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279Y1 -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279Y1
KR200405279Y1 KR2020050030682U KR20050030682U KR200405279Y1 KR 200405279 Y1 KR200405279 Y1 KR 200405279Y1 KR 2020050030682 U KR2020050030682 U KR 2020050030682U KR 20050030682 U KR20050030682 U KR 20050030682U KR 200405279 Y1 KR200405279 Y1 KR 200405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fire door
mold
mold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용
Original Assignee
엄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용 filed Critical 엄상용
Priority to KR2020050030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46Selection of pu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7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rames for openings, e.g. for windows, doors, hand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다이에 여러 사양 방화문의 내판과 외판의 타공금형이 배설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사양에 대응하는 금형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타공되어 재고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제조사양이 바뀔 경우에도 금형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주고 타공품질이 균일하게 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며, 버튼만 눌러주는 것으로 해당 금형이 자동적으로 선택, 동작되어 타공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생산현장의 인력수급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화문 내판과 외판 판소재에 구멍을 타공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이 구비되는 프레스 타공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다이에 방화문 판소재에 타공되는 다양한 사양의 구멍을 타공하기 위하여 다수 배설되는 여러 가지 사양의 금형과; 입력제원에 따라 상기 여러 금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형을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되며 판소재의 타공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게이지; 및 판소재가 탑재 이송되는 미끄럼부재가 설치된 이송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A MULTI MOLD PUNCHING APPARATUS FOR DOOR MANUFACTURE PROCESS}
도 1은 일반적인 방화문의 내판 및 외판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금형부분 일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2:판소재 H: 구멍 10: 다이
20: 금형 30: 제어부 40: 센서
50: 가이드 게이지 51: 멈춤돌조 60: 이송테이블
본 고안은 방화문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다이에 여러 사양 방화문의 내판과 외판의 타공금형이 배설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사양에 대응하 는 금형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타공되어 재고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제조사양이 바뀔 경우에도 금형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주고 타공품질이 균일하게 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며, 버튼만 눌러주는 것으로 해당 금형이 자동적으로 선택, 동작되어 타공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생산현장의 인력수급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문 또는 빌딩 사무실의 출입문 등으로 사용되는 철제 방화문은 건축물에 따라 문이 하나만 설치되는 외닫이식, 두 개의 문이 양측으로 여닫히는 양개(兩開)식 등 사양이 다양하며, 내판과 외판으로 각각 분리형성되어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방화문의 제조는 철판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도어록 삽입공, 자물쇠 및 힌지구멍을 형성하는 프레스 타공공정과, 철판의 가장자리를 내외판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절곡 포밍공정과, 내판과 외판 및 내부 충전재인 하니컴을 부착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의 a도 및 b도는 방화문의 판소재(2)의 내판(2a) 외판(2b)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2a)과 외판(2b)은 외곽의 형상 및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며, 타공사양 또한 내판에는 외판에 없는 사각형의 도어록 구멍이 더 형성되고 손잡이 구멍의 위치도 상이하다.
따라서, 단일 사양의 방화문을 제작할 경우에도 내판과 외판 중 어느 한쪽을 일괄가공한 다음 금형을 교체하여 다시 셋팅한 후 나머지 다른 한쪽을 일괄가공한 다.
이러한 일괄가공 방식은 먼저 가공된 판소재들을 일단 다른 공간에 적재했다가 내/외판을 결합시켜야 함으로써 적재공간이 필요하고 공간을 옮겨다니는데 따르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 등, 제작이 비효율적이어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체 및 위치조정이 빈번한 금형셋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 생산성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금형의 교체작업에는 고도의 숙련공이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생산차질을 야기시킴은 물론이고 정확한 위치 설정이 어려워 불량품이 발생되는 등으로 방화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다이에 여러 사양 방화문의 내판과 외판의 타공금형이 배설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사양에 대응하는 금형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타공되어 재고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제조사양이 바뀔 경우에도 금형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주고 타공품질이 균일하게 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도록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어부 콘트롤패널의 버튼만 눌러주는 것으로 해당 금형이 자동적으로 선택, 동작되어 타공작업이 수행됨으로써 비숙련공도 용이하게 타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현장의 인력수급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는, 방화문 내판과 외판 판소재에 구멍을 타공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이 구비되는 프레스 타공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다이에 방화문 판소재에 타공되는 다양한 사양의 구멍을 타공하기 위하여 다수 배설되는 여러 가지 사양의 금형과;
입력제원에 따라 상기 여러 금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형을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되며 판소재의 타공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게이지; 및
판소재가 탑재 이송되는 미끄럼부재가 설치된 이송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금형부분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는 방화문 내판과 외판 판소재(2)에 구멍(H)을 타공하기 위한 상/하부(21)(23) 금형이 구비되는 프레스 타공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다이(10)에 방화문 판소재에 타공되는 다양한 사양의 구멍을 타공하기 위하여 다수 배설되는 여러 가지 사양의 금형(20)과, 입력제원에 따라 상기 여러 금형(2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형을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동작되며 판소재(2)의 타공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게이지(50) 및 판소재(2)가 탑재 이송되는 미끄럼부재(61)가 설치된 이송테이블(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러 사양의 금형(20)은 타공 구멍의 형상, 규격 및 다이(10)에 형성된 가이드단턱(11)으로부터의 타공위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방화문의 사양에 따라 또한, 내판과 외판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 사양의 금형이 총 망라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금형에는 제어부에서 인식하는 고유의 번호가 부여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여러 사양의 금형(20)은 판소재(2)의 진행방향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여러 금형(20)의 상부금형(21) 승강은 유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상기 가이드 게이지(50)에는 판소재의 가공위치 안착을 확인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센서(40)가 더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 게이지(50)는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구동수단이 동작되어 판소재 진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며, 상기 이송테이블(10)의 양측으로 출몰가능한 멈춤돌조(51)가 구비되어 피가공소재인 판소재(2)의 가공위치를 자동 안내하는 것으로서, 기계가공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이드수단이다.
상기 이송테이블(60)의 미끄럼부재(61)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롤러로 되거나 테이블 상면에 설치되는 볼베어링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송테이블(60)은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구동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동되는 롤러에 의하여 피가공 판소재를 자동이송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1)의 운용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30)에는 방화문의 여러 사양별로, 그리고 같은 사양에서 내판과 외판의 가공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장치를 제어한다.
제어부(30)의 콘트롤패널에서 해당 모드의 버튼을 눌러 주면 상기 가이드 게이지(50)가 해당위치로 이동되어 해당 사양대로 가공되는 판소재 기준위치를 구축한다.
이후, 작업자가 판소재(2)를 진행방향의 폭방향으로는 다이(10)에 형성된 가이드단턱(11)에 맞춘 상태에서 진행방향으로 가이드 게이지의 멈춤돌조(51)에 걸릴 때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센서(40)에 의하여 판소재(2)의 정위치 안착이 제어부(30)에 송신됨에 따라 상기 여러 사양의 금형 중 해당 사양의 상부 금형(21)만 동작하 여 타공작업이 수행된다.
타공이 수행된 후에는 작업자가 이송테이블(10) 상에서 판소재를 밀어주어 다음 공정 테이블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송테이블이 자동으로 구동제어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길이 불필요함은 물론이다.
앞에서 외판이 타공되었다면 다음에는 그 내판의 타공이 상기 가이드 게이지(50) 및 해당 타공금형(20)의 작동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특정 사양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그 사양의 내판과 외판의 타공이 교대로 연속반복적으로 수행되고, 다른 사양으로 바뀔 경우에는 제어부의 콘트롤패널에서 해당 모드의 버튼을 눌러 입력시키면 이후에는 해당 모드의 내판과 외판용 타공금형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동작되어 타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판 또는 외판의 재고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형(20)의 교체셋팅작업이 불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주고 타공위치 오차발생과 같은 불량이 방지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킨다.
즉, 작업자는 방화문의 사양이 바뀔 때 단지 해당 버튼만 눌러주면 제어부에 의하여 여러 금형 중에서 해당 금형이 자동적으로 선택, 동작되어 타공이 수행됨으로써 보다 적은 인원으로 또한 비숙련공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특히 생산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숙련공 인력수급 문제를 해소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 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는, 하나의 다이에 여러 사양 방화문의 내판과 외판의 타공금형이 배설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설정사양에 대응하는 금형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내판과 외판이 교대로 타공되어 재고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화문의 제조사양이 바뀔 경우에도 금형의 교체작업이 불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주고 타공품질이 균일하게 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버튼만 눌러주는 것으로 해당 금형이 자동적으로 선택, 동작되어 타공작업이 수행됨으로써 비숙련공도 용이하게 타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현장의 인력수급 문제를 해소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방화문 내판과 외판 판소재(2)에 구멍(H)을 타공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이 구비되는 프레스 타공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다이(10)에 방화문 판소재에 타공되는 다양한 사양의 구멍을 타공하기 위하여 다수 배설되는 여러 가지 사양의 금형(20)과;
    입력제원에 따라 상기 여러 금형(2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금형을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동작되며 판소재(2)의 타공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게이지(50); 및
    판소재(2)를 탑재 이송하는 미끄럼부재(61)가 설치된 이송테이블(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사양의 금형(20)은 타공 구멍의 형상, 규격 및 다이(10)에 형성된 가이드단턱(11)으로부터의 타공위치가 다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사양의 금형(20)은 판소재(2)의 진행방향 직선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금형(20)의 상부금형(21) 승강은 유압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게이지(50)에는 판소재의 가공위치 안착을 확인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센서(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블(60)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동되는 롤러에 의하여 피가공 판소재를 자동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KR2020050030682U 2005-10-28 2005-10-28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KR200405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82U KR200405279Y1 (ko) 2005-10-28 2005-10-28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82U KR200405279Y1 (ko) 2005-10-28 2005-10-28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320A Division KR100732145B1 (ko) 2005-10-28 2005-10-28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279Y1 true KR200405279Y1 (ko) 2006-01-10

Family

ID=4175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82U KR200405279Y1 (ko) 2005-10-28 2005-10-28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2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3727A (zh) * 2015-10-13 2017-04-19 上海安莱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顶外板冲孔装置
CN108405701A (zh) * 2018-02-28 2018-08-17 广东国鸿氢能科技有限公司 石墨双极板的自动裁切系统及裁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3727A (zh) * 2015-10-13 2017-04-19 上海安莱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顶外板冲孔装置
CN108405701A (zh) * 2018-02-28 2018-08-17 广东国鸿氢能科技有限公司 石墨双极板的自动裁切系统及裁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145B1 (ko)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EP1412170B1 (en) Tool apparatus and programmable method for punching apertures into a workpiece
EP2281671B1 (en) Machine for processing wood panels used for making furniture pieces
KR101458308B1 (ko) 하이브리드 합성 보의 제작 방법 및 하이브리드 합성보
JPH08398B2 (ja) 薄板状物の穿孔装置及び穿孔装置用パンチングユニツト
KR200405279Y1 (ko) 방화문 제조용 멀티금형 타공장치
KR100819525B1 (ko) 방화문 제조 시스템
JP6022640B1 (ja) コイル材の加工設備
KR100732143B1 (ko) 방화문 제조 시스템
KR102044349B1 (ko) 창호 골재 자동가공 장치
KR101770569B1 (ko) 모터 샤프트 이송장치
CN106694945A (zh) 一种门窗型材打孔机
KR101429335B1 (ko) 자동 다축 천공장치
EP1247611A1 (en) A multi-axis work centre, for multiple production, in particular for wood working
KR200410287Y1 (ko) 방화문 제조 시스템
KR100416651B1 (ko)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KR20040098967A (ko)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을 위한 캠금형 구조 및 그의 작동방법
EP4292786A1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wooden blinds
JPH0448533B2 (ko)
KR102224566B1 (ko) 사각파이프의 사각홀 가공방법
KR101928000B1 (ko) 조립식 경량패널 제조 시스템
JPS60123235A (ja) パネル形成方法とその自動装置
KR102576710B1 (ko) 도어 자동 제작장치
KR100792504B1 (ko) 피어싱 장치 및 방법
CN106738177B (zh) 一种用于生产钢带箱的锁扣装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