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253B1 -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253B1
KR102437253B1 KR1020167002780A KR20167002780A KR102437253B1 KR 102437253 B1 KR102437253 B1 KR 102437253B1 KR 1020167002780 A KR1020167002780 A KR 1020167002780A KR 20167002780 A KR20167002780 A KR 20167002780A KR 102437253 B1 KR102437253 B1 KR 10243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ring
unsubstitute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960A (ko
Inventor
유이치로 가와무라
도시나리 오기와라
료헤이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01L51/0056
    • H01L51/0061
    • H01L51/00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4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six or more r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2Heter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09K2211/104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09K2211/1051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with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20Delayed fluorescence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40Interrelation of parameters between multiple constituent active layers or sublayers, e.g. HOMO values in adja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90Multiple hosts in the emissive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H10K50/12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for assisting energy transfer, e.g. sensitiz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3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ive rings, e.g.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Abstract

양극과, 발광층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지연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이고, 상기 제 1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보다 크고, 상기 제 3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보다 크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16010469180-pct00088

Description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이하, 「유기 EL 소자」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또 음극으로부터 전자가 각각 발광층에 주입된다. 그리고, 발광층에 있어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여기자가 형성된다. 이 때, 전자 스핀의 통계칙에 의해, 일중항 여기자, 및 삼중항 여기자가 25 % : 75 % 의 비율로 생성된다.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을 사용하는 형광형의 유기 EL 소자는, 휴대 전화나 텔레비전 등의 풀 컬러 디스플레이에 응용되고 있지만, 내부 양자 효율 25 % 가 한계라고 알려져 있다. 일중항 여기자에 더하여 삼중항 여기자를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지연 형광을 이용한 고효율의 형광형의 유기 EL 소자가 제안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TADF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열활성화 지연 형광) 기구가 연구되고 있다. 이 TADF 기구는, 일중항 준위와 삼중항 준위의 에너지차 (ΔST) 가 작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 삼중항 여기자로부터 일중항 여기자로의 역항간 교차가 열적으로 생기는 현상을 이용하는 기구이다. 열활성화 지연 형광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아다치 치하야편, 「유기 반도체의 디바이스 물성」, 코단샤, 2012년 3월 22일, 261-262 페이지』 에 기재되어 있다. 이 TADF 기구를 이용한 유기 EL 소자가,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TADF 기구를 이용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도, 소자 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H. Nakanotani, Nat. Commun., 5, 4016,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고성능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당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양극과, 발광층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지연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이고, 상기 제 1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보다 크고, 상기 제 3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보다 크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1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c, d, e, f, h, i, 및 j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b 및 g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5 원자 고리 또는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단,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d 및 e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d 및 e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i 및 j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되고,
g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g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양극과, 발광층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가 제공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2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a1 은 0 또는 1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단, a1 + a2 ≥ 1 이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이 0 일 때, L2 는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L2 가 1 가의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이 1 일 때,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4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c, d, e, f, h, i, 및 j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b 및 g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5 원자 고리 또는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단,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d 및 e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d 및 e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i 및 j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되고,
g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g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양극과, 발광층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0')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가 제공된다.
[화학식 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5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m2 는 2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복수의 m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화학식 6]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7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c, d, e, f, h, i, 및 j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b 및 g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5 원자 고리 또는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단,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d 및 e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d 및 e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i 및 j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되고,
g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g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고성능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제공하는 것, 및 당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과도 PL 을 측정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과도 PL 의 감쇠 곡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에너지 준위 및 에너지 이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에너지 준위 및 에너지 이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1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층을 구비한다. 이 유기층은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적어도 1 층으로 이루어진다. 혹은, 이 유기층은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유기층은 무기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유기층 중 적어도 1 층은 발광층이다. 그러므로, 유기층은,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및 장벽층 등의 유기 EL 소자로 채용될 수 있는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기 EL 소자의 대표적인 소자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다음의 (a) ∼ (e)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a) 양극/발광층/음극
(b) 양극/정공 주입·수송층/발광층/음극
(c) 양극/발광층/전자 주입·수송층/음극
(d) 양극/정공 주입·수송층/발광층/전자 주입·수송층/음극
(e) 양극/정공 주입·수송층/발광층/장벽층/전자 주입·수송층/음극
상기 중에서 (d) 의 구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광층」 이란, 발광 기능을 갖는 유기층이다. 상기 「정공 주입·수송층」 은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를 의미한다. 상기 「전자 주입·수송층」 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를 의미한다. 유기 EL 소자가,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갖는 경우에는, 정공 수송층과 양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EL 소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갖는 경우에는, 전자 수송층과 음극 사이에 전자 주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은, 각각 1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소자 (1) 는, 투광성의 기판 (2) 과, 양극 (3) 과, 음극 (4) 과, 양극 (3) 과 음극 (4)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 (10) 을 포함한다. 유기층 (10) 은, 양극 (3)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공 주입층 (6), 정공 수송층 (7), 발광층 (5), 전자 수송층 (8), 및 전자 주입층 (9) 이 이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발광층)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 (1) 의 발광층 (5) 은,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을 함유한다. 발광층 (5) 은, 금속 착물을 함유해도 된다.
<제 1 화합물>
본 실시형태의 제 1 화합물은, 지연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이다. 제 1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1) 는,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2) 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8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A 는 하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A 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A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B 는 하기 일반식 (b-1) ∼ (b-6)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B 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B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B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a, b, 및 d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5 의 정수이고,
c 는 0 ∼ 5 의 정수이고,
c 가 0 일 때, A 와 B 는 단결합 또는 스피로 결합으로 결합하고,
c 가 1 ∼ 5 의 정수일 때, L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L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L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화학식 9]
Figure 112016010469180-pc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0
상기 일반식 (b-1) ∼ (b-6) 에 있어서,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 이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R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a-3) 의 부분 구조를 갖는 기로서, 하기 일반식 (a-3-1) 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1
상기 일반식 (a-3-1) 에 있어서, Xa 는, 단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상기 일반식 (1) 중의 L 혹은 B 와 결합하는 탄소 원자이다.
또, 상기 일반식 (b-1) ∼ (b-6)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b-2) 의 부분 구조를 갖는 기로서, 하기 일반식 (b-2-1) 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2
상기 일반식 (b-2-1) 에 있어서, Xb 는, 단결합, 산소 원자, 황 원자, CRb1Rb2, 또는 상기 일반식 (1) 중의 L 혹은 A 와 결합하는 탄소 원자이다.
Rb1 및 Rb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b1 및 Rb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Rb1 및 Rb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결합 양식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결합 양식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B 가 하기 일반식 (100)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3]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4
상기 일반식 (100) 에 있어서,
R101 ∼ R10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101 ∼ R108 이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실릴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2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6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단, R101 과 R102, R102 와 R103, R103 과 R104, R105 와 R106, R106 과 R107, 및 R107 과 R108 중 어느 조합이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L100 은 하기 일반식 (111) ∼ (117) 에서 선택되는 어느 연결기이고,
s 는 1 ∼ 3 의 정수이고, s 가 2 또는 3 인 경우, 복수의 L10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X100 은 하기 일반식 (121) ∼ (125) 에서 선택되는 어느 연결기이다.
[화학식 14]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5
상기 일반식 (113) ∼ (117) 에 있어서, R10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 (100) 에 있어서의 R101 ∼ R108 과 동일한 의미이다.
단, 상기 일반식 (100) 에 있어서, R101 ∼ R108 중 하나 또는 R109 중 하나는, 상기 일반식 (1) 중의 L 또는 A 에 대해 결합하는 단결합이다.
R109 와, 상기 일반식 (100) 중의 R104 또는 R105 는,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복수의 R109 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화학식 1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6
상기 일반식 (123) ∼ (125) 에 있어서,
R1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110 이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R110 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R110 과, 상기 일반식 (100) 중의 R101 또는 R108 은,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L100 은 상기 일반식 (111) ∼ (114)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일반식 (113) 또는 (114) 로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X100 은 상기 일반식 (121) ∼ (124)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일반식 (123) 또는 (124) 로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6]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7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a1 은 0 또는 1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단, a1 + a2 ≥ 1 이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이 0 일 때, L2 는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L2 가 1 가의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이 1 일 때,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 (10')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8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m2 는 2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복수의 m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0A)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19
상기 일반식 (10A) 에 있어서, a1, m1, A1, A2, L1 및 L2 는,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의 a1, m1, A1, A2, L1 및 L2 와 각각 동일한 의미이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10) 또는 상기 일반식 (10')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 (10B) ∼ (10E)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9]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0
[화학식 20]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1
상기 일반식 (10D) 에 있어서, X2 는, =N-L1-L2-A1, 산소 원자, 황 원자, 및 셀렌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일반식 (10B), (10C), (10D), 및 (10E) 에 있어서, R1, R2, A1, A2, L1 및 L2 는,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의 R1, R2, A1, A2, L1 및 L2 와 각각 동일한 의미이다.
·지연 형광 발광성
지연 형광 (열활성화 지연 형광) 에 대해서는, 「유기 반도체의 디바이스 물성」 (아다치 치하야편, 코단샤 발행) 의 261 ∼ 268 페이지에서 해설되어 있다. 그 문헌 중에서, 형광 발광 재료의 여기 일중항 상태와 여기 삼중항 상태의 에너지차 ΔE13 을 작게 할 수 있으면, 통상은 천이 확률이 낮은 여기 삼중항 상태로부터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역에너지 이동이 고효율로 발생하여, 열활성화 지연 형광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이 발현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또한, 당해 문헌 중의 도면 10. 38 에서, 지연 형광의 발생 메커니즘이 설명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은,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발생하는 열활성화 지연 형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지연 형광의 발광은 과도 PL (Photo Luminescence) 측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과도 PL 측정으로부터 얻은 감쇠 곡선에 기초하여 지연 형광의 거동을 해석할 수도 있다. 과도 PL 측정이란, 시료에 펄스 레이저를 조사하여 여기시키고, 조사를 멈춘 후의 PL 발광의 감쇠 거동 (과도 특성) 을 측정하는 수법이다. TADF 재료에 있어서의 PL 발광은, 최초의 PL 여기로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 성분과, 삼중항 여기자를 경유하여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 성분으로 분류된다. 최초의 PL 여기로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자의 수명은, 나노초 오더로, 매우 짧다. 그 때문에, 당해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은, 펄스 레이저를 조사 후, 빠르게 감쇠한다.
한편, 지연 형광은, 수명이 긴 삼중항 여기자를 경유하여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이기 때문에, 완만하게 감쇠한다. 이와 같이 최초의 PL 여기로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과, 삼중항 여기자를 경유하여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에서는 시간적으로 큰 차가 있다. 그 때문에, 지연 형광 유래의 발광 강도를 구할 수 있다.
도 2 에는 과도 PL 을 측정하기 위한 예시적 장치의 개략도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과도 PL 측정 장치 (100) 는,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 가능한 펄스 레이저부 (101) 와, 측정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실 (102) 과, 측정 시료로부터 방사된 광을 분광하는 분광기 (103) 와, 2 차원 이미지를 결상하기 위한 스트리크 카메라 (104) 와, 2 차원 이미지를 도입하여 해석하는 퍼스널 컴퓨터 (105) 를 구비한다. 또한, 과도 PL 의 측정은,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료실 (102) 에 수용되는 시료는, 매트릭스 재료에 대해, 도핑 재료가 12 질량% 의 농도로 도프된 박막을 석영 기판에 성막함으로써 얻어진다.
시료실 (102) 에 수용된 박막 시료에 대해, 펄스 레이저부 (101) 로부터 펄스 레이저를 조사하여, 도핑 재료를 여기시킨다. 여기광의 조사 방향에 대해 90 도의 방향으로 발광을 취출하고, 취출한 광을 분광기 (103) 로 분광하고, 스트리크 카메라 (104) 내에서 2 차원 이미지를 결상한다. 그 결과, 세로축이 시간에 대응하고, 가로축이 파장에 대응하고, 휘점이 발광 강도에 대응하는 2 차원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2 차원 화상을 소정의 시간축으로 잘라내면, 세로축이 발광 강도이고, 가로축이 파장인 발광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또, 당해 2 차원 화상을 파장축으로 잘라내면, 세로축이 발광 강도의 대수 (對數) 이고, 가로축이 시간인 감쇠 곡선 (과도 PL) 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재료로서, 하기 참고 화합물 H1 을 사용하고, 도핑 재료로서 하기 참고 화합물 D1 을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박막 시료 A 를 제조하여, 과도 PL 측정을 실시하였다.
[화학식 21]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2
여기서는, 전술한 박막 시료 A, 및 박막 시료 B 를 사용하여 감쇠 곡선을 해석하였다. 박막 시료 B 는, 매트릭스 재료로서 하기 참고 화합물 H2 를 사용하고, 도핑 재료로서 상기 참고 화합물 D1 을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박막 시료를 제조하였다.
도 3 에는, 박막 시료 A 및 박막 시료 B 에 대해 측정한 과도 PL 로부터 얻은 감쇠 곡선이 나타나 있다.
[화학식 22]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3
상기한 바와 같이 과도 PL 측정에 의해, 세로축을 발광 강도로 하고, 가로축을 시간으로 하는 발광 감쇠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이 발광 감쇠 곡선에 기초하여, 광 여기에 의해 생성된 일중항 여기 상태로부터 발광하는 형광과, 삼중항 여기 상태를 경유하여, 역에너지 이동에 의해 생성되는 일중항 여기 상태로부터 발광하는 지연 형광의 형광 강도비를 추측할 수 있다. 지연 형광 발광성의 재료에서는, 재빠르게 감쇠하는 형광의 강도에 대해, 완만하게 감쇠하는 지연 형광의 강도의 비율이 어느 정도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연 형광 발광량은, 도 2 의 장치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화합물은, 당해 제 1 화합물이 흡수하는 파장의 펄스광 (펄스 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광) 으로 여기된 후, 당해 여기 상태에서 즉석에서 관찰되는 Prompt 발광 (즉시 발광) 과, 당해 여기 후, 즉석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그 후 관찰되는 Delay 발광 (지연 발광) 이 존재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elay 발광 (지연 발광) 의 양이 Prompt 발광 (즉시 발광) 의 양에 대해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rompt 발광과 Delay 발광의 양은, "Nature 492, 234-238, 2012"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Prompt 발광과 Delay 발광의 양의 산출에 사용되는 장치는, 상기의 문헌에 기재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지연 형광 발광성의 측정에 사용되는 시료는, 예를 들어, 제 1 화합물과 후술하는 화합물 TH-2 를 제 1 화합물의 비율이 12 질량% 가 되도록 석영 기판 상에 공 (共) 증착하여, 막두께 100 ㎚ 의 박막을 형성한 시료를 사용할 수 있다.
·삼중항 에너지와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의 관계
여기서, 삼중항 에너지와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은, 통상적으로 정의되는 삼중항 에너지와는 상이한 점이 있다.
측정 대상이 되는 제 1 화합물에 관해서는, 삼중항 에너지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된다. 측정 대상이 되는 화합물 (제 1 화합물) 과, 화합물 TH-2 를 석영 기판 상에 공증착하고, NMR 관 내에 봉입 (封入) 한 시료를 제조한다. 또한, 이 시료는, 하기의 조건으로 만들어진 시료이다.
석영 기판/TH-2 : 제 1 화합물 (막두께 100 ㎚, 제 1 화합물 농도 : 12 질량%)
[화학식 23]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4
이 측정 시료에 대해, 저온 (77 [K]) 에서 인광 스펙트럼 (세로축 : 인광 발광 강도, 가로축 : 파장으로 한다) 을 측정하고, 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해 접선을 긋고, 그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의 파장값 λedge [㎚] 에 기초하여, 다음의 환산식 1 로부터 산출되는 에너지량을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로 하였다.
환산식 1 : T77K [eV] = 1239.85/λedge
인광의 측정에는,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 제조의 F-4500 형 분광 형광 광도계 본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인광 측정 장치는, 여기서 사용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은 이하와 같이 긋는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으로부터, 스펙트럼의 극대값 중,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까지 스펙트럼 곡선 상을 이동할 때, 장파장측을 향하여 곡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접선을 생각한다. 이 접선은, 곡선이 상승함에 따라 (요컨대 세로축이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증가한다. 이 기울기의 값이 극대값을 취하는 점에서 그은 접선 (즉, 변곡점에 있어서의 접선) 이, 당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한다.
또한,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 강도의 15 % 이하의 피크 강도를 갖는 극대점은, 상기 서술한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에 가장 가까운, 기울기의 값이 극대값을 취하는 점에서 그은 접선을 당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한다.
·제 1 화합물의 제조 방법
제 1 화합물은, 예를 들어, Chemical Communications p.10385-10387 (2013) 및 NATURE Photonics p.326-332 (2014) 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은, 이들의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24]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5
<제 2 화합물>
본 실시형태의 제 2 화합물은,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축합 고리 구조는,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이다.
[화학식 2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6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c, d, e, f, h, i, 및 j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b 및 g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5 원자 고리 (단고리) 또는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단,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d 및 e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d 및 e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i 및 j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되고,
g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g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다.
또한, b 및 g 의 위치에는, 6 원자 고리 (단고리) 및 축합 고리 중의 6 원자 고리 모두 직접 축합되지 않는다. 또한, a, c, f, 및 h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고리가 축합될 때, 단고리가 축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에는, 당해 축합 고리에 5 원자 고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합 고리 구조는, 고리의 총수가 6 고리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고리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고리 이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의 일례로서, 이하의 축합 고리 구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 (예를 들어, 벤젠 고리) 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A)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화학식 26]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7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되고, e 및 d 의 위치에도 6 원자 고리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B)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화학식 2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8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i 및 j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C)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또 예를 들어, i 및 j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가 직접 축합되고, 추가로 10 원자 고리 (예를 들어, 나프탈렌 고리) 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D)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혹은,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로서 아세나프텐 고리가 축합되는 경우로서, 그 아세나프텐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D)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화학식 2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29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c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가 직접 축합되고, 추가로 6 원자 고리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E)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화학식 29]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0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의 위치에 10 원자 고리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F)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화학식 30]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1
또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및 c 의 위치의 각각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된 경우에는, 하기 일반식 (2G)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가 된다.
[화학식 31]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의 총수」 란, 주골격이 되는 축합 고리 구조를 구성하는 5 원자 고리 및 6 원자 고리의 총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2A)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 및 상기 일반식 (2C)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의 경우, 고리의 총수는 3 고리이고, 상기 일반식 (2B)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 상기 일반식 (2E)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 상기 일반식 (2F)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 및 상기 일반식 (2G)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의 경우, 고리의 총수는 4 고리이고, 상기 일반식 (2D) 로 나타내는 축합 고리 구조의 경우, 고리의 총수는 5 고리이다.
제 2 화합물이 갖는 축합 고리 구조로는, 청색 영역에 있어서 발광 가능한 에너지를 갖고, 또한 열활성화 지연 형광 발광성 재료인 제 1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 효율이 높아지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열활성화 지연 형광성 재료 (제 1 화합물) 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 효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경합하는 열활성화 지연 형광성 재료 (제 1 화합물) 의 여기 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활성화 지연 형광성 재료 (제 1 화합물) 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은, 열실활에 의한 효율 저하의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여기 삼중항 상태간의 에너지 이동은, 열활성화 지연 형광성 재료인 제 1 화합물과 제 2 화합물의 전자운의 겹침의 대소에 크게 의존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제 2 화합물의 주골격 상의 분자 궤도의 확산을 작게함으로써 에너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과 같이 제 2 화합물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축합 고리 중,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 및 주골격의 5 원자 고리 및 6 원자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로 함으로써,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의 위치 b 나 위치 g 에 6 원자 고리가 직접 축합되고, 3 개 이상의 6 원자 고리가 직선적으로 축합된 구조 (예를 들어, 안트라센 고리, 나프타센 고리 등) 를 갖는 경우나, 5 원자 고리 및 6 원자 고리의 총수가 9 고리 이상인 구조를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골격 상의 분자 궤도의 확산을 작게 하여, 여기 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열활성화 지연 형광성 재료인 제 1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 효율이 높아져, 발광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골격의 측사슬로서,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등을 갖는 경우, 더욱 전자운의 겹침을 억제하여, 발광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0) 으로 나타내는 부분 구조를 갖고, 또한 하기 일반식 (20) 에 있어서의 X-Y 축에 대해 비대칭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도 바람직하다.
[화학식 32]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3
상기 일반식 (20) 에 있어서, Z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5 또는 6 의 고리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이, 치환기로서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경우, 당해 치환기로서의 축합 고리 구조가,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 중의 b 및 g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 (단고리) 및 축합 고리 중의 6 원자 고리 모두 직접 축합되어 있지 않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치환기로서의 축합 고리 구조가,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 중의 b 의 위치만, g 의 위치만, 또는 b 및 g 의 2 개의 위치에만 단고리 및 축합 고리가 축합된 구조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치환기로서의 축합 고리 구조는, i 및 j 의 2 개의 위치만, 또는 d 및 e 의 2 개의 위치에만 6 원자 고리가 축합된 구조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치환기로서의 축합 고리 구조는,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6 고리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고리 이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고리 이내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로는, 벤조플루오렌 (벤조[a]플루오렌, 벤조[b]플루오렌, 벤조[c]플루오렌), 플루오란텐, 벤조플루오란텐 (벤조[b]플루오란텐, 벤조[k]플루오란텐), 피렌, 벤조[a]피렌, 크리센, 벤조[a]안트라센, 트리페닐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2) 가 1.9 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eV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제 2 화합물은, 벤조플루오렌 골격, 플루오란텐 골격,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3]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4
상기 일반식 (21) 에 있어서,
n1 은 1 이상의 정수이고,
Ar0 은 벤조플루오렌 골격, 플루오란텐 골격,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이고,
Ar1 및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Ar1 과 Ar2 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n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A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0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0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n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L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Ar0 은,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n1 이 2 이고, L0 이 모두 단결합인 것도 바람직하다.
Ar0 이 피렌 골격이고, n1 이 2 이고, L0 이 단결합인 경우, 상기 일반식 (21) 중의 질소 원자는, 피렌 골격의 1 위치 및 6 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r0 이 크리센 골격이고, n1 이 2 이고, L0 이 단결합인 경우, 상기 일반식 (21) 중의 질소 원자는, 크리센 골격의 6 위치 및 12 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Ar0 은, 벤조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기인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Ar0 으로서의 벤조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기는, 하기 일반식 (Ar-1) 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4]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5
상기 일반식 (Ar-1) 에 있어서,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11 및 R1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및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 또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단,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및 R22 중 적어도 하나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및 R2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 실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3 과 R14, R14 와 R15, R15 와 R16, R17 과 R18, R18 과 R19, R19 와 R20, R20 과 R21, 및 R21 과 R22 중 어느 1 세트 이상이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Ar-1) 로 나타내는 기는,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6
상기 일반식 (Ar-2) 에 있어서,
R11, R12, RA 및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11, R12, RA 및 RB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3,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R25 및 R2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 또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단, R13,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R25 및 R26 중 적어도 하나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R13,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R25 및 R26 이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 실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7 과 R18, R18 과 R19, R19 와 R20, R20 과 R21, R21 과 R22, R23 과 R24, R24 와 R25, 및 R25 와 R26 중 어느 1 세트 이상이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R21 및 상기 R25 중 적어도 하나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R11, 상기 R12, 상기 RA, 및 상기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상기 Ar1 및 상기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상기 Ar1 및 상기 Ar2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일반식 (21) 중의 Ar0 은,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6]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7
상기 일반식 (22) 에 있어서,
x 는 0 ∼ 3 의 정수이고,
y 는 0 ∼ 7 의 정수이고,
X5 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셀렌 원자이고,
x 가 0 일 때, 상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기와 상기 일반식 (21) 중의 질소 원자는 단결합으로 결합하고,
x 가 1 ∼ 3 의 정수일 때, Ar5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x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r5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r5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R5 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 실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y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5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5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2) 중의 상기 X5 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상기 A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2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터페닐기, 및 플루오레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상기 Ar2 는, 상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상기 Ar1 및 상기 Ar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반식 (Ar-1) 로 나타내는 기인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일반식 (21) 중의 Ar0 이 벤조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중의 n1 은 1 또는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도 바람직하다.
[화학식 3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8
상기 일반식 (23) 에 있어서,
p 는 0 ∼ 5 의 정수이고,
q 및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5 의 정수이고,
Ar10 은 벤조플루오렌 골격, 플루오란텐 골격,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이고,
R10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R10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R1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10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p 가 0 일 때, Ar10 과 R10 은 단결합으로 결합하고,
p 가 1 ∼ 5 의 정수일 때, L10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L10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L1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10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일반식 (2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결합 양식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하기 표 2 에 나타내는 결합 양식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6010469180-pct00039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3) 중의 Ar10 은, 플루오란텐 골격을 갖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벤젠 고리가 축합된 플루오란텐 골격 (벤조플루오란텐 골격) 을 갖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발광색이나 발광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 2 화합물은, 발광 피크 파장이 55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발광 피크 파장이 400 ㎚ 이상 50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발광 피크 파장이 430 ㎚ 이상 48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제 2 화합물은, 녹색 또는 청색의 형광 발광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청색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피크 파장이란, 측정 대상 화합물이 10-6 몰/리터 이상 10-5 몰/리터 이하의 농도로 용해되어 있는 톨루엔 용액에 대해, 측정한 발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발광 강도가 최대가 되는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말한다.
제 2 화합물은 형광 양자 수율이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화합물의 제조 방법
제 2 화합물은, 국제 공개 제2008/059713호, 및 국제 공개 제2010/122810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화합물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3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0
[화학식 39]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1
[화학식 40]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2
[화학식 41]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3
[화학식 42]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4
<제 3 화합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화합물의 에너지 갭 T77K (M3)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2 화합물의 에너지 갭 T77K (M2) 보다 크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화합물의 에너지 갭 T77K (M3)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의 에너지 갭 T77K (M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의 측정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에 관해서는,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된다.
측정 대상이 되는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 을 EPA (디에틸에테르 : 이소펜탄 : 에탄올 = 5 : 5 : 2 (용적비)) 중에, 농도가 10 μ㏖/ℓ 가 되도록 용해하고, 이 용액을 석영 셀 중에 넣어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측정 시료에 대해, 저온 (77 [K]) 에서 인광 스펙트럼 (세로축 : 인광 발광 강도, 가로축 : 파장으로 한다) 을 측정하고, 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해 접선을 긋고, 그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의 파장값 λedge [㎚] 에 기초하여, 다음의 환산식 2 로부터 산출되는 에너지량을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로 하였다.
환산식 2 : T77K [eV] = 1239.85/λedge
인광의 측정에는,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 제조의 F-4500 형 분광 형광 광도계 본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인광 측정 장치는, 여기서 사용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은 이하와 같이 긋는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으로부터, 스펙트럼의 극대값 중,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까지 스펙트럼 곡선 상을 이동할 때, 장파장측을 향하여 곡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접선을 생각한다. 이 접선은, 곡선이 상승함에 따라 (요컨대 세로축이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증가한다. 이 기울기의 값이 극대값을 취하는 점에서 그은 접선 (즉 변곡점에 있어서의 접선) 이, 당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한다.
또한,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 강도의 15 % 이하의 피크 강도를 갖는 극대점은, 상기 서술한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에 가장 가까운, 기울기의 값이 극대값을 취하는 점에서 그은 접선을 당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한다.
제 3 화합물로는, 각종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관계성)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화합물은, 발광층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화합물끼리가 분자 회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분산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 3 화합물에 의해, 제 1 화합물과 제 2 화합물의 화합물간의 거리를 떼어놓음으로써, 제 1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을 촉진하고, 또한 제 1 화합물의 여기 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여기 삼중항 상태로의 에너지 이동을 억제하는 결과, 발광 효율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1)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2) 보다 크고, 상기 제 3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3)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1) 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3) 는, 2.9 e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화합물이 이와 같은 에너지 갭 T77K (M3) 를 가짐으로써, 발광층에 있어서 제 3 화합물이 여기자 생성이나 캐리어 수송에 관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TADF 기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서는, 제 1 화합물로서 ΔST (M1) 가 작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ΔST (M1) 가 작으면,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제 1 화합물의 삼중항 준위로부터 제 1 화합물의 일중항 준위로의 역항간 교차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유기 EL 소자 내부의 전기 여기된 여기자의 여기 삼중항 상태가, 역항간 교차에 의해, 여기 일중항 상태로 스핀 교환이 되는 에너지 상태 변환 기구를 TADF 기구라고 부른다.
도 4 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에너지 준위 및 에너지 이동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있어서, S0 은 기저 상태를 나타내고, S1 (M1) 은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T1 (M1) 은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S1 (M2) 은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T1 (M2) 은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S1 (M3) 은 제 3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T1 (M3) 은 제 3 화합물의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중의 S1 (M1) 로부터 S1 (M2) 로 향하는 파선의 화살표는,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페르스터형 에너지 이동을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화합물로서 ΔST (M1) 가 작은 화합물을 사용하면,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 T1 (M1) 은, 열에너지에 의해,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1) 로 역항간 교차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1) 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2) 로의 페르스터형 에너지 이동이 생긴다. 이 결과,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2) 로부터의 형광 발광을 관측할 수 있다. 이 TADF 기구에 의한 지연 형광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이론적으로 내부 효율을 100 % 까지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 (1) 를 발광시켰을 때, 발광층 (5) 에 있어서, 주로 제 2 화합물이 발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의 막두께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 (1) 에 있어서의 발광층 (5) 의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 5 ㎚ 이상이면 발광층 (5) 의 형성이 용이해지고, 색도의 조정도 용이해진다. 또, 50 ㎚ 이하이면, 구동 전압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함유율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 (1) 에서는, 발광층 (5) 에 있어서, 제 1 화합물의 함유율은,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또는 4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화합물의 함유율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발광층 (5) 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합계 함유율의 상한은 100 질량%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발광층 (5) 에,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 이외의 재료가 함유되는 것을 제외하지 않는다.
(기판)
기판 (2) 은, 유기 EL 소자 (1) 의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기판 (2) 으로는, 예를 들어, 유리, 석영, 및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가요성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 가요성 기판이란, 절곡할 수 있는 (플렉시블) 기판이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불화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증착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양극)
기판 (2) 상에 형성되는 양극 (3) 에는, 일함수가 큰 (구체적으로는 4.0 eV 이상)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화인듐-산화주석 (ITO : Indium Tin Oxide), 규소 또는 산화규소를 함유한 산화인듐-산화주석, 산화인듐-산화아연, 산화텅스텐 및 산화아연을 함유한 산화인듐, 그리고 그래핀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금 (Au), 백금 (Pt), 니켈 (Ni), 텅스텐 (W), 크롬 (Cr), 몰리브덴 (Mo), 철 (Fe), 코발트 (Co), 구리 (Cu), 팔라듐 (Pd), 티탄 (Ti), 및 이들 금속 재료의 질화물 (예를 들어, 질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통상적으로 스퍼터링법에 의해 성막된다. 예를 들어, 산화인듐-산화아연은, 산화인듐에 대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산화아연을 첨가한 타깃을 사용함으로써,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산화텅스텐 및 산화아연을 함유한 산화인듐은, 산화인듐에 대해 산화텅스텐을 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산화아연을 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 함유한 타깃을 사용함으로써,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진공 증착법, 도포법, 잉크젯법, 및 스핀 코트법 등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양극 (3)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중, 양극 (3) 에 접하여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 (6) 은, 양극 (3) 의 일함수에 관계없이 정공 (홀) 주입이 용이한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 때문에, 그 밖의 전극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그 밖에, 원소 주기표의 제 1 족 또는 제 2 족에 속하는 원소도 포함한다) 를 양극 (3) 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일함수가 작은 재료인 원소 주기표의 제 1 족에 속하는 원소, 원소 주기표의 제 2 족에 속하는 원소,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등을 양극 (3) 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원소 주기표의 제 1 족에 속하는 원소로는, 알칼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원소 주기표의 제 2 족에 속하는 원소로는, 알칼리 토금속을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 (Li) 및 세슘 (Cs)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Mg), 칼슘 (Ca), 스트론튬 (Sr) 등을 들 수 있다. 희토류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유로퓸 (Eu), 및 이테르븀 (Yb)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을 함유하는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MgAg, 및 AlL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을 사용하여 양극 (3)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은 페이스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포법이나 잉크젯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정공 주입층 (6) 은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다.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로는, 예를 들어, 몰리브덴 산화물, 티탄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레늄 산화물, 루테늄 산화물, 크롬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탄탈 산화물, 은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및 망간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로는, 예를 들어, 저분자의 유기 화합물인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약칭 : TDATA),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약칭 : MTDATA), 4,4'-비스[N-(4-디페닐아미노페닐)-N-페닐아미노]비페닐 (약칭 : DPAB), 4,4'-비스(N-{4-[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페닐}-N-페닐아미노)비페닐 (약칭 : DNTPD), 1,3,5-트리스[N-(4-디페닐아미노페닐)-N-페닐아미노]벤젠 (약칭 : DPA3B), 3-[N-(9-페닐카르바졸-3-일)-N-페닐아미노]-9-페닐카르바졸 (약칭 : PCzPCA1), 3,6-비스[N-(9-페닐카르바졸-3-일)-N-페닐아미노]-9-페닐카르바졸 (약칭 : PCzPCA2), 및 3-[N-(1-나프틸)-N-(9-페닐카르바졸-3-일)아미노]-9-페닐카르바졸 (약칭 : PCzPCN1) 등의 방향족 아민 화합물 등, 그리고 디피라지노[2,3-f:20,30-h]퀴녹살린-2,3,6,7,10,11-헥사카르보니트릴 (HAT-CN) 등도 들 수 있다.
또,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로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고분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올리고머, 덴드리머, 및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N-비닐카르바졸) (약칭 : PVK), 폴리(4-비닐트리페닐아민) (약칭 : PVTPA), 폴리[N-(4-{N'-[4-(4-디페닐아미노)페닐]페닐-N'-페닐아미노}페닐)메타크릴아미드] (약칭 : PTPDMA), 및 폴리[N,N'-비스(4-부틸페닐)-N,N'-비스(페닐)벤지딘] (약칭 : Poly-TPD)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 (PEDOT/PSS), 및 폴리아닐린/폴리(스티렌술폰산) (PAni/PSS) 등의 산을 첨가한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정공 수송층)
정공 수송층 (7) 은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다. 정공 수송층 (7) 에는, 예를 들어, 방향족 아민 화합물, 카르바졸 유도체, 및 안트라센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 (약칭 : NPB),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 (약칭 : TPD), 4-페닐-4'-(9-페닐플루오렌-9-일)트리페닐아민 (약칭 : BAFLP), 4,4'-비스[N-(9,9-디메틸플루오렌-2-일)-N-페닐아미노]비페닐 (약칭 : DFLDPBi), 4,4',4''-트리스(N,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약칭 : TDATA),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 (약칭 : MTDATA), 및 4,4'-비스[N-(스피로-9,9'-비플루오렌-2-일)-N―페닐아미노]비페닐 (약칭 : BSPB) 등의 방향족 아민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서술한 물질은, 주로 10-6 ㎠/(V·s) 이상의 정공 이동도를 갖는 물질이다.
정공 수송층 (7) 에는, CBP, 9-[4-(N-카르바졸릴)]페닐-10-페닐안트라센 (CzPA), 및 9-페닐-3-[4-(10-페닐-9-안트릴)페닐]-9H-카르바졸 (PCzPA) 과 같은 카르바졸 유도체, 그리고 t-BuDNA, DNA, 및 DPAnth 와 같은 안트라센 유도체 등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N-비닐카르바졸) (약칭 : PVK), 및 폴리(4-비닐트리페닐아민) (약칭 : PVTPA)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전자보다 정공의 수송성이 높은 물질이면, 이들 이외의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는 층은, 단층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층이 2 층 이상 적층된 층으로 해도 된다.
정공 수송층을 2 층 이상 배치하는 경우, 에너지 갭이 보다 큰 재료를 함유하는 층을 발광층 (5) 에 가까운 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7) 은, 발광층 (5) 에서 생성되는 삼중항 여기자가 정공 수송층 (7) 및 정공 주입층 (6) 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삼중항 여기자를 발광층 (5) 내에 가두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수송층)
전자 수송층 (8) 은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다. 전자 수송층 (8) 에는, 1) 알루미늄 착물, 베릴륨 착물, 및 아연 착물 등의 금속 착물, 2) 이미다졸 유도체,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아진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및 페난트롤린 유도체 등의 복소 방향족 화합물, 그리고 3)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분자의 유기 화합물로서, Alq, 트리스(4-메틸-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약칭 : Almq3),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h]퀴놀리나토)베릴륨 (약칭 : BeBq2), BAlq, Znq, ZnPBO, 및 ZnBTZ 등의 금속 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금속 착물 이외에도, 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약칭 : PBD), 1,3-비스[5-(p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일]벤젠 (약칭 : OXD-7), 3-(4-tert-부틸페닐)-4-페닐-5-(4-비페닐릴)-1,2,4-트리아졸 (약칭 : TAZ), 3-(4-tert-부틸페닐)-4-(4-에틸페닐)-5-(4-비페닐릴)-1,2,4-트리아졸 (약칭 : p-EtTAZ), 바소페난트롤린 (약칭 : BPhen), 바소쿠프로인 (약칭 : BCP), 및 4,4'-비스(5-메틸벤조옥사졸-2-일)스틸벤 (약칭 : BzOs) 등의 복소 방향족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벤조이미다졸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서술한 물질은, 주로 10-6 ㎠/(V·s) 이상의 전자 이동도를 갖는 물질이다. 또한, 정공 수송성보다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이면, 상기 이외의 물질을 전자 수송층 (8) 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전자 수송층 (8) 은, 단층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층이 2 층 이상 적층된 층으로 해도 된다.
또, 전자 수송층 (8) 에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9,9-디헥실플루오렌-2,7-디일)-co-(피리딘-3,5-디일)] (약칭 : PF-Py), 및 폴리[(9,9-디옥틸플루오렌-2,7-디일)-co-(2,2'-비피리딘-6,6'-디일)] (약칭 : PF-BP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수송층 (8) 은, 발광층 (5) 에서 생성되는 삼중항 여기자가 전자 수송층 (8) 이나 전자 주입층 (9) 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삼중항 여기자를 발광층 (5) 내에 가두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층)
전자 주입층 (9) 은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다. 전자 주입층 (9) 에는, 리튬 (Li), 세슘 (Cs), 칼슘 (Ca), 불화리튬 (LiF), 불화세슘 (CsF), 불화칼슘 (CaF2), 및 리튬 산화물 (LiOx)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그들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전자 수송성을 갖는 물질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그들의 화합물을 함유시킨 물질, 구체적으로는 Alq 중에 마그네슘 (Mg) 을 함유시킨 물질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음극 (4) 으로부터의 전자 주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혹은, 전자 주입층 (9) 에, 유기 화합물과 전자 공여체 (도너) 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복합 재료는, 전자 공여체에 의해 유기 화합물에 전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자 주입성 및 전자 수송성이 우수하다. 이 경우, 유기 화합물로는, 발생한 전자의 수송이 우수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전자 수송층 (8) 을 구성하는 물질 (금속 착물이나 복소 방향족 화합물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공여체로는, 유기 화합물에 대해 전자 공여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희토류 금속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리튬, 세슘, 마그네슘, 칼슘, 에르븀, 및 이테르븀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칼리 금속 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리튬 산화물, 칼슘 산화물, 및 바륨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산화마그네슘과 같은 루이스염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테트라티아풀바렌 (약칭 : TTF) 등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음극)
음극 (4) 에는, 일함수가 작은 (구체적으로는 3.8 eV 이하)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음극 재료의 구체예로는, 원소 주기표의 제 1 족에 속하는 원소, 원소 주기표의 제 2 족에 속하는 원소,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원소 주기표의 제 1 족에 속하는 원소로는, 알칼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원소 주기표의 제 2 족에 속하는 원소로는, 알칼리 토금속을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 (Li), 및 세슘 (Cs)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Mg), 칼슘 (Ca), 및 스트론튬 (Sr) 등을 들 수 있다. 희토류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유로퓸 (Eu), 및 이테르븀 (Yb)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을 함유하는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MgAg, 및 AlL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을 사용하여 음극 (4)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은 페이스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포법이나 잉크젯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층 (9) 을 형성함으로써, 일함수의 대소에 관계없이, Al, Ag, ITO, 그래핀, 및 규소 또는 산화규소를 함유한 산화인듐-산화주석 등, 여러 가지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 음극 (4)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도전성 재료는, 스퍼터링법, 잉크젯법, 및 스핀 코트법 등을 사용하여 성막할 수 있다.
(층 형성 방법)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 (1) 의 각 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상기에서 특별히 언급한 것 이외에는 제한되지 않고, 건식 성막법, 및 습식 성막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건식 성막법으로는,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플라즈마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습식 성막법으로는, 스핀 코팅법, 딥핑법, 플로우 코팅법,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막두께)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 (1) 의 각 유기층의 막두께는, 상기에서 특별히 언급한 것 이외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핀홀 등의 결함이 잘 생기지 않고, 또한 높은 인가 전압이 필요해지는 것에 따른 효율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막두께는 수 ㎚ 내지 1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형성 탄소수란, 원자가 고리상으로 결합한 구조의 화합물 (예를 들어, 단고리 화합물, 축합 고리 화합물, 가교 화합물, 탄소 고리 화합물, 복소 고리 화합물) 의 당해 고리 자체를 구성하는 원자 중 탄소 원자의 수를 나타낸다. 당해 고리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에 함유되는 탄소는 고리 형성 탄소수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고리 형성 탄소수」 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동일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벤젠 고리는 고리 형성 탄소수가 6 이고, 나프탈렌 고리는 고리 형성 탄소수가 10 이고, 피리디닐기는 고리 형성 탄소수 5 이고, 푸라닐기는 고리 형성 탄소수 4 이다. 또, 벤젠 고리나 나프탈렌 고리에 치환기로서 예를 들어 알킬기가 치환되어 있는 경우, 당해 알킬기의 탄소수는 고리 형성 탄소수의 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플루오렌 고리에 치환기로서 예를 들어 플루오렌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스피로플루오렌 고리를 포함한다), 치환기로서의 플루오렌 고리의 탄소수는 고리 형성 탄소수의 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형성 원자수란, 원자가 고리형으로 결합한 구조 (예를 들어 단고리, 축합 고리, 고리 집합) 의 화합물 (예를 들어 단고리 화합물, 축합 고리 화합물, 가교 화합물, 탄소 고리 화합물, 복소 고리 화합물) 의 당해 고리 자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수를 나타낸다. 고리를 구성하지 않는 원자 (예를 들어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의 결합손을 종단하는 수소 원자) 나, 당해 고리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경우의 치환기에 포함되는 원자는 고리 형성 원자수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하에 기재되는 「고리 형성 원자수」 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동일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피리딘 고리는, 고리 형성 원자수가 6 이고, 퀴나졸린 고리는, 고리 형성 원자수가 10 이고, 푸란 고리는, 고리 형성 원자수가 5 이다. 피리딘 고리나 퀴나졸린 고리의 탄소 원자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수소 원자나 치환기를 구성하는 원자에 대해서는, 고리 형성 원자수의 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플루오렌 고리에 치환기로서 예를 들어 플루오렌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스피로플루오렌 고리를 포함한다), 치환기로서의 플루오렌 고리의 원자수는 고리 형성 원자수의 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일반식에 기재된 각 치환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아릴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플루오레닐기, 피레닐기, 크리세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a]안트릴기, 벤조[c]페난트릴기, 트리페닐레닐기, 벤조[k]플루오란테닐기, 벤조[g]크리세닐기, 벤조[b]트리페닐레닐기, 피세닐기, 및 페릴레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릴기로는, 고리 형성 탄소수가 6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6 ∼ 14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 12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릴기 중에서도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터페닐기, 플루오레닐기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1-플루오레닐기, 2-플루오레닐기, 3-플루오레닐기 및 4-플루오레닐기에 대해서는, 9 위치의 탄소 원자에,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나,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18 의 아릴기가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헤테로아릴기, 헤테로 방향족 고리기, 또는 방향족 복소 고리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헤테로 원자로서, 질소, 황, 산소, 규소, 셀렌 원자, 및 게르마늄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질소, 황, 및 산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는, 예를 들어,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지닐기, 트리아지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리닐기, 나프티리디닐기, 프탈라지닐기, 퀴녹살리닐기, 퀴나졸리닐기, 페난트리디닐기, 아크리디닐기, 페난트롤리닐기,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인돌릴기, 벤즈이미다졸릴기, 인다졸릴기, 이미다조피리디닐기, 벤즈트리아졸릴기, 카르바졸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옥사졸릴기, 티아졸릴기, 이속사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오페닐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벤조이속사졸릴기, 벤조이소티아졸릴기, 벤조옥사디아졸릴기, 벤조티아디아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피페리디닐기, 피롤리디닐기, 피페라지닐기, 모르폴릴기, 페나지닐기, 페노티아지닐기, 및 페녹사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소 고리기의 고리 형성 원자수는, 5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4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소 고리기 중에서도 1-디벤조푸라닐기, 2-디벤조푸라닐기, 3-디벤조푸라닐기, 4-디벤조푸라닐기, 1-디벤조티오페닐기, 2-디벤조티오페닐기, 3-디벤조티오페닐기, 4-디벤조티오페닐기, 1-카르바졸릴기, 2-카르바졸릴기, 3-카르바졸릴기, 4-카르바졸릴기, 및 9-카르바졸릴기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1-카르바졸릴기, 2-카르바졸릴기, 3-카르바졸릴기 및 4-카르바졸릴기에 대해서는, 9 위치의 질소 원자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나,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가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소 고리기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XY-1) ∼ (XY-18) 로 나타내는 부분 구조로부터 유도되는 기여도 된다.
[화학식 43]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5
[화학식 44]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6
[화학식 4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7
상기 일반식 (XY-1) ∼ (XY-18) 에 있어서, X 및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이고, 산소 원자, 황 원자, 셀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게르마늄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XY-1) ∼ (XY-18) 로 나타내는 부분 구조는,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손을 가지고 복소 고리기가 되고, 이 복소 고리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카르바졸릴기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카르바졸 고리에 대해 추가로 고리가 축합된 기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도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결합손의 위치도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화학식 46]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8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로는,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네오펜틸기, 아밀기, 이소아밀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1-펜틸헥실기, 1-부틸펜틸기, 1-헵틸옥틸기, 및 3-메틸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6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중에서도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아밀기, 이소아밀기, 및 네오펜틸기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소수 3 ∼ 30 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아다만틸기, 및 노르보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시클로알킬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3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8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시클로알킬기 중에서도, 시클로펜틸기나 시클로헥실기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알킬기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할로겐화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플루오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환 실릴기로는, 탄소수 3 ∼ 30 의 알킬실릴기, 및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실릴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소수 3 ∼ 30 의 알킬실릴기로는,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에서 예시한 알킬기를 갖는 트리알킬실릴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트리-n-부틸실릴기, 트리-n-옥틸실릴기, 트리이소부틸실릴기, 디메틸에틸실릴기, 디메틸이소프로필실릴기, 디메틸-n-프로필실릴기, 디메틸-n-부틸실릴기, 디메틸-t-부틸실릴기, 디에틸이소프로필실릴기, 비닐디메틸실릴기, 프로필디메틸실릴기,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알킬실릴기에 있어서의 3 개의 알킬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실릴기로는, 예를 들어, 디알킬아릴실릴기, 알킬디아릴실릴기, 및 트리아릴실릴기를 들 수 있다.
디알킬아릴실릴기는,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에서 예시한 알킬기를 2 개 갖고,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를 1 개 갖는 디알킬아릴실릴기를 들 수 있다. 디알킬아릴실릴기의 탄소수는, 8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디아릴실릴기는,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에서 예시한 알킬기를 1 개 갖고,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를 2 개 갖는 알킬디아릴실릴기를 들 수 있다. 알킬디아릴실릴기의 탄소수는, 13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아릴실릴기는, 예를 들어,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를 3 개 갖는 트리아릴실릴기를 들 수 있다. 트리아릴실릴기의 탄소수는, 18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는 -OZ1 나타낸다. 이 Z1 의 예로서,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알콕시기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및 헥실옥시기를 들 수 있다. 알콕시기의 탄소수는, 1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기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할로겐화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가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로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는 -OZ2 로 나타낸다. 이 Z2 의 예로서,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아릴옥시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6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릴옥시기로는, 예를 들어, 페녹시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는, -NHRV, 또는 -N(RV)2 로 나타낸다. 이 RV 의 예로서,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는, -NHRW, 또는 -N(RW)2 로 나타낸다. 이 RW 의 예로서,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30 의 알킬티오기는 -SRV 로 나타낸다. 이 RV 의 예로서,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알킬티오기의 탄소수는, 1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는 -SRW 로 나타낸다. 이 RW 의 예로서,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아릴티오기의 고리 형성 탄소수는, 6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로는,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르알킬기가 바람직하고, -Z3-Z4 로 나타낸다. 이 Z3 의 예로서, 상기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에 대응하는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이 Z4 의 예로서, 상기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기의 예를 들 수 있다. 이 아르알킬기는,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아릴 부분은 탄소수 6 ∼ 30, 바람직하게는 6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12), 알킬 부분은 탄소수 1 ∼ 30 (바람직하게는 1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6)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르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벤질기, 2-페닐프로판-2-일기, 1-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1-페닐이소프로필기, 2-페닐이소프로필기, 페닐-t-부틸기, α-나프틸메틸기, 1-α-나프틸에틸기, 2-α-나프틸에틸기, 1-α-나프틸이소프로필기, 2-α-나프틸이소프로필기, β-나프틸메틸기, 1-β-나프틸에틸기, 2-β-나프틸에틸기, 1-β-나프틸이소프로필기, 및 2-β-나프틸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는 -COOY' 로 나타낸다. 이 Y' 의 예로서, 상기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형성 탄소」 란 포화 고리, 불포화 고리, 또는 방향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를 의미한다. 「고리 형성 원자」 란 헤테로 고리 (포화 고리, 불포화 고리, 및 방향 고리를 포함한다) 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및 헤테로 원자를 의미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소 원자란, 중성자수가 상이한 동위체, 즉, 경수소 (Protium), 중수소 (Deuterium), 삼중수소 (Tritium) 를 포함한다.
또, 「치환 또는 무치환의」 라고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알킬기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할로알킬기), 알킬실릴기, 아릴실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외에,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아노기, 하이드록실기, 니트로기, 및 카르복실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예시한 치환기 중에서는,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알킬실릴기, 아릴실릴기, 시아노기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각 치환기의 설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한 구체적인 치환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치환기는, 상기의 아릴기, 복소 고리기, 알킬기, 알킬실릴기, 아릴실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외에,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하이드록실기, 니트로기, 및 카르복실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되어도 된다. 또, 이들 치환기는 복수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알케닐기로는, 탄소수 2 ∼ 30 의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올레일기, 에이코사펜타에닐기, 도코사헥사에닐기, 스티릴기, 2,2-디페닐비닐기, 1,2,2-트리페닐비닐기, 2-페닐-2-프로페닐기, 시클로펜타디에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및 시클로헥사디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키닐기로는, 탄소수 2 ∼ 30 의 알키닐기가 바람직하고,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에티닐, 프로피닐, 및 2-페닐에티닐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또는 무치환의」 라고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무치환」 이란 상기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지 않고,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XX ∼ YY 의 ZZ 기」 라고 하는 표현에 있어서의 「탄소수 XX ∼ YY」 는, ZZ 기가 무치환인 경우의 탄소수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경우의 치환기의 탄소수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YY」 는 「XX」 보다 크고, 「XX」 와 「YY」 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정수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환 또는 무치환의 원자수 XX ∼ YY 의 ZZ 기」 라고 하는 표현에 있어서의 「원자수 XX ∼ YY」 는, ZZ 기가 무치환인 경우의 원자수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경우의 치환기의 원자수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YY」 는 「XX」 보다 크고, 「XX」 와 「YY」 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정수를 의미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화합물 또는 그 부분 구조에 있어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라고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치환기끼리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 구조가 구축되는 경우, 고리 구조는, 포화 고리, 불포화 고리,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또는 복소 고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기에 있어서의 아릴기 등으로는, 상기 서술한 1 가의 기로부터 1 개 이상의 원자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2 가 이상의 기를 들 수 있다.
(전자 기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 (1) 는, 표시 장치나 발광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유기 EL 패널 모듈 등의 표시 부품,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및 퍼스널 컴퓨터 등을 들 수 있다. 발광 장치로는, 예를 들어, 조명, 및 차량용 등구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 부호나 명칭을 부여하거나 하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예도 포함하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재료 및 화합물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재료 및 화합물과 동일한 재료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양극과, 발광층과, 음극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층은,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을 함유하고, 제 3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층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을 함유한다) 과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0) 또는 하기 일반식 (10')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4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49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a1 은 0 또는 1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단, a1 + a2 ≥ 1 이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이 0 일 때, L2 는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L2 가 1 가의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이 1 일 때,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화학식 4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0
[화학식 49]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1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m2 는 2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복수의 m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화합물은, 지연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화합물은,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축합 고리 구조는,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이다.
[화학식 50]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2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c, d, e, f, h, i, 및 j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b 및 g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5 원자 고리 또는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단,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d 및 e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d 및 e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i 및 j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되고,
g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g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다.
또한, b 및 g 의 위치에는, 6 원자 고리 (단고리) 및 축합 고리 중의 6 원자 고리 모두 직접 축합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은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발광색이나 발광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 2 화합물은, 발광 피크 파장이 55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발광 피크 파장이 400 ㎚ 이상 50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발광 피크 파장이 430 ㎚ 이상 48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제 2 화합물은, 녹색 또는 청색의 형광 발광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청색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화합물은 형광 양자 수율이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TADF 기구>
본 실시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제 1 화합물로서 ΔST (M1) 가 작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ΔST (M1) 가 작으면,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제 1 화합물의 삼중항 준위로부터 제 1 화합물의 일중항 준위로의 역항간 교차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유기 EL 소자 내부의 전기 여기된 여기자의 여기 삼중항 상태가, 역항간 교차에 의해, 여기 일중항 상태로 스핀 교환이 되는 에너지 상태 변환 기구를 TADF 기구라고 부른다.
도 5 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에너지 준위 및 에너지 이동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에 있어서, S0 은 기저 상태를 나타내고, S1 (M1) 은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T1 (M1) 은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S1 (M2) 은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를 나타내고, T1 (M2) 은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중의 S1 (M1) 로부터 S1 (M2) 로 향하는 파선의 화살표는,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로의 페르스터형 에너지 이동을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화합물로서 ΔST (M1) 가 작은 화합물을 사용하면, 최저 여기 삼중항 상태 T1 (M1) 은, 열에너지에 의해,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1) 로 역항간 교차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1) 로부터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2) 로의 페르스터형 에너지 이동이 생긴다. 이 결과, 제 2 화합물의 최저 여기 일중항 상태 S1 (M2) 로부터의 형광 발광을 관측할 수 있다. 이 TADF 기구에 의한 지연 형광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이론적으로 내부 효율을 100 % 까지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1) 는,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M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 (1) 를 발광시켰을 때, 발광층 (5) 에 있어서, 주로 제 2 화합물이 발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함유율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 (1) 에서는, 발광층 (5) 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의 함유율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의 변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경,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발광층은, 1 층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발광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 EL 소자가 복수의 발광층을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이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그 밖의 발광층이, 형광 발광형의 발광층이어도 되고, 삼중항 여기 상태로부터 직접 기저 상태로의 전자 천이에 의한 발광을 이용한 인광 발광형의 발광층이어도 된다.
또, 유기 EL 소자가 복수의 발광층을 갖는 경우, 이들 발광층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중간층을 개재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이 적층된, 이른바 탠덤형의 유기 EL 소자여도 된다.
또, 예를 들어, 발광층의 양극측 및 음극측 중 적어도 일방에 장벽층을 인접시켜 형성해도 된다. 장벽층은, 발광층에 접하여 배치되고, 정공, 전자 및 여기자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광층의 음극측에서 접하여 장벽층이 배치되었을 경우, 당해 장벽층은, 전자를 수송하고, 또한 정공이 당해 장벽층보다 음극측의 층 (예를 들어, 전자 수송층) 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한다. 유기 EL 소자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당해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광층의 양극측에서 접하여 장벽층이 배치되었을 경우, 당해 장벽층은, 정공을 수송하고, 또한 전자가 당해 장벽층보다 양극측의 층 (예를 들어, 정공 수송층) 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한다. 유기 EL 소자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광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당해 장벽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 에너지가 발광층으로부터 그 주변층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장벽층을 발광층에 인접시켜 형성해도 된다. 발광층에서 생성된 여기자가, 당해 장벽층보다 전극측의 층 (예를 들어, 전자 수송층이나 정공 수송층) 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발광층과 장벽층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및 평가>
유기 EL 소자를 이하와 같이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
25 ㎜ × 75 ㎜ × 1.1 ㎜ 두께의 ITO 투명 전극 (양극) 이 부착된 유리 기판 (지오마틱사 제조) 을, 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서 5 분간 초음파 세정을 실시한 후, UV 오존 세정을 30 분간 실시하였다. ITO 의 막두께는 130 ㎚ 로 하였다.
세정 후의 투명 전극 라인이 부착된 상기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고, 먼저 투명 전극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상에 투명 전극을 덮도록 하여 화합물 HI 를 증착하여, 막두께 5 ㎚ 의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공 주입층 상에 화합물 HT-1 을 증착하여, HI 막 상에 막두께 80 ㎚ 의 제 1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이 제 1 정공 수송층 상에 화합물 HT-2 를 증착하여, 막두께 10 ㎚ 의 제 2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제 2 정공 수송층 상에 화합물 EB 를 증착하여, 막두께 5 ㎚ 의 장벽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 장벽층 상에, 제 1 화합물로서의 화합물 BH 와, 제 2 화합물로서의 화합물 BD-1 과, 제 3 화합물로서의 화합물 DA-1 을 공증착하여, 막두께 25 ㎚ 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를 14 질량% 로 하고, 화합물 BD-1 의 농도를 1 질량% 로 하고, 화합물 DA-1 의 농도를 85 질량% 로 하였다.
다음으로, 이 발광층 상에 화합물 DA-2 를 증착하여, 막두께 5 ㎚ 의 장벽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이 장벽층 상에 화합물 ET 를 증착하여, 막두께 20 ㎚ 의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이 전자 수송층 상에 불화리튬 (LiF) 을 증착하여, 막두께 1 ㎚ 의 전자 주입성 전극 (음극) 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전자 주입성 전극 상에 금속 알루미늄 (Al) 을 증착하여, 막두께 80 ㎚ 의 금속 Al 음극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또한, 괄호 안의 숫자는 막두께 (단위 : ㎚) 를 나타낸다. 또, 동일하게 괄호 안에 있어서, 퍼센트 표시된 숫자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각 화합물의 비율 (질량%) 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를 49 질량% 로 하고, 화합물 BD-1 의 농도를 1 질량% 로 하고, 화합물 DA-1 의 농도를 50 질량%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3)
실시예 3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2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4)
실시예 4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2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2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5)
실시예 5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3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6)
실시예 6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2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3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7)
실시예 7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DA-1 대신에 화합물 DA-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2 : BH : BD-1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8)
실시예 8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2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DA-1 대신에 화합물 DA-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2 : BH : BD-1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9)
실시예 9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5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DA-1 대신에 화합물 DA-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2 : BH : BD-3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0)
실시예 10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6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DA-1 대신에 화합물 DA-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2 : BH : BD-3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비교예 1)
비교예 1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를 14 질량% 로 하고, 화합물 DA-1 의 농도를 86 질량%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25, 86 % : 14 %)/DA-2 (5)/ET (20)/LiF (1)/Al (80)
유기 EL 소자의 제조에 사용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51]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3
[화학식 52]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4
[화학식 53]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5
[화학식 54]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6
[화합물의 평가]
화합물 BH 의 지연 형광 발광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및 산출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지연 형광 발광성
지연 형광 발광성은 도 2 에 나타내는 장치를 이용하여 과도 PL 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상기 화합물 BH 와 상기 화합물 TH-2 를, 화합물 BH 의 비율이 12 질량% 가 되도록 석영 기판 상에 공증착하여, 막두께 100 ㎚ 의 박막을 형성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화합물 BH 가 흡수하는 파장의 펄스광 (펄스 레이저로부터 조사되는 광) 으로 여기된 후, 당해 여기 상태로부터 즉석에서 관찰되는 Prompt 발광 (즉시 발광) 과, 당해 여기 후, 즉석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그 후 관찰되는 Delay 발광 (지연 발광) 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연 형광 발광이란, Delay 발광 (지연 발광) 의 양이 Prompt 발광 (즉시 발광) 의 양에 대해 5 % 이상을 의미한다. 화합물 BH 는 Delay 발광 (지연 발광) 의 양이 Prompt 발광 (즉시 발광) 의 양에 대해 5 % 이상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Prompt 발광과 Delay 발광의 양은, "Nature 492, 234-238, 2012"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Prompt 발광과 Delay 발광의 양의 산출에 사용되는 장치는, 도 2 의 장치나 문헌에 기재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T77K 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대상이 되는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에 관해서는, T77K 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는, 화합물 BD-1, 화합물 BD-2, 화합물 BD-3, 화합물 DA-1, 및 화합물 DA-2 를 측정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대상이 되는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 의 각각에 대해, EPA (디에틸에테르 : 이소펜탄 : 에탄올 = 5 : 5 : 2 (용적비)) 중에, 농도가 10 μ㏖/ℓ 가 되도록 용해하고, 이 용액을 석영 셀 중에 넣고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각각의 측정 시료에 대해, 저온 (77 [K]) 에서 인광 스펙트럼 (세로축 : 인광 발광 강도, 가로축 : 파장으로 한다) 을 측정하고, 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해 접선을 긋고, 그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의 파장값 λedge [㎚] 에 기초하여, 다음의 환산식 2 로부터 산출되는 에너지량을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로 하였다.
환산식 2 : T77K [eV] = 1239.85/λedge
측정 대상이 되는 제 1 화합물에 관해서는, T77K 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는, 화합물 BH 를 측정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대상이 되는 화합물 (제 1 화합물) 과, 화합물 TH-2 를 석영 기판 상에 공증착하고, NMR 관 내에 봉입한 시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시료는 하기의 조건으로 제조한 시료이다.
석영 기판/TH-2 : 화합물 BH (막두께 100 ㎚, 화합물 BH 농도 : 12 질량%)
이 측정 시료에 대해, 저온 (77 [K]) 에서 인광 스펙트럼 (세로축 : 인광 발광 강도, 가로축 : 파장으로 한다) 을 측정하고, 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해 접선을 긋고, 그 접선과 가로축의 교점의 파장값 λedge [㎚] 에 기초하여, 다음의 환산식 1 로부터 산출되는 에너지량을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로 하였다.
환산식 1 : T77K [eV] = 1239.85/λedge
인광의 측정에는,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 제조의 F-4500 형 분광 형광 광도계 본체를 사용하였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은 이하와 같이 그었다.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으로부터, 스펙트럼의 극대값 중,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까지 스펙트럼 곡선 상을 이동할 때, 장파장측을 향하여 곡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접선을 생각한다. 이 접선은, 곡선이 상승함에 따라 (요컨대 세로축이 증가함에 따라), 기울기가 증가한다. 이 기울기의 값이 극대값을 취하는 점에서 그은 접선 (즉 변곡점에 있어서의 접선) 이, 당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하였다.
또한,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 강도의 15 % 이하의 피크 강도를 갖는 극대점은, 상기 서술한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가장 단파장측의 극대값에 가장 가까운, 기울기의 값이 극대값을 취하는 점에서 그은 접선을 당해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측의 상승에 대한 접선으로 하였다.
산출한 에너지 갭 T77K 를 이하에 나타낸다.
BH : 3.1 eV
BD-1 : 2.0 eV
BD-2 : 2.3 eV
BD-3 : 2.1 eV
DA-1 : 3.5 eV
DA-2 : 3.0 eV
[유기 EL 소자의 평가]
실시예 1 ∼ 10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 구동 전압 및 발광 피크 파장 λp 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서는, 외부 양자 효율 EQE 의 평가도 실시하였다. 또, 실시예 1 ∼ 2, 5 ∼ 10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서는 CIE1931 색도의 평가도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 ∼ 4, 7 ∼ 8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서는, 반치폭 (FWHM) 의 평가도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평가 결과를 표 3 ∼ 6 에 나타낸다.
·구동 전압
전류 밀도가 0.1 ㎃/㎠ 가 되도록 ITO 투명 전극과 금속 Al 음극 사이에 통전했을 때의 전압 (단위 : V) 을 계측하였다.
·CIE1931 색도
전류 밀도가 0.1 ㎃/㎠ 가 되도록 소자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CIE1931 색도 좌표 (x, y) 를, 분광 방사 휘도계 CS-1000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으로 계측하였다.
·외부 양자 효율 EQE
전류 밀도가 0.1 ㎃/㎠ 가 되도록 소자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분광 방사 휘도 스펙트럼을 상기 분광 방사 휘도계로 계측하였다. 얻어진 분광 방사 휘도 스펙트럼으로부터, 램버시안 방사를 실시한 것으로 가정하여 외부 양자 효율 EQE (단위 : %) 를 산출하였다.
·발광 피크 파장 λp
상기에서 얻어진 분광 방사 휘도 스펙트럼으로부터 발광 피크 파장 λp 를 구하였다.
·반치폭 (FWHM)
상기에서 얻어진 분광 방사 휘도 스펙트럼으로부터 반치폭 (단위는 ㎚) 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59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0
표 3 ∼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로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가 높아지면, 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 ∼ 2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모두 비교예 1 과 동등한 발광 효율이었다.
또, 실시예 1 ∼ 2, 5 ∼ 10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비교예 1 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색순도가 높은 청색 발광이 얻어졌다. 특히, 화합물 BD-3 을 사용한 실시예 5 ∼ 6, 9 ∼ 10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고색순도의 발광이 얻어졌다.
또, 실시예 1 ∼ 4, 7 ∼ 8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비교예 1 보다 반치폭이 좁았다.
이상과 같이,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실시예 1 ∼ 10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모두 소자 성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11 ∼ 18)
실시예 11 ∼ 18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의 제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외에, 하기 화합물도 사용하였다.
[화학식 5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1
[화학식 56]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2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및 평가>
유기 EL 소자를 이하와 같이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1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4 를 사용하고, 또한 화합물 BD-4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농도를 1 질량% 로 하고, 또한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를 24 질량% 로 하고, 화합물 DA-1 의 농도를 75 질량%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4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또한, 괄호 안의 숫자는 막두께 (단위 : ㎚) 를 나타낸다. 또, 동일하게 괄호 안에 있어서, 퍼센트 표시된 숫자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각 화합물의 비율 (질량%) 을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12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5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3)
실시예 13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6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6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4)
실시예 14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7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5)
실시예 15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8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8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6)
실시예 16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9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9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7)
실시예 17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10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0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18)
실시예 18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대신에 화합물 BD-1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1 (25, 75 % : 24 % : 1 %)/DA-2 (5)/ET (20)/LiF (1)/Al (80)
(비교예 2)
비교예 2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4 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를 24 질량% 로 하고, 화합물 DA-1 의 농도를 76 질량%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25, 76 % : 24 %)/DA-2 (5)/ET (20)/LiF (1)/Al (80)
[화합물의 평가]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측정 대상이 되는 제 2 화합물 (화합물 BD-4 ∼ 화합물 BD-11) 에 관해서는, T77K 의 측정은 화합물 BD-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산출한 에너지 갭 T77K 를 이하에 나타낸다.
BD-4 : 2.0 eV
BD-5 : 2.0 eV
BD-6 : 2.0 eV
BD-7 : 2.0 eV
BD-8 : 2.0 eV
BD-9 : 2.0 eV
BD-10 : 2.0 eV
BD-11 : 2.0 eV
[유기 EL 소자의 평가]
실시예 11 ∼ 18 및 비교예 2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 CIE1931 색도, 발광 피크 파장 λp, 및 반치폭 (FWHM) 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전술과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1 ∼ 18 및 비교예 2 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동시킬 때의 전류 밀도를 0.1 ㎃/㎠ 로 하였다. 각 평가의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3
표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 18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비교예 2 보다 색순도가 높은 청색 발광이 얻어졌다.
또, 실시예 11 ∼ 18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비교예 2 보다 반치폭이 좁았다.
이상과 같이,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실시예 11 ∼ 18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모두 소자 성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19 ∼ 22)
실시예 19 ∼ 22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의 제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외에, 하기 화합물도 사용하였다.
[화학식 57]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4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및 평가>
유기 EL 소자를 이하와 같이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9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1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2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또한, 괄호 안의 숫자는 막두께 (단위 : ㎚) 를 나타낸다. 또, 동일하게 괄호 안에 있어서, 퍼센트 표시된 숫자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각 화합물의 비율 (질량%) 을 나타낸다.
(실시예 20)
실시예 20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2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1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2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21)
실시예 21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1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3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실시예 22)
실시예 22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2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1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13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비교예 3)
비교예 3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9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2 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9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를 15 질량% 로 하고, 화합물 DA-1 의 농도를 85 질량%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25, 85 % : 15 %)/DA-2 (5)/ET (20)/LiF (1)/Al (80)
[화합물의 평가]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측정 대상이 되는 제 2 화합물 (화합물 BD-12 및 화합물 BD-13) 에 관해서는, T77K 의 측정은 화합물 BD-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산출한 에너지 갭 T77K 를 이하에 나타낸다.
BD-12 : 2.2 eV
BD-13 : 2.2 eV
[유기 EL 소자의 평가]
실시예 19 ∼ 22 및 비교예 3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 전압 (V), CIE1931 색도, 발광 피크 파장 λp, 및 반치폭 (FWHM) 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 실시예 19 ∼ 20 및 비교예 3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서는, 외부 양자 효율 EQE (%) 의 평가도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전술과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9 ∼ 22 및 비교예 3 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동시킬 때의 전류 밀도를 0.1 ㎃/㎠ 로 하였다. 각 평가의 결과를 표 8 ∼ 9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5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6
표 8 ∼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층에 있어서의 제 1 화합물로서의 화합물 BH 의 농도가 높아지면, 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9 ∼ 20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모두 비교예 3 과 동일한 정도의 발광 효율이었다.
또, 실시예 19 ∼ 22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비교예 3 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색순도가 높은 청색 발광이 얻어졌다.
또, 실시예 19 ∼ 22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비교예 3 보다 반치폭이 좁았다.
이상과 같이,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실시예 19 ∼ 22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비교예 3 과 비교하여, 모두 소자 성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비교예 4 ∼ 5)
비교예 4 ∼ 5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의 제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외에, 하기 화합물도 사용하였다.
[화학식 58]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7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및 평가>
유기 EL 소자를 이하와 같이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1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X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X (25, 85 % : 14 % : 1 %)/DA-2 (5)/ET (20)/LiF (1)/Al (80)
또한, 괄호 안의 숫자는 막두께 (단위 : ㎚) 를 나타낸다. 또, 동일하게 괄호 안에 있어서, 퍼센트 표시된 숫자는 발광층에 있어서의 각 화합물의 비율 (질량%) 을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5 의 유기 EL 소자는, 실시예 2 의 발광층에 있어서의 화합물 BD-1 대신에 화합물 BD-X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의 유기 EL 소자의 소자 구성을 약식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TO (130)/HI (5)/HT-1 (80)/HT-2 (10)/EB (5)/DA-1 : BH : BD-X (25, 50 % : 49 % : 1 %)/DA-2 (5)/ET (20)/LiF (1)/Al (80)
[화합물의 평가]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측정 대상이 되는 화합물 BD-X 에 관해서는, T77K 의 측정은 화합물 BD-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산출한 에너지 갭 T77K 를 이하에 나타낸다.
BD-X : 1.8 eV
[유기 EL 소자의 평가]
비교예 4 ∼ 5 에 있어서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대해, 전압 (V), CIE1931 색도, 외부 양자 효율 EQE (%), 발광 피크 파장 λp, 및 반치폭 (FWHM) 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전술과 동일하다. 또한, 비교예 4 ∼ 5 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구동시킬 때의 전류 밀도를 0.1 ㎃/㎠ 로 하였다. 각 평가의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10469180-pct00068
표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4 ∼ 5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는, 모두 실시예 1, 2, 19, 및 20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보다 발광 효율이 떨어져 있었다.
또, 비교예 4 ∼ 5 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모두 실시예에 관련된 유기 EL 소자보다 반치폭이 넓었다.
1…유기 EL 소자,
2…기판,
3…양극,
4…음극,
5…발광층,
6…정공 주입층,
7…정공 수송층,
8…전자 수송층,
9…전자 주입층.

Claims (31)

  1. 양극과,
    발광층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3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지연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이고,
    상기 제 1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보다 크고,
    상기 제 3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는, 상기 제 2 화합물의 77 [K] 에 있어서의 에너지 갭 T77K 보다 크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고, 또한 고리의 총수가 8 고리 이내인 축합 고리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0083074569-pct00069

    (상기 일반식 (2) 에 있어서, a, c, d, e, f, h, i, 및 j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b 및 g 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있어서, 5 원자 고리 또는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어 있어도 되고, 단,
    i 및 j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d 및 e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d 및 e 의 위치에 6 원자 고리가 축합될 때, i 및 j 의 위치에도 단고리 또는 축합 고리가 축합되고,
    b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b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되고,
    g 의 위치에 5 원자 고리를 갖는 축합 고리가 축합될 때, 그 축합 고리 중의 5 원자 고리가 g 의 위치에 직접 축합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b 및 g 의 위치에는, 6 원자 고리(단고리) 및 축합 고리 중의 6 원자 고리 모두 직접 축합되지 않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화합물의 함유율이 1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0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A 는 하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A 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A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B 는 하기 일반식 (b-1) ∼ (b-6)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B 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B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B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a, b 및 d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5 의 정수이고,
    c 는 0 ∼ 5 의 정수이고,
    c 가 0 일 때, A 와 B 는 단결합 또는 스피로 결합으로 결합하고,
    c 가 1 ∼ 5 의 정수일 때, L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L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L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1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2

    (상기 일반식 (b-1) ∼ (b-6) 에 있어서,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 이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R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3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a1 은 0 또는 1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단, a1 + a2 ≥ 1 이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이 0 일 때, L2 는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L2 가 1 가의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이 1 일 때,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m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0')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4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
    m2 는 2 이고,
    a2 는 0 또는 1 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m1 은 1 ∼ 5 의 정수이고, 복수의 m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2 가 0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가의 치환기이고, R1 및 R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a2 가 1 일 때,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및
    치환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복수의 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일반식 (a-1) ∼ (a-7) 에서 선택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기이고, 복수의 A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2 는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2 가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1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1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L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0B), 일반식 (10C), 일반식 (10D) 및 일반식 (10E)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5

    Figure 112022046366575-pct00076

    (상기 일반식 (10D) 에 있어서, X2 는, =N-L1-L2-A1, 산소 원자, 황 원자, 및 셀렌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일반식 (10B), (10C), (10D), 및 (10E) 에 있어서, R1, R2, A1, A2, L1 및 L2 는, 상기 일반식 (10) 에 있어서의 R1, R2, A1, A2, L1 및 L2 와 각각 동일한 의미이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발광 피크 파장이 550 ㎚ 이하인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청색 형광 발광성의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벤조플루오렌 골격, 플루오란텐 골격,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83

    (상기 일반식 (21) 에 있어서,
    n1 은 1 이상의 정수이고,
    Ar0 은 벤조플루오렌 골격, 플루오란텐 골격,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이고,
    Ar1 및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Ar1 과 Ar2 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n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r1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복수의 Ar2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0 은 단결합 또는 연결기이고, L0 이 연결기인 경우의 연결기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n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L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r1 및 상기 Ar2 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r1 및 상기 Ar2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r1 및 상기 Ar2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84

    (상기 일반식 (22) 에 있어서,
    x 는 0 ∼ 3 의 정수이고,
    y 는 0 ∼ 7 의 정수이고,
    X5 는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셀렌 원자이고,
    x 가 0 일 때, 상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기와 상기 일반식 (21) 중의 질소 원자는 단결합으로 결합하고,
    x 가 1 ∼ 3 의 정수일 때, Ar5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x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Ar5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Ar5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R5 는,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 실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y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5 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5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Ar2 는 상기 일반식 (22) 로 나타내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r1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2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r1 은,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릴기, 터페닐기, 및 플루오레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X5 는 산소 원자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r0 은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1) 에 있어서의 Ar0 으로서의 벤조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기는, 하기 일반식 (Ar-1) 로 나타내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85

    (상기 일반식 (Ar-1) 에 있어서,
    R11 및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11 및 R1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및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 또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단,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및 R22 중 적어도 하나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및 R22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 실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3 과 R14, R14 와 R15, R15 와 R16, R17 과 R18, R18 과 R19, R19 와 R20, R20 과 R21, 및 R21 과 R22 중 어느 1 세트 이상이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Ar1 및 상기 Ar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일반식 (Ar-1) 로 나타내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Ar-1) 로 나타내는 기가 하기 일반식 (Ar-2) 로 나타내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86

    (상기 일반식 (Ar-2) 에 있어서,
    R11, R12, RA 및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이고, R11, R12, RA 및 RB 가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3,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R25 및 R2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기, 또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단, R13,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R25 및 R26 중 적어도 하나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이고,
    R13, R16, R17, R18, R19, R20, R21, R22, R23, R24, R25 및 R26 이 치환기인 경우의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 실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아릴티오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17 과 R18, R18 과 R19, R19 와 R20, R20 과 R21, R21 과 R22, R23 과 R24, R24 와 R25, 및 R25 와 R26 중 어느 1 세트 이상이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R21 및 상기 R25 중 적어도 하나는, L0 과 결합하는 단결합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2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Figure 112022046366575-pct00087

    (상기 일반식 (23) 에 있어서,
    p 는 0 ∼ 5 의 정수이고,
    q 및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5 의 정수이고,
    Ar10 은 벤조플루오렌 골격, 플루오란텐 골격, 피렌 골격, 또는 크리센 골격을 갖는 기이고,
    R10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7 ∼ 30 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R10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R1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R10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되고,
    p 가 0 일 때, Ar10 과 R10 은 단결합으로 결합하고,
    p 가 1 ∼ 5 의 정수일 때, L10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탄소수 6 ∼ 30 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고리 형성 원자수 5 ∼ 30 의 복소 고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고, L10 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L10 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L10 끼리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Ar10 은, 벤조플루오란텐 골격을 갖는 기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26.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27.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2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67002780A 2014-08-26 2015-08-24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KR102437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2009 2014-08-26
JPJP-P-2014-172009 2014-08-26
JPJP-P-2015-067468 2015-03-27
JP2015067468 2015-03-27
JPJP-P-2015-140728 2015-07-14
JP2015140728 2015-07-14
PCT/JP2015/073763 WO2016031785A1 (ja) 2014-08-26 2015-08-24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960A KR20170083960A (ko) 2017-07-19
KR102437253B1 true KR102437253B1 (ko) 2022-08-26

Family

ID=5539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780A KR102437253B1 (ko) 2014-08-26 2015-08-24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47876B2 (ko)
EP (1) EP3188271B1 (ko)
JP (1) JP6742236B2 (ko)
KR (1) KR102437253B1 (ko)
CN (1) CN105556696B (ko)
WO (1) WO2016031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2781A1 (ja) 2014-09-19 2016-03-24 出光興産株式会社 新規な化合物
JP2019204805A (ja) 2016-08-10 2019-11-2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KR102641614B1 (ko) * 2016-09-29 2024-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21007116A (ja) * 2017-08-21 2021-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CN111263762A (zh) * 2017-11-02 2020-06-09 出光兴产株式会社 新型化合物和有机电致发光元件
JP2019140188A (ja) * 2018-02-07 2019-08-2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KR102633613B1 (ko) 2018-02-12 2024-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헤테로환 화합물
US20210057667A1 (en) * 2018-05-11 2021-02-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liance, organic compound, and lighting device
US11459340B2 (en) 2018-09-18 2022-10-04 Nikang Therapeutics, Inc. Tri-substituted heteroaryl derivatives as Src homology-2 phosphatase inhibitors
KR20200068792A (ko) * 2018-12-05 2020-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다환 화합물
KR102623053B1 (ko) 2018-12-05 202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다환 화합물
DE112020001143T5 (de) * 2019-03-08 2021-12-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Licht emittierendes Gerät, Anzeigevorrichtung, elektronisches Gerät und Beleuchtungsvorrichtung
CN109943321B (zh) * 2019-04-09 2021-12-07 南京邮电大学 具有延迟荧光性质的esipt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WO2020217129A1 (ko) * 2019-04-25 2020-10-29
CN110563646A (zh) * 2019-08-27 2019-12-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电致发光材料、电致发光材料的制备方法及发光器件
JP2023011953A (ja) * 2019-11-08 2023-01-2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735A (ja) * 2006-07-11 2009-12-03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ための新規な材料
WO2010122810A1 (ja) * 2009-04-24 2010-10-28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3180241A1 (ja) * 2012-06-01 2013-12-0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
WO2014037077A1 (de) * 2012-09-04 2014-03-13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9713A1 (en) 2006-11-15 2008-05-22 Idemitsu Kosan Co., Ltd. Fluoranthene compou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fluoranthene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containing solution
JP2011003793A (ja) * 2009-06-19 2011-01-06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素子
EP2602839A1 (en) * 2010-08-05 2013-06-1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O2013042775A1 (ja) 2011-09-22 2013-03-28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959970B2 (ja) * 2012-07-20 2016-08-0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4104315A1 (ja) * 2012-12-28 2014-07-0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14164686A (ja) * 2013-02-27 2014-09-0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筐体取り付け構造および端末装置、並びに、筐体取り付け方法および端末装置の製造方法
KR102543775B1 (ko) * 2013-08-14 2023-06-14 가부시키가이샤 큐럭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JP5905916B2 (ja) * 2013-12-26 2016-04-20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735A (ja) * 2006-07-11 2009-12-03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のための新規な材料
WO2010122810A1 (ja) * 2009-04-24 2010-10-28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3180241A1 (ja) * 2012-06-01 2013-12-0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
WO2014037077A1 (de) * 2012-09-04 2014-03-13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8271B1 (en) 2022-05-04
US9947876B2 (en) 2018-04-17
WO2016031785A1 (ja) 2016-03-03
CN105556696A (zh) 2016-05-04
EP3188271A4 (en) 2018-04-18
KR20170083960A (ko) 2017-07-19
JPWO2016031785A1 (ja) 2017-06-08
JP6742236B2 (ja) 2020-08-19
US20160301014A1 (en) 2016-10-13
CN105556696B (zh) 2019-02-22
EP3188271A1 (en)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253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JP676179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電子機器、および化合物
WO201818118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WO2018088472A1 (ja) 化合物、組成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JP675442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KR20170085434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KR20180020320A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및 전자 기기
JP201611594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KR102660767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전자 기기
WO201711578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WO2017146191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JP739334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電子機器
KR20220038370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전자 기기
JP6829583B2 (ja) 化合物、組成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WO2015198987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電子機器
WO202023555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化合物及び電子機器
KR102341609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전자 기기
JP2021020857A (ja) 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JP2020174072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WO2017065295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CN114450815A (zh) 有机电致发光元件以及电子设备
CN113892194A (zh) 有机电致发光元件以及电子设备
JP643393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JP2018076260A (ja) 化合物、組成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JP2018139275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化合物、組成物、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