형, 주름진 외주 선 등을 가진 반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공구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가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에 대응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구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 및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는 특히 크기의 관점에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공구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가 원주 방향을 따라 또는 반경 방향을 따라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의 최대 길이의 배수에 상응하는 최대 길이를 갖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가 적어도 구동 장치(215)의 각각의 구동 조(216a, 216b)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구동 조(216a, 216b) 당 1 개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보다 많은, 예컨대 구동 조(216a, 216b) 당 적어도 2 개의, 적어도 3 개의, 적어도 4 개의 또는 더 많은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이 제공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 배치된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은 특히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의 상이한 형상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 배치된 구동 장치(215)의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이 출력 축(A)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비대칭으로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 배치된 구동 장치(215)의 조립 코딩 요소들(300, 302)이 출력 축(A)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구동 조들(216a, 216b) 상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가능한 대응 배치들에 의해 도 1에서 도출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217), 특히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후크 장치(217a, 217b)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를 포함한다(도 13 및 도 17 참조). 클램핑 장치(217)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는 바람직하게는 후크 조(218a, 218b) 상에, 특히 후크 조(218a, 218b)의 클램핑 리세스(231)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가 다수의, 특히 적어도 2 개의 조립 코딩 요소들(308, 310)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217)는 후크 장치(217a, 217b) 상에 배치되는 1 또는 2 이외의 수의 조립 코딩 요소들(308, 310)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공구 장치(11)의 고정을 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고정 코딩 요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공구 홀딩 장치(217) 상에 공구 장치(11)의 고정을 키-키홀 원리에 따라 코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후크 조(218a, 218b)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는 후크 조(218a, 218b)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결합에 의해 후크 조(218a, 218b) 상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클램핑 장치(217)의 클램핑 면(233) 상에, 특히 클램핑 리세스(2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클램핑 면(233) 상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는 클램핑 장치(217)의 클램핑 면(233)의 최대 길이보다 작은 클램핑 리세스(231) 내에서 특히 최대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형상, 예컨대 리세스, 그루브, 웨브, 톱니 모양의 윤곽 등의 형상을 갖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는 후크 조(218a, 218b)의 중앙 평면, 특히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후크 조(218a, 218b)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가능한 대응 배치들에 의해 도 18에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조립 코딩 요소(301, 310)가 배치될 때까지 후크 조들(218a, 218b)이 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후크 조(218a, 218b)의 중앙 평면, 특히 대칭 평면은 출력 축(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또는 이를 포함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클램핑 장치(217)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후크 조(218a, 218b) 상에서 후크 조(218a, 218b)의 중앙 평면, 특히 대칭 평면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공구 장치(11)의 연결 장치(113)는 공구 장치(11)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와 협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연결 장치(113)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된다(도 18 참조).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연결 장치(113)의 제 1 경계 원(23)과 제 2 경계 원(27) 간의 최대 거리에 최대로 상응하는 최대 길이를 반경 방향 축(r)을 따라 갖고, 이는 예컨대 도 18의 연결 장치(113)의 상이한 실시 대안들에서 도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113)의 구동 에지(40a)와 코딩 에지(35) 사이의 각 범위에서 연결 장치(113)의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된다. 특히 각 범위는 9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60°보다 작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40°보다 작은 최대 범위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113)의 구동 에지(40a)와 코딩 에지(35) 간의 최대 거리보다 작은 최대 길이를 원주 방향을 따라 갖는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구동 에지(40a)와 코딩 에지(35) 사이의 영역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구동 에지(40a)와 코딩 에지(35) 사이의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113)의 제 1 경계 원(23)과 제 2 경계 원(27)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이 연결 장치(113)의 제 1 경계 원(23) 및 제 2 경계 원(27)에 의해 한정되는 원형 링의 부분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예컨대 도 18의 표 형식 리스트의 다양한 실시 대안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이로부터 도시된 실시 대안들의 조합도 고려될 수 있다. 연결 장치(113)는 대칭으로, 특히 n 배 회전 대칭에 따라 또는 비대칭으로 연결 장치(113) 상에, 특히 클램핑 윙들(19)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을 포함한다.
도 14에는 공구 장치(11)가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와 협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장치(11)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연결 장치(113)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연결 장치(113)의 제 1 경계 원(23)과 제 2 경계 원(27) 간의 최대 거리에 최대로 상응하는 최대 길이를 반경 방향 축(r)을 따라 갖고, 이는 예컨대 도 18의 연결 장치(113)의 상이한 실시 대안들에서 도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113)의 구동 에지(40a)와 코딩 에지(35) 사이의 각 범위에서 연결 장치(113)의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공구 장치(11)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로,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고정 및/또는 위치 설정 요소(324; 예컨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됨)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를 포함한다. 공구 홀딩 장치(213)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고정 및/또는 위치 설정 요소(324)는 예컨대 스프링 부하식 로킹 핀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가 클램핑 윙(19) 내 재료 없는 관통부로서, 특히 클램핑 윙(19)의 최대 재료 두께(h)를 통해 완전히 연장되는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가 오목부로서, 예컨대 엠보싱 공정에 의해 생성된 오목부로서 클램핑 윙(19) 및/또는 캐리어 플랜지(14) 상에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다. 캐리어 플랜지(14)는 작업 영역(15)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특히 엠보싱 공정에 의해 생성된, 캐리어 플랜지(14)의 고정 요소에 의해 작업 영역(15)과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16a 및 도 16b 참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의 최대 직경(dw)은 바람직하게는 0.8mm 내지 1.6mm 값 범위의 값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가 제 1 경계 원(23)과 제 2 경계 원(27) 사이의 반경 방향 영역 내에서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316, 318, 320, 322)가 공구 장치(11)의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11)가 바람직하게는 공구 장치(11) 상에, 특히 공구 장치(11)의 캐리어 플랜지(14) 상에 균일하게 분배되게 배치된 다수의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16, 318, 320, 322)을 포함한다. 특히 추가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16, 318, 320, 322)은 23mm 내지 28mm 값 범위의 값을 최대 직경으로 가진 공통 원형 링(326) 상에 배치된다. 공통 원형 링은 바람직하게는 공구 회전 축(a) 상에 배치된 중심 점을 갖는다.
도 15에는 클림핑 윙들(19) 중 하나의 상세도가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윙(19)이 10,000N/mm 내지 350,000N/mm의 값 범위의 값을 가진 스프링률에 상응하는 최대 기준 값(D)을 갖는다. 클램핑 윙의 스프링률에 상응하는 최대 기준 값(D)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관계 식으로부터 얻어진다:
F = Dz,
Figure 112019018604856-pct00002
L은 특히 반경 방향 축(r)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른 특히 제 1 경계 원(23)과 제 2 경계 원(27) 사이의 클램핑 윙(19)의, 특히 검출된 최대 길이이고, b는 제 2 경계 원(27)에 대한 접선으로 클램핑 윙(19)의 최대 접선 길이이고, h는 공구 회전 축(a)의 축 방향을 따른 클램핑 윙(19)의 최대 재료 두께이다. 최대 재료 두께(t)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6mm 값 범위의 값에 상응할 수 있다.
특히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실시 대안들의 관점에서 본, 연결 장치(113)의 예시적 실시 대안들에 대한 도 18에 도시된 표 형식 리스트에서, 표 형식 리스트의 제 1 칼럼에는 크기, 특히 길이, 폭 등과 관련한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가능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표 형식 리스트의 제 2 칼럼에는 형태, 예컨대 다각형 형태, 원형 형태 등과 관련한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가능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표 형식 리스트의 제 3 칼럼에는 반경 방향 축(r) 또는 공구 회전 축(a)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한 배치, 예컨대 반경 방향 축(r)에 대한 대칭 배치, 반경 방향 축(r)에 대한 단일측 배치, n 배 회전 대칭 등과 관련한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가능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 18에는 표 형식 리스트의 더 양호한 가독성을 위해 도면 부호들이 하나의 실시 대안에만 주어져 있다. 특히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의 실시 대안들의 관점에서 본, 도 18에 도시된 연결 장치(113)의 실시 대안들은 여기에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 안되며, 그 이유는 공구 조립 코딩 요소들(304, 306, 312, 314)이 당업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실시 대안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11 공구 장치
15 작업 영역
17 리세스
19 클램핑 윙
21 제 1 경계 에지
23 제 1 경계 원
27 제 2 경계 원
35 코딩 에지
40 토크 흡수 영역
40a 구동 에지
49 제 1 연결 면
50 제 2 연결 면
55 결합 영역
61 접촉 면
113 연결 장치
211 전동 공구
213 공구 홀딩 장치
215 구동 장치
216a, 216b 구동 조
217 클램핑 장치
217a, 217b 후크 장치
218a, 218b 후크 조
219 토크 전달 영역
219a 출력 에지
219b 출력 면
225 개구
231 클램핑 리세스
245 원주 면
261 지지 면
300, 302, 308, 310 조립 코딩 요소
304, 306, 312, 314 공구 조립 코딩 요소
A 출력 축
a 공구 회전 축

Claims (33)

  1.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공구 홀딩 장치(213)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로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상기 출력 축(A)과 공구 회전 축(a)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공구 장치(11)를 상기 전동 공구(211) 상에 홀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215) 및 상기 구동 장치(215)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21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215)는 구동력을 상기 공구 장치(11)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출력 축(A)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219)을 포함하는, 상기 전동 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 및 상기 클램핑 장치(217)는, 상기 공구 장치(11)의 단일의 리세스(17)를 통해 도달하고, 또한 상기 출력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클램핑 장치(217)에 의해 상기 공구 장치(11)를 클램핑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상기 클램핑 장치(217)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축 방향 개구(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는 상기 개구(22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한정하고,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의 상기 클램핑 장치(217)를 상기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216a, 216b)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는 서로 평행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 개의 구동 조들(216a, 216b)을 포함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는 고정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장치(217)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보다 더 큰 상기 출력 축(A)의 반경 방향 최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가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장치(217)가 상기 구동 장치(215)에 비해 상기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전동 공구(211)로부터 먼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의 토크 전달 영역(219)은 출력 에지(219a), 또는 출력 면(219b), 또는 상기 출력 에지(219a) 및 출력 면(219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219)은 상기 전동 공구(211)가 작동할 때,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는 출력 에지(219a), 또는 출력 면(219b), 또는 상기 출력 에지(219a) 및 출력 면(219b)을 각각 가지는, 서로 멀리 배향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적어도 2 개의 토크 전달 영역들(2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에지(219a), 또는 상기 출력 면(219b), 또는 상기 출력 에지(219a) 및 출력 면(219b)은 상기 출력 축(A)의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에 의해 스팬된 평면에 대해 상기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편평한 지지 면(26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면은 상기 공구 장치(11)를 상기 출력 축의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작동 장치(229)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작동 장치(229)의 축 방향 작동 시 작동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 장치(217)를 상기 공구 장치(11)가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로부터 분리 가능한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공구 장치(11)가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에 고정된 고정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217)는 상기 공구 장치(11)를 고정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출력 축(A)의 축 방향으로 클램핑하고 해제 상태에서 해제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클램핑 리세스(23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장치(217a, 2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217)는 클램핑 장치 회전 축(k)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공구 홀딩 장치에 상기 공구 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 장치(113)들의 상이한 두께를 가진 상기 공구 장치(11)들이 상기 클램핑 장치(217)에 의해 상기 출력 축(A)에 대해 경사진 상기 클램핑 장치(217)의 선회 각에 따라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는 상기 공구 장치(11)들이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공구 장치(11)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와 협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상기 구동 장치(215)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216a, 216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215)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조(216a, 216b)의 내주 면(24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217)가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217)의 조립 코딩 요소(308, 310)가 후크 조(218a, 218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공구 홀딩 장치(213)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동 공구(211), 및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 내에 수용 가능한 공구 장치(11)를 포함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상기 전동 공구(211)의 출력 축(A)과 공구 회전 축(a)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공구 장치(11)를 상기 전동 공구(211) 상에 홀딩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217)는 축 방향 힘 작용을 상기 공구 장치(11)로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면(231)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215)는 토크를 상기 출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공구 장치(11)로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토크 전달 영역(219)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 장치(11)는 공구 회전 축(a), 및 상기 전동 공구(11)의 공구 홀딩 장치(213)를 상기 출력 축(A)의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제공된 리세스(17)를 가진 연결 장치(113)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 장치(11)는 상기 공구 회전 축(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토크 흡수 영역(40)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 흡수 영역(40)은 상기 리세스(17)를 상기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상기 구동 장치(215) 및 상기 클램핑 장치(217)가 상기 공구 장치(11)의 상기 리세스(17)를 통해 도달하고 상기 공구 장치(11)를 실질적으로 상기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217)에 의해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에 클램핑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217)는 상기 클램핑 면(231)의 영역에서 상기 공구 장치(11)로 힘 작용을 가하고, 상기 힘 작용이 상기 공구 회전 축(a)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13)는 제 1 연결 면(49)과 상기 제 1 연결 면(49)의 반대편을 향하는 제 2 연결 면(50)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결 면들(49, 50)은 상기 공구 회전 축(a)과 직교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면들(49, 50)은 상기 연결 장치(113)의 재료 두께(t)를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크 흡수 영역(40)이 상기 연결 면들(49, 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는 상기 공구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면(61)을 축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편평한 지지 면(26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면(261)은 상기 출력 축(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거리(Ri)와 반경 방향 외측 거리(Ra) 사이에서 상기 공구 회전 축(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공구 장치(11)의 연결 장치(113)는 상기 리세스(17)를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19)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윙(19)은 상기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경계 원(23) 상에 놓인 제 1 경계 에지(21)에 의해 상기 공구 회전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한정되고, 상기 공구 장치(11)가 상기 전동 공구(211)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공구 장치(11)의 상기 클램핑 윙(19)은 상기 지지 면(261)의 반경 방향 내측 거리(Ri)에 대해 상기 출력 축(A)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므로, 상기 영역에서 상기 클램핑 윙(19)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재료가 주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장치(11)는 공작물 또는 공작물 장치에 작용하도록 설계된 작업 영역(15)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15)이 고정 상태에서 상기 연결 장치(113)에 대해 상기 전동 공구(211)의 공구 홀딩 장치(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구 회전 축(a)을 따라 돌출하도록, 상기 작업 영역(15)은 상기 연결 장치(113)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영역(15)은 상기 공구 장치(11)의 고정 상태에서 상기 전동 공구(211)의 지지 면(261)과 함께 상기 공구 장치(11)에 대해 상기 원주 방향으로 압력 끼워 맞춤 방식의 지지를 형성하는 접촉 면(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13)는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윙들(19)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윙들은 각각 상기 공구 회전 축(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상기 공구 회전 축(a)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클램핑 윙의 길이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공구 회전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경계 원(23) 상에 놓인, 제 1 경계 에지(21)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217)는 상기 클램핑 장치(217)의 반경 방향 길이를 한정하는 원주 면(245)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 회전 축(a)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2 개의 제 1 경계 에지들(21)의 간격이 원주 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장치(217)의 원주 면(245)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공구(211)의 토크 전달 영역(219)이 상기 공구 장치(11)의 토크 흡수 영역들(40)에 점 접촉의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공구(211)는 상기 공구 장치(11)가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와 협동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시스템.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전동 공구(211)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공작물 또는 공작물 장치에 작용하도록 설계된 작업 영역(15), 구동력을 흡수하기 위해 설계된 연결 장치(113), 및 상기 전동 공구(211)의 구동력을 결합 영역(55)에 의해 상기 연결 장치(113)로부터 상기 작업 영역(15)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상기 작업 영역(15)과 상기 연결 장치(113)를 결합하는 상기 결합 영역(55)을 포함하는 공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13)는 상기 공구 장치(11)가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 홀딩 장치(213)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 코딩 요소(300, 302, 308, 310)와 협동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상기 연결 장치(113)의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반경 방향 축(r)을 따라 상기 연결 장치(113)의 제 1 경계 원(23)과 제 2 경계 원(27) 사이의 최대 거리에 최대로 상응하는 최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구 조립 코딩 요소(304, 306, 312, 314)는 상기 연결 장치(113)의 구동 에지(40a)와 코딩 에지(35) 사이의 각 범위에서 상기 연결 장치(113)의 클램핑 윙(19)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장치.
  33. 제 1 항에 따른, 앵글 그라인더로서 구현된 전동 공구(211)와 함께 제 32 항에 따른 공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구 장치(11)가 4000rpm보다 큰, 또는 10000rpm보다 큰, 또는 20000rpm보다 큰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와 함께 공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197005235A 2016-08-22 2017-08-10 전동 공구 KR102443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5691 2016-08-22
DE102016215691.8 2016-08-22
DE102017201509 2017-01-31
DE102017201509.8 2017-01-31
DE102017213668.5 2017-08-07
DE102017213668.5A DE102017213668A1 (de) 2016-08-22 2017-08-07 Werkzeugmaschine
PCT/EP2017/070312 WO2018036831A1 (de) 2016-08-22 2017-08-10 Werkzeug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727A KR20190039727A (ko) 2019-04-15
KR102443288B1 true KR102443288B1 (ko) 2022-09-15

Family

ID=6066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235A KR102443288B1 (ko) 2016-08-22 2017-08-10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2) EP4079452A1 (ko)
JP (2) JP6805331B2 (ko)
KR (1) KR102443288B1 (ko)
CN (2) CN115570486A (ko)
AU (1) AU2017314989B2 (ko)
BR (1) BR112019002379B1 (ko)
CA (1) CA3032237A1 (ko)
DE (2) DE102017213668A1 (ko)
DK (1) DK3500401T3 (ko)
ES (1) ES2916330T3 (ko)
RU (1) RU2748570C2 (ko)
WO (1) WO2018036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3669A1 (de) 2016-08-22 2018-02-22 Robert Bosch Gmbh Werkzeugein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DE102018202520A1 (de) * 2018-02-20 2019-08-22 Robert Bosch Gmbh Schnellspannvorrichtung
CN112008564B (zh) * 2019-05-29 2024-01-19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电动工具
JP7330914B2 (ja) 2020-02-13 2023-08-22 株式会社マキタ 振動工具
DE102020110218B4 (de) 2020-04-14 2022-03-17 Metabowerke Gmbh Angetriebene Werkzeugmaschine sowie Schnellspannvorrichtung hierfür
WO2023099083A1 (de) 2021-11-30 2023-06-08 Robert Bosch Gmbh Werkzeugschnittstellenvorrichtung, insbesondere einsatzwerkzeugnabe
DE102022204599A1 (de) 2021-11-30 2023-06-0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erkzeugschnittstellenvorrichtung, insbesondere Einsatzwerkzeugnabe
DE102022200952A1 (de) 2022-01-28 2023-08-0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erkzeugschnittstellenvorrichtung, Einsatzwerkzeug mit einer Werkzeugschnittstellenvorrichtung und Werkzeugmaschinensystem mit einem Einsatzwerkzeug und einer Werkzeug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1676A2 (de) 2012-03-08 2013-09-12 Robert Bosch Gmbh Werkzeugaufnahme
CN105473282A (zh) 2013-08-01 2016-04-06 C.&E.泛音有限公司 具有工具接收装置的工具机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2969A (en) 1935-04-29 1936-12-01 Roy S Dutcher Woodworking machine
DE3740200A1 (de) 1987-11-27 1989-06-08 Black & Decker Inc Tragbare, motorgetriebene kreissaege
DE19616764C2 (de) 1996-04-26 1999-12-09 Stihl Maschf Andreas Rückentragbares Freischneidegerät
JPH1199460A (ja) * 1997-09-29 1999-04-13 Yanase Kk 回転研磨具
DE102004028529A1 (de) * 2004-06-11 2006-01-26 Robert Bosch Gmbh Werkzeugaufnahmevorrichtung für ein Einsatzwerkzeug
DE202004021498U1 (de) * 2004-10-19 2008-06-26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erkzeugs an einer oszillierend antreibbaren Antriebswelle einer Handwerkzeugmaschine
US7484736B2 (en) * 2005-07-21 2009-02-03 Robert Bosch Gmbh Accessory for a rotary tool
DE102008001252A1 (de) * 2008-04-18 2009-10-22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Handwerkzeugmaschine
JP5566840B2 (ja) * 2010-10-04 2014-08-06 株式会社マキタ 回転工具
DE102010042016A1 (de) 2010-10-06 2012-04-12 Robert Bosch Gmbh Spaltkeileinheit
DE102010042605A1 (de) * 2010-10-19 2012-04-19 Robert Bosch Gmbh Arbeitswerkzeug, insbesondere Elektrowerkzeug
DE102012007926A1 (de) * 2012-04-17 2013-10-17 C. & E. Fein Gmbh Handwerkzeug mit einer Spannvorrichtung für ein Werkzeug
DE202013006900U1 (de) * 2013-08-01 2014-11-03 C. & E. Fein Gmbh Werkzeugmaschine
DE102014210915A1 (de) 2014-06-06 2015-12-17 Robert Bosch Gmbh Elektrowerkzeug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1676A2 (de) 2012-03-08 2013-09-12 Robert Bosch Gmbh Werkzeugaufnahme
CN104159711A (zh) 2012-03-08 2014-11-1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刀具接收器
US20150108725A1 (en) * 2012-03-08 2015-04-23 Robert Bosch Gmbh Tool Holder
CN105473282A (zh) 2013-08-01 2016-04-06 C.&E.泛音有限公司 具有工具接收装置的工具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0401A1 (de) 2019-06-26
CN115570486A (zh) 2023-01-06
KR20190039727A (ko) 2019-04-15
WO2018036831A1 (de) 2018-03-01
RU2019107176A3 (ko) 2020-09-25
RU2748570C2 (ru) 2021-05-26
BR112019002379B1 (pt) 2023-11-28
EP4079452A1 (de) 2022-10-26
BR112019002379A2 (pt) 2019-06-04
US20190202027A1 (en) 2019-07-04
CA3032237A1 (en) 2018-03-01
JP6805331B2 (ja) 2020-12-23
JP2019526461A (ja) 2019-09-19
EP3500401B1 (de) 2022-04-13
CN109641344A (zh) 2019-04-16
AU2017314989A1 (en) 2019-04-11
DE202017104815U1 (de) 2017-11-29
JP7002628B2 (ja) 2022-01-20
DE102017213668A1 (de) 2018-02-22
JP2021045846A (ja) 2021-03-25
ES2916330T3 (es) 2022-06-30
DK3500401T3 (da) 2022-07-18
AU2017314989B2 (en) 2022-10-06
RU2019107176A (ru) 2020-09-22
CN109641344B (zh)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288B1 (ko) 전동 공구
KR102503312B1 (ko) 핸드헬드 전동 공구용 공구 장치
US10940605B2 (en) Oscillating multi-tool system
US8562395B2 (en) Guard anti-rotation lock
US11478915B2 (en) Work tool
US8167689B2 (en) System with a tool-holding fixture
AU2018253157A1 (en) Grinding means device, in particular grinding-disc device or backup-pad device
US7258515B2 (en) Tool holding fixture and insert tool
KR101005987B1 (ko) 휠 가드의 조절이 용이한 전동 공구
CN111867782B (zh) 快速夹紧设备
US11980947B2 (en) Power tool
RU2784913C1 (ru) Рабоч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ручной машины
US11204061B2 (en) Bearing unit for an accessory tool
RU2793243C2 (ru) Быстро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абочий инструмент,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машина и обрабатывающая система
EP2123383B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tool reten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