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544B1 -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 Google Patents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544B1
KR102437544B1 KR1020210011608A KR20210011608A KR102437544B1 KR 102437544 B1 KR102437544 B1 KR 102437544B1 KR 1020210011608 A KR1020210011608 A KR 1020210011608A KR 20210011608 A KR20210011608 A KR 20210011608A KR 102437544 B1 KR102437544 B1 KR 10243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ming
wall panel
panel
rollers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522A (ko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5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판넬의 단부에서 외측 판넬의 단부를 절곡하여 그 상측에 제공된 스페이서의 플랜지에 결합시키는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헤밍기(100)를 포함하며, 상기 헤밍기(100)는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롤러(131)들과 그 상측에서 각각의 지지롤러들에 대응되게 배치된 성형롤러(132)들을 구비하는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를 포함하며, 헤밍기가 벽체판넬 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지지롤러(131)들과 성형롤러(132)들 사이에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하측 판넬의 단부가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로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헤밍작업을 수행하도록 됨으로써, 벽체판넬과 같은 벽체판넬의 단부 헤밍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종래 헤밍장치에서 보다 작은 가압력으로도 헤밍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헤밍장치의 구동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다이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가 단순화되고 필요에 따라 손상된 지지롤러 또는 성형롤러만 교체할 수 있어 보수유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APPARATUS FOR HEMMING WALL PANEL OF ASSEMBLY HOUSING}
본 발명은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주택용의 벽체판넬을 형성하는 판넬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절곡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밍(hemming)은 아우터와 인너 판넬들의 끝단부를 접어서 감싸는 식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 예를들어 차량의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에서 인너판넬과 아우터 판넬들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헤밍이 널리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공장이나 주택의 건물벽체로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에서 인너와 아우터 판넬들을 그 사이에 제공되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기계적으로 결합하는데도 이용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골조프레임에 조립되는 벽재, 바닥재 및 천정재는 인너와 아우터 판넬들이 프레임 또는 스페이서 양측에 고정되고 그 외측 단부들이 헤밍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인너와 아우터 판넬들 사이 공간에 발포성 단열재가 충진되어 방음, 방습, 단열 및 보온 등의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너와 아우터 판넬의 단부들을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종래 헤밍 방식은 프레스 타입의 전용기에 해당 패널의 금형을 장착하고, 금형 내부로 외부패널과 내부패널을 투입한 다음, 프레스 금형을 하강시켜 패널 단부를 접어서 결합하는 것이었으나, 이러한 헤밍 방식에는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고가의 금형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설비투자 비용이 큰 문제가 있고, 프레스 금형 설비의 크기가 커서 공장 내부에서의 레이아웃 구성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프레스 타입의 헤밍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309518호(등록일자 2013년09월11일)에는 다관절 암으로 이루어진 로봇의 암 선단에 헤밍 롤러 툴이 장착되며, 상기 로봇의 거동에 따라 상기 헤밍롤러 툴을 이용하여 내부패널의 선단에 외부패널의 플랜지부를 헤밍 성형하는 롤러 헤밍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밍 롤러 툴은 일단이 상기 로봇의 암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축선방향 끝단에 결합되며 제1 가압면을 갖는 제1 헤밍 롤러; 상기 고정 블록에 가이드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 블록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의 축선방향 끝단에 결합되며 제2 가압면을 갖는 제2 헤밍 롤러; 및 상기 고정 블록과 이동 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헤밍 롤러들을 통해 외부패널의 플랜지부를 1차로 헤밍 예비 성형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2 헤밍 롤러를 통해 외부패널의 플랜지부를 2차로 헤밍 성형 완료시키는 롤러 헤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로봇 타입의 롤러헤밍장치는 판넬의 양측과 전후측의 패널 플렌지부들을 헤밍하기 위하여 고가의 로봇들을 구비해야 하므로, 과도한 초기 설비비용의 부담이 큰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09518호(등록일자 2013년09월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 헤밍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헤밍기가 프레임 위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롤러들과 그 상측에서 각각의 지지롤러들에 대응되게 배치된 성형롤러들에 의해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하측 판넬의 단부가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로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헤밍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헤밍작업을 수행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는 벽체판넬의 단부에서 외측 판넬의 단부를 절곡하여 그 상측에 제공된 스페이서의 플랜지에 결합시키는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헤밍기를 포함하며, 상기 헤밍기는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롤러들과 그 상측에서 각각의 지지롤러들에 대응되게 배치된 성형롤러들을 구비하는 하부 헤밍롤러조립체를 포함하며, 헤밍기가 벽체판넬 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지지롤러들과 성형롤러들 사이에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하측 판넬의 단부가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로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헤밍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롤러들의 외측단부에는 직경이 감소되게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들은 지지롤러의 외주면에 대한 경사도가 단계적으로 더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상측 판넬의 단부를 절곡하여 스페이서의 상측 플랜지에 헤밍결합시키도록 복수개의 성형롤러가 대응되게 지지롤러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헤밍롤러조립체의 성형롤러들의 돌출부들과 동일하게 돌출부들이 상기 성형롤러들에 형성된 상부 헤밍롤러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헤밍롤러조립체가 상면에 고정되고 저면에 가동블럭이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이격되어 고정된 양 측부들과, 그 측부들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의 상면에 설치된 모터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출력축들의 각 단부에는 헬리컬기어가 제공되고, 상기 헬리컬기어와 직각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헬리컬기어의 축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에는 상부 헤밍롤러조립체가 양측의 측부 내측에 제공된 가이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밍기는 프레임에 고정된 서브프레임 상면에서 돌출되고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부재들 각각의 위에 고정된 엘엠가이드(LM GUIDE)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저면에는 가동블럭이 제공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볼스크류에 의해 상기 엘엠가이드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벽체판넬의 판넬을 내측에 제공된 스페이스의 플랜지에 결합시켜 헤밍하도록 된다.
벽체판넬의 판넬을 헤밍하기 위해 상기 헤밍기로 이송된 벽체판넬을 고정하도록 상기 헤밍기의 전측에 장착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프레임의 상부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들의 하단에 장착된 상부 클램핑부재, 프레임의 하부의 상면에 장착된 실린더의 상단에 장착된 하부 플램핑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는 클램프에 의해 벽체판넬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단부를 따라 헤밍기가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의 지지롤러(111)들과 성형롤러(112)들,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지지롤러(131) 성형롤러(132)들에 의해 자동으로 벽체 판넬과 같은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에 상하측의 판넬들의 단부들이 동시에 점차적으로 절곡되어 맞물림으로써 헤밍결합되므로, 벽체판넬의 단부 헤밍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다이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지지롤러들과 성형롤러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판넬 단부가 절곡되므로, 종래 헤밍장치에서 보다 작은 가압력으로도 헤밍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헤밍장치의 구동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화되고 필요에 따라 손상된 지지롤러 또는 성형롤러만 교체할 수 있어 보수유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의 헤밍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 헤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하부 헤밍롤러조립체의 지지롤러와 헤밍롤러들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헤밍장치에 의한 벽체판넬의 단부를 헤밍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4에서 상하부 헤밍롤러조립체들의 지지롤러와 헤밍롤러들에 의해 벽체판넬의 상하측 판넬들이 그 사이에 제공된 스페이서의 플랜지들에 절곡되어 헤밍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상하부 헤밍롤러조립체들의 마지막 지지롤러와 헤밍롤러들에 의해 상하측 판넬들이 스페이서의 플랜지에 최종 헤밍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벽체판넬'은 판넬들 사이에 스페이서가 제공되어 결합된 벽체판넬 조립체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는 프레임(1)과, 그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헤밍기(100), 상기 헤밍기(100)의 앞쪽에서 컨베이어(2)의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된 클램프(170)를 포함한다.
상기 헤밍기(100)는 프레임(1)에 고정된 서브프레임 상면에서 돌출되고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부재(113)들 각각의 위에 고정된 엘엠가이드(LM GUIDE)(114)에서 베이스부(10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밍기의 베이스부 저면에는 가동블럭이 제공되어 모터(115)로 구동되는 볼스크류(116)에 의해 상기 엘엠가이드(114)를 따라 도면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헤밍기(100)는 저면에 가동블럭이 설치된 베이스부(101)와, 상기 베이스부(101) 상에 이격되어 고정된 양 측부(102)들과, 그 측부(102)들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10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103)에는 모터(140)와, 모터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출력축(141)들의 각 단부에는 헬리컬기어(142)가 제공되고, 그 헬리컬기어(142)와 직각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헬리컬기어(143)의 축(144)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축(144)의 하단에는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가 양측의 측부(102) 내측에 제공된 가이드(105)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고정된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가 설치된다.
상기 양 측부(102)들과 상부(103)에 결합된 수직의 지지부재에 두개의 모터(150,160)들이 제공되고, 상기 모터(150)는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의 롤러들을 구동하며, 상기 모터(160)는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롤러들을 구동한다.
상기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는 수평의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8개의 지지롤러(111)과, 상기 지지롤러(111)들에 근접하여 판넬을 절곡하도록 배치된 성형롤러(112)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롤러(111)들의 축의 반대쪽에 제공된 기어들중 중 하나는 상기 모터(150)와 전동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두개의 인접한 지지롤러(111)들의 축에 제공된 기어들 사이에는 전동기어(117)들이 제공되어 함께 동일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는 위에서 설명한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와 동일한 구조로, 즉 8개의 지지롤러(111)들과 성형롤러(112)들 각각에 대응되게 8개의 지지롤러(131)들과 그 상측에 배치된 성형롤러(132)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롤러(131)들의 축 뒤쪽에 제공된 기어들중 하나가 모터(150)와 전동벨트로 구동되며, 상기 지지롤러(131)들 각각의 축 단부에 제공된 기어들 사이에 전동기어(133)가 제공되어 함께 동일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들과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는 각각 벽체판넬의 스페이서 상면과 저면에 제공된 판넬 단부들을 스페이서의 상하측에 형성된 플랜지를 헤밍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지지롤러(131)들 각각은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지지롤러들의 상측에 각각 배치된 성형롤러(132)들의 외측단부에는 직경이 감소되게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32-1 ~13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롤러(132)들의 돌출부(132-1 ~132-8)들은 지지롤러(131)의 외주면에 대한 경사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지롤러(131)들과 성형롤러(132)의 돌출부(132-1 ~132-8)들 사이에 배치되는 벽체판넬 하측의 판넬의 단부가 스페이서의 하측의 플랜지에 헤밍결합되게 한다.
상기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의 지지롤러(111)들과 성형롤러(112)들 또한, 상기한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지지롤러(131)들과 성형롤러(132)들과 동일한 구조로 되고, 성형롤러(112)들에도 성형롤러(132)들의 돌출부(132-1 ~132-8)들과 동일하게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만 성형롤러(112)가 지지롤러(111) 하측에 배치된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로 벽체판넬의 상하측 판넬 단부들을 그 사이에 제공된 프레임 또는 스페이서의 외측 플랜지와 헤밍결합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판넬(10)은 전후 및 양측 단부에 제공된 스페이서(13)의 상하측에 상부판넬(11)과 하부판넬(12)이 용접되어 결합된 상태로 컨베이어에 의해 본 발명의 헤밍장치로 이송되며, 벽체판넬의 단부가 진입되며, 이때, 헤밍장치의 전측에 장착된 클램프(17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170)는 프레임의 상부의 저면에서 이격되어 고정된 두개의 실린더(171)와, 상기 실린더들의 하단에 장착된 상부 클램핑부재(172), 프레임의 하부의 상면에 장착된 실린더(173)의 상단에 장착된 하부 플램핑부재(174)를 포함하며, 벽체판넬의 단부가 헤밍을 위해 진입되면, 상기 상부클램핑부재(172)와 하부 클램핑부재(174)가 각각 하방과 상방으로 이동하여 벽체판넬의 상부판넬(11)과 하부판넬(12)를 프레싱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벽체판넬이 클램프(17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헤밍기(100)는 모터(115)가 구동하여 볼스크류(116)에 의해 엘엠가이드(114)들에서 가이드되어 벽체판넬의 단부를 따라 이동면서,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들과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에 의해 벽체판넬의 스페이서 상면과 저면에 제공된 상하부판넬 단부들을 스페이서의 상하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대해 절곡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하부 성형롤러(132)들의 돌출부(132-1 ~132-8)들과 지지롤러(131)들이 벽체판넬의 하측 판넬의 단부를 상하면과 접촉되면서 이동함에 따라 하측 판넬의 단부는 점차적으로 각도가 작아지면서 돌출부(132-7)에서는 지지롤러(131)와 같은 평행하게 되어 스페이서의 플랜지 상면위로 중첩되는 상태로 절곡되며, 최종적으로는 돌출부(132-8)의 외측단부가 내측 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로 중첩되게 절곡된 하측 판넬의 절곡된 단부는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하부 판넬의 단부가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위에서는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에 의해 벽체판넬의 하측 판넬이 스페이서의 플랜지에 헤밍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측 판넬도 하측 판넬의 헤밍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동시에 스페이서의 상측 플랜지 위로 절곡되어 헤밍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밍장치는 클램프에 의해 벽체판넬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단부를 따라 헤밍기가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의 지지롤러(111)들과 성형롤러(112)들,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지지롤러(131) 성형롤러(132)들에 의해 자동으로 벽체 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에 상하측의 판넬들의 단부가 점차적으로 절곡되어 맞물림으로써 헤밍결합되므로, 벽체판넬의 단부 헤밍작업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헤밍기에서는 지지롤러들과 성형롤러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판넬 단부가 절곡되므로, 종래 헤밍장치에서 보다 작은 가압력으로도 헤밍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헤밍장치의 구동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별도의 다이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화되고 필요에 따라 손상된 지지롤러 또는 성형롤러만 교체할 수 있어 보수유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로 벽체판넬의 헤밍작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벽체판넬, 즉 평판 형태의 단부를 갖는 벽체판넬에서의 헤밍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은 벽체판넬과 같은 벽체판넬의 단부를 절곡하여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헤밍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헤밍기 110 : 상부 헤밍롤러조립체
111,131 : 지지롤러 112,132 : 성형롤러
130 : 하부 헤밍롤러조립체
170 ; 클램프

Claims (6)

  1. 벽체판넬 단부의 스페이서 상면과 저면에 제공된 상하부판넬 단부들을 스페이서의 상하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대해 절곡하여 결합시키도록, 프레임(1)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헤밍기(100)와, 헤밍기(100)로 이송된 벽체판넬을 고정하도록 헤밍기(100)의 전측에 장착된 클램프(170)를 포함하며, 상기 헤밍기(100)는 저면에 가동블럭이 설치된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고정되고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롤러(131)들과, 각각의 지지롤러들에 대응되게 상측에 배치된 성형롤러(132)들을 구비하는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와, 상기 베이스부(101) 상에 이격되어 고정된 양 측부(102)들과, 상기 측부(102)들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103),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상측 판넬의 단부를 절곡하여 스페이서의 상측 플랜지에 헤밍결합시키도록 복수개의 성형롤러(112)가 대응된 지지롤러(111)들 하측에 배치된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를 구비하여 벽체판넬의 단부에 헤밍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러(132)들의 외측단부에는 직경이 감소되게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32-1 ~132-8)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32-1 ~132-8)들은 지지롤러(131)의 외주면에 대한 경사도가 단계적으로 더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성형롤러(112)들에도 상기 하부 헤밍롤러조립체(130)의 성형롤러(132)들의 돌출부(132-1 ~132-8)들과 동일하게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헤밍기가 벽체판넬 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지지롤러(131)들과 성형롤러(132)들 사이에 벽체판넬의 단부에 제공된 하측 판넬의 단부가 스페이서의 플랜지 위로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헤밍작업을 수행하도록 되고,
    상기 상부(103)의 상면에 설치된 모터(140)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출력축(141)들의 각 단부에는 헬리컬기어(142)가 제공되고, 상기 헬리컬기어(142)와 직각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맞물리는 헬리컬기어(143)의 축(144)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축(144)의 하단에는 상부 헤밍롤러조립체(110)가 양측의 측부(102) 내측에 제공된 가이드(105)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밍기(100)는 프레임(1)에 고정된 서브프레임 상면에서 돌출되고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부재(113)들 각각의 위에 고정된 엘엠가이드(LM GUIDE)(114)에서 베이스부(10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01)의 저면에는 가동블럭이 제공되어 모터(115)로 구동되는 볼스크류(116)에 의해 상기 엘엠가이드(114)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벽체판넬의 판넬을 내측에 제공된 스페이스의 플랜지에 결합시켜 헤밍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6. 삭제
KR1020210011608A 2021-01-27 2021-01-27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KR10243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08A KR102437544B1 (ko) 2021-01-27 2021-01-27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08A KR102437544B1 (ko) 2021-01-27 2021-01-27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22A KR20220108522A (ko) 2022-08-03
KR102437544B1 true KR102437544B1 (ko) 2022-08-29

Family

ID=8284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08A KR102437544B1 (ko) 2021-01-27 2021-01-27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5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76Y1 (ko) 2002-08-03 2002-11-23 장용범 철제도어용 다종 롤벤딩 장치
KR100634837B1 (ko) * 2005-10-14 2006-10-16 신창영 헤밍장치
KR100935126B1 (ko) 2008-12-10 2010-01-06 최선일 디퓨져의 상부 커버용 성형 가공장치
KR101619827B1 (ko) 2015-01-15 2016-05-13 주식회사 새한산업 폭 가변 롤 포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216U (ko) * 1986-10-13 1988-04-25
KR0183580B1 (ko) * 1995-12-22 1999-04-01 김태구 천정사이드패널의 성형기
KR100732146B1 (ko) * 2005-10-28 2007-06-28 엄상용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KR100887700B1 (ko) * 2007-10-29 2009-03-11 엄상용 멀티 사양 포밍기
KR20090010623U (ko) * 2008-04-15 2009-10-20 강화구 혼류 생산 방식의 냉간 롤 성형기
KR101028727B1 (ko) * 2008-07-10 2011-04-1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 패널용 헤밍장치
KR101309518B1 (ko) 2013-05-15 2013-09-23 에너지움 주식회사 롤러 헤밍 장치
KR101888294B1 (ko) * 2017-01-17 2018-08-14 (주)제일포밍 건축물 지붕용 빗물받이 성형장치
KR102191107B1 (ko) * 2018-12-31 2020-12-1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지그형 헤밍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76Y1 (ko) 2002-08-03 2002-11-23 장용범 철제도어용 다종 롤벤딩 장치
KR100634837B1 (ko) * 2005-10-14 2006-10-16 신창영 헤밍장치
KR100935126B1 (ko) 2008-12-10 2010-01-06 최선일 디퓨져의 상부 커버용 성형 가공장치
KR101619827B1 (ko) 2015-01-15 2016-05-13 주식회사 새한산업 폭 가변 롤 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22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14B1 (ko) 와이어 인출 및 자동 절단이 가능한 건설용 철근 선조립 구조물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437544B1 (ko)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CN110181217A (zh) 一种用于电池模组焊接的定位设备
CN115780590A (zh) 一种减少回弹的金属薄板折弯机及使用方法
KR102437542B1 (ko) 각도조정가능한 헤밍장치
KR102437551B1 (ko) 헤밍시스템
CN116967684A (zh) 一种焊接式免折弯机箱壳体一次成型模及成型方法
KR101738463B1 (ko) 전기식 절곡기
CN109774110B (zh) 一种高效加热的薄膜拉伸装置
CN114769382A (zh) 一种c型钢加工设备及加工工艺
KR101194845B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성형기 및 그를 통해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골조
KR100844908B1 (ko) 브랜치 부스바 제조를 위한 벤딩 금형장치
CN109604491B (zh) 一种基于成型机的料片成型方法
CN100586702C (zh) 拼卷机及使用该拼卷机的加工方法
KR200175192Y1 (ko) 건축용 복합판넬의 벤딩기
CN219542049U (zh) 一种压紧机构
CN217858170U (zh) 一种彩钢板外遮沿成型装置
CN218191834U (zh) 一种配电柜生产板材弯折装置
CN117583433B (zh) 一种地铁隧道c型钢预埋件折弯装置
CN217912274U (zh) 一种用于角钢生产的冷床上料预弯装置
CN216779942U (zh) 一种新型简易方管弯曲系统
CN218903169U (zh) 用于槽形踏步板折弯成形的模具
CN216607754U (zh) 一种臂架焊接顶板定位工装
KR100388544B1 (ko) 송풍기 케이싱의 압접장치
CN214954664U (zh) 一种模块化设计工具和生产协作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