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15B1 -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15B1
KR102439915B1 KR1020197011549A KR20197011549A KR102439915B1 KR 102439915 B1 KR102439915 B1 KR 102439915B1 KR 1020197011549 A KR1020197011549 A KR 1020197011549A KR 20197011549 A KR20197011549 A KR 20197011549A KR 102439915 B1 KR102439915 B1 KR 10243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mula
film
optical film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557A (ko
Inventor
야스아키 요시무라
에이이치 혼다
게이타 노구치
유이치로 사타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9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J2363/02Polyglycidyl ethers of bis-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탄성 계수가 작고(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 및 해당 필름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단위(A)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Description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본 발명은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위상차 필름은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전기발광(이하 「유기 EL」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디스플레이의 구성 부재, 예를 들면, 시야각 확대 필름으로서, 또는 원 편광판의 구성 부재로서 이용되고 있다. 위상차 필름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투명성, 적당한 위상차 발현성, 위상차의 파장 분산성 등의 광학 특성 외, 이들 광학 특성을 안정되게 발현하기 위한 저광탄성 계수 및 내열성을 들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셀, 편광판 및 위상차 필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형 및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예를 들면,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과 조합되어, 원 편광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원 편광판은, 입사한 무편광의 광을, 편광판으로 직선 편광 성분만을 취출하고, 위상차 필름으로 원 편광으로 하여, 출사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옥외 등의 외광하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원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EL의 표시 장치는, 전극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 재료가 이용되고 있어, 외광이 전극의 계면에서 반사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 저하나 비침과 같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원 편광판을 이용함으로써, 외광의 반사를 억제하여, 이와 같은 악현상의 발생을 막고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지환족 다이카복실산 성분 및 지환족 다이올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및 2 등).
일본 특허공개 2007-19765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22428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은 내열성 및 기계 강도는 갖고 있지만, 광탄성 계수가 크다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위상차 필름으로서, 편광판과 첩합(貼合)하여,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 편광판 또는 필름 자신의 열수축, 열팽창 또는 흡수(吸水) 팽창 등에 의해, 위상차 필름에 응력이 걸리고, 그 결과, 위상차 얼룩이 발생하여 화질의 균일성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방향환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은, 광탄성 계수가 크고, 광학 특성이 뒤떨어진다. 결정성이 높은 경우에는, 성형 시에 백화가 진행되어, 투명성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전(全)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은, 내열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이유에 의해, 종래의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은, 내열성, 투명성 및 광학 특성의 점에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탄성 계수가 작고(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 및 해당 필름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지환식 구조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단위(A)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1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n은 0 또는 1이다.)
[2]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의 n이 1인, [1]에 기재된 광학 필름.
[3]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의 R1, R2 및 R3이 수소 원자인,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
[4]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가 하기 (1) 및 (2)를 만족시키고, 상기 광학 필름이 하기 (3)을 만족시키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
(1)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90℃ 이상이다.
(2)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의 강온(降溫) 시 결정화 발열량이 5J/g 이하이다.
(3) 상기 광학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40×10-12Pa-1 이하이다.
[5]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6]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 편광판 또는 타원 편광판.
본 발명에 의하면, 광탄성 계수가 작고,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 및 해당 필름을 포함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모노머 합성예에서 얻어진 주 반응 생성물의 1H-NMR 측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모노머 합성예에서 얻어진 주 반응 생성물의 13C-NMR 측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모노머 합성예에서 얻어진 주 반응 생성물의 COSY-NMR 측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간단히 「본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을 이하의 내용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수지]
본 실시형태의 광학 필름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단위(A)(이하, 「단위(A)」, 「구성 단위(A)」라고도 한다)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해당 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다이올 단위(B)(이하, 「단위(B)」, 「구성 단위(B)」라고도 한다), 및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 단위(C)(이하, 「단위(C)」, 「구성 단위(C)」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2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n은 0 또는 1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광학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열성이 우수하다」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충분히 높은 것을 가리키고, 「광학 특성이 우수하다」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충분히 낮은 것을 가리킨다.
화학식(1)에 있어서,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R2 및 R3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열성의 관점에서, 화학식(1)에 있어서의 R1, R2 및 R3이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n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성, 내열성 및 광학 특성의 균형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터 수지가 갖는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한 구성 단위(A)의 함유량은 10∼95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10mol% 이상이면, 충분히 양호한 내열성 및 광학 특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함유량이 95mol% 이하이면, 양호한 내열성 및 광학 특성을 확보하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단위(A)의 함유량은 15∼95mo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95mol%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구성 단위(A)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구성 단위(A), 구성 단위(B) 및 구성 단위(C)를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이다.
구성 단위(B)로서는,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단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구체예로서는, 에틸렌 글라이콜, 트라이메틸렌 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1,5-펜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네오펜틸 글라이콜, 1,3-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1,2-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메탄올, 1,3-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메탄올, 1,4-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메탄올, 1,5-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메탄올, 1,6-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메탄올, 2,7-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메탄올, 테트랄린다이메탄올, 노보네인다이메탄올,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다이메탄올,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다이메탄올, 데카하이드로-1,4:5,8-다이메타노나프탈렌다이메탄올, 노보네인다이올, 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 2,2'-비스(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아다만테인다이올, 데카하이드로-1,4:5,8-다이메타노나프탈렌다이올,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프로폭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다이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프로폭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6-(2-하이드록시에톡시)-2-나프틸]플루오렌, 9,9-비스[6-(2-하이드록시프로폭시)-2-나프틸]플루오렌, 9,9-비스(2-하이드록시에틸)플루오렌, 자일릴렌 글라이콜, 3,9-비스(1,1-다이메틸-2-하이드록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케인, 1,4:3,6-다이안하이드로-D-소르비톨, 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뷰테인다이올 등의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들 수 있다.
구성 단위(B)는, 양호한 광학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지방족 다이올 또는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단위에 대해서는, 플루오렌 구조와 함께 카르도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방족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단위로서는,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에틸렌 글라이콜, 3,9-비스(1,1-다이메틸-2-하이드록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케인, 1,4:3,6-다이안하이드로-D-소르비톨, 데카하이드로-1,4:5,8-다이메타노나프탈렌다이메탄올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올에서 유래하는 단위로서는,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광학 이성체는 시스체, 트랜스체,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단위는 1종을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구성 단위(C)로서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구체예로서는,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프탈산, 1,3-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1,5-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2,7-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2-메틸테레프탈산, 바이페닐다이카복실산, 테트랄린다이카복실산 등의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케인다이카복실산, 도데케인다이카복실산, 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데칼린다이카복실산, 노보네인다이카복실산,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다이카복실산,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다이카복실산, 3,9-비스(1,1-다이메틸-2-카복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케인, 5-카복시-5-에틸-2-(1,1-다이메틸-2-카복시에틸)-1,3-다이옥세인, 1,4:5,8-다이메타노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아다만테인다이카복실산, 다이머산 등의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 9,9-비스(카복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1-카복시에틸)플루오렌, 9,9-비스(2-카복시에틸)플루오렌, 9,9-비스(1-카복시프로필)플루오렌, 9,9-비스(2-카복시프로필)플루오렌, 9,9-비스(2-카복시-1-메틸에틸)플루오렌, 9,9-비스(2-카복시-1-메틸프로필)플루오렌, 9,9-비스(2-카복시뷰틸)플루오렌, 9,9-비스(2-카복시-1-메틸뷰틸)플루오렌, 9,9-비스(5-카복시펜틸)플루오렌 등의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들 수 있다.
구성 단위(C)는, 양호한 광학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 혹은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에 대해서는, 플루오렌 구조와 함께 카르도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로서는, 투명성, 내열성과 광학 특성의 물성 균형의 관점에서,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다이메틸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로서는, 투명성, 내열성과 광학 특성의 물성 균형의 관점에서, 9,9-비스(메톡시카보닐메틸)플루오렌, 9,9-비스(2-메톡시카보닐에틸)플루오렌, 9,9-비스(메톡시카보닐프로필)플루오렌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광학 이성체는 시스체, 트랜스체,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단위는 1종을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수지는, 단위(A)∼(C) 이외에, 하이드록실기 및 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성 유도체 단위(A1) 등의 다른 단위를 포함해도 된다. 단위(A1)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글라이콜산, 락트산, 하이드록시뷰티르산, 2-하이드록시아이소뷰티르산, 하이드록시벤조산, 6-하이드록시카프로산, 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세인카복실산 등의 옥시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한편,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40℃이다. 상기 Tg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g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수지의 원료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분한 투명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터 수지의 강온 시 결정화 발열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J/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J/g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3J/g 이하이다. 한편,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J/g이다. 상기 강온 시 결정화 발열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온 시 결정화 발열량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수지의 원료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충분한 광학 특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40×10-12Pa-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0-12Pa-1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10-12Pa-1 이하이다. 한편,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1×10-12Pa-1이다. 상기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수지의 원료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할 때에는, 산화 방지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유동성 개질제, 결정핵제, 강화제, 염료, 대전 방지제 또는 항균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게 실시된다.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 방법]
폴리에스터 수지는, 단위(A)를 단독중합하는 것에 의해, 또한 단위(A)∼(C)에 대응하는 각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하, 단위(A)에 대응하는 단량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단량체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된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3
상기 화학식(2)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X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해도 되는 탄화수소기이다.
식(2)에 있어서,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CH3이다. R2 및 R3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상기 탄화수소기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 바이닐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4-하이드록시뷰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또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을 원료로 해서, 예를 들면, 하기 식(I)에 나타내는 루트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4
(식(I) 중,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X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해도 되는 탄화수소기이다.)
〔식(I) 중의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의 제조〕
상기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은, 예를 들면,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과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딜스-알더 반응을 행하는 것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딜스-알더 반응에 이용하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뷰틸, 메타크릴산 바이닐,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뷰틸, 아크릴산 바이닐,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뷰틸, 크로톤산, 크로톤산 메틸, 크로톤산 에틸, 3-메틸크로톤산, 3-메틸크로톤산 메틸, 3-메틸크로톤산 에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올레핀으로서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올레핀으로서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메틸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딜스-알더 반응에 이용하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의 예로서,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을 들 수 있다. 이들 올레핀을 원료로 하는 경우, 예를 들면, 하기 식(II), 식(III)에 나타내는 루트 등을 거쳐서 화학식(4')로 표시되는 모노올레핀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5
(식(I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CH3이다)
[화학식 6]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6
(식(III)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CH3이다)
상기 딜스-알더 반응에 이용하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은 고순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등의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순도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은 가열 조건하에서 해중합(解重合)되어 사이클로펜타다이엔(소위 모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이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대신에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은, 실질적으로 하기 화학식(7)로 표시되는 탄소수 8∼16의 모노올레핀(1단째 딜스-알더 반응 생성물)을 경유해서 생성되고 있다고 생각되며, 생성된 화학식(7)의 모노올레핀이 새로운 친다이엔 화합물(Dienophile)로서 반응계 내에 존재하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Diene)과 딜스-알더 반응(2단째 딜스-알더 반응)에 관여하여,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이 생성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상기 식(I)에 나타내는 반응 루트에 있어서, 1단째 딜스-알더 반응의 반응 조건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 또는 식(7)로 표시되는 탄소수 8∼16의 모노올레핀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7
(식(7) 중,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를 나타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을 나타내고, X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2단계의 딜스-알더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관점, 즉, 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을 선택적으로 얻는 관점에서는, 반응계 내에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이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반응 온도로서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식(7)로 표시되는 탄소수 8∼16의 모노올레핀을 선택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반응 온도로서 180℃ 미만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고비등 물질의 부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250℃ 이하의 온도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을, 후술하는 하이드로폼일화 반응 및 환원 반응에 제공함으로써, 식(1)에 있어서 n=1인 경우에 대응하는 단량체(즉,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식(7)로 표시되는 탄소수 8∼16의 모노올레핀을, 마찬가지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 및 환원 반응에 제공함으로써, 식(1)에 있어서 n=0인 경우에 대응하는 단량체(즉, 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반응 용매로서 탄화수소류나 알코올류, 에스터류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헥세인,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메시틸렌, 프로판올, 뷰탄올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AlCl3 등 공지의 촉매를 첨가해도 된다.
[화학식 8]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8
(상기 식(8)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X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해도 되는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딜스-알더 반응의 반응 방식으로서는, 조(槽)형 반응기 등에 의한 회분식, 반응 조건하의 조형 반응기에 기질이나 기질 용액을 공급하는 반회분식, 관형 반응기에 반응 조건하에서 기질류를 유통시키는 연속 유통식 등, 다양한 반응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딜스-알더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그대로 다음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의 원료로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증류, 추출, 정석 등의 방법에 의해서 정제한 후, 다음 공정에 제공해도 된다.
〔식(I) 중의 (3)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4∼22의 2작용성 화합물의 제조〕
상기 식(I) 중의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4∼22의 2작용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과 일산화탄소 및 수소 가스를 로듐 화합물, 유기 인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시키는 것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에서 사용되는 로듐 화합물은, 유기 인 화합물과 착체를 형성하고,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존재하에서 하이드로폼일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면 되며, 그의 전구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다이카보닐(이하, Rh(acac)(CO)2라고 기재함), Rh2O3, Rh4(CO)12, Rh6(CO)16, Rh(NO3)3 등의 촉매 전구 물질을 유기 인 화합물과 함께 반응 혼합물 중에 도입하여, 반응 용기 내에서 촉매 활성을 가지는 로듐 금속 하이드라이드 카보닐 인 착체를 형성시켜도 되고, 미리 로듐 금속 하이드라이드 카보닐 인 착체를 조제해서 그것을 반응기 내에 도입해도 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Rh(acac)(CO)2를 용매의 존재하에서 유기 인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 과잉의 유기 인 화합물과 함께 반응기에 도입하여, 촉매 활성을 갖는 로듐-유기 인 착체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화학식(4)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비교적 분자량이 큰 내부 올레핀을 갖는 2단계 딜스-알더 반응 생성물이 극히 소량의 로듐 촉매로 하이드로폼일화된다는 것을 알았다. 본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에 있어서의 로듐 화합물의 사용량은,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의 기질인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 1몰에 대해서 0.1∼60마이크로몰이 바람직하고, 0.1∼30마이크로몰이 보다 바람직하고, 0.2∼20마이크로몰이 더 바람직하며, 0.5∼10마이크로몰이 특히 바람직하다. 로듐 화합물의 사용량이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 1몰에 대해서 60마이크로몰보다 적은 경우, 실용상, 로듐 착체의 회수 리사이클 설비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수 리사이클 설비에 관련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로듐 촉매에 드는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에 있어서, 로듐 화합물과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의 촉매를 형성하는 유기 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학식 P(-Ra)(-Rb)(-Rc)로 표시되는 포스핀 또는 P(-ORa)(-ORb)(-ORc)로 표시되는 포스파이트를 들 수 있다. Ra, Rb, Rc의 구체예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나,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지환식 알킬기 등을 들 수 있고, 트라이페닐포스핀, 트라이페닐포스파이트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유기 인 화합물의 사용량은 로듐 화합물 중의 로듐 원자에 대해서 300배몰∼10000배몰이 바람직하고, 500배몰∼10000배몰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700배몰∼5000배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0배몰∼2000배몰이다. 유기 인 화합물의 사용량이 로듐 원자의 300배몰 이상인 경우, 촉매 활물질인 로듐 금속 하이드라이드 카보닐 인 착체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로서 양호한 반응성이 확보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기 인 화합물의 사용량이 로듐 원자의 10000배몰 이하인 경우, 유기 인 화합물에 드는 비용을 충분히 저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화학식(4)로 표시되는 탄소수 13∼21의 모노올레핀,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또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상기 로듐 화합물, 및 상기 유기 인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식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에스터, 지환식 에스터, 방향족 에스터 등의 에스터류; 지방족 알코올, 지환식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방향족 할로젠화물 등의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화수소류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그 중에서도 지환식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가 보다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을 행하는 경우의 온도로서는 40℃∼160℃가 바람직하고, 80℃∼14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40℃ 이상인 경우에는 충분한 반응 속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고, 원료인 모노올레핀의 잔류가 보다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반응 온도를 160℃ 이하로 함으로써 원료 모노올레핀이나 반응 생성물 유래의 부생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반응 성적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을 행하는 경우, 일산화탄소(이하 「CO」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 및 수소(이하 「H2」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 가스에 의한 가압하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CO 및 H2 가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반응계 내에 도입하는 것도, 또한 미리 조제된 혼합 가스로서 반응계 내에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계 내에 도입되는 CO 및 H2 가스의 몰비(=CO/H2)는 0.2∼5가 바람직하고, 0.5∼2가 보다 바람직하며, 0.8∼1.2가 더 바람직하다. CO 및 H2 가스의 몰비가 상기 범위로 조정되는 경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의 반응 활성이나 목적으로 하는 알데하이드의 선택률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반응계 내에 도입한 CO 및 H2 가스는 반응의 진행에 수반하여 감소되어 가기 때문에, 미리 조제된 CO와 H2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면 반응 제어가 간편한 경우가 있다.
상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의 반응 압력으로서는, 1∼12MPa이 바람직하고, 1.2∼9MPa이 보다 바람직하며, 1.5∼5MPa이 더 바람직하다. 반응 압력을 1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반응 속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고, 원료인 모노올레핀의 잔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반응 압력을 12MPa 이하로 함으로써 내압 성능이 우수한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특히, 회분식이나 반회분식으로 반응을 행하는 경우, 반응 종료 후에 CO 및 H2 가스를 배출·낙압(落壓)할 필요가 있어, 저압이 될수록 CO 및 H2 가스의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상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을 행하는 경우의 반응 방식으로서는, 회분식 반응이나 반회분식 반응이 적합하다. 반회분식 반응은 로듐 화합물, 유기 인 화합물, 상기 용매를 반응기에 가하고, CO/H2 가스에 의한 가압이나 가온 등을 행하여, 앞서 기술한 반응 조건으로 한 후에 원료인 모노올레핀 또는 그의 용액을 반응기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그대로 다음의 환원 반응의 원료로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면 증류나 추출, 정석 등에 의해 정제한 후, 다음 공정에 제공해도 된다.
〔식(2)로 표시되는 탄소수 14∼22의 화합물의 제조〕
상기 식(I) 중의 화학식(2)로 표시되는 탄소수 14∼22의 화합물은,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4∼22의 화합물을, 수소화능을 갖는 촉매 및 수소의 존재하에서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환원 반응에서는, 수소화능을 갖는 촉매로서, 구리, 크로뮴, 철, 아연,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촉매로서는, Cu-Cr 촉매, Cu-Zn 촉매, Cu-Zn-Al 촉매 등 외에, Raney-Ni 촉매, Raney-Co 촉매 등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한 촉매는 Cu-Cr 촉매, Raney-Co 촉매이다.
상기 수소화 촉매의 사용량은, 기질인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4∼22의 화합물에 대해서 1∼100질량%, 바람직하게는 2∼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질량%이다. 촉매 사용량을 이들 범위로 함으로써 적합하게 수소화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촉매 사용량이 1질량% 이상인 경우, 충분히 반응이 진행되고, 그 결과로서 목적물의 수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촉매 사용량이 100질량% 이하인 경우, 반응에 제공한 촉매량과 반응 속도의 향상 효과의 균형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환원 반응의 반응 온도는 60∼200℃가 바람직하고, 80℃∼1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를 200℃ 이하로 함으로써, 부반응이나 분해 반응의 발생을 억제하여 높은 수율로 목적물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반응 온도를 60℃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시간에 반응을 완결시킬 수 있고, 생산성의 저하나 목적물 수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환원 반응의 반응 압력은, 수소 분압으로서 0.5∼10MPa이 바람직하고, 1∼5MPa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 분압을 10MPa 이하로 함으로써, 부반응이나 분해 반응의 발생을 억제하여 높은 수율로 목적물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소 분압을 0.5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시간에 반응을 완결시킬 수 있고, 생산성의 저하나 목적물 수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환원 반응에 불활성인 가스(예를 들면 질소 또는 아르곤)를 공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환원 반응에 있어서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원 반응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지방족 탄화수소류, 지환식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지환식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알코올류가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로서는 사이클로헥세인, 톨루엔, 자일렌,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원 반응의 반응 방식으로서는 조형 반응기 등에 의한 회분식, 반응 조건하의 조형 반응기에 기질이나 기질 용액을 공급하는 반회분식, 성형 촉매를 충전한 관형 반응기에 반응 조건하에서 기질이나 기질 용액을 유통시키는 연속 유통식 등, 다양한 반응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원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면 증류나 추출, 정석 등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학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위(A)에 대응하는 단량체로 하고, 단위(B)∼(C)에 대응하는 각 단량체와 공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폴리에스터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터 교환법, 직접 에스터화법 등의 용융 중합법, 또는 용액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 시에는, 통상의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 시에 이용하는 에스터 교환 촉매, 에스터화 촉매, 중축합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연, 납, 세륨, 카드뮴, 망가니즈, 코발트,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니켈, 마그네슘, 바나듐, 알루미늄, 타이타늄, 안티모니, 저마늄, 주석 등의 금속의 화합물(예를 들면, 지방산염, 탄산염, 인산염, 수산화물, 염화물, 산화물, 알콕사이드)이나 금속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상기한 것 중에서 망가니즈, 코발트, 아연, 타이타늄, 칼슘, 안티모니, 저마늄, 주석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망가니즈, 타이타늄, 안티모니, 저마늄, 주석의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터 수지의 원료에 대해서 금속 성분으로서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1∼1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3∼750ppm, 더 바람직하게는 5∼500ppm이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온도는 촉매의 종류, 그의 사용량 등에 따르지만, 통상 15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반응 속도 및 수지의 착색을 고려하면 180℃∼280℃가 바람직하다. 반응층 내의 압력은, 대기 분위기하로부터 최종적으로는 1kPa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종적으로는 0.5kPa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을 행할 때에는, 희망에 따라 인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인 화합물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인산, 아인산, 인산 에스터, 아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 에스터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인산 메틸, 인산 에틸, 인산 뷰틸, 인산 페닐, 인산 다이메틸, 인산 다이에틸, 인산 다이뷰틸, 인산 다이페닐, 인산 트라이메틸, 인산 트라이에틸, 인산 트라이뷰틸, 인산 트라이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아인산 에스터로서는, 이하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인산 메틸, 아인산 에틸, 아인산 뷰틸, 아인산 페닐, 아인산 다이메틸, 아인산 다이에틸, 아인산 다이뷰틸, 아인산 다이페닐, 아인산 트라이메틸, 아인산 트라이에틸, 아인산 트라이뷰틸, 아인산 트라이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중의 인 원자의 농도는 1∼500ppm이 바람직하고, 5∼400ppm이 보다 바람직하며, 10∼200ppm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 시에는, 에터화 방지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등의 각종 안정제, 중합 조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수지에는, 본 실시형태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증량제, 광택 소거제, 건조 조절제, 대전 방지제, 침강 방지제, 계면 활성제, 흐름 개량제, 건조유, 왁스류, 필러, 착색제, 보강제, 표면 평활제, 레벨링제, 경화 반응 촉진제, 증점제 등의 각종 첨가제, 성형 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수지는, 본 실시형태의 원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터 수지 이외의 수지를 병용한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터 수지 이외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 수지, 염화 바이닐 수지, 폴리페닐렌 에터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타이렌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여러 가지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서 수지 조성물에 가할 수 있다.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겔, 피시 아이, 스크래치 등이 생기지 않는 방법 및 이물의 함유량이 적은 방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공지의 용액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열프레스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필름의 연신 방법으로서도 공지의 방법이 사용 가능하고, 종 1축, 횡 1축, 다단 연신, 동시 2축 연신 등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여, 헤이즈값은 3% 이하, 전광선 투과율은 85% 이상이 바람직하다. 연신 가공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임의의 조건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1∼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배이다. 연신 온도는,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 Tg-30℃∼Tg+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20℃∼Tg+30℃이다. 광학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250μ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200μ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μm, 더 바람직하게는 15∼100μm의 범위이다.
[위상차 필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1축 연신, 2축 연신 가공 등에 의해, X축, Y축, Z축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함으로써, 시야각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매 이용하여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2분의 1 파장판과 4분의 1 파장판을 제작하고, 적당한 각도로 첩합하는 것에 의해, 광대역 4분의 1 파장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2분의 1 파장판끼리를 적당한 각도로 첩합하는 것에 의해, 광대역 2분의 1 파장판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편광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점착층, 접착층을 개재해서 편광판 혹은 편광 필름과 첩합하여, 시야각 확대 필름, 원 편광판 또는 타원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시야각 확대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고, 원 편광판은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유기 또는 무기 전기발광 표시 장치 또는 소자, 터치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RT,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과는 상이한 다른 위상차 필름, 예를 들면, 고분자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보상 필름이나, 디스코틱 액정을 배향 경화시킨 시야각 확대 필름 등과 함께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 사용해도 된다.
[적층체(적층 필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용도에 따라서, 해당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하드 코팅성, 자기 수복성, 방현성,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 및 대전 방지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층(「표면층」이라고도 함)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적층체(적층 필름)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팅 필름, 반사 방지(AR) 필름, 광확산 시트, 프리즘 렌즈 시트, 투명 도전성 필름, 적외선 흡수 필름, 전자파 흡수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그 기능에 따라 상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0nm∼30μm의 범위이고, 50nm∼2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보다도 얇으면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두꺼워지면 광학 성능 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하드 코팅성이란, 표면의 경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흠집이 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으로서는, JIS K5600-5-4(1999)에 기재된 긁기 경도(연필법)에 의한 평가에서, 바람직하게는 HB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H 이상이다. 또한, #0000의 스틸울을 이용하여, 200g/cm2, 10왕복의 조건에서 행하는 내찰상성 시험(스틸울 내찰상성 시험)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흠집이 10개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미만이다.
자기 수복성이란, 탄성 회복에 의해 흠집을 수복함으로써, 흠집이 나기 어렵게 하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으로서는, 500g의 하중을 건 진유(眞鍮) 브러시로 표면을 찰과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3분 이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에 흠집이 회복되는 것이다.
방현성이란, 표면에서의 광 산란에 의해 외광의 비침을 억제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으로서는, JIS K7136(2000)에 기재된 평가에서, 헤이즈가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특히 바람직하게는 2∼30%이다.
반사 방지성, 저반사성이란, 광의 간섭 효과에 의해 표면에서의 반사율을 저감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으로서는, 반사율 분광 측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대전 방지성이란, 표면으로부터의 박리나 표면으로의 찰과에 의해 발생한 마찰 전기를, 누설시키는 것에 의해 제거하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의 기준으로서는, JIS K6911(2006)에 기재된 표면 저항률이, 바람직하게는 1011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Ω/□ 이하이다. 대전 방지성의 부여는, 공지의 대전 방지제를 함유한 층인 것 외에, 폴리싸이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함유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용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이용 용도에 대해서는, 그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분야이면 특별히 제약은 없고,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판 외에, 예를 들면, 시야각 확대 필름,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또는 무기의 전기발광 표시 장치 또는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RT, 액정 프로젝터,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광 픽업 광학계, 터치 패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터 수지의 평가법〕
(1) 공중합 조성
폴리에스터 수지의 공중합 조성은, 1H-NMR 및 13C-NMR을 측정하고, 각 구성 단위 유래의 피크 면적비로부터 산출했다. 측정 장치는 핵자기 공명 장치(브루커 바이오스핀(주)제, 상품명: AVANCE III 500/Ascend 500)를 사용하여, 500MHz에서 측정했다. 용매에는 중클로로폼을 이용했다.
(2) 유리 전이 온도(Tg)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계((주)시마즈제작소제, 상품명: DSC-60/TA-60WS)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폴리에스터 수지 5∼10mg을 알루미늄제 비밀봉 용기에 넣어, 질소 가스(50mL/분) 기류 중, 승온 속도 20℃/분으로 280℃까지 승온 후, 급냉해서 측정용 시료로 했다. 해당 시료를 동 조건에서 재차 승온하여, DSC 곡선이 전이 전후에 있어서의 기선의 차의 1/2만큼 변화했을 때의 온도(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로 했다.
(3) 강온 시 결정화 발열량(ΔHc)
폴리에스터 수지의 강온 시 결정화 발열량은, 상기 Tg를 측정 후 280℃에서 1분간 유지한 후, 5℃/분의 속도로 강온했을 때에 나타나는 발열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산출했다.
〔광학 필름의 평가법〕
(1) 광탄성 계수(ε)
두께 약 100μm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1cm×5cm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측정용 시료로 했다. 엘립소미터(니혼분광(주)제, 상품명: M220)를 사용하여, 파장 632.8nm에 있어서의 하중 변화에 대한 복굴절 측정으로부터 산출했다.
(2) 위상차의 파장 분산 특성
두께 약 100μm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5cm×5cm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5℃ 높은 온도하, 연신 배율 1.5배의 조건에서 1축 연신을 행하여, 측정용 시료로 했다. 엘립소미터(니혼분광(주)제, 상품명: M220)를 이용하여, 400∼800nm의 파장 영역에서 위상차를 측정하고, 파장 450nm 및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위상차비, 및 파장 550nm 및 파장 650nm에 있어서의 위상차비를 산출하여, 위상차의 파장 분산 특성을 평가했다.
<모노머 합성예>
500mL 스테인리스제 반응기에 아크릴산 메틸 173g(2.01mol),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167g(1.26mol)을 투입하고 195℃에서 2시간 반응을 행했다. 상기 반응에 의해, 하기 식(4a)로 표시되는 모노올레핀 96g을 함유하는 반응액을 취득하고, 이것을 증류 정제한 후, 일부를 이하의 반응에 제공했다.
300mL 스테인리스제 반응기를 사용하고, 증류 정제한 식(4a)로 표시되는 모노올레핀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을 CO/H2 혼합 가스(CO/H2 몰비=1)를 이용해서 행했다. 반응기에 식(4a)로 표시되는 모노올레핀 70g, 톨루엔 140g, 아인산 트라이페닐 0.50g, 별도 조제한 Rh(acac)(CO)2의 톨루엔 용액 550μL(농도 0.003mol/L)를 가했다. 질소 및 CO/H2 혼합 가스에 의한 치환을 각각 3회 행한 후, CO/H2 혼합 가스로 계 내를 가압하여, 100℃, 2MPa에서 5시간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행하여, 식(3a)로 표시되는 화합물 76g, 식(4a)로 표시되는 모노올레핀 1.4g을 포함하는 반응액(전화율 98%, 선택률 97%)인 것을 확인함과 더불어, 이것을 증류 정제한 후, 일부를 이하의 반응에 제공했다.
300mL 스테인리스제 반응기에 증류 정제한 식(3a)로 표시되는 화합물 54g, 스펀지 코발트 촉매(닛코리카 주식회사제: R-400) 7mL, 톨루엔 109g을 첨가하고, 수소 가스로 계 내를 가압하여, 3MPa, 100℃에서 9시간 반응을 행했다. 반응 후, 얻어진 슬러리로부터, 공경 0.2μm의 멤브레인 필터로 촉매를 여과했다. 그 후, 증발기를 사용해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및 GC-MS로 분석하여, 분자량 250의 식(2a)로 표시되는 주 생성물 51g을 함유하는 것이 확인되었다(주 생성물 수율 93%). 이것을 추가로 증류 정제하여, 주 생성물(D-NHEs)을 취득했다.
[화학식 9]
Figure 112019041189322-pct00009
<생성물의 동정>
모노머 합성예에서 취득한 성분의 NMR 분석을 행했다. NMR 스펙트럼을 도 1∼3에 나타낸다. 이하에 나타내는 GC-MS 분석, 및 도 1∼3의 NMR 분석의 결과로부터, 모노머 합성예에서 얻어진 주 생성물은 상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분석 방법>
1)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조건
· 분석 장치 : 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제 캐필러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GC-2010 Plus
· 분석 컬럼 : 지엘사이언스 주식회사제, InertCap1(30m, 0.32mm I.D., 막 두께 0.25μm)
· 오븐 온도 : 60℃(0.5분간) - 15℃/분 - 280℃(4분간)
· 검출기 : FID, 온도 280℃
2) GC-MS 측정 조건
· 분석 장치 : 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제, GCMS-QP2010 Plus
· 이온화 전압 : 70eV
· 분석 컬럼 : Agilent Technologies제, DB-1(30m, 0.32mm I.D., 막 두께 1.00μm)
·오븐 온도 : 60℃(0.5분간) - 15℃/분 - 280℃(4분간)
3) NMR 측정 조건
·장치 : 니혼전자 주식회사제, JNM-ECA500(500MHz)
·측정 모드 : 1H-NMR, 13C-NMR, COSY-NMR
·용매 : CDCl3(중클로로폼)
·내부 표준 물질 : 테트라메틸실레인
〔폴리에스터 수지의 합성〕
<실시예 1∼8>
교반기, 가열 장치, 질소 도입관 및 콜드 트랩을 구비한 소형 폴리에스터 제조 장치에, 표 1에 기재된 양의 원료 모노머 및 타이타늄(IV) 테트라뷰톡사이드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240∼250℃까지 승온하고, 교반했다. 해당 온도에서 5시간 이상 유지한 후, 승온과 감압을 서서히 행하여, 최종적으로 260∼270℃, 0.1kPa 이하에서 유지했다. 적당한 용융 점도가 된 시점에서 장치 내에 질소를 취입하여 상압으로 하고, 생성된 폴리에스터 수지를 회수했다.
폴리에스터 수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교반기, 가열 장치, 질소 도입관, 분축기, 전축기 및 콜드 트랩을 구비한 폴리에스터 제조 장치에, 표 1에 기재된 양의 원료 모노머 및 옥틸산 주석(II)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 240∼250℃까지 승온하고, 교반했다. 해당 온도에서 5시간 이상 유지한 후, 승온과 감압을 서서히 행하여, 최종적으로 260∼270℃, 0.1kPa 이하에서 유지했다. 적당한 용융 점도가 된 시점에서 장치 내에 질소를 취입하여 상압으로 하고, 생성된 폴리에스터 수지를 회수했다.
폴리에스터 수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및 3>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하기의 시판품을 구입하여,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2: Eastar(등록상표) 5011(Eastman Chemical사제)
·비교예 3: 유피론(등록상표) S-2000(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주)제)
〔광학 필름의 제작〕
<실시예 1∼8>
용액 캐스트법으로 두께 약 100μm의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를 다이클로로메테인에 5wt%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수평을 확인한 금형에 수지 용액을 흘려 넣고, 서서히 다이클로로메테인을 휘발시켜서, 금형 상에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은, 금형으로부터 박리한 후, 건조기에서 유리 전이 온도보다 20℃ 낮은 온도에서 충분히 건조를 실시했다.
광학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열프레스 성형으로 두께 150∼250μm의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에 수지를 3g 놓고,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120∼140℃ 높은 온도로 설정한 프레스 성형기로, 50∼100kgf/cm2의 압력하, 2분간 프레스를 행했다. 소정 시간 경과 후, 냉각수를 통수한 냉각용 프레스 성형기에 신속하게 금형을 이동하여, 100kgf/cm2의 압력하, 2분간 프레스를 행했다. 소정 시간 경과 후, 냉각용 프레스 성형기로부터 금형을 취출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한편, 얻어진 광학 필름은, 건조기에서 유리 전이 온도보다 20℃ 낮은 온도에서 10시간 어닐링 처리를 실시했다.
제막 시에 있어서의 백화 현상의 진행이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 불량에 의해, 용액 캐스트법으로의 광학 필름 제작이 불가했던 것에 대해서는, 열프레스 성형으로 필름을 제작했다.
Figure 112019041189322-pct00010
한편, 표 중의 약기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D-NHEs: 데카하이드로-1,4:5,8-다이메타노나프탈렌-2-메톡시카보닐-6(7)-메탄올
DMCD: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다이메틸(시스체/트랜스체=7/3)
FDPM: 9,9-비스(2-메톡시카보닐에틸)플루오렌(「플루오렌다이프로피온산 다이메틸」이라고도 함)
DMT: 테레프탈산 다이메틸
CHDM: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시스체/트랜스체=3/7)
EG: 에틸렌 글라이콜
BPEF: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비스페녹시에탄올 플루오렌」이라고도 함)
BPA-PC: 비스페놀 A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출원은 2016년 9월 28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6-190300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여, 특히 이들 물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이용 용도에 대해서는, 그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분야이면 특별히 제약은 없고,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판 외에, 예를 들면, 시야각 확대 필름,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또는 무기의 전기발광 표시 장치 또는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RT, 액정 프로젝터,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광 픽업 광학계, 터치 패널,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공업적 의의는 크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단위(A)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가 갖는 전체 구성 단위에 대한 상기 단위(A)의 함유량이 61 내지 100mol%인 광학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22012579226-pct00011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CH3 또는 C2H5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n은 1이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 있어서의 R1, R2 및 R3이 수소 원자인, 광학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가 하기 (1) 및 (2)를 만족시키고, 상기 광학 필름이 하기 (3)을 만족시키는, 광학 필름.
    (1)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90℃ 이상이다.
    (2)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의 강온(降溫) 시 결정화 발열량이 5J/g 이하이다.
    (3) 상기 광학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40×10-12Pa-1 이하이다.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 편광판 또는 타원 편광판.
KR1020197011549A 2016-09-28 2017-09-27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KR102439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0300 2016-09-28
JPJP-P-2016-190300 2016-09-28
PCT/JP2017/035073 WO2018062326A1 (ja) 2016-09-28 2017-09-27 光学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557A KR20190058557A (ko) 2019-05-29
KR102439915B1 true KR102439915B1 (ko) 2022-09-02

Family

ID=6176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549A KR102439915B1 (ko) 2016-09-28 2017-09-27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16232B2 (ko)
EP (1) EP3521876B1 (ko)
JP (1) JP6961174B2 (ko)
KR (1) KR102439915B1 (ko)
CN (1) CN109791245B (ko)
TW (1) TWI732948B (ko)
WO (1) WO2018062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575A1 (ja) 2018-01-23 2019-08-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成形体
WO2019194117A1 (ja) * 2018-04-04 2019-10-1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12585512B (zh) * 2018-08-17 2023-06-30 大阪燃气化学有限公司 相位差膜及其制造方法
TWI679474B (zh) * 2018-10-23 2019-12-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防漏光膜總成及應用該防漏光膜總成的顯示器
EP3940432B1 (en) * 2019-03-15 2023-02-1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ester carbonate resin, and molded body which is obtained by mold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id res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917A (ja) * 2005-12-15 2007-06-28 Teijin Ltd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樹脂
JP2007213043A (ja) 2006-01-16 2007-08-23 Mitsubish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液晶パネル及び画像表示機器
JP2007224281A (ja) 2006-01-24 2007-09-06 Toray Ind Inc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35874A1 (ja) * 2010-09-14 2012-03-2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ノルボルナン骨格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936A (ja) * 1988-09-30 1990-04-03 Kuraray Co Ltd 透明樹脂または透明成形品の製造方法
JPH02253201A (ja) * 1989-03-27 1990-10-12 Kuraray Co Ltd 光学用成形品
JPH0643301A (ja) * 1992-07-23 1994-02-18 Kuraray Co Ltd 光学部品
JP5286644B2 (ja) 2005-12-27 2013-09-11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これを含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24446B2 (ja) * 2010-03-05 2015-11-25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99070A (ko) * 2010-08-25 2013-09-05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JP6023402B2 (ja) * 2010-12-27 2016-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84385B2 (ja) 2015-03-31 2018-09-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CN107614569B (zh) * 2015-05-27 2021-01-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聚酯树脂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917A (ja) * 2005-12-15 2007-06-28 Teijin Ltd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樹脂
JP2007213043A (ja) 2006-01-16 2007-08-23 Mitsubish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液晶パネル及び画像表示機器
JP2007224281A (ja) 2006-01-24 2007-09-06 Toray Ind Inc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35874A1 (ja) * 2010-09-14 2012-03-2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ノルボルナン骨格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3523A1 (en) 2020-01-30
EP3521876A1 (en) 2019-08-07
EP3521876A4 (en) 2019-09-25
CN109791245B (zh) 2021-06-15
JP6961174B2 (ja) 2021-11-05
US11016232B2 (en) 2021-05-25
TWI732948B (zh) 2021-07-11
TW201816425A (zh) 2018-05-01
JPWO2018062326A1 (ja) 2019-07-11
EP3521876B1 (en) 2021-06-23
KR20190058557A (ko) 2019-05-29
CN109791245A (zh) 2019-05-21
WO2018062326A1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915B1 (ko)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KR102439383B1 (ko) 광학 렌즈
TWI725237B (zh) 光學用聚酯薄膜及透明導電性薄膜
TWI687451B (zh) 聚酯樹脂及其製造方法
KR102357461B1 (ko)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KR102655030B1 (ko) 성형체
JP2019026752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TW202104350A (zh) 熱塑性樹脂、成形體、以及熱塑性樹脂用單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