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146B1 -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 Google Patents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146B1
KR100732146B1 KR1020050102321A KR20050102321A KR100732146B1 KR 100732146 B1 KR100732146 B1 KR 100732146B1 KR 1020050102321 A KR1020050102321 A KR 1020050102321A KR 20050102321 A KR20050102321 A KR 20050102321A KR 100732146 B1 KR100732146 B1 KR 10073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late material
fire door
transfer table
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727A (ko
Inventor
엄상용
Original Assignee
엄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용 filed Critical 엄상용
Priority to KR102005010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1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내/외판 판소재의 좌/우측을 포밍기를 이용하여 포밍함에 있어서, 여러 사양의 판소재에서 같은 형상의 포밍부를 하나의 포밍기를 통하여 성형토록 하고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포밍 배송되어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인력과 시간이 현저히 절감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다양한 사양 방화문의 포밍이 단촐한 규모의 설비로서 가능하게 하여 시설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점유면적을 감축시켜 공장의 공간활용도를 현저히 높여주고 관리가 용이토록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내판 및 외판 판소재를 복수의 롤러가 조합 구성되는 포밍기를 이용하여 절곡하는 방화문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가 운반되기 위한 미끄럼부재가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좌/우측에 복수 사양의 판소재가 포밍되도록 복수의 포밍기;가 내향하여 배설되며, 상기 복수의 포밍기는 판소재의 좌/우측 포밍부 중 어느 일측이 먼저 포밍된 후 배송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일측이 포밍되도록 하나의 판소재 좌/우 포밍기가 이송테이블의 좌우에 엇갈려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A FORMING SYSTEM FOR GENERAL PURPOSE TYPE DOOR}
도 1은 일반적인 방화문의 단면 구성도로서,
a도는 외닫이식 방화문 제1사양의 단면 및 내판과 외판 분해도
b도는 외닫이식 방화문 제2사양의 단면 및 내판과 외판 분해도
c도는 양개식 방화문 제3사양의 단면 및 내판과 외판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운용상태를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10: 이송테이블 11: 롤러 15: 이동통로
30(30A,30B,30C,30D,30D'): 포밍기 31: 가이드벽
200: 외닫이식 방화문 300: 양개식 방화문
본 발명은 방화문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화문 내/외판 판소재의 좌/우측을 포밍기를 이용하여 포밍함에 있어서, 여러 사양의 판소재에서 같은 형상의 포밍부를 하나의 포밍기를 통하여 성형토록 하고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포밍 배송되어 재고가 방지되며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인력과 시간이 현저히 절감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다양한 사양 방화문의 포밍이 단촐한 규모의 설비로서 가능하게 하여 시설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점유면적을 감축시켜 공장의 공간활용도를 현저히 높여주고 관리가 용이토록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문 또는 빌딩 사무실의 출입문 등으로 사용되는 철제 방화문은 건축물에 따라 문이 하나만 설치되는 외닫이식, 두 개의 문이 양측으로 여닫히는 양개(兩開)식 등 사양이 다양하며, 내판과 외판으로 각각 분리형성되어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방화문의 제조는 철판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도어록 삽입공, 자물쇠 및 힌지구멍을 형성하는 프레스 타공공정과, 철판의 가장자리를 내외판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절곡 포밍공정과, 내판과 외판 및 내부 충전재인 하니컴을 부착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방화문의 포밍구성을 보이는 일반적인 사양들의 단면도와 그 단면도 의 외판과 내판을 분리 도시한 것으로서, 분리도의 일부는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꾸로 도시되기도 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은 내판과 외판의 치수 및 포밍형상이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사양에 따라서도 달라지며, 어느 것이나 하나의 판소재 상에서 보면 좌우 양단부가 포밍된다.
상기 외닫이식은 제1사양으로서 도 1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포밍 접합부가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그런데 상기 제1사양(100)은 접혀 들어가는 길이가 외판(110)이 더 크기 때문에 외판(110)과 내판(120)의 규격이 상이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내판과 외판의 규격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도 1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닫이식 제2사양(200)이 널리 채택되고 있는 추세이다(도면부호 210은 외판, 220은 내판임).
또한, 상기 양개식은 도 1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볼 때 좌측문과 우측문이 설치되며 좌측문의 경우에는 상기 제1사양이나 제2사양을 돌려놓은 형태와 동일하고, 우측문이 상기 사양들과 또 다른 제3사양(300)으로서, 두 접합부가 모두 전방으로 위치된다 (도면부호 310은 외판, 320은 내판임).
이와 같은 방화문의 절곡 포밍은 다수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점진적으로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되는 포밍기를 통하여 수행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의 외판 내판을 서로 다른 작업위치에서 일괄 포밍한 후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판소재의 적재 및 운반과정이 추가되는 등으로 생산성이 매우 낮고 재고가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공개번호 제10-2004-0011957호 "방화문 제조 공정용 포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베드(100)상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소재를 반송하는 롤러부(200)가 설치되고, 진행방향으로 외판 포밍부(310)와 내판 포밍부(320)가 설치되며, 상기 외판 포밍부 또는 내판 포밍부는 각각 상기 롤러부의 양측에 철판의 좌우양단을 포밍하기 위한 포밍기(510)가 대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메인베드(100)에는 각 포밍기(510)를 메인베드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710)(7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롤러부(200)를 타고 외판소재가 진입되면 외판 포밍부(310)의 포밍기(510)가 양측에서 폭방향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외판의 좌우 양측이 동시에 절곡포밍되고, 포밍이 완료된 후 내판 포밍부(320)를 통과할 때는 내판 포밍부의 포밍기가 좁혀들지 않아 간섭없이 배송되고, 내판의 포밍시에는 외판 포밍부(310)의 포밍기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판소재를 간섭하지 않으며, 내판 포밍부에 이르면 역시 내판 포밍부(320)의 양측에서 포밍기(510)가 폭방향 내측으로 이동되어 내판의 좌우 양측 포밍이 동시에 이루어져 배송됨으로써 제원 입력만으로 외판과 내판의 포밍이 교대로 수행되어 포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상당한 중량체인 포밍기(510)가 메인베드(100)의 폭방향으로 반복 이동되어야 함으로써 에너지가 낭비되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최소 시 설비용이 고가로 되고, 전자동제어됨으로써 고장 발생시 전체 설비를 모두 검사해야되는 등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한가지 사양 방화문의 포밍만 가능할 뿐이어서 예를 들면 두 가지 사양을 위하여는 또 다른 장치가 별도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비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점유공간을 크게 차지하여 공장의 공간활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 내/외판 판소재의 좌/우측을 포밍기를 이용하여 포밍함에 있어서, 여러 사양의 판소재에서 같은 형상의 포밍부를 하나의 포밍기를 통하여 성형토록 하고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포밍 배송되어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인력과 시간이 현저히 절감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양 방화문의 포밍이 단촐한 규모의 설비로서 가능하게 하여 시설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점유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축시켜 공장의 공간활용도를 현저히 높여주고 관리가 용이토록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은, 방화문의 내판 및 외판 판소재를 복수의 롤러가 조합 구성되는 포밍기를 이용하여 절곡하는 방화문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가 운반되기 위한 미끄럼부재가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좌/우측에 복수 사양의 판소재가 포밍되도록 복수의 포밍기;가 내향하여 배설되며,
상기 복수의 포밍기는 판소재의 좌/우측 포밍부 중 어느 일측이 먼저 포밍된 후 배송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일측이 포밍되도록 하나의 판소재 좌/우 포밍기가 이송테이블의 좌우에 엇갈려 배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외닫이 사양 방화문의 외판 일측 포밍부를 제2-1포밍부, 타측을 제2-2포밍부라 하고, 내판의 일측은 제2-3포밍부, 타측을 제2-4포밍부라 하며, 양개 사양 방화문의 외판 일측 포밍부를 제3-1포밍부, 타측을 제3-2포밍부라 하고, 내판의 일측은 제3-3포밍부, 타측을 제3-4포밍부라고 할 때,
상기 포밍기는 이송테이블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제2-1포밍부와 제3-3포밍부를 성형하기 위한 A포밍기가 배치되고 상기 A포밍기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제2-4포밍부를 위한 D포밍기가 배치되며, 상기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 위치에 상기 제3-4포밍부를 위한 D'포밍기가 배치되고, 상기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 위치에 상기 제2-2포밍부와 제3-2포밍부를 위한 B포밍기가 배치되며, 상기 D'포밍기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제2-3포밍부와 제3-1포밍부를 위한 C포밍기가 설치됨을 특징 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1)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평면도로서, 외닫이식인 상기 제2사양과 양개식인 제3사양의 내/외판의 포밍을 모두 충족시키는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1)은, 방화문의 내판 및 외판 판소재를 복수의 롤러가 조합 구성되는 포밍기를 이용하여 절곡하는 방화문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가 운반되기 위한 미끄럼부재(11)가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테이블(10)과, 상기 이송테이블(10)의 좌/우측에 복수 사양의 판소재가 포밍되도록 복수의 포밍기(30)가 내향하여 배설되며, 상기 복수의 포밍기는 판소재의 좌/우측 포밍부 중 어느 일측이 먼저 포밍된 후 배송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일측이 포밍되도록 하나의 판소재 좌/우 포밍기가 이송테이블(10)의 좌우에 엇갈려 배설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테이블(10)은 작업자 이동통로(15) 양측으로 나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테이블(10)은 미끄럼부재로서 다수의 롤러(11)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테이블(10)은 테이블 상면에 미끄럼부재로서 다수의 볼베어링(도시되지 아니함)이 설치되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포밍기(30)의 투입부에는 판소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벽(31)이 설치된다.
여기서, 외닫이 사양 방화문(200)의 외판(210) 일측 포밍부를 제2-1포밍부(2-1), 타측을 제2-2포밍부(2-2)라 하고, 내판(220)의 일측은 제2-3포밍부(2-3), 타측을 제2-4포밍부(2-4)라 하며, 양개 사양 방화문(300)의 외판(310) 일측 포밍부를 제3-1포밍부(3-1), 타측을 제3-2포밍부(3-2)라 하고, 내판(320)의 일측은 제3-3포밍부(3-3), 타측을 제3-4포밍부(3-4)라고 할 때,
상기 포밍기(30)는 이송테이블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제2-1포밍부와 제3-3포밍부를 성형하기 위한 A포밍기(30A)가 배치되고 상기 A포밍기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제2-4포밍부를 위한 D포밍기(30D)가 배치되며, 상기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 위치에 상기 제3-4포밍부를 위한 D'포밍기(30D')가 배치되고, 상기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 위치에 상기 제2-2포밍부와 제3-2포밍부를 위한 B포밍기(30B)가 배치되며, 상기 D'포밍기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제2-3포밍부와 제3-1포밍부를 위한 C포밍기(30C)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이송테이블(10)의 좌측에는 제2-1포밍부와 제3-3포밍부(이하 "A포옴"이라 함), 제2-3포밍부와 제3-1포밍부(이하 "C포옴"이라 함)가 같은 형태로 되고, 우측에서는 제2-2포밍부와 제3-2포밍부(이하 "B포옴"이라 함), 제2-4포밍부와 제3-4포밍부(이하 "D포옴"라고 함)가 같은 형태로 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좌우 각 두 형태의 포밍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쪽부터 순차적으로 포밍이 진행되고 좌/우측 이 동시에 포밍되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판소재 좌/우포밍부가 마주 대향하여 배설되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A포옴을 성형하는 A포밍기(30A), A포밍기에 대향하는 타측에 D포옴을 성형하는 D포밍기(30D),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에 D포밍기와 같은 D'포밍기(30D'), 그리고 D'포밍기를 지난 위치에 B포옴을 성형하는 B포밍기(30B), 상기 D'포밍기와 대향하는 일측에 C포옴을 성형하는 C포밍기(30C)를 배설한다.
도 3은 상기 구성에 따른 운용상태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닫이 사양 방화문(200)의 외판(210)은 A포밍기(30A)에서 일측(2-1)을 포밍한 후 B포밍기(30B)로 이동시켜 타측(2-2)을 포밍하고, 내판(220)은 먼저 타측(2-4)을 D포밍기(30D)에서 절곡 포밍한 후 C포밍기(30C)에서 나머지 일측(2-3)을 포밍하여 완성된다.
양개 사양의 외판(310)은 C포밍기(30C)에서 일측(3-1)을 포밍한 후 B포밍기(30B)에서 타측(3-2)을 포밍하고, 내판(320)은 A포밍기(30A)에서 일측(3-3)을 포밍한 후 D'포밍기(30D')에서 타측(3-4)을 포밍한다. D포밍기와 D'포밍기가 같은 형태를 성형하면서 두 곳에 설치된 까닭은 상기 양개 사양 내판(320)의 좌/우측을 순차적으로 포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밍기(30)의 구성 및 배치는 이 외에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포밍공정에서 판소재의 이동은 이송테이블(10) 상에 올려진 판소재를 작업자가 이동통로(15)에서 포밍기 투입부에 구비된 가이드벽(31)으로 밀어주 는 준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포밍기(30)의 작동은 제어부에 의하여 피가공 판소재가 어떤 사양의 내판인가 외판인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여러 사양의 방화문에서 같은 형상의 포밍부를 하나의 포밍기를 공용으로 이용토록 하며, 배송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엇갈려 배치되므로 가공중에는 작업자가 판소재를 뒤집거나 들어올리는 일 없이 좌우방향으로만 밀어주는 것으로서, 여러 사양의 내판과 외판의 포밍이 교대로 수행되어 재고발생이 방지되며,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인력과 시간이 절감되고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킨다.
또한, 다양한 사양의 포밍을 간단한 구성 및 단촐한 규모로 가능하게 됨으로써 점유면적이 획기적으로 감축되어 공장의 공간활용도를 현저히 높여주고 고장발생율이 적으며 수리도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은, 방화문 내/외판 판소재의 좌/우측을 포밍기를 이용하여 포밍함에 있어서, 여러 사양의 판소재에서 같은 형상의 포밍부를 하나의 포밍기를 통하여 성형토록 하고 포밍기가 배송방향을 따라 좌우에 엇갈려 배설되므로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포밍 배송되어 재고가 방지되며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인력과 시간이 현저히 절감되며,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사양 방화문의 포밍이 단촐한 규모의 설비로서 가능하게 하여 시설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점유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축시켜 공장의 공간활용도를 현저히 높여주고 관리가 용이한 뛰어난 효과가 준다.

Claims (6)

  1. 방화문의 내판 및 외판 판소재를 복수의 롤러가 조합 구성되는 포밍기를 이용하여 절곡하는 방화문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소재가 운반되기 위한 미끄럼부재가 배열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테이블(10)과;
    상기 이송테이블(10)의 좌/우측에 복수 사양의 판소재가 포밍되도록 복수의 포밍기(30);가 내향하여 배설되며,
    상기 복수의 포밍기(30)는 판소재의 좌/우측 포밍부 중 어느 일측이 먼저 포밍된 후 배송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일측이 포밍되도록 하나의 판소재 좌/우 포밍기(30)가 이송테이블(10)의 좌우에 엇갈려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블(10)은 작업자 이동통로(15) 양측으로 나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3.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블(10)은 미끄럼부재로서 다수의 롤러(11)가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블(10)은 테이블 상면에 미끄럼부재로서 다수의 볼베어링이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기(30)의 투입부에는 판소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벽(3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외닫이 사양 방화문(200)의 외판(210) 일측 포밍부를 제2-1포밍부, 타측을 제2-2포밍부라 하고, 내판(220)의 일측은 제2-3포밍부, 타측을 제2-4포밍부라 하며, 양개 사양 방화문(300)의 외판(310) 일측 포밍부를 제3-1포밍부, 타측을 제3-2포밍부라 하고, 내판(320)의 일측은 제3-3포밍부, 타측을 제3-4포밍부라고 할 때,
    상기 포밍기는 이송테이블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제2-1포밍부와 제3-3포밍부를 성형하기 위한 A포밍기(30A)가 배치되고 상기 A포밍기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제2-4포밍부를 위한 D포밍기(30D)가 배치되며, 상기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 위치에 상기 제3-4포밍부를 위한 D'포밍기(30D')가 배치되고, 상기 D'포밍기를 진행한 이후 위치에 상기 제2-2포밍부와 제3-2포밍부를 위한 B포밍기(30B)가 배치되며, 상기 D'포밍기와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제2-3포밍부와 제3-1포밍부를 위한 C포밍기(30C)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KR1020050102321A 2005-10-28 2005-10-28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KR10073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21A KR100732146B1 (ko) 2005-10-28 2005-10-28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21A KR100732146B1 (ko) 2005-10-28 2005-10-28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83U Division KR200407246Y1 (ko) 2005-10-28 2005-10-28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727A KR20070045727A (ko) 2007-05-02
KR100732146B1 true KR100732146B1 (ko) 2007-06-28

Family

ID=3827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321A KR100732146B1 (ko) 2005-10-28 2005-10-28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542B1 (ko) * 2021-01-27 2022-08-29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각도조정가능한 헤밍장치
KR102437544B1 (ko) * 2021-01-27 2022-08-29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조립 주택용 벽체판넬 헤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635U (ko) * 1980-08-20 1982-03-11
KR0136351B1 (ko) * 1994-11-24 1998-11-16 김형건 도어판재의 포밍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09040A (ko) * 2002-07-22 2004-01-31 채유석 방화문용 스틸판의 포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작방법
KR20040011957A (ko) * 2002-07-31 2004-02-11 장성만 방화문 제조 공정용 포밍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635U (ko) * 1980-08-20 1982-03-11
KR0136351B1 (ko) * 1994-11-24 1998-11-16 김형건 도어판재의 포밍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09040A (ko) * 2002-07-22 2004-01-31 채유석 방화문용 스틸판의 포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작방법
KR20040011957A (ko) * 2002-07-31 2004-02-11 장성만 방화문 제조 공정용 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727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5567B (zh) 成型设备
KR100732146B1 (ko)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KR101458308B1 (ko) 하이브리드 합성 보의 제작 방법 및 하이브리드 합성보
CN104889809A (zh) 机床的滑动门
HK1143123A1 (en)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with a keyway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US20070204454A1 (en) Assembly line arrangements for axles
KR200407246Y1 (ko) 범용사양 방화문의 포밍시스템
CN105398810A (zh) 一种汽车制动钳支架的放行阻挡机构
KR100819525B1 (ko) 방화문 제조 시스템
KR100732143B1 (ko) 방화문 제조 시스템
CN107717483B (zh) 电梯门板全自动化生产流水线
KR20040098967A (ko)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을 위한 캠금형 구조 및 그의 작동방법
US11603883B1 (en) Roller-type linear guideway
DE112011102527T5 (de) Pressvorrichtungssystem
KR200410287Y1 (ko) 방화문 제조 시스템
DE102009019573A1 (de) Ofen und Verfahren zum Erwärmen wenigstens eines Werkstückes
DE102022100201A1 (de) Allgemeine Plattform zum Verarbeiten von Werkstücken
KR101472671B1 (ko) 도어판재 포밍장치의 가압롤러 구조
CN107470882B (zh) 一种集成型钢端部自动插板机构
KR200405279Y1 (ko)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KR20120133218A (ko) 다규격 복합절곡용 방화문틀 제조시스템
KR0136351B1 (ko) 도어판재의 포밍방법 및 그 장치
CN107855699A (zh) 一种集成型钢组焊前自动插板装置及工艺
KR20170065866A (ko)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CN104907389B (zh) 一种多向冲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