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207B1 - 오메가-3 지방산 염 및 아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오메가-3 지방산 염 및 아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207B1
KR102441207B1 KR1020187037413A KR20187037413A KR102441207B1 KR 102441207 B1 KR102441207 B1 KR 102441207B1 KR 1020187037413 A KR1020187037413 A KR 1020187037413A KR 20187037413 A KR20187037413 A KR 20187037413A KR 102441207 B1 KR102441207 B1 KR 10244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weight
composition
acid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895A (ko
Inventor
귄터 크나우프
밀란 라티노비크
외르크 로츠
미하엘 슈바름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1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05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7/0053Compositions other than sprea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1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7C51/412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by conversion of the acids, their salts, esters or anhydrides with the same carboxylic acid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또는 그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 및 또한 식료품, 식품 보충제 또는 제약 제품의 제조를 위한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메가-3 지방산 염 및 아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최근 수십년에 걸쳐 편집된 과학적 증거의 광범위한 수집으로 인해, 수많은 건강 이점이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의 보충 섭취와 연계된 바 있다.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염증의 증상의 감소는 가장 중요한 예 중 하나이고, 또한, 특히, 일부 유형의 암의 촉진 및 진행 단계의 예방, 혈압 및 콜레스테롤 수준의 저하 및 또한 우울증 및 정신분열증, 알츠하이머, 난독증, 주의력 결핍 장애 및 과다활성의 치료에서의 긍정적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일부 PUFA는 뇌, 신경계 및 눈의 발달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므로, 특정 PUFA를 수반하여 영아용 조제식을 풍부화시키는 것이 또한 요즘 상용적이다.
그러나 식료품, 식품 보충제 및 PUFA를 수반한 제약 제품의 제조는 산화에 대한 그의 감수성으로 인해 어려워진다. PUFA의 산화는 부정적 영양 생리학적 및 감각수용성 결과, 예컨대 중요한 지방산의 분해에 의한 영양소 함량의 변경; 향미 손상 및 심한 악취를 생성하는 산패취; 지방 및 오일의 흑화와 같은 색 변화; 및 또한 향미의 손실을 갖는다. PUFA의 산화성 분해는 휘발성 2차 산화 생성물의 복합 혼합물을 생성하고 이들은 특히 불쾌한 향미 손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PUFA" 및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동의어로 사용되고 하기 정의된 바와 같다: 지방산은 그의 탄소 쇄의 길이 및 포화에 따라 분류된다. 단쇄 지방산은 2 내지 약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전형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되어 있다. 중쇄 지방산은 약 6 내지 약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또한 전형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되어 있다. 장쇄 지방산은 약 16 내지 2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고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장쇄 지방산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 부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용어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장쇄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다중불포화 지방산" 또는 "PUFA"로서 지칭된다.
표준 명명법에 따르면, PUFA는 이중 결합의 수 및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지방산의 메틸 말단에 가장 근접한 이중 결합의 위치에 따라, PUFA의 여러 시리즈 또는 패밀리가 있다. 2개 시리즈의 특별한 영양 생리학적 의미가 있다: 오메가-3 시리즈는 제3 탄소 원자에서 1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반면에, 오메가-6 시리즈는 제6 탄소 원자까지 어떠한 이중 결합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도코사헥사엔산 ("DHA")은 메틸 말단으로부터 제3 탄소 원자로 시작하는 6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22개의 탄소 원자의 쇄 길이를 갖고, "22:6 n-3" (올-시스-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으로 지칭된다. 또 다른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은 "20:5 n-3" (올-시스-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으로 지칭되는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이다. 중요한 오메가-6 지방산은 "20:4 n-6" (올-시스-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으로 지칭되는 아라키돈산 ("ARA")이다.
EP 0734373 B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지방산의 염이 알려져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의 L-리신 염은 유리 오메가-3 지방산 및 오메가-3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과 비교하여 산화에 안정한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및 또한 그의 제조는, 예를 들어, EP 1 260 496 A1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오메가-3 지방산의 L-리신 염은 극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에서 유리 오메가-3 지방산을 L-리신과 반응시킴으로써 지금까지 제조되고 생성된 혼합물은 증발 건조된다. 물 또는 물-알콜 혼합물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오메가-3 지방산 L-리신 염은, 예를 들어 EP 0734373 B1에 기재되어 있는, 왁스상 점조도를 갖는 고체로서, 또는 예를 들어 DE 39 07 649 C2에 기재되어 있는, 대략 190℃의 분해 수반 융점을 갖는 결정질 물질로서 수득된다.
감압 하의 물 및 물-알콜 혼합물 중 오메가-3 지방산 L-리신 염의 용액의 증발은 매우 에너지-집약적 공정이다. 더욱이, 상기 공정은, 오메가-3 지방산 L-리신 염은 계면활성제 특성을 갖고 그의 용액은 증발될 때 발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기술적으로 달성하기가 매우 어렵다: 증발 시, 용액의 점도는 점성 겔이 형성될 때까지 현저하게 증가하며, 추가의 건조 시 고체 발포체를 형성한다.
오메가-3 지방산 L-리신 염을 단리할 추가의 가능성은 수성-에탄올성 용액을 > 50 중량%의 오메가-3 지방산 L-리신 염의 농도로 분무-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분무-건조에서의 유기 용매의 사용은 특별한 안전 조치, 예를 들어 불활성 기체 분위기를 요구한다. 비용은 또한 요구되는 용매의 축합에 의해 상당히 증가된다.
따라서 에너지 및 비용 양쪽 면에서 효율적으로 및 특별한 안전 조치 없이 표준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순도로 오메가-3 지방산 염을 제공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제조하는 가장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가 계속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오메가-3 지방산 염은,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들), 하나 이상의 염기성 아민(들), 및 페이스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130℃ 이하의 온도에서 혼련하는 것에서 간단하게 수득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들), 하나 이상의 염기성 아민(들), 및 페이스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130℃ 이하의 온도에서, 균질한 페이스트가 수득될 때까지 30초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혼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염기성 아민에 아마도 존재하는 결정수는 물 함량의 계산에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페이스트"는 충분히 큰 하중 또는 응력이 적용될 때까지 고체로서 거동하며 이 시점에서 이는 유체와 유사하게 유동하는 현탁액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페이스트는 배경 유체 (물) 중 과립상 물질의 현탁액으로 이루어진다. 청구된 공정에서 페이스트는 도우-유사 물질이며, 이는 농후한 가단성 및 탄성 페이스트를 의미한다. 청구된 공정 내에서, 페이스트는 통상적인 도우와 유사하게 혼련되고 취급될 수 있다.
페이스트는 30초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물 (최대 20 중량%) 중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염기성 아민과 혼합함으로써 수득된다. 페이스트는, 배경 유체 중 과립상 물질 및 오일성 상이 고르게 분포될 때, 균질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어서 페이스트는 통상적인 도우와 비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혼련하다"는, 분산액이 "가압에 의해 균일한 혼합물로 섞인다"는 것으로 "사전"에서의 정의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예를 들어 실험실 설비에서, 분산액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련될 수 있다. 산업용 적용에서, 분산액의 혼련은, 예를 들어, 압출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여기서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반응의 전환도는 이러한 경우에 IR 분광분석법에 의해, 구체적으로 염 형성 후에 유리 오메가-3 지방산(들)에 대한 약 1707 cm-1로부터 약 1578 cm-1로의 C=O 흡수 밴드의 이동에 의해 정량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90 중량%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들)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으로의 전환은 유리 오메가-3 지방산(들)에 대한 약 1707 cm-1에서의 C=O 흡수 밴드의 10% 이하로의 감소에 상응한다. IR 스펙트럼의 정량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적합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브루커 옵틱스(Bruker Optics)로부터의 프로그램 오푸스(Opus) 버전 7.5이다.
각각의 경우에 90 중량%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들)을 오메가-3 지방산 염(들)으로 전환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사용된 물의 양 및 온도 설정과 상호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90 중량%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을 오메가-3 지방산 염으로 전환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30 sec 내지 60 min, 바람직하게는 1 min 내지 30 min이다.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오메가-3 지방산은 산화 및 온도에 대해 감수성이다. 산화 분해의 척도로서, 아니시딘가 (AN) 및 퍼옥시드가 (PN)가 전형적으로 결정된다. 열 분해의 경우에,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올리고머 함량이 적합한 척도이다.
퍼옥시드가 (PN)는 1차 산화 생성물 (이중 결합의 히드로퍼옥시드 형성)의 척도이고, 아니시딘가 (AN)는 2차 분해 생성물 (카르보닐 화합물)의 척도이다. TOTOX가는 TOTOX = 2*PN + AN (여기서 PN은 샘플 kg당 O2 밀리당량으로 명시됨)으로서 계산된다. 퍼옥시드가 (PN) 및 아니시딘가 (AN)를 결정하는 방법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OCS", 6th edition 2013, published by David Firestone, ISBN 978-1-893997-74-5]을 참조한다. PN은 또한 Ph. Eur. 2.5.5 (01/2008:20505)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AN은 또한 Ph. Eur. 2.5.36 (0172008:20536)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샘플의 퍼옥시드가 (PN)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는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시약 및 용액:
1. 아세트산-클로로포름 용액 (아세트산 7.2 ml 및 클로로포름 4.8 ml).
2. 포화 아이오딘화칼륨 용액. 광으로부터 보호하여 저장한다.
3. 티오황산나트륨 용액, 0.1N.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4. 1% 전분 용액.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5.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
방법:
시약의 블랭크 값 결정을 수행한다.
1. 분쇄 유리 스토퍼가 있는 100 ml 삼각 플라스크 내 샘플 2.00 (±0.02) g을 칭량한다. 중량을 0.01 g의 정밀도로 결정한다.
2. 눈금 실린더를 사용하여 아세트산-클로로포름 용액 12 ml를 첨가한다.
3. 샘플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삼각 플라스크를 와류시킨다 (핫 플레이트 상에서의 조심스러운 가열이 잠재적으로 요구됨).
4. 포화 아이오딘화칼륨 용액 0.2 ml를 측정 피펫으로 첨가한다.
5. 삼각 플라스크를 스토퍼로 밀봉하고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정확히 1분 동안 와류시킨다.
6. 눈금 실린더로부터의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 12 ml를 즉시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스토퍼로 밀봉하고, 클로로포름 층으로부터 아이오딘을 분리하기 위해 격렬히 진탕한다.
7. 0.1N 티오황산나트륨을 뷰렛에 충전한다.
8. 용액의 출발 색이 짙은 적색-오렌지색이면, 색이 더 밝아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천천히 적정한다. 용액이 출발 시 밝은 호박색이면, 단계 9로 진행한다.
9. 계량 장치를 사용하여, 지시제로서 전분 용액 1 ml를 첨가한다.
10. 수성 상 (상부 층)에서 청회색이 사라질 때까지 적정한다.
11. 적정제의 정확한 ml 값을 소수 2 자리수까지 기록한다.
계산:
S = 샘플의 적정
B = 블랭크 적정
퍼옥시드가 = (S - B) * N 티오술페이트 * 1000 / 샘플 중량
샘플의 아니시딘가 (AN)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는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아니시딘가는 하기 방법에 따라 용매 및 시약의 혼합물 100 ml 중 조사될 물질 1 g을 포함하는 용액의 1 cm 셀에서 측정된 100배 광학 밀도로서 정의된다. 작업 절차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여기서 화학 광의 도입은 회피되어야 한다.
샘플 용액 (a): 조사될 용액 0.500 g을 트리메틸펜탄 중에 용해시키고 동일한 용매로 25.0 ml에 희석한다.
샘플 용액 (b): 빙초산 중 p-아니시딘의 2.5 g/l 용액 1.0 ml를 샘플 용액 (a) 5.0 ml에 첨가하고, 진탕하고, 광으로부터 보호하여 저장한다.
비교 용액: 빙초산 중 p-아니시딘의 2.5 g/l 용액 1.0 ml를 트리메틸펜탄 5.0 ml에 첨가하고, 진탕하고, 광으로부터 보호하여 저장한다. 최대 350 nm에서의 샘플 용액 (a)의 흡수도를 측정하며, 여기서 트리메틸펜탄이 보상 액체로서 사용된다. 제조로부터 정확히 10분 후에 350 nm에서의 샘플 용액 (b)의 흡수도를 측정하며, 여기서 비교 용액이 보상 액체로서 사용된다. 아니시딘가 (AN)는 하기 식으로부터 계산된다:
AN = (25*(1.2*A1 - A2))/m
A1 = 350 nm에서의 샘플 용액 (b)의 흡수도,
A2 = 350 nm에서의 샘플 용액 (a)의 흡수도,
m = 샘플 용액 (a) 중 조사될 물질의 질량 (그램).
산화에 대한 샘플의 안정성이, (1) 산화도를 측정하는 것, (2) 샘플을 산화 조건에 적용하는 것 및 (3) 산화도를 다시 측정하는 것에 의해 비교되는 경우에, 단계 (1) 및 (3)에서의 본 발명의 맥락에서의 산화도는 바람직하게는 퍼옥시드가 (PN) 및/또는 아니시딘가 (AN)를 결정함으로써 평가되며; 게다가, 단계 (2)에서의 산화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적어도 10일의 미리 결정된 기간에 걸쳐 실온에서 공기에 노출된 개방 용기 중에 저장; 적어도 3일의 미리 결정된 기간에 걸쳐 50℃에서 공기에 노출된 개방 용기 중에 저장.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 염의 산화에 대한 감수성이 제조 공정에서의 온도 설정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에서 사용된 물 함량에 의존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염기성 아민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또는 상이한 비의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아미노산이다.
염기성 아민으로서 L-리신, 또는 L-리신 및 L-아르기닌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하며, L-리신 및 L-아르기닌 사이의 비는 10:1 내지 1:1이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7 중량%의 알칼리 토금속 염,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염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된 마그네슘-염의 사용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부형제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부형제"는 장기 안정화의 목적, 고체 제제의 증량 또는 흡수의 촉진, 점도의 감소, 용해도의 증진 또는 활성 물질의 취급을 보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에서의 유용성을 위해 포함되는, 활성 성분과 함께 제제화되는 물질이다.
바람직한 부형제는 붕해제: 수산화마그네슘 (Mg(OH)2), 스테아르산마그네슘, PUFA 나트륨 염, PUFA 칼륨 염, 글리신, 염화나트륨 (NaCl), 글리세린, 또는 가소제: 수산화마그네슘 (Mg(OH)2),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콜린, 아르기닌,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된다. 맛 개선을 위해 글리신 또는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모노아실글리세리드, 크레아틴 또는 필수 아미노산 예컨대 류신, 이소류신, 발린, 히스티딘,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레오닌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적인 건강 이익을 갖는 추가의 물질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사용된 분산액은, 분산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7 중량% 내지 8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조정된 온도는 25℃ 내지 10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범위 내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출발 분산액은 상당한 양의 유리 지방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방산 (즉, 유리 카르복실 기를 갖는 지방산)의 총 양은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으면서, 출발 분산액의 적어도 x 중량%이며, 여기서 x는 30, 40, 50, 60, 65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바람직한 출발 분산액은 상당한 양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염기성 아미노산의 총 양은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으면서, 출발 분산액의 적어도 y 중량%이며, 여기서 y는 15, 20, 25, 30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은 예를 들어 α-리놀렌산 (ALA) 18:3 (n-3) (시스,시스,시스-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스테아리돈산 (SDA) 18:4 (n-3) (올-시스-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 에이코사트리엔산 (ETE) 20:3 (n-3) (올-시스-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 에이코사테트라엔산 (ETA) 20:4 (n-3) (올-시스-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헨에이코사펜타엔산 (HPA) 21:5 (n-3) (올-시스-6,9,12,15,18-헨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클루파노돈산) (DPA) 22:5 (n-3) (올-시스-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펜타엔산 24:5 (n-3) (올-시스-9,12,15,18,21-테트라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헥사엔산 (니신산) 24:6 (n-3) (올-시스-6,9,12,15,18,21-테트라코사헥사엔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다중불포화 오메가-3 지방산은 또한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출발 물질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전형적인 출발 물질은 생선 지육, 채소 및 다른 식물의 모든 부분, 및 또한 미생물 발효 또는 조류의 발효로부터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출발 물질에 대한 전형적인 가공 방법은, 특히, 원유 추출을 위한 단계, 예컨대 출발 물질의 추출 및 분리, 및 또한 원유를 정제하는 단계, 예컨대 침착 및 탈검화, 탈산성화, 표백 및 탈취이다 (예를 들어 "EFSA Scientific Opinion on Fish Oil for Human Consumption" 참조). 출발 물질로서 상이한 식물 오일, 예컨대 아마인 오일, 조류 오일, 대마 종자 오일, 평지씨 오일, 보리지 종자 오일, 아마씨 오일, 카놀라 오일, 대두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의 가공 방법은, 특히, 오메가-3 지방산 에스테르의 상응하는 유리 오메가-3 지방산 또는 그의 무기 염으로의 적어도 부분적 전환을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공급원은 피쉬 오일, 스퀴드 오일, 크릴 오일, 아마인 오일, 보리지 종자 오일, 조류 오일, 대마 종자 오일, 평지씨 오일, 아마씨 오일, 카놀라 오일, 대두 오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다중불포화 오메가-3 지방산은 또한 오메가-3 지방산 에스테르의 절단 및 주로 오메가-3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조성물로부터 에스테르로서 이전에 부착된 알콜의 후속 제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에스테르 절단은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조건 하에 수행된다. 에스테르 절단을 위한 방법은 선행 기술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바람직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도코사헥사엔산 ("DHA")이다.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도코사헥사엔산 ("DHA")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총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을 포함하는 오메가-3 지방산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모든 염기성 아민 분자의 총 합계에 대한 지방산의 모든 카르복실 기의 총 합계의 몰비 M은 최대 정량적 염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능한 한 등몰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모든 염기성 아민 분자의 총 합계에 대한 지방산의 모든 카르복실 기의 총 합계의 몰비 M은 범위 0.8 ≤ M ≤ 1.2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범위 0.9 ≤ M ≤ 1.1 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범위 0.95 ≤ M ≤ 1.05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범위 0.98 ≤ M ≤ 1.02 내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 염은 어려움 없이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생성된 조성물은, 고체가 수득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 및 20 mbar 이하의 압력에서 건조된다. 생성된 고체는 바람직하게는, 칼-피셔(Karl-Fischer) 적정에 의해 측정된, ≤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 1 중량%의 물 함량을 갖는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연속 공정에서의 혼련 후에 압출되어 고체 물질을 수득한다.
또한,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 염은, 이것이 상기 기재된 오메가-3 지방산 염의 특성으로 인해 반드시 예상되는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매우 취성이고, 표준 밀, 예를 들어 레취 볼 밀로 용이하게 밀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수득된 고체는 밀링된다.
90 중량%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이 분당 250 회전의 분쇄 속도 및 30 mm의 분쇄 볼의 직경으로 레취 볼 밀 유형 SM1에서 30분의 기간 동안 밀링되었을 때, 100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90 및 17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50 및 5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10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이 분당 250 회전의 분쇄 속도 및 30 mm의 분쇄 밀의 직경으로 레취 볼 밀 유형 SM1에서 30분의 기간 동안 밀링되었을 때, 조성물이 100 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90, 및 17 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19 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50, 및 5 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6 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0 중량%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추가 측면에서 여기서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또는 그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들), 하나 이상의 염기성 아민(들), 및 페이스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130℃ 이하의 온도에서, 균질한 페이스트가 수득될 때까지 30초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혼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또는 그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밀링된 생성물와 관련있는 고밀도 및 특히 고 벌크 밀도의 이점을 갖는다. 수득된 생성물의 벌크 밀도는 적어도 0.3 g/m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 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6 g/ml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료품, 식품 보충제 또는 제약 제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식료품 및 식품 보충제는 베이커리 제품, 비타민 첨가제, 음료 파우더, 반죽된 도우, 튀김옷, 베이킹된 식료품 예컨대 케이크, 치즈 케이크, 파이, 컵케이크, 비스킷, 빵, 롤빵, 쿠키, 머핀, 패스트리, 스콘 및 크루통; 액체 식료품 제품 예컨대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영아용 조제식, 유동식, 과일 주스, 멀티비타민 시럽, 식사 대체품; 반-고체 식료품 제품 예컨대 유아용 조제식, 요구르트, 치즈, 시리얼 플레이크, 팬케이크 혼합물; 영양 바 예컨대 에너지 바; 가공육;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 냉동 요구르트; 웨이퍼 혼합물; 샐러드 드레싱; 계란 대체 혼합물; 쿠키, 크래커, 과자류, 스낵, 뮤즐리/스낵 바, 팝-타르트, 솔티드 니블 예컨대 포테이토 크리스프, 콘 칩, 토르티야 칩, 압출 스낵, 팝콘 및 넛; 특별한 스낵 예컨대 딥 스낵, 건조 과일, 미트 스낵, 프라이드 스낵, 헬스 바 및 라이스/콘 웨이퍼; 과자류 예컨대 사탕; 인스턴트 식료품 예컨대 인스턴트 누들, 인스턴트 스톡 큐브 또는 인스턴트 파우더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약 제품은, 여기서 기재된 오메가-3 지방산 염 이외에,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제 및 제약 활성 성분 둘 다 예컨대 스타틴, 항고혈압제, 항당뇨병제, 항치매제, 항우울제, 항비만제, 식욕 억제제, 및 기억 및/또는 인지 기능을 개선시키는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L-리신 또는 다른 염기성 아민 및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염이 다중불포화 지방산, L-리신 또는 다른 염기성 아미노산 및 물의 페이스트를 혼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고 알려지지 않았을지라도, 염기성 아미노산 및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염은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EP 0734373 B1 참조). 이러한 맥락에서 염기성 아미노산 및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염이 "저온에서 왁스상 외관 및 왁스상 성질을 갖는 고체로 변형되는 매우 농후한 투명한 오일"로서 지금까지 기재되어 왔다는 것은 중요하다 (EP 0734373 B1, p. 1, 라인 47-48 참조). 결과적으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오메가-3 지방산 염이 오메가-3 지방산, L-리신 또는 다른 염기성 아민 및 물의 페이스트의 혼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오메가-3 지방산 염이 실제로 혼련에 의해 용이하게 수득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었다. 이미 서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혼련 조건은 각각의 경우에 온도 설정 및 사용된 물의 양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은 관련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통상의 기술자의 통상적인 실험실 작업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오메가-3 지방산의 사용에 대해 여기서 상세히 기재된다. 그러나 오메가-6 지방산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오메가-6 지방산은, 예를 들어, γ-리놀렌산 (GLA) 18:3 (n-6) (올-시스-6,9,12-옥타데카트리엔산), 리놀레산 (LA) 18:2 (n-6) ((9Z,12Z)-9,12-옥타데카디엔산), 에이코사디엔산 20:2 (n-6) (올-시스-11,14-에이코사디엔산), 디호모감마리놀렌산 (DGLA) 20:3 (n-6) (올-시스-8,11,14-에이코사트리엔산), 아라키돈산 (ARA) 20:4 (n-6) (올-시스-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 도코사디엔산 22:2 (n-6) (올-시스-13-16-도코사디엔산), 아드렌산 22:4 (n-6) (올-시스-7,10,13,16-도코사테트라엔산), 도코사펜타엔산 (오스본드산) 22:5 (n-6) (올-시스-4,7,10,13,16-도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테트라엔산 24:4 (n-6) (올-시스-9,12,15,18-테트라코사테트라엔산), 테트라코사펜타엔산 24:5 (n-6) (올-시스-6,9,12,15,18-테트라코사펜타엔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 실험에 의해 상세히 기재된다.
실험:
분석 방법:
1차 산화 생성물 (이중 결합에서의 히드로퍼옥시드)을 Ph. Eur. 2.5.5 (01/2008:20505)에 따른 퍼옥시드가 (PN)의 결정에 의해 정량적으로 결정하였다. 2차 산화 생성물 (카르보닐 화합물)을 Ph. Eur. 2.5.36 (01/2008:20536)에 따른 아니시딘가 (AN)의 결정에 의해 정량적으로 결정하였다.
올리고머 오메가-3 지방산 구성성분 및 그의 유도체 (발명의 내용란에서 올리고머 함량으로서 지칭됨)를 겔 크로마토그래피 (GPC, 용리액으로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수반한 스티렌-디비닐벤젠 상)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굴절률 검출기 (RI)를 결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샘플의 구성성분에 대한 구체적 반응 인자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정량적 비는 크로마토그램의 총 면적의 굴절 비를 기초로 하여 계산하였다.
물 함량을 칼-피셔 적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산가를 수산화칼륨으로의 적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1. 3.8% 물 첨가를 수반한 실험
178.85 mg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7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 및 리신 1수화물 141.4 g (이는 L-리신 125.9 g 및 물 15.5 g에 상응함)을 혼련기 (써모-피셔 레오믹스 3000E, 롤러 로터 (R3)로 부피 대략 310 ml)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초기에 70 - 90℃에서 혼련하였다. 초기에 균질 혼합물이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온도를 120℃로 증가시켰다. 균질 용융물이 버블 형태로 탈기된 수증기로부터 형성되었다. 120℃에서 대략 10분 후에, 혼합물을 혼련기로부터 배출하였다. 이는 냉각 시 고체화된 생성물 339 g을 제공하였다. 습윤 생성물 294.2 g을 50 - 60℃ 및 20 mbar로 건조 캐비닛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파분쇄 후에, 이는 0.665 g/ml의 벌크 밀도를 갖는 고체 283 g을 제공하였다.
2. 7.5% 물 첨가를 수반한 실험
178.85 mg KOH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50% EPA/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 및 리신 1수화물 131.0 g (이는 L-리신 116.6 g 및 물 14.4 g에 상응함)을 50℃에서 10분 동안 실험 1과 유사하게 물 15.3 g을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이는 플라스틱 고체로서 습윤 생성물 376 g을 제공하였다. 습윤 생성물 335.8 g을 50 - 60℃ 및 20 mbar로 건조 캐비닛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파분쇄 후에, 이는 0.585 g/ml의 벌크 밀도를 갖는 고체 313 g을 제공하였다.
3. 15% 물 첨가를 수반한 실험
175.3 mg KOH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30.0 g (50% EPA/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 및 리신 1수화물 117.8 g (이는 L-리신 104.9 g 및 물 12.9 g에 상응함)을 25℃에서 60분 동안 실험 1과 유사하게 물 46.2 g을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이는 크림으로서 습윤 생성물 373 g을 제공하였다. 습윤 생성물 333 g을 50 - 60℃ 및 20 mbar로 건조 캐비닛에서 밤새 건조시켰으며, 그 결과 고체 발포체가 형성되었다. 파분쇄 후에, 이는 0.375 g/ml의 벌크 밀도를 갖는 고체 282 g을 제공하였다.
4. 20.4% 물 첨가를 수반한 실험
175.3 mg KOH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00.0 g (50% EPA/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 및 리신 1수화물 102.5 g (이는 L-리신 91.2 g 및 물 11.3 g에 상응함)을 25℃에서 60분 동안 실험 1과 유사하게 물 63.5 g을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이는 점착성 페이스트로서 습윤 생성물 371 g을 제공하였다. 습윤 생성물 330 g을 50 - 60℃ 및 20 mbar로 건조 캐비닛에서 밤새 건조시켰으며, 그 결과 고체 발포체가 형성되었다. 파분쇄 후에, 이는 0.347 g/ml의 벌크 밀도를 갖는 고체 265 g을 제공하였다.
5. 물의 첨가를 수반하지 않은 비교 실험
175.3 mg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50% EPA/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 및 무수 리신 114 g을 혼련기 (써모-피셔 레오믹스 3000E, 롤러 로터 (R3)로 부피 대략 310 ml)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초기에 100℃에서 혼련하였다. 초기에 균질 혼합물이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온도를 150℃로 단계별로 증가시켰다. 150℃에서 20분 후에, 실험을 종료하고, 혼합물을 혼련기로부터 배출하였다. 이는 생성물 330 g을 제공하며, 여기서 고체 리신의 매우 상당한 함유물이 여전히 나타났다.
써모-피셔 레오믹스 3000E에서의 혼련 실험의 조건 및 50-60℃/20 mbar에서의 건조 후 물 함량은 표 1에 요약된다. 실험에서, 생성물을 냉각 후에 기계적으로 혼련기에서 스크레이핑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29489354-pct00001
20.4% 및 15.0% 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균질 혼합물을 실온에서 혼련에 의해 이미 수득한 반면에, 7.5% 및 3.8% (이는 리신 1수화물의 사용에 상응함)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55℃ 및 130℃의 온도가 이에 대하여 적용되어야만 하였다. 물의 첨를 수반하지 않은 실험에서는, 어떠한 균질 혼합물도 심지어 150℃에서 20분 후에도 달성되지 않았다. 소정량의 고체 리신은 이후에도 생성물에서 여전히 보여졌다.
감압 하에 50-60℃에서 건조 시 0%, 3.8% 및 7.5% 물을 수반한 생성물은 그의 형태를 현저하게 바꾸지 않았던 반면에, 15% 및 20.4% 물을 수반한 생성물은 고체 발포체를 형성하였지만 이는 용이하게 파분쇄될 수 있었다. 그러나, 발포체 형성은 건조된 파분쇄된 고체의 벌크 밀도에서의 뚜렷한 감소로 이어진다 (표 1). 3.8% 및 7.5% 물을 수반한 것들은 각각 0.665 g/ml 또는 0.585 g/ml인 반면에, 15% 및 20.4% 물을 함유하는 것들은 단지 각각 0.375 g/ml 또는 0.347 g/ml의 벌크 밀도로만 수득되었다. 그러나 밀링 후에, 이어서 어떠한 유의차도 관찰가능하지 않았다. 모든 경우에, 0.5% 미만의 잔류 물 함량이 달성되었다.
써모-피셔 레오믹스 3000E에서의 혼련 실험의 생성물의 아니시딘가 (AN) 및 퍼옥시드가 (PN) 및 올리고머 함량은 표 2에 요약된다.
표 2:
Figure 112018129489354-pct00002
샘플로부터 결정된 값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TOTOX가 및 올리고머 함량 둘 다는 온도에 따라 증가한다. 3.8% 물을 수반한 샘플에 대한 값이 여전히 허용되긴 하지만, 물의 첨가를 수반하지 않은 샘플에서 TOTOX가 및 올리고머 함량 둘 다는 상당히 증가된다.
6. 실험 1 내지 5로부터의 생성물을 수반한 밀링 실험
실험 1 내지 4로부터의 건조된 샘플의 각각의 경우에 대략 70 g을 분당 250 회전의 분쇄 속도 및 30 mm의 분쇄 볼의 직경으로 각각 30분 동안 레취 볼 밀 유형 SM1에서 밀링하였다. 밀링 포트의 부피는 250 ml이었고 밀링 포트 및 볼 밀 둘 다를 아차트(Achat)에 의해 제조하였다. 밀링된 생성물의 입자 크기 분포는 표 3에 요약된다.
표 3:
Figure 112018129489354-pct00003
표준 볼 밀을 사용하여, 혼련 실험의 모든 생성물은 50 μm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로 건조시킨 후에 분쇄될 수 있었다. 염 형성이 완료되지 않았던, 물의 첨가를 수반하지 않은 실험으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은 대략 5 mm의 직경을 갖는 볼 밀에서 얇은 플레이크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용이하게 굽힘가능하였다. 유사한 결과는 더 높은 잔류 물 함량을 갖는 생성물에 대해 예상될 수 있다.
7. 피닝된 디스크 분쇄기를 수반한 밀링 실험
200 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과립화된 생성물 대략 200 g을 17,000 rpm으로 옘리흐(Jehmlich) 피닝된 디스크 밀 레코르드 224에서 밀링하였다. 생성물은, d90 13.2 μm 및 3.2 μm의 d50의 입자 크기로 밀링될 수 있었으며, 어떠한 케이킹도 밀에서 보여지지 않았다.
리신 및 아르기닌의 상이한 비 (몰%로 나타냄)를 염 형성에 대해 사용하였고, 혼련 실험을 수행하였다.
8. 리신-아르기닌 혼합물 (몰비 95:5)을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123.2 g (이는 L-리신 109.7 g 및 물 13.5 g에 상응함) 및 아르기닌 6.9 g을 물 27.5 g의 첨가를 수반하면서 혼련기 (쿠킹 쉐프 메이저(Cooking Chef Major), 모델 KM096, 켄우드(Kenwood))에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초기에 50 - 60℃에서 혼련하였다. 3.2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을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균질한 페이스트가 형성될 때까지 ~ 60 rpm에서 플래너터리 혼련 후크로 50 - 60℃에서 추가로 혼련하였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407.6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60℃에서 건조시키고 압출물의 구조를 보유하도록 완만한 질소 유동 하에 유지하였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불량한 결합 특성으로 취성이었다. 압출물은 용이하게 파쇄하였다.
9. 리신-아르기닌 혼합물 (몰비 90:10)을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116.7 g (이는 L-리신 103.9 g 및 물 7 g에 상응함) 및 아르기닌 13.8 g을 물 27.6 g 및 실험 8과 유사하게 3.2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과 반응시켰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408.1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험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시켰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허용되는 결합 특성으로 안정하고 잘 가공가능하였다. 압출물은 안정하였다.
10. 리신-아르기닌 혼합물 (몰비 70:30)을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181.6 g (이는 L-리신 161.7 g 및 물 19.9 g에 상응함) 및 아르기닌 82.6 g을 물 55.8 g 및 실험 8과 유사하게 3.2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50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과 반응시켰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820.0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험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시켰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탁월한 결합 특성으로 매우 잘 가공가능하였다. 압출물은 안정하였다.
11. 리신-아르기닌 혼합물 (몰비 30:70)을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77.8 g (이는 L-리신 69.3 g 및 물 8.5 g에 상응함) 및 아르기닌 192.7 g을 물 38.1 g 및 실험 8과 유사하게 3.2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50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과 반응시켰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808.6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험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시켰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매우 단단하였고 혼련기로 거의 가공가능하지 않았다. 압출물은 점착성이었다.
12. 리신-콜린 혼합물 (몰비 95:5)을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123.2 g (이는 L-리신 109.7 g 및 물 13.5 g에 상응함) 및 콜린 용액 9.6 g (4.8 g 콜린을 함유하는, 50 중량% 콜린을 수반함)을 물 10.0 g 및 실험 8과 유사하게 3.2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과 반응시켰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406.3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험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시켰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허용되는 결합 특성으로 잘 가공가능하였다. 압출물은 안정하였다.
13. 수산화마그네슘의 첨가를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116.7 g (이는 L-리신 103.9 g 및 물 7 g에 상응함) 및 수산화마그네슘 4.6 g (1.9 g 마그네슘에 상응함)을 물 20.0 g 및 실험 8과 유사하게 3.2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50% EPA 및 20% DHA의 지방산 함량을 갖는 피쉬 오일로부터 제조됨)과 반응시켰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398.8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험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시켰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허용되는 결합 특성으로 잘 가공가능하였다. 압출물은 안정하였다.
14. 아마인 오일 및 리신-아르기닌 혼합물 (몰비 90:10)을 수반한 실험
리신 1수화물 133.0 g (이는 L-리신 118.4 g 및 물 14.6 g에 상응함) 및 아르기닌 15.7 g을 물 28.8 g 및 실험 8과 유사하게 3.6 mmol KOH/g의 산가를 갖는 지방산 250.0 g (아마인 오일로부터 제조됨)과 반응시켰다. 이는 압출된 생성물 페이스트 427.5 g을 제공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험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시켰다. 수득된 도우-유사 페이스트는 안정하고 탁월한 결합 특성으로 잘 가공가능하였다. 압출물은 안정하였다.
유사한 결과를 아마인 오일 및 L-리신 1수화물로부터 제조된 지방산으로 수득하였다. 또한, 혼련 실험을 첨가제로서 10 mol% 수산화마그네슘을 수반한 보리지 종자 오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유사한 안정한 압출물을 생산하였다. 이는 방법이 피쉬 오일 제제를 수반하여 뿐만 아니라 추가의 비-동물 PUFA 공급원을 수반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건조 후 물 함량 및 압출된 샘플의 밀도 뿐만 아니라 켄우드 식품 가공기에서의 혼련 실험의 생성물의 아니시딘가 (AN) 및 퍼옥시드가 (PN)은 표 4에 요약된다.
표 4:
Figure 112018129489354-pct00004
압출된 샘플의 밀도는 0.91 내지 0.97 g/ccm의 범위였다. 생성물은 압출 후에 밀링되지 않았으므로, 압출된 스트랜드의 밀도를 측정하였고 모든 실험에서 0.90 g/ccm보다 더 높았다. 압출을 위한 노즐 직경은 3.2 mm였고 압출된 스트랜드의 직경은 3.3 mm였다.
L-리신 및 L-오르니틴은 EPA와 반응하여 지방산 염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시될 수 있었다. 또한, EPA/DHA 혼합물을 또한 L-아르기닌으로 및 L-오르니틴을 수반하여 시험하였으며, 여기서 지방산 염 형성이 관찰되었다. 추가적으로, 여러 오메가-6 지방산을 시험하였고 (아라키돈산, γ-리놀렌산, 리놀렌산, 리놀레산), L-리신 및 L-아르기닌으로의 염 형성으로 이어진다. 모든 이러한 실험을 에탄올-물 혼합물에서 수행하였고, 모든 실험에서 고체를 수득하였다. 지방산 염 형성은 모든 이들 실험에서 달성되었으므로, 이들 혼합물은 또한 혼련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하나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들), 하나 이상의 염기성 아민(들), 및 페이스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130℃ 이하의 온도에서, 균질한 페이스트가 수득될 때까지 30초 내지 60분의 기간 동안 혼련하며,
    여기서 오메가-3 지방산은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총 30 중량% 이상의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염기성 아민이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L-리신 및 L-아르기닌의 혼합물이 염기성 아민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L-리신 및 L-아르기닌 사이의 몰비가 10:1 내지 1:1이고,
    여기서 고체가 수득될 때까지 조성물을 건조시키고,
    여기서 고체는 칼-피셔(Karl-Fischer) 적정에 의해 측정시 ≤ 2 중량% 또는 ≤ 1 중량%의 물 함량을 갖고, 여기서 고체는 밀링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공급원이 피쉬 오일, 스퀴드 오일, 크릴 오일, 아마인 오일, 보리지 종자 오일, 조류 오일, 대마 종자 오일, 평지씨 오일, 아마씨 오일, 카놀라 오일, 대두 오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3 중량% 내지 7 중량%의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마그네슘 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하기의 군: 글리신, 수산화마그네슘 (Mg(OH)2), 스테아르산마그네슘, PUFA 나트륨 염, PUFA 칼륨 염, 염화나트륨 (NaCl), 모노아실글리세리드, 콜린, 아르기닌, 글리세린, 크레아틴, 또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히스티딘,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및 트레오닌으로부터 선택된 필수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페이스트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물, 또는 7 중량% 내지 8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온도가 25℃ 내지 100℃의 범위 내, 또는 40℃ 내지 8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이,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총 50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의,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염기성 아민 분자의 총 합계에 대한 지방산의 모든 카르복실 기의 총 합계의 몰비 M이 범위 0.8 ≤ M ≤ 1.2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5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연속 공정에서의 혼련 후에 압출시켜 고체 물질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90 중량% 이상의 오메가-3 지방산 염(들)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로서, 적어도 0.3 g/ml의 벌크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밀링되었을 때, 조성물이 100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90 및 17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50 및 5 μm 이상의 입자 크기 d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식료품, 식품 보충제 또는 제약 제품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87037413A 2016-05-25 2017-05-24 오메가-3 지방산 염 및 아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441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1275.7A EP3248467A1 (de) 2016-05-25 2016-05-25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usammensetzung enthaltend omega-3-fettsäure-l-lysin-salze
EP16171275.7 2016-05-25
PCT/EP2017/062582 WO2017202935A1 (en) 2016-05-25 2017-05-24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omega-3 fatty acid salts and am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895A KR20190013895A (ko) 2019-02-11
KR102441207B1 true KR102441207B1 (ko) 2022-09-08

Family

ID=5608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413A KR102441207B1 (ko) 2016-05-25 2017-05-24 오메가-3 지방산 염 및 아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219235B2 (ko)
EP (2) EP3248467A1 (ko)
JP (2) JP7061578B2 (ko)
KR (1) KR102441207B1 (ko)
CN (1) CN109152377B (ko)
AU (1) AU2017269495B2 (ko)
BR (1) BR112018074009B1 (ko)
CA (1) CA3025418C (ko)
DK (1) DK3462897T3 (ko)
ES (1) ES2930044T3 (ko)
PL (1) PL3462897T3 (ko)
TW (1) TW201808276A (ko)
WO (1) WO2017202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21033C (en) 2018-11-30 2023-06-13 Evonik Operations Gmbh Preparation comprising a probiotic strain of the genus bacillus megaterium and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nent
US20210393565A1 (en) 2018-11-30 2021-12-23 Evonik Operations Gmbh Preparation for use to increase the formation of one or more specialized pro-resolving lipid mediators (spm)
KR102220871B1 (ko) * 2019-06-13 2021-02-25 이영기 햄프씨드 가루와 햄프오일이 포함된 김스낵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4144192A (zh) 2019-08-01 2022-03-04 赢创运营有限公司 包含ω-3脂肪酸盐和来自乳香属物种的胶树脂提取物的制剂
US20220280388A1 (en) 2019-08-08 2022-09-08 Evonik Operations Gmbh Method of preparing a solid dosage form and a binder
CN114173764B (zh) * 2019-08-08 2024-02-06 赢创运营有限公司 固体剂型的制备方法和润滑剂
WO2021023857A1 (en) 2019-08-08 2021-02-11 Evonik Operations Gmbh Solubility enhancement of poorly soluble actives
CN115397960A (zh) * 2020-01-30 2022-11-25 硅循环股份有限公司 制备多不饱和脂肪酸的固体中性氨基酸盐的方法
EP4125437A1 (en) 2020-04-01 2023-02-08 Evonik Operations GmbH Preparation for use as vasorelaxant
US20230149336A1 (en) 2020-04-01 2023-05-18 Evonik Operations Gmbh Preparation for use as antioxid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9169A3 (en) 2004-12-03 2007-02-22 Sinnex Mueszaki Fejlesztoe Es Antiviral and immunostimulating marine fish oil composition
WO2015195491A1 (en) * 2014-06-18 2015-12-23 Thetis Pharmaceuticals Llc Mineral amino-acid complexes of active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09973B (en) * 1988-03-09 1995-01-30 Biorex Kutato Fejlesztoe Kft Process for production of antiviral and immunstimu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
HU199775B (en) * 1988-03-09 1990-03-28 Nagy Peter Literati Process for production of formed by fatty acids salts of amin acids and med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IT1264987B1 (it) 1993-12-14 1996-10-17 Prospa Bv Sali di un acido grasso poliinsaturo e formulazioni farmaceutiche che li contengono
NL9401743A (nl) * 1994-10-20 1996-06-03 Prospa Bv Zouten van aminoalcoholen en farmaceutische formuleringen die deze bevatten.
JPH0977725A (ja) * 1995-09-13 1997-03-25 Ajinomoto Co Inc 脂肪酸リジン塩の製造方法
JP4653372B2 (ja) 2000-02-24 2011-03-16 油化産業株式会社 脂肪酸塩の製造方法及び該脂肪酸塩を含有する畜産用飼料
KR20020074443A (ko) * 2002-09-05 2002-09-30 주식회사 세퓨화인켐 염기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수용성 지질의 제조방법
JP4243953B2 (ja) * 2002-12-26 2009-03-25 ライオン株式会社 α−スルホ脂肪酸アルキルエステル塩含有濃縮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5035686A1 (zh) * 2013-09-13 2015-03-19 源德盛塑胶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手柄式辅助遥控拍摄装置
CA2961699C (en) 2014-09-23 2022-10-11 Jost Chemical Co.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tifying nutritional products with fatty aci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9169A3 (en) 2004-12-03 2007-02-22 Sinnex Mueszaki Fejlesztoe Es Antiviral and immunostimulating marine fish oil composition
WO2015195491A1 (en) * 2014-06-18 2015-12-23 Thetis Pharmaceuticals Llc Mineral amino-acid complexes of active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69495A1 (en) 2018-12-06
PL3462897T3 (pl) 2023-02-13
JP7061578B2 (ja) 2022-04-28
BR112018074009A2 (pt) 2019-02-26
TW201808276A (zh) 2018-03-16
CN109152377A (zh) 2019-01-04
CA3025418C (en) 2024-03-19
WO2017202935A1 (en) 2017-11-30
JP2022058430A (ja) 2022-04-12
KR20190013895A (ko) 2019-02-11
CN109152377B (zh) 2022-08-09
EP3248467A1 (de) 2017-11-29
US11219235B2 (en) 2022-01-11
JP2019516845A (ja) 2019-06-20
AU2017269495B2 (en) 2022-03-10
EP3462897B1 (en) 2022-09-14
BR112018074009B1 (pt) 2022-11-29
DK3462897T3 (da) 2022-12-05
ES2930044T3 (es) 2022-12-05
EP3462897A1 (en) 2019-04-10
US20200315230A1 (en) 2020-10-08
CA3025418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207B1 (ko) 오메가-3 지방산 염 및 아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US11805798B2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a composition comprising polyunsaturated omega-3 fatty acids
JP6714000B2 (ja) ω−6系多価不飽和脂肪酸を含む組成物の安定性を向上させ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