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76B1 - 디스펜스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펜스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76B1
KR102442076B1 KR1020197034137A KR20197034137A KR102442076B1 KR 102442076 B1 KR102442076 B1 KR 102442076B1 KR 1020197034137 A KR1020197034137 A KR 1020197034137A KR 20197034137 A KR20197034137 A KR 20197034137A KR 102442076 B1 KR102442076 B1 KR 10244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valve
dispensing
dispensing head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277A (ko
Inventor
히로후미 하나노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Abstract

디스펜스 헤드(30)는 유체 입구(32a)를 가진 본체 케이스(32)와, 본체 케이스(32) 내를 슬라이딩하여 유체 입구(32a)를 개폐하는 플런저(31)로서, 유체 입구(32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유체 입구(32a)를 개방하는 동시에 음료 저장 용기(10)에 고정된 스피어 밸브(20)의 밸브체(21,22)에 힘을 작용하여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의 특정의 중간 위치로서, 유체 입구(32a)를 개방하되 스피어 밸브(20)의 밸브체(21,22)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플런저(31)를 구비하고, 플런저(31)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유체 입구(32a)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음료 저장 용기(10)에 공급되지 않고 플런저(31) 내부 유로(31d)를 통하여 토출된다.

Description

디스펜스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맥주 등의 발포성 음료가 저장된 음료 저장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디스펜스 헤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음료 저장 용기에 장착된 스피어 밸브(spear valve)와 협동하여,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를, 가스봄베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스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등에서는 봄베에 충전된 탄산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를 주출하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음료 공급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료 공급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탄산 가스봄베 및 음료 저장 용기 이외에, 음료 저장 용기 입구부(口部) 내에 고정된 스피어 밸브와, 스피어 밸브에 연결된 디스펜스 헤드와, 글라스 등에 음료를 따르는 음료 디스펜서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관로를 가지고 있다.
스피어 밸브는 음료 저장 용기에 유입되는 탄산가스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 및 음료 저장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를 구비한다. 한편, 디스펜스 헤드는 플런저를 가지고 있고, 이 플런저는 디스펜스 헤드 자신의 가스 유로를 개폐할 뿐 아니라, 그것이 개방 위치에 배치된 때에는 스피어 밸브의 제1 및 제2 밸브체에 힘을 가하여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를 개방시킨다. 그 상태에서, 음료 디스펜서의 코크 밸브가 개방되면, 탄산가스봄베의 가스 압력에 기초하여,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가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글라스 등으로 주출된다.
이때, 음료가 맥주일 경우, 음료 저장 용기의 바깥쪽의 음료 주출로는 맥주의 품질을 유지하고 풍미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정해진 순서대로 정기적으로 (예를 들면 매일) 물 등으로 세정하여야 한다. 세정 순서의 일례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1) 배액 받이 용 양동이를 음료 디스펜서 코크 밸브의 아래에 준비하고, (2) 물이 충전된 세정용 통을 준비하며, (3) 디스펜스 헤드를 음료 저장 용기에서 제거하여 세정용 통에 바꾸어 넣고, (4)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세정용 통 속의 물을 밀어내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며, (5) 세정용 통의 물이 없어지면 탄산가스에 의하여 음료 주출로의 물기를 제거하고, (6) 세정용 통의 가스를 빼내어, (7) 음료 저장 용기의 입구부를 물로 세정한 후 깨끗한 천으로 물기를 닦아내고, (8) 디스펜스 헤드를 세정용 통에서 꺼내어 음료 저장 용기에 바꾸어 끼운 다음, (9) 양동이 및 세정용 통을 물로 씻어 보관하게 된다. 음식점 등의 스텝은 이와 같은 세정 작업을 음식점의 하루 영업시간이 종료된 후에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세정의 부담을 저감하기 위하여, 디스펜스 헤드를 음료 저장 용기에 장착한 채로 세정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디스펜스 헤드가 스피어 밸브를 닫은 상태를 세정 모드라고 부르는데, 이 세정 모드일 때 음료 디스펜서의 코크 밸브가 개방되면, 세정 용액이 디스펜스 헤드를 경유하여 음료 디스펜서측에 유출되고, 따라서 음료 주출로가 세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36221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디스펜스 헤드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펜스 헤드를 음료 저장 용기에 장착한 채 세정할 수 있다. 다만, 특허 문헌 1의 디스펜스 헤드는 그 조작 레버의 각도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 및 그 경사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유체를 절환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고, 또한 그 경사 센서와 컨트롤러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료 주출로의 세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의 디스펜스 헤드 및 그것을 이용한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음료 저장 용기의 입구부에 있어서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를 개폐하는 스피어 밸브에 연결된 스피어 밸브와 협동하여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 액체를 외부에 공급하는 디스펜스 헤드로서, 유체 입구를 가진 본체 케이스와, 길이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가지고, 본체 케이스 내를 슬라이딩하여 유체 입구를 개폐하는 플런저로서, 유체 입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스피어 밸브의 밸브체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 폐쇄 위치와, 유체 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스피어 밸브의 밸브체에 힘을 작용하여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의 특정의 중간 위치로서, 유체 입구를 개방하되 스피어 밸브의 밸브체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플런저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유체 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음료 저장 용기에 공급되지 않고 플런저의 내부 유로를 통하여 토출되는 디스펜스 헤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의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펜스 헤드가 장착된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 액체를 가스 공급원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주출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에서, 음료 저장 용기 외부의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는 방법으로서, 디스펜스 헤드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유체 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유체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음료 액체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유체 입구를 개방하되 상기 음료 액체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디스펜스 헤드가 음료 저장 용기에 고정된 스피어 밸브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디스펜스 헤드의 플런저를 중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와, 디스펜스 헤드의 유체 입구에 세정액 공급원을 유체 접속하는 단계와, 음료 디스펜서의 음료 주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세정액 공급원으로부터의 세정액이, 음료 저장 용기에 공급되지 않으면서, 디스펜스 헤드를 경유하여 음료 주출 밸브로부터 토출되도록 하는,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는 단계와, 음료 디스펜서의 음료 주출 밸브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저장 용기측에 설치한 채로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펜스 헤드를 전기적 센서나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순기계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결과, 세정용 통이 불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세정 순서의 삭감 또는 단순화가 실현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가 사용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a]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의 모식적인 정면도로서, 조작 레버 및 플런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b] 도 2a에 제시된 디스펜스 헤드의 조작 레버 및 플런저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의 모식적인 (a) 정면도 및 (b) 평면도이다.
[도 2c] 도 2a에 제시된 디스펜스 헤드의 조작 레버 및 플런저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3a] 음료 저장 용기에 고정된 스피어 밸브 및 그 스피어 밸브에 연결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플런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3b] 도 3a와 같은 종단면도이지만, 플런저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3c] 도 3a와 같은 종단면도이지만, 플런저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4a] 디스펜스 헤드의 삼방 밸브의 모식적인 평면도 및 평면 단면도로서, 삼방 밸브의 제1 유입구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도 4a와 같은 삼방 밸브의 모식적인 평면도 및 평면 단면도로서, 삼방 밸브의 제2 유입구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삼방 밸브의 샤프트의 단독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가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는 음료 공급 시스템(100)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음료 공급 시스템(100)은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음료 저장 용기(10) 내의 음료를 주출(注出)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음료 공급 시스템(100)은 음료 저장 용기(10)와, 그 입구부(口部)(10a)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스피어 밸브(spear valve)(20)와, 외부로부터 스피어 밸브(20)에 연결된 디스펜스 헤드(30)와, 음료 저장 용기(10)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봄베(50)와, 음료 저장 용기(10)로부터의 음료를 글라스 등에 주출하는 음료 디스펜서(60)와, 세정액으로서 물을 디스펜스 헤드(30)에 공급하는 물 공급원으로서의 수도의 급수전(70)을 주요 구성 요소로서 구비한다.
음료 디스펜서(60)는 코크식 음료 주출 밸브(이하, "코크 밸브"라고 한다)(61)를 가지고 있다. 음료 주출 시에는 코크 밸브(61)의 토출구(61a)의 아래쪽에 글래스 등(도시하지 않음)이 준비된다. 디스펜스 헤드(30)와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는 접속 관로(62)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 관로(62)는 음료 디스펜서(60) 내에서의 냉각을 위하여 원통 코일 모양으로 성형된 나선 권회부(62a)를 가지고 있다. 음료 디스펜서(60)는 통상적으로, 냉각 장치(63) 및 냉각 장치(63)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 수조(64)를 가지고 있고, 도 1에 제시된 접속 관로(62)의 나선 권회부(62a)는 냉각 수조(64) 내에서 냉각된다.
도 1의 음료 공급 시스템(100)의 경우, 공급되는 음료는 맥주이고, 따라서 가스봄베(50)에 충전되는 가스는 탄산가스이며, 음료 저장 용기(10)는 맥주통으로서 예시되고, 또한 음료 디스펜서(60)는 맥주 디스펜서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는, 맥주 이외의 임의의 탄산 음료, 예를 들면 발포주, 맥아 이외의 원료로 제조되어 다른 알코올 음료가 혼입되어 있는 맥주 풍미의 발포 알코올 음료(제3의 맥주), 무알콜 맥주, 츄하이(일본소주에 탄산과 과즙을 섞어 만든 알코올 음료), 하이볼, 또는 비알코올계 탄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100)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음료 공급 시스템(100)에 의해 공급되는 음료는 예컨대 질소 가스나 압축 공기와 같이 탄산가스 이외의 가스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음료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가스봄베(50) 내에는 질소 가스 또는 압축 공기가 충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저장 용기(10)의 외측에 있는 음료의 유로, 즉 디스펜스 헤드(30)의 후술하는 플런저(31)의 내부 유로(31d), 접속 관로(接續管路)(62) 및 코크 밸브(61) 내 유로를 음료 주출로라고 부른다. 음료 주출로는 세정 대상인 유로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는, 그 단독 외관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으며, 대략적으로 원주(圓柱) 형상의 플런저(31), 플런저(3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어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32), 플런저(31)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33), 그리고 삼방 밸브(40)를 주요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 2a는 디스펜스 헤드(30)의 플런저(31) 및 조작 레버(33)가 음료를 공급하지 않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 2b는 음료 주출로의 세정을 위한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도 2c는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개방 위치에 있을 때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b에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디스펜스 헤드(30)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디스펜스 헤드와 관련하여 동작하는 공지된 스피어 밸브(20)에 대하여 모식적인 종단면도인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 도 3a는 디스펜스 헤드(30)의 플런저(3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 3b는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도 3c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디스펜스 헤드(30)의 조작 레버(33) 및 삼방 밸브(4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스피어 밸브(20)는 음료 저장 용기(10)의 입구부(10a)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음료 저장 용기(10)에 유입되는 가스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체(21), 음료 저장 용기(10)에서 유출되는 음료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체(22), 이 밸브체들을 각각 폐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1 코일 스프링(23)과 제2 코일 스프링(24), 원통 모양의 밸브 케이스(25), 그리고 제1 밸브체(21)와 일체로 형성된 사이펀 관(26)을 주요 구성 요소로서 구비한다. 스피어 밸브(20)의 이 구성 요소들은 모두, 중심 축선(Az)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피어 밸브(20)는 그 밸브 케이스(25)가 음료 저장 용기(10)의 입구부(10a)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어 음료 저장 용기(10)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25)의 내측에는 사이펀 관(26)이 밸브 케이스(25)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밸브 케이스(25)에 의해 유지된다. 사이펀 관(26)은 음료 저장 용기(10)의 바닥 부근까지 뻗어 있고, 그곳에서 개구하는 하단(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한편, 그 상단부에 제1 밸브체(21)로서 작용하는 확경부(廓徑部)를 가지고 있다. 제1 밸브체(21)는 그 최상단에 더욱 지금이 확대되는 제1 플랜지부(21a)를 갖는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1 플랜지부(21a)가 제1 코일 스프링(23)의 힘에 의해, 대향하는 밸브 케이스(25)의 제1 밸브 시트(25a)에 대해 가압되어 있다.
사이펀 관(26)의 확경부, 즉 제1 밸브체(21)의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원주 형상의 제2 밸브체(2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2 밸브체(22) 또한, 그 상단부에 지름이 확대되는 제2 플랜지부(22a)를 갖는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2 플랜지부(22a)가 제2 코일 스프링(24)의 힘에 의해, 대향하는 제1 밸브체(21)의 내측에 형성된 제2 밸브 시트(21b)에 대해 가압되어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스 헤드(30)의 플런저(31)가 개방 위치에 배치되면, 스피어 밸브(20)의 제1 밸브체(21) 및 제2 밸브체(22)는 플런저(31)의 어깨부(31c) 및 소경부(31b)의 선단에 의하여 각각 아래쪽으로 이동하는데, 그 결과 제1 플랜지부(21a)와 제1 밸브 시트(25a) 사이의 가스 유로가 개방되고, 또한 제2 플랜지부(22a)와 제2 밸브 시트(21b) 사이의 음료 유로가 개방된다. 디스펜스 헤드(30)의 플런저(31)가 폐쇄 위치(도 3a) 또는 중간 위치(도 3b)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플런저(31)가 스피어 밸브(20)의 어느 밸브체에도 힘을 미치지 못하므로, 스피어 밸브(20)의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가 폐쇄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펜스 헤드(30)의 본체 케이스(32)는 그 주벽부(周壁部)에 유체 입구(32a)를 가지고 있고, 보어의 개방된 하단에 유체 출구(32b)를 가지고 있다. 보어의 내벽에는 유체 입구(32a)의 상하에 유체 입구를 사이에 끼우고 한 쌍의 O링(34, 35)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2)는 하단에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부(32c)를 가지며, 플랜지부(32c)에서 스피어 밸브(20)의 밸브 케이스(25)에 회전 방식으로 기밀 및 액밀하게 연결된다. 삼방 밸브(40)는 상기 삼방 밸브의 하나의 유출구(42a)가 본체 케이스(32)의 유체 입구(32a)와 접속하도록, 본체 케이스(32)의 주벽부에 고정된다. 본체 케이스(32)의 주벽부에서 유체 입구(32a)와 반경 방향으로 반대측에 조작 레버(33)의 3단계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3개의 오목부(32d, 32e, 32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1)가 본체 케이스(32)로부터 노출됨으로써 조작 레버(33)가 플런저(31)의 외주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32)의 주벽부의 상부에는 노치(切欠)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31)는 사다리꼴 모양의 환상 오목부(31a)를 가진다. 환상 오목부(31a)는 플런저(3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환상 오목부(31a)의 중심에 유체 입구(32a)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도 3a). 환상 오목부(31a)는 플런저(3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한 쌍의 O링(34, 35)에 의하여 상하가 끼여 있어 밀봉되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32)의 유체 입구(32a)로부터의 유체는 이들 O링(34, 35)을 지나 흐를 수 없고, 따라서 유체 입구(32a)는 실질적으로는 폐쇄된다.
플런저(31)는 하단부에 소경부(31b)와, 소경부(31b)의 형성의 결과로서 생기는 어깨부(31c)도 갖는다. 어깨부(31c)에는 환상의 어깨부 패킹(3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1)는 그것을 길이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유로(31d)도 가진다. 플런저(31)의 소경부(31b)의 선단에는 플런저(3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음료를 내부 유로(31d)로 안내하기 위해 반원 모양의 노치(3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1)의 상단부에는 내부 유로(31d)와 접속 관로(62)가 접속 가능하도록 유체 이음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31)가 폐쇄 위치(도 2a, 도 3a)로부터 중간 위치(도 2b, 도 3b)로 배치되면, 환상 오목부(31a)의 위치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아래쪽 O링(35)과의 사이의 밀봉이 기능하지 못하므로, 유체 입구(32a)로부터 유체가 유입 가능하게 된다. 플런저(31)가 중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도 2c, 도 3c)로 배치되면, 환상 오목부(31a)의 위치가 더욱 아래쪽으로 이동하지만, 아래쪽 O링(35)과의 사이의 밀봉은 여전히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체가 유체 입구(32a)로부터 유입 가능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플런저(31)가 개방 위치에 배치되면, 플런저(31)의 어깨부(31c)에 유지되었던 어깨 패킹(36)과 소경부(31b)의 선단이 각각 스피어 밸브(20)의 제1 밸브체(21) 및 제2 밸브체(22)를 이동시켜, 스피어 밸브(20)의 가스 유로와 음료 유로를 개방시킨다.
조작 레버(33)는 본체 케이스(32)의 도면상 오른쪽의 주벽부에 설치된 추축(樞軸)(9)을 중심으로 상하로 각각 약 15도씩 회전 운동하여, 폐쇄 위치(도 2a), 중간 위치(도 2b)및 개방 위치(도 2c)를 취할 수 있다. 조작 레버(33)의 폐쇄 위치, 중간 위치 및 개방 위치는 각각 플런저(31)의 폐쇄 위치, 중간 위치 및 개방 위치에 대응한다.
조작 레버(33)는 한 쌍의 세장형 플레이트 부재(37)와 손잡이부(38)를 가진다. 손잡이부(38)는 본체 케이스(32)의 3개의 오목부(32d, 32e, 32f)에 계지(係止) 및 계지 해제가 가능하도록 계지 부재와 계지 해제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한 쌍의 세장형 플레이트 부재(37)는 본체 케이스(32)로부터 노출된 플런저(31)를 사이에 끼우듯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37)는 이 도면에서의 좌단부가 손잡이부(38)에 내장되어 고정되고, 우단부는 삼방 밸브(40)의 후술되는 샤프트(44)를 사이에 끼운 샤프트 계합부로서 작용한다. 플레이트 부재(37)는 그 추축(39)보다 도면상 왼쪽 부분이, 노출된 플런저(31)에 계합하여 플런저(3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독의 모식적인 평면도 및 내부 구조도를 포함하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삼방 밸브(40)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삼방 밸브(4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 타입의 것으로, 내부에 L자형의 유로가 형성된 구 모양의 밸브체(41), 하나의 유출구(42a), 두 개의 유입구, 즉 제1 유입구(42b) 및 제2 유입구(42c)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밸브 케이스(42),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절환 레버(43), 절환 레버(43)의 회전 운동 축선을 형성하는 동시에, 절환 레버(43)와 밸브체(41)를 접속하는 샤프트(44)를 갖는다. 밸브체(41)와 각 유입구(42b, 42c) 및 유출구(42a) 사이에는 그들 사이를 각각 밀봉하는 밀봉 부재(4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입구(42b)에는 가스봄베(50)로부터의 호스가 연결되고, 제2 유입구(42c)에는 수도의 급수전(70)으로부터의 호스가 연결된다. 도 4a는 제1 유입구(42b)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제2 유입구(42c)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삼방 밸브(40)의 밸브 케이스(42)의 유출구(42a)와는 반대측 측면에는 밸브 케이스(42) 내부의 공간과 외부의 주위 공간을 연통하는 드레인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구멍(46)은 밀봉 부재(45)의 열화 등에 의하여 밸브 케이스(42) 내에 누출된 물을 배출함으로써, 물이 유출구(42a) 측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봉 부재(45)의 열화를 알리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의 단독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는 원주부(圓柱部)(47)와 그 원주부(47)의 상하에 배치된 두 개의 플랜지 모양부(48)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원주부(47)는 조작 레버(33)의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37) 사이의 간격(S1)보다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플랜지 모양부(48)는 동일한 치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평면에서 본 한 쌍의 원호부(48a)와, 상기 한 쌍의 원호부(48a)를 접속하는 현(弦)인 한 쌍의 평행한 직선부(48b)를 가진다. 플랜지 모양부(48)의 한 쌍의 원호부(48a)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37) 사이의 간격(S1)보다 충분히 큰 지름을 갖는 반면, 한 쌍의 직선부(48b)는 원주부(47)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37) 사이의 간격(S1)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S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가스봄베(50)에 접속된 삼방 밸브(40)의 제1 유입구(42b)가 선택되어, 제1 유입구와 유출구(42a)가 연통하고 있을 때, 샤프트(44)의 플랜지 모양부(48)의 한 쌍의 직선부(48b)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즉 조작 레버(33)의 길이 축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에 비해, 수도의 급수전(70)에 접속된 삼방 밸브(40)의 제2 유입구(42c)가 선택되어, 제2 유입구와 유출구(42a)가 연통하고 있을 때에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모양부(48)의 한 쌍의 직선부(48b)가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작 레버(33)는 도 2b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플레이트 부재(37)의 선단측의 샤프트 계합부가 샤프트(44)의 원주부(47)와 동일한 높이(level)에 있고, 원주부(47)를 사이에 끼우고 있지만, 원주부(47)의 회전을 저지할 수 없으므로, 샤프트(44)의 회전, 즉 삼방 밸브(40)의 유로 절환이 허용된다. 환언하면, 조작 레버(33)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삼방 밸브(40)의 제1 유입구(42b)(가스 측) 및 제2 유입구(42c)(물 측) 중 어느 쪽이 선택되어도 좋다.
조작 레버(33)가 중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려면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의 플랜지 모양부(48)의 직선부(48b)가 조작 레버(33)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삼방 밸브(40)의 가스 측의 제1 유입구(42b)가 선택되어야 한다. 조작 레버(33)는 중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그 샤프트 계합부가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의 플랜지 모양부(48)의 한 쌍의 직선부(48b)를 사이에 끼우고, 그 결과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의 회전을 저지한다. 그러므로 조작 레버(33)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삼방 밸브(40)는 선택된 가스 측의 제1 유입구(42b)를 물 측의 제2 유입구(42c)로 절환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처럼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와 조작 레버(33)의 샤프트 계합부는 조작 레버(33)의 위치에 따라 삼방 밸브(40)의 절환을 규제하는 인터록(interlock) 기구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에 따르면, 조작 레버(33) 및 플런저(3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음료 저장 용기(10) 내에는 가스가 공급되고 물은 결코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 레버(33)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도 삼방 밸브(40)의 절환 레버(43)의 조작이 가능한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그 경우 삼방 밸브(40)의 샤프트(44)는 위쪽의 플랜지 모양부(48)와 원주부(47)를 갖지만, 아래쪽의 플랜지 모양부(48)는 가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를 구비하는 도 1의 음료 공급 시스템(100)와 관련하여, 음료의 공급 방법 및 그 후의 음료 주출로 세정 방법의 한 예시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음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먼저 폐쇄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 있던 디스펜스 헤드의 조작 레버(33)를 개방 위치에 배치한다. 이때 디스펜스 헤드(30)의 삼방 밸브(40)는 가스봄베(50)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42b)를 선택하고 있다. 또한, 이때 디스펜스 헤드(30)의 개방 위치에 있는 플런저(31)에 의하여 디스펜스 헤드(30)의 유체 입구(32a)가 개방되는 동시에, 스피어 밸브(20)의 제1 밸브체(21) 및 제2 밸브체(2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도 3c). 다음으로,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의 토출구(61a) 아래에 글래스 등을 준비하고, 그 코크 밸브(61)를 개방한다. 그렇게 하면 디스펜스 헤드(30)의 유체 입구(32a), 유체 출구(32b), 및 스피어 밸브(20)의 가스 유로를 지나 음료 저장 용기(10)에 도입되는 가스에 의하여 음료가 밀려나와, 스피어 밸브(20)의 사이펀 관(26)과 음료 유로, 디스펜스 헤드(30)의 플런저(31)의 선단의 반원 모양의 노치(31e)와 내부 유로(31d), 접속 관로(62) 및 코크 밸브(61)를 거쳐서 토출된다. 음료의 주출을 멈추려는 경우,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를 닫으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에 따르면, 이와 같이 음료를 주출한 후에 이어서, 즉 디스펜스 헤드(30)를 스피어 밸브(20)를 사이에 두고 음료 저장 용기(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음료 주출로의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세정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의 토출구(61a)의 아래에 배액(排液)을 받기 위한 양동이 등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디스펜스 헤드(30)의 조작 레버(33)를 중간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 있는 플런저(31)에 의하여 디스펜스 헤드(30)의 유체 입구(32a)는 개방되지만, 스피어 밸브(20)의 제1 밸브체(21) 및 제2 밸브체(22)에 힘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스피어 밸브(20)의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는 닫혀 있다. 다음으로, 삼방 밸브(40)의 절환 레버(43)를 수도의 급수전(70)에 접속된 제2 유입구(42c)측으로 절환한다. 그 다음, 코크 밸브(61)를 개방하면, 삼방 밸브(40)의 제2 유입구(42c)로부터 유입된 물이 디스펜스 헤드(30)의 유체 출구(32b), 및 플런저(31)의 내부 유로(31d), 접속 관로(62) 및 코크 밸브(61)를 거쳐서 토출되므로, 음료 저장 용기(10)의 외부의 음료 주출로가 물 세정된다. 물의 주출을 멈추려는 경우,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를 닫으면 된다. 이처럼 중간 위치에 있어서는 디스펜스 헤드(30)에 유입된 물은 음료 저장 용기(10)에 유입되지 않고 플런저(31)의 내부 유로(31d)를 경유하여 접속 관로(62)로 흐른다.
물 세정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음료 주출로에 물이 잔류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관로의 세정 방법에서는, 이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다음에 나타내는 수순이 추가적으로 실시된다.
먼저, 디스펜스 헤드(30)의 조작 레버(33)를 중간 위치에 유지한 채 디스펜스 헤드(30)의 삼방 밸브(40)의 절환 레버(43)를 가스봄베(50)에 접속된 제1 유입구(42b)측으로 절환한다. 다음으로, 코크 밸브(61)를 개방하면 삼방 밸브(40)의 제1 유입구(42b)로부터 유입된 가스가 전술한 물과 동일한 루트를 지나 코크 밸브(61)로부터 토출된다. 이때, 음료 주출로는 거기에 잔류하고 있던 물이 고압의 가스에 의해 밀려나오거나 또는 날아가 버리거나 하여 건조된다. 가스의 토출을 멈추려는 경우,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를 닫으면 된다. 다음으로, 양동이를 음료 디스펜서(60)로부터 제거하면 건조를 포함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이 종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에 따르면, 그것을 음료 저장 용기(10) 측에 설치한 채로, 음료 저장 용기(10) 바깥쪽의 음료 주출로를 모두 물 등의 세정액으로 세정하고, 또한 가스에 의하여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세정용 통에 디스펜스 헤드(30)를 바꾸어 넣고 세정을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디스펜스 헤드(30)가 제거된 음료 저장 용기(10)의 입구부(10a)에 형성되는 오목부, 즉 입구부(10a)의 상단으로부터 스피어 밸브(20)의 밸브체의 상면까지의 오목부의 세정을, 세정용 통을 사용한 세정과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의 디스펜스 헤드(30)에 따르면 그 오목부도 포함하여 세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의 경우, 인터록 기구의 작용에 의하여, 세정액인 물이, 플런저(31)가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스피어 밸브(20)의 밸브체가 닫힌 경우에만 공급 가능하게 되므로, 물이 잘못하여 음료 저장 용기(10)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디스펜스 헤드(30)는 전기적인 센서나 제어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원이 불필요하고 동작의 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33)의 추축(39)을 본체 케이스(32)로부터 꺼냄으로써 플런저(31)를 본체 케이스(32)로부터 제거하여, 간단하게 그들의 분해 세정을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기타 실시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정액으로서 물이 사용되었지만, 세정액으로서 탄산수가 사용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그 경우, 탄산수 공급원은 탄산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탄산수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 등을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 타입의 수동식 삼방 밸브가 사용되었지만, 그러한 삼방 밸브를 대신하여 전동식을 포함한 임의의 방향 절환 밸브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디스펜스 헤드가 삼방 밸브 또는 그 외의 방향 절환 밸브를 가지지 않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가스봄베(50) 또는 수도의 급수전(70)으로부터의 호스의 선단과, 디스펜스 헤드의 유체 입구와의 접속은, 예를 들면 급속 이음부(퀵 커플러)를 통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음료 디스펜서(60)의 코크 밸브(61)는, 예를 들면 맥주용 유로와 거품용 유로와 같이 복수의 유로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및 건조는 복수의 유로 각각에 대하여 실시하면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펜스 헤드(30)는 음료 저장 용기(10)에 고정된 스피어 밸브(20)를 사이에 두고 음료 저장 용기(10)에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디스펜스 헤드가 음료 저장 용기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10 음료 저장 용기
20 스피어 밸브
21 제1 밸브체
22 제2 밸브체
30 디스펜스 헤드
31 플런저
31a 환상 오목부
31d 내부 유로
32 본체 케이스
32a 유체 입구
33 조작 레버
37 플레이트 부재
40 삼방 밸브
44 샤프트
48 플랜지 모양부

Claims (9)

  1. 음료 저장 용기의 입구부에 있어서 가스 유로 및 음료 유로를 개폐하는 스피어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스피어 밸브와 협동하여 상기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 액체를 외부에 공급하는 디스펜스 헤드로서,
    유체 입구를 가진 본체 케이스와,
    길이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가지고, 상기 본체 케이스 내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유체 입구를 개폐하는 플런저로서, 상기 유체 입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스피어 밸브의 밸브체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 폐쇄 위치와, 상기 유체 입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스피어 밸브의 밸브체에 힘을 작용하여 상기 가스 유로 및 상기 음료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특정의 중간 위치로서, 상기 유체 입구를 개방하되 상기 스피어 밸브의 밸브체에는 힘을 작용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체 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음료 저장 용기로 공급되지 않고, 상기 플런저의 내부 유로를 통하여 토출되는 디스펜서 헤드에 있어서,
    두 개의 유입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유체 입구에 유체 접속되는 하나의 유체 출구를 갖는 방향 절환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유입구 중 한쪽 유입구에는 가스 공급원이 유체 접속되고, 상기 두 개의 유입구 중 다른 한쪽의 유입구에는 세정액 공급원이 유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스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방향 절환 밸브의 유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하지만, 상기 플런저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방향 절환 밸브의 유로의 절환을 불가능하게 하는 인터록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스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 상기 폐쇄 위치,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중간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조작 레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방향 절환 밸브는 삼방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삼방 밸브는 방향 절환 레버와, 상기 방향 절환 레버를 지지하는 샤프트로, 원주부와 비원형의 플랜지 모양부를 갖는 샤프트를 가지고,
    상기 인터록 기구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계합하는 상기 조작 레버의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스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 밸브는 상기 다른 한쪽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세정액이 내부에서 누출되었을 때에, 누출된 상기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스 헤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원이 물의 공급원이거나 또는 탄산수의 공급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스 헤드.
  6. 디스펜스 헤드가 장착된 음료 저장 용기 내의 음료 액체를 가스 공급원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주출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에서, 상기 음료 저장 용기의 외부의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스 헤드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유체 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유체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음료 액체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체 입구를 개방하되 상기 음료 액체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펜스 헤드가 상기 음료 저장 용기에 고정된 스피어 밸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상기 플런저를 상기 중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상기 유체 입구에 세정액 공급원을 유체 접속하는 단계,
    음료 디스펜서의 음료 주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세정액 공급원으로부터의 세정액이, 상기 음료 저장 용기에 공급되지 않으면서, 상기 디스펜스 헤드를 통해 상기 음료 주출 밸브로부터 토출되도록 하여, 상기 음료 주출로를 세정하는 단계,
    상기 음료 디스펜서의 상기 음료 주출 밸브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디스펜서의 상기 음료 주출 밸브를 닫는 상기 단계의 이후에,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상기 유체 입구에 상기 세정액 공급원을 대신하여 상기 가스 공급원을 유체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음료 디스펜서의 상기 음료 주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음료 저장 용기에 공급되지 않으면서, 상기 디스펜스 헤드를 경유하여 상기 음료 주출 밸브로부터 토출되도록 하여, 상기 음료 주출로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음료 주출 밸브를 닫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스 헤드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상기 유체 입구에 유체 접속된 하나의 유출구, 상기 가스 공급원이 유체 접속된 제1 유입구, 상기 세정액 공급원이 유체 접속된 제2 유입구를 갖는 방향 절환 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공급원을 유체 접속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상기 유체 입구에 상기 방향 절환 밸브의 상기 제2 유입구가 연통하도록 상기 방향 절환 밸브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공급원을 유체 접속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의 상기 유체 입구에 상기 방향 절환 밸브의 상기 제1 유입구가 연통하도록 상기 방향 절환 밸브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주출로 세정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7034137A 2017-05-19 2018-05-18 디스펜스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방법 KR102442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0214 2017-05-19
JPJP-P-2017-100214 2017-05-19
PCT/JP2018/019394 WO2018212349A1 (ja) 2017-05-19 2018-05-18 ディスペンスヘッド及びそれを利用した飲料注出路の洗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277A KR20190133277A (ko) 2019-12-02
KR102442076B1 true KR102442076B1 (ko) 2022-09-08

Family

ID=6427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137A KR102442076B1 (ko) 2017-05-19 2018-05-18 디스펜스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08030B2 (ko)
KR (1) KR102442076B1 (ko)
CN (1) CN110573451B (ko)
TW (1) TWI675793B (ko)
WO (1) WO2018212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7187B (zh) * 2018-11-28 2019-08-01 先進動力實驗股份有限公司 加壓液體保存裝置及其配送方法
CN113195397A (zh) * 2018-12-21 2021-07-30 三得利控股株式会社 饮料机的清洗装置
JP6567157B1 (ja) * 2018-12-27 2019-08-2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スヘッド
KR20210092809A (ko) * 2018-12-28 2021-07-2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JP7376589B2 (ja) * 2019-06-07 2023-11-0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方法
JP7475342B2 (ja) * 2019-06-07 2024-04-2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方法
JP7330882B2 (ja) * 2019-12-26 2023-08-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スヘッド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
JP7349905B2 (ja) * 2019-12-26 2023-09-2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844B2 (ja) * 1995-10-26 2000-11-27 ロレアル サブスタンスp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ランタニド、マンガン、またはイットリウム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6036221A (ja) 2004-07-22 2006-02-0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ディスペンスヘッド
JP2007039084A (ja) * 2005-08-03 2007-02-15 Kirin Brewery Co Ltd 飲料注出装置の洗浄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099U (ko) * 1988-05-30 1989-12-14
NL1016687C2 (nl) * 2000-11-23 2002-05-24 Heineken Tech Services Tapstang.
JP3112844U (ja) * 2005-05-26 2005-08-25 株式会社エフ・アイ・シー ディスペンスヘッド
JP3118244U (ja) * 2005-11-02 2006-01-26 タイ トゥン エンタープライ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ネクタの半田ボール保持構造
NL1031412C2 (nl) *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voor drank.
NL1032098C2 (nl) * 2006-06-30 2008-01-02 Heineken Supply Chain Bv Tapinrichting, drankcontainer, koppelingsinrichting en werkwijze met reinigingselement.
GB201005994D0 (en) * 2010-04-09 2010-05-26 Petainer Lidkoeping Ab Keg closure with safety mechanism
RU2580087C2 (ru) * 2010-10-08 2016-04-10 Микро Матик А/С Дозирующая головка для дозирующей системы
EP2726398B1 (en) * 2011-06-28 2019-02-20 Micro Matic A/S Beverage dispensing system
CN102874732B (zh) * 2011-07-15 2015-07-15 赵建国 一种饮料分取机饮料出口清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844B2 (ja) * 1995-10-26 2000-11-27 ロレアル サブスタンスp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ランタニド、マンガン、またはイットリウム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6036221A (ja) 2004-07-22 2006-02-0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ディスペンスヘッド
JP2007039084A (ja) * 2005-08-03 2007-02-15 Kirin Brewery Co Ltd 飲料注出装置の洗浄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0542A (zh) 2019-01-01
CN110573451A (zh) 2019-12-13
CN110573451B (zh) 2021-08-06
TWI675793B (zh) 2019-11-01
KR20190133277A (ko) 2019-12-02
JP6808030B2 (ja) 2021-01-06
JPWO2018212349A1 (ja) 2019-12-19
WO2018212349A1 (ja)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076B1 (ko) 디스펜스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주출로의 세정 방법
KR20090018603A (ko) 음료수용 용기
JP2011506209A (ja) 複合コンテナから液体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コンテナを液体で満たす方法
UA98592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ння газованих напоїв
CN101754924B (zh) 用于饮料容器的封闭件和用于封闭容器开口的方法
UA119158C2 (uk) Нерознімний з'єднальний елемент бочонка
RU2266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JP2019184002A (ja) ボール弁、ボール弁を含む飲料供給システム及びボール弁に接続された管路の洗浄方法
JP425464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H02296694A (ja) 炭酸入り液体を圧力下で吐出させるためのコック
JP2008189326A (ja) 飲料注出装置
JP3110486U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JP4044650B2 (ja) 炭酸飲料注出方法および炭酸飲料注出装置
JPH0716640Y2 (ja) 樽用ディスペンスヘッド
KR101908999B1 (ko) 거품 터짐 방지 및 세척 기능이 통합된 커플러
JPH0716639Y2 (ja) 炭酸ガス飲料注出装置
RU115346U1 (ru) Перепускной кран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JP3112844U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RU215665U1 (ru) Заливочная головка
RU192737U1 (ru) Аппарат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JP4058262B2 (ja) 泡付け機能を有する麦芽アルコール飲料サーバ
WO20091234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WO2020138102A1 (ja)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KR20170060794A (ko)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KR101879203B1 (ko) 맥주 거품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